맨위로가기

낙타 샹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낙타 샹쯔는 라오 셔가 1930년대에 발표한 소설로, 베이징에서 인력거꾼으로 살아가는 샹쯔의 삶을 그린다. 샹쯔는 자신의 인력거를 갖는 꿈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지만, 군벌에게 인력거를 빼앗기고 사랑하는 사람들의 죽음을 겪으며 타락해간다. 이 소설은 개인의 좌절과 사회의 부조리를 사실적으로 묘사하며, 영화, 연극, 경극 등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었다. 중국 사회의 어두운 면을 드러내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20세기 중국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대한민국에서도 여러 번역본이 출간되었으며, 사회적 약자의 삶에 대한 공감을 불러일으키며 사회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오서의 소설 - 묘성기
    《묘성기》는 라오 셔의 소설로, 화성에 불시착한 주인공이 고양이 인간 사회를 경험하며 국민당 통치 시기 중국 사회의 문제점을 풍자적으로 비판하고 정치적 세뇌와 민족주의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작품이다.
  • 라오서의 소설 - 사세동당
    사세동당은 라오 셰의 대하 소설로, 항일 전쟁 시기 베이징 시민들의 삶과 각성을 묘사하며 사회적 심리를 강조하고 전통적인 가족 문화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으며, 펄 벅의 도움으로 영어 번역본이 출판되었으나 문화 대혁명으로 일부 원고가 소실되기도 했다.
  • 베이징시를 배경으로 한 작품 - 찻집 (희곡)
    찻집은 라오 서가 중국 근현대사를 배경으로 격변기를 찻집이라는 공간을 통해 묘사하며 사회의 부조리와 시대상을 반영하는 희곡으로, 중국 현대 희곡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 베이징시를 배경으로 한 작품 - 정글만리
    조정래가 2014년에 발표한 장편소설 정글만리는 중국에 파견된 한국인 비즈니스맨, 성형외과 의사, 포항제철 부장 등 다양한 인물들의 삶을 통해 급변하는 중국 경제의 역동성과 그 이면의 그림자를 조명한다.
  • 1937년 소설 - 탁류
    채만식의 대표작 《탁류》는 1930년대 일제강점기 조선 사회의 어두운 현실을 배경으로 주인공 초봉의 비극적인 삶을 통해 사회 부조리를 비판하고 인간의 욕망과 파멸을 그린 리얼리즘 문학의 대표작이다.
  • 1937년 소설 - 종생기
    《종생기》는 이상이 1936년 도쿄에서 쓴 소설로, 25년 11개월의 삶을 마감하려는 주인공 '나'의 심리적 갈등과 여성 정희와의 만남을 통해 시대와 불화하는 지식인의 암울한 내면과 자아 분열, 고뇌를 그린 작품이다.
낙타 샹쯔 - [서적]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릭쇼 보이 표지, 중국 국립 도서관 스캔
릭쇼 보이 표지, 중국 국립 도서관 스캔
원제骆驼祥子
로마자 표기Luòtuo xiángzi
의미낙타 상자
작가라오 서
언어중국어
국가중국
장르소설
출판일1937년
관련 작품
영화릭쇼 보이
오페라릭쇼 보이

2. 집필 배경 및 출판 과정

라오 셔는 1936년 봄부터 소설을 집필하기 시작하여 1937년 1월 잡지 ''우저우 펑''("우주풍")에 연재를 시작했다.[1]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라오 셔는 1954년 9월에 쓰인 후기에서 외국어 출판사 판 『낙타 샹쯔』에 수록된 원고를 수정하면서 초판의 비관적인 결말에 대해 유감을 표명했다.

1945년, 에반 킹은 이 소설을 무단으로 번역하여 미국에서 출판했다. 이 번역본에서는 내용의 삭제와 재구성, 등장인물의 추가, 결말 변경 등이 이루어져 원작과 큰 차이를 보였다. 특히 여학생과 곰보 리라는 두 등장인물은 에반 킹이 창작한 인물이며, 두 유혹 장면에 대한 묘사가 추가되었다. 이러한 각색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미국에서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북 오브 더 먼스 클럽의 선정 도서가 되었다.

3. 줄거리

농촌 출신의 샹쯔는 베이징에서 인력거꾼으로 일하며 자신의 인력거를 갖는 꿈을 키운다. 그는 인력거꾼이라는 직업에 큰 자부심을 가졌고, 3년간 성실하게 일하여 꿈을 이루지만, 군벌에게 인력거를 빼앗기는 등 시련을 겪는다. 부대에 있던 낙타 세 마리를 팔아 탈출하여 '낙타 샹쯔'라는 별명을 얻게 된다.

이후 인력거 대여소 '런허 차량 공장' 주인 류쓰예의 딸 후니우와 결혼하지만, 후니우는 출산 중 사망한다. 샹쯔는 이웃집 딸 샤오푸쯔에게 위안을 얻지만, 그녀마저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한다.

샹쯔는 차오 선생의 전속 인력거꾼으로 일하기도 하지만, 차오 선생이 위험한 사상을 가졌다는 혐의를 받자 형사에게 돈을 빼앗기기도 한다. 거듭된 좌절로 샹쯔는 희망을 잃고 타락하며, 결국 룸펜 프롤레타리아와 다름없는 처지가 된다. 그는 술, 담배, 매춘에 빠져들고, 성병에 걸려 인력거꾼 경력도 끝난다.

4. 등장인물

샹쯔는 주인공으로, 시골 출신의 인력거꾼이다. 인력거꾼이라는 직업에 큰 자부심을 갖고 있으며, 1920년대 베이핑으로 이주하여 근면함, 정직함, 검소함을 통해 자립하고자 했다. 그러나 잦은 불운으로 인해 삶과 인격이 타락하게 된다. 샹쯔라는 별명은 패주병으로부터 도망칠 때 군용 낙타 3마리를 데리고 장내로 도망쳐 노인에게 낙타를 판 데서 유래한다. 결혼 후에도 호뉴의 장사 제안을 거절하고 인력거꾼을 계속한다.

호뉴는 인력거 대여소 인화차창(人和車廠)의 류쓰예(劉四爺) 영감의 딸로, 억척스럽고 호방한 성격이다. 샹쯔에게 관심이 있어 적극적으로 들이대며, 결국 샹쯔를 속여 결혼한다. 샹쯔와의 결혼으로 아버지와 의절하다시피 생활하게 된다. 샹쯔의 아이를 임신하지만 출산 과정에서 모자 모두 사망한다.

샤오푸쯔는 샹쯔와 호뉴 부부 이웃집에 살던 얼창즈(二强子)의 딸이다. 장교에게 첩으로 팔려갔다가 돌아왔으며, 호뉴와 친해진다. 아버지가 술꾼이라 가계가 파탄나 샹쯔에게 마음을 품었지만, 사창가에 팔려가 마지막에는 목을 매 자살한다.

류쓰예는 인화차창의 주인이다. 호뉴의 아버지로, 베이징 어두운 세계의 베테랑이다. 처음에는 샹쯔의 뛰어난 직업 윤리를 높이 평가했지만, 결국 샹쯔와의 결혼을 막기 위해 딸과 의절한다.

차오 선생은 샹쯔가 전세 인력거꾼으로 일했던 집의 주인으로, 인자하고 명석하여 샹쯔가 따르는 몇 안 되는 인물이다. 사회주의자로 그 때문에 고초를 겪는다. 윌리엄 모리스의 영향을 받은 대학교 강사이자 사회주의자인 차오 선생 부부는 샹쯔를 비교적 친절하게 대한다.

가오마(高媽)는 차오 선생 댁에서 일하는 식모이다.

쑨 순경(孫巡警)은 과거 샹쯔를 체포했던 군 부대의 소대장이었으며, 이후 순경이 된다. 사회주의자인 차오 선생을 감시하다가 샹쯔와 재회한다. 군벌 시대 군대의 장교로서 샹쯔를 납치하고 그의 첫 번째 인력거를 몰수했으며, 나중에 비밀경찰 형사로서 샹쯔를 협박하여 두 번째 인력거를 살 돈을 빼앗는다.

샤 부인(夏太太)은 샹쯔가 일했던 집의 안주인이다.

롼밍(阮明)은 차오 선생의 제자로 스승보다도 더 열렬한 사회주의자이다.

늙은이와 샤오 마(小馬)는 샹쯔가 찻집에서 만난 인력거꾼과 그의 손자이다. 늙은이와의 만남은 샹쯔에게 인력거꾼으로서의 삶이 헛되다는 것을 깨닫게 해준다.

얼창즈는 샤오푸쯔의 아버지로, 한때 인력거꾼이었으나 딸을 판 돈을 술로 탕진하고 딸의 수입에 의존한다.

4. 1. 주요 등장인물

샹쯔는 주인공으로, 시골 출신의 인력거꾼이다. 인력거꾼이라는 직업에 큰 자부심을 갖고 있으며, 1920년대 베이핑으로 이주하여 근면함, 정직함, 검소함을 통해 자립하고자 했다. 그러나 잦은 불운으로 인해 삶과 인격이 타락하게 된다. 샹쯔라는 별명은 패주병으로부터 도망칠 때 군용 낙타 3마리를 데리고 장내로 도망쳐 노인에게 낙타를 판 데서 유래한다. 결혼 후에도 호뉴의 장사 제안을 거절하고 인력거꾼을 계속한다.

호뉴는 인력거 대여소 인화차창(人和車廠)의 류쓰예(劉四爺) 영감의 딸로, 억척스럽고 호방한 성격이다. 샹쯔에게 관심이 있어 적극적으로 들이대며, 결국 샹쯔를 속여 결혼한다. 샹쯔와의 결혼으로 아버지와 의절하다시피 생활하게 된다. 샹쯔의 아이를 임신하지만 출산 과정에서 모자 모두 사망한다.

샤오푸쯔는 샹쯔와 호뉴 부부 이웃집에 살던 얼창즈(二强子)의 딸이다. 장교에게 첩으로 팔려갔다가 돌아왔으며, 호뉴와 친해진다. 아버지가 술꾼이라 가계가 파탄나 샹쯔에게 마음을 품었지만, 사창가에 팔려가 마지막에는 목을 매 자살한다.

류쓰예는 인화차창의 주인이다. 호뉴의 아버지로, 베이징 어두운 세계의 베테랑이다. 처음에는 샹쯔의 뛰어난 직업 윤리를 높이 평가했지만, 결국 샹쯔와의 결혼을 막기 위해 딸과 의절한다.

차오 선생은 샹쯔가 전세 인력거꾼으로 일했던 집의 주인으로, 인자하고 명석하여 샹쯔가 따르는 몇 안 되는 인물이다. 사회주의자로 그 때문에 고초를 겪는다. 윌리엄 모리스의 영향을 받은 대학교 강사이자 사회주의자인 차오 선생 부부는 샹쯔를 비교적 친절하게 대한다.

가오마(高媽)는 차오 선생 댁에서 일하는 식모이다.

쑨 순경(孫巡警)은 과거 샹쯔를 체포했던 군 부대의 소대장이었으며, 이후 순경이 된다. 사회주의자인 차오 선생을 감시하다가 샹쯔와 재회한다. 군벌 시대 군대의 장교로서 샹쯔를 납치하고 그의 첫 번째 인력거를 몰수했으며, 나중에 비밀경찰 형사로서 샹쯔를 협박하여 두 번째 인력거를 살 돈을 빼앗는다.

샤 부인(夏太太)은 샹쯔가 일했던 집의 안주인이다.

롼밍(阮明)은 차오 선생의 제자로 스승보다도 더 열렬한 사회주의자이다.

늙은이와 샤오 마(小馬)는 샹쯔가 찻집에서 만난 인력거꾼과 그의 손자이다. 늙은이와의 만남은 샹쯔에게 인력거꾼으로서의 삶이 헛되다는 것을 깨닫게 해준다.

얼창즈는 샤오푸쯔의 아버지로, 한때 인력거꾼이었으나 딸을 판 돈을 술로 탕진하고 딸의 수입에 의존한다.

4. 2. 기타 등장인물

주인공인 샹쯔는 시골 출신의 인력거꾼으로, 인력거꾼이라는 직업에 큰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근면함, 정직함, 검소함을 통해 자립하고자 노력했지만, 잦은 불운으로 인해 점차 타락하게 된다.

호뉴(虎妞)는 인력거 대여소 인화차창(人和車廠)의 주인이자, 샹쯔가 자주 인력거를 빌리는 화합관(和合館)의 소유주인 류쓰예(劉四爺) 영감의 딸이다. 억척스럽고 호방한 성격으로 샹쯔에게 적극적으로 다가가 결혼에 성공하지만, 아버지와 의절하게 된다. 샹쯔의 아이를 임신했으나 출산 과정에서 아이와 함께 사망한다.

샤오푸쯔(小福子)는 샹쯔와 호뉴 부부 이웃집에 살던 얼창즈(二强子)의 딸이다. 장교에게 첩으로 팔려갔다가 돌아온 후, 호뉴와 친해진다. 가난 때문에 매춘을 하게 되고, 샹쯔에게 마음을 품었지만 결국 사창가에 팔려가 목을 매 자살한다.

류쓰예(劉四爺)는 인력거 대여소 인화차창(人和車廠)의 주인이다. 처음에는 샹쯔의 뛰어난 직업 윤리를 높이 평가했지만, 결국 샹쯔와의 결혼을 반대하고 딸 호뉴와 의절한다.

차오 선생(曹先生)은 샹쯔가 전세 인력거꾼으로 일했던 집의 주인으로, 인자하고 명석한 사회주의자이다. 샹쯔는 차오 선생을 따랐지만, 사회주의 사상 때문에 고초를 겪는다. 샹쯔의 고용주였다가 아니었다가 하는 사람으로, 윌리엄 모리스의 영향을 받은 대학교 강사이자 사회주의자인 차오 씨 부부는 샹쯔를 비교적 친절하게 대한다.

가오마(高媽)는 차오 선생 댁에서 일하는 식모이다.

쑨 순경(孫巡警)은 과거 샹쯔를 체포했던 군 부대의 소대장이었으며, 이후 순경이 되어 사회주의자인 차오 선생을 감시하다가 샹쯔와 재회한다. 군벌 시대 군대의 장교로서 샹쯔를 납치하고 그의 첫 번째 인력거를 몰수했으며, 나중에 비밀경찰 형사로서 샹쯔를 협박하여 두 번째 인력거를 살 돈으로 모아둔 돈을 빼앗는다.

샤 부인(夏太太)은 샹쯔가 일했던 집의 안주인이다.

롼밍(阮明)은 차오 선생의 제자로, 스승보다 더 열렬한 사회주의자이다.

늙은이와 샤오 마(小馬)는 샹쯔가 찻집에서 만난 인력거꾼과 그의 손자이다. 늙은이와의 만남은 샹쯔에게 인력거꾼으로서의 삶이 헛되다는 것을 깨닫게 해준다.

얼창즈(二強子)는 샤오푸쯔의 아버지로, 한때 인력거꾼이었으나 술로 재산을 탕진하고 딸의 수입에 의존하며 살아간다.

5. 주제 및 작품 분석

《낙타 샹쯔》는 주인공 샹쯔가 인력거를 끌며 생계를 유지하는 과정에서 겪는 선택과 결정, 그리고 그가 마주하는 사회의 잔혹함을 그려낸 작품이다.[6] 샹쯔는 인력거를 빌리는 것과 소유하는 것 사이에서 갈등하고, 독립적으로 일할 것인지 아니면 가족의 종으로 일할 것인지 고민한다.

작품의 배경이 되는 베이징은 "더럽고, 아름답고, 퇴폐적이며, 번잡하고, 혼란스럽고, 한가롭고, 사랑스러운" 도시로 묘사되며, 샹쯔에게 "유일한 친구"와 같은 존재이다.[6]

이 책은 인간과 기계(인력거) 사이의 긴밀한 관계, 그리고 그 관계의 변화를 탐구한다. 샹쯔에게 인력거는 단순한 생계 수단을 넘어 자신의 힘과 활력을 상징하는 존재이다.[6] 샹쯔는 인력거를 통해 자신의 체격과 능력을 증명하고, 경제적 안정을 추구한다. 그러나 그의 직업은 신체적 건강에 의존하기 때문에, 수입이 줄어들고 악습에 빠지면서 경제적 지위는 더욱 불안정해진다.[6]

소설은 유아 사망, 아동 노동, 가정 폭력 등 논란이 될 수 있는 주제들을 다루며 자연주의적 요소를 보인다. 또한, 중일 전쟁중화민국 시대 중국 사회의 잔혹성을 풍자하며, 가난에서 벗어날 수 없는 샹쯔의 모습을 통해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극복할 수 없는 사회 구조적 모순을 보여준다. 이는 당시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 제기한 사회적 불평등 문제와도 연결된다.

샹쯔의 삶은 개인주의적 가치관에 의해 좌우되기도 한다. 그는 자신의 삶을 스스로 망가뜨릴 수는 있지만, 다른 사람을 위해 희생하지 않으려는 태도를 보인다.[6]

6. 한국어 번역 및 수용

대한민국에서는 여러 출판사에서 《낙타 샹쯔》의 다양한 번역본이 출간되었다. 최영애가 옮긴 '루어투어 시앙쯔'(통나무), 심규호·유소영이 옮긴 '낙타 샹즈'(황소자리), 오수경이 옮긴 '낙타 상자'(연극과인간) 등이 있다. 한국 독자들은 샹쯔의 삶을 통해 한국 사회의 불평등과 사회적 약자의 어려움에 공감하며, 이 소설을 통해 사회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었다.

7. 각색

이 소설은 영화, 연극, 경극, 텔레비전 드라마 등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었다.


  • 1982년에 링쯔펑 감독, 장펑이 주연으로 영화 《낙타 샹쯔》가 제작되었다.
  • 1957년에 메이첸에 의해 연극화되었으며, 1998년에는 장쑤성 경극원(江蘇省京劇院)에 의해 경극으로도 제작되었다.
  • 1998년 제작된 텔레비전 드라마가 있으며, 구즈신이 주연을 맡았다.
  • 궈원징이 작곡하고 쉬잉이 대본을 쓴 소설을 바탕으로 한 오페라는 2014년 6월 중국 국가 대극원에서 초연되었다.

8. 평가 및 영향

《낙타 샹쯔》는 20세기 초 중국 좌익 문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루쉰의 작품과 함께 러시아 문학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평가된다.[2] 이 소설의 주제는 중국 좌익과 중국 공산당의 관심사와 일치했지만, 작가 라오 셔는 좌익에 완전히 동조하지 않았다.[5] 소설의 마지막 문장은 "잘생기고, 야심만만하고, 멋진 꿈을 꾸는 사람, 이기적이고, 개인주의적이며, 튼튼한, 위대한 샹쯔. 아무도 그가 몇 번의 장례 행렬에 참여했는지 알지 못하며, 아무도 언제 어디서 그가 매장되었는지 알지 못한다. 사회의 병든 자궁에서 나온 퇴폐적이고, 이기적이고, 불운한 후손, 개인주의의 맹목적인 골목에 갇힌 유령."[6]과 같이 비극적이고 암울한 결말을 보여준다.

라오 셔는 중국 문학 예술계 연합회와 같은 정부 지원 문학 단체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외국어 출판사의 영문 번역본 서문에 따르면, "해방 전 [라오 셔]는 그의 최고의 소설인 《낙타 샹쯔》(《인력거꾼 샹쯔》)를 포함한 많은 문학 작품을 써서 낡은 사회를 폭로하고 비난했다."고 한다.

1948년, 좌익 비평가 쉬자는 라오 셔가 샹쯔를 불행으로 몰아넣는 병든 사회나 불운을 묘사하려 했다고 비판했다. 《낙타 샹쯔》에 등장하는 과도한 성 묘사와 중국 사회에 대한 부정적인 묘사는 초기 미국의 번역본의 인기를 얻는데 기여했지만, 중국은 혼란스럽고, 부패하고, 가난하고, 뒤떨어진 것으로 묘사되었는데, 이는 외국인들이 보고 싶어하는 모습이었다. 또한, 부정직하고 위선적인 혁명가 롼밍을 등장시켜 중국 혁명에 대한 불신을 야기할 수 있다는 비판도 있었다.[5]

1950년, 바렌은 "라오 셔는 인력거꾼의 혁명적 잠재력을 묘사하는 데 실패했다"며, 그의 소설이 "반동적" 태도를 표현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이유로 1949년부터 1980년대 중반까지 중국의 문학사나 대학 교과서에서 이 소설은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이 시기에 출판된 새로운 판본에서는 푸즈의 자살을 포함한 소설의 비관적인 결말이 삭제되고, 롼밍은 긍정적이거나 중립적인 인물로 바뀌었으며, 성과 관련된 음란한 언어와 "자연주의적" 묘사가 제거되었다.[5]

1955년, 라오 셔는 《낙타 샹쯔》가 노동 계급에 대한 동정을 보여주기 위한 의도였으며, 샹쯔에게서 희망의 근원이 혁명이라고 말하려는 것이 아니었다고 주장하며, 중국 공산당과 마오쩌둥에게 감사를 표했다. 그러나 중국 내전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에서 확립된 검열은 라오 셔의 소설에 "부정적인 이미지 묘사" 측면에서 변화를 요구했고, 이 소설은 1982년이 되어서야 원본 버전으로 재출판되었다.[5]

라오 셔는 중국 문학계에서 "인민 예술가"와 "위대한 언어의 대가"로 불리는 등 권위 있는 지위를 누렸지만, 문화 대혁명 초기에는 심한 박해를 받았다. 그의 1932년 소설 《고향》은 공산주의를 풍자했다는 이유로,[5] 홍위병들은 그를 거리로 끌고 다니며 공개적으로 구타했다. 정신적, 육체적으로 모욕을 당한 그는 공식 기록에 따르면 1966년 베이징의 타이핑 호수에 몸을 던져 자살했다.[3]

대한민국에서는 민주화 이후 사회적 약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 소설이 더욱 주목받게 되었다. 샹쯔의 이야기는 단순한 개인의 비극을 넘어, 사회 구조적인 모순과 불평등에 대한 비판으로 이어지며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참조

[1] 문서 'How I came to write the novel "Camel Xiangzi"' Foreign Languages Press
[2] 서적 "Lu Xun: The Impact of Russian Literature," in Merle Goldman, ed., ''Modern Chinese Literature in the May Fourth Era'' Harvard
[3] 서적 additional text https://books.google[...]
[4] 서적 China's good war : how World War II is shaping a new nationalism https://www.worldcat[...]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2020
[5] 논문 Resignation Open Eyed: On the Novel Rickshaw Boy by Lao She https://onlinelibrar[...] John Wiley & Sons, Ltd 2021-12-07
[6] 서적 Rickshaw: the novel Lo-t'o Hsiang Tzu University of Hawaii Press
[7] 서적 낙타 샹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