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경 (고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경은 고려 시대에 설치된 지역으로, 현재의 서울 일대에 해당한다. 고려 문종 21년(1067년)에 처음 설치되었으며, 숙종 대에는 남경 천도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궁궐이 건설되었다. 남경의 영역은 북악산, 인왕산 등을 경계로 설정되었으며, 고려 시대 여러 왕조에서 천도 논쟁이 벌어졌다. 특히 공민왕은 남경 천도를 추진했으나, 전쟁과 기근, 반대 여론으로 인해 실행되지 못했다. 우왕과 공양왕 대에도 천도 논의가 있었으나, 공민왕 때와 같은 이유로 무산되었다. 공양왕은 남경으로 천도했으나, 곧 개경으로 환도했다.

2. 위치와 영역

남경의 영역은 동쪽으로 대봉(大峰), 서쪽으로 기봉(岐峰), 북쪽으로 면악(面嶽), 남쪽으로 사리(沙里)를 경계로 하였다. 이 중 면악은 북악산을 가리킨다.[1] 사리는 '모래마을'이라는 이름으로 보아 용산 일대 한강 백사장으로 생각되기도 하지만, 면악에서 바라볼 수 있는 시야의 한계를 고려하면 조선 시대 황토현(黃土峴) 앞으로 추정된다.[2] 대봉은 창덕궁 뒤 응봉(應峰)에서부터 송현(松峴)까지의 산줄기이며, 기봉은 인왕산으로 추정된다.[3] 남경 행궁은 향원지(香遠池) 서쪽 언덕 부근으로 추정되며, 연흥전(延興殿), 천수전(天壽殿), 북녕문(北寧門), 남명문(南明門) 등의 건물이 있었다.[3]

2. 1. 지리적 범위

남경의 영역은 동쪽을 대봉(大峰), 서쪽을 기봉(岐峰), 북쪽을 면악(面嶽), 남쪽을 사리(沙里)로 삼았다. 이 가운데 면악(面嶽)은 북악산을 가리킴이 명확하다.[1] 사리(沙里)는 ‘모래마을’이라는 이름으로 볼 때 용산 일대의 한강 백사장으로 생각되기도 하나, 면악에서 바라볼 수 있는 시야의 한계를 고려하면 조선 시대의 황토현(黃土峴) 앞으로 추정된다.[2] 대봉(大峰)은 창덕궁 뒤 응봉(應峰)에서부터 송현(松峴)까지의 산줄기로, 기봉(岐峰)은 인왕산으로 추정된다.[3]

2. 2. 행궁의 위치

남경의 영역은 동쪽을 대봉(大峰), 서쪽을 기봉(岐峰), 북쪽을 면악(面嶽), 남쪽을 사리(沙里)로 삼았다. 이 가운데 면악(面嶽)은 북악산을 가리킴이 명확하다.[1] 사리(沙里)는 ‘모래마을’이라는 이름으로 볼 때 용산 일대의 한강 백사장으로 생각되기도 하나, 면악에서 바라볼 수 있는 시야의 한계를 고려하면 조선 시대의 황토현(黃土峴) 앞으로 추정된다.[2] 대봉(大峰)은 창덕궁 뒤 응봉(應峰)에서부터 송현(松峴)까지의 산줄기로, 기봉(岐峰)은 인왕산으로 추정된다.[3]

남경 행궁의 영역이 좁아 그 남쪽을 경복궁 영역으로 삼았다는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이 있으며[4], 이를 고려하면 남경 행궁은 향원지(香遠池) 서쪽 언덕 부근으로 추정된다.[5] 남경 행궁에는 연흥전(延興殿), 천수전(天壽殿), 북녕문(北寧門), 남명문(南明門) 등의 건물이 있었다.[3]

3. 남경 천도 논쟁

고려 문종 대에 최초로 남경 설치가 시작된 이후, 고려 숙종, 고려 공민왕, 우왕, 공양왕 대에 이르기까지 남경으로 수도를 옮기려는 논의가 여러 차례 있었다.

문종 대에는 남경이 처음 설치되고 궁궐이 건설되었다. 숙종 대에는 일관 김위제의 주장에 따라 남경개창도감이 설치되고 이궁이 완성되었으며, 최사추 등의 상소와 김위제의 도참설 등이 천도 논의에 영향을 미쳤다.

공민왕은 남경 천도를 적극 추진하였으나, 계속되는 전쟁과 기근으로 실행이 어려웠고, 윤택 등의 유학자들의 반대에 부딪히기도 했다. 우왕과 공양왕 역시 남경 천도를 논의했으나 비슷한 이유로 무산되었고, 공양왕은 일시적으로 남경으로 천도했다가 다시 개경으로 환도하기도 했다.

3. 1. 문종 대

고려 문종 21년(1067년)에 최초로 남경이 설치되었다.[6] 문종 22년(1068년)에는 남경에 궁궐이 건설되었다.[7]

1099년 일관(日官) 김위제의 주장에 따라 숙종 6년(1101년) 9월에는 남경개창도감(南京開創都監)이 설치되었으며,[8] 3년 뒤 숙종 9년(1104년) 5월에는 남경의 이궁(離宮)이 완성되었다.[9]

일관(日官) 최사추 등은 남경 건설에 영향을 미치는 상소를 올렸다.

김위제는 도선의 비기·답산가, 그리고 저자가 불명확한 신지비사(神誌秘詞)를 근거로 개성의 지덕이 그의 시기에 쇠하였음을 이야기하며 천도의 논리를 제공하였다.[11] 그는 비기의 내용을 인용하여 "11, 12, 1, 2월을 중경에서 지내고 3, 4, 5, 6월을 남경에서 지내며 7, 8, 9, 10월을 서경에서 지내면 36개국이 와서 조공할 것이다."라고 주장하였고, 이는 묘청의 난과 같은 고려조의 여러 사건들에서 여러 차례 근거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3. 2. 숙종 대

1099년 일관(日官) 김위제(金謂磾)의 주장에 따라 숙종 6년(1101년) 9월 남경개창도감(南京開創都監)이 설치되었으며,[8] 3년 뒤 숙종 9년(1104년) 5월에는 남경의 이궁(離宮)이 완성되었다.[9] 신도시였던 남경에는 거란 사람들도 귀순하여 살았다.[10]

일관(日官) 최사추 등은 남경 건설에 영향을 미친 상소를 다음과 같이 올렸다.

김위제는 도선의 비기·답산가와 저자가 불명확한 신지비사(神誌秘詞)를 근거로 개성의 지덕이 쇠하였다고 주장하며 천도의 논리를 제공하였다.[11] 그는 “건국한 후 1백 60여 년에 목멱벌에 도읍한다”고 하면서, 오행설(五行說)을 근거로 제시하였다. 비기(秘記)에는 “11, 12, 1, 2월을 중경에서 지내고 3, 4, 5, 6월을 남경에서 지내며 7, 8, 9, 10월을 서경에서 지내면 36개국이 와서 조공할 것이다.”라는 내용이 인용되었는데, 이는 묘청의 난 등 고려 시대의 여러 사건에서 근거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3. 3. 공민왕 대

공민왕1356년 이후 남경 천도 작업을 진행하고 이 과정을 주도하였다.[12] 1357년 1월 임진일에 왕이 봉은사에 가서 태조 진전에 참배하고 한양(漢陽)에 천도할 데 대하여 점을 쳤더니 왕의 손에 '정(靜)'자가 잡혔고, 이제현에게 명령하여 점을 치라 하였더니 '동(動)'자를 얻었다는 기록을 통해 국왕의 천도 의지가 분명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지속적인 전쟁과 기근으로 인해 그 실행은 힘들었던 것으로 보인다. 명확한 중단 기사는 없으나 공민왕 즉위 10년을 넘기면서 적극적인 천도 진행 기사를 찾아볼 수는 없게 된다. 또한 윤택 등의 유학자들이 공민왕을 제지했다는 점 또한 확인할 수 있다.[12]

3. 4. 우왕, 공양왕 대

우왕과 공양왕은 공민왕 때와 마찬가지로 지속적인 전쟁과 기근으로 인해 남경 천도 논의를 진행했지만 모두 기각되었다.[13] 공양왕은 1390년 9월 남경으로 천도하였으나,[14] 1391년 2월 개경으로 다시 환도하였다.[15]

참조

[1] 서적 조선의 문화공간 1 휴머니스트 2006
[2] 서적 오래된 서울 동하 2013
[3] 서적 오래된 서울 동하 2013
[4] 문서 《태조실록》 태조 6권 3년 9월 9일, 정도전 등에게 한양의 종묘·사직·궁궐·시장 등의 터를 정하게 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5] 서적 오래된 서울 동하 2013
[6] 문서 《고려사절요》 권5, 문종 21년 “改楊州, 爲南京留守官, 徙旁郡民, 實之.”
[7] 문서 《고려사절요》 권5, 문종 22년 “創新宮于南京.”
[8] 문서 《고려사절요》 권6, 숙종 6년 “置南京開創都監 …”
[9] 문서 《고려사절요》 권7, 숙종 9년 “南京宮闕成.”
[10] 문서 《고려사》 권14, 세가 권제14, 예종 12년 8월 “契丹投化人, 散居南京圻內者, 奏契丹歌舞雜戱以迎駕, …”
[11] 문서 《고려사》 권122 열전 권제35
[12] 문서 《고려사절요》 권26, 공민왕 6년 2월 “命李齊賢相宅于漢陽, 築宮闕. 開城尹致仕尹澤上言, “妙淸惑仁廟, 幾至覆國, 厥鑑不遠, 矧今四境有虞, 訓兵養士, 猶懼不給, 興工勞衆, 恐傷本根.””
[13] 문서 《고려사》 권133 열전 권제46 신우 1 신우 원년, 제112권 열전 제25 박의중 등
[14] 문서 《고려사》 권45, 세가 권제45, 공양왕 2년 9월 “병오 遷都于漢陽, …”
[15] 문서 《고려사》 권46, 세가 권제46, 공양왕 3년 2월 “정묘 至自南京,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