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대량살상무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1960년대부터 핵무기 개발을 시작하여, 1980년대 포신형 핵분열탄 6기를 제작했다. 풍부한 우라늄 매장량을 바탕으로 플루토늄 대신 우라늄 핵폭탄 개발로 정책을 변경했으며, 1970년대에는 핵실험을 준비하고, 이스라엘, 대만 등과 협력 관계를 맺었다. 1989년 비핵화 정책을 추진하여 핵무기를 폐기하고, 1991년 핵무기 비확산 조약에 가입했다. 1990년대에는 생화학 무기 개발 프로그램인 코스트 프로젝트를 운영하기도 했다. 2018년 현재,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전 세계에서 완벽한 비핵화를 이룬 유일한 국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핵무기 - 벨라 사건
    1979년 벨라 위성이 인도양에서 감지한 '이중 섬광'은 핵폭발로 추정되었으나 방사능 흔적이 없어 논란이 되었고, 핵실험 가능성이 제기되었지만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 나라별 대량살상무기 - 인도의 대량살상무기
    인도는 화학 무기 금지 협약과 생물학 무기 금지 협약을 준수하며 핵무기를 개발하여 대량살상무기를 보유하고, 핵 삼위일체를 구축하고 선제 불사용 정책을 기반으로 핵 독트린을 가지고 있다.
  • 나라별 대량살상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량살상무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80년대부터 핵무기, 화학 무기, 생물 무기를 포함한 대량살상무기(WMD) 개발 프로그램을 운영해왔으며, 핵 확산 금지 조약(NPT) 가입 및 탈퇴, 핵실험 감행과 중단을 거쳐 핵무기 소형화 및 탄도 미사일 개발을 지속하며 국제 사회의 우려를 낳고 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대량살상무기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대량살상무기
개요
핵 프로그램 시작일1967년
첫 핵무기 실험1979년 9월 22일 가능성 (참조: 벨라 사건)
첫 번째 핵융합 무기 실험알 수 없음
마지막 핵 실험알 수 없음
최대 폭발력 실험알 수 없음
총 실험 횟수알 수 없음
최대 비축량6개
현재 비축량없음; 프로그램은 1989년에 자발적으로 해체됨.
최대 사거리(English Electric Canberra)
NPT 서명국
관련 정보
관련 문서대량살상무기
국가별 대량살상무기 목록
화학 무기
생물학 무기
핵무기
방사능 무기
핵확산
미사일 목록 (국가별)
대량살상무기 관련 조약 목록

2.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핵무기 개발 배경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1967년 핵무기 개발을 시작했다.[61] 남아공에는 우라늄이 풍부하다. OECD 산하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세계 우라늄 총매장량 474만 3천 톤 중 남아공에 34만 1천 톤이 매장되어 있다고 보고했다. 남아공은 처음에 플루토늄 핵폭탄을 개발하다가 우라늄 핵폭탄 개발로 정책을 변경했다.[61]

1977년 미국과 소련의 정보위성이 남아공 칼라하리 사막에서 핵실험으로 보이는 섬광을 포착하여, 남아공은 비공식 핵보유국으로 간주되었다.[61] 1979년 9월 22일에는 남아공의 무인도 프린스에드워드 제도 근처 해상에서 미국 벨라 (인공위성)가 두 번의 섬광을 탐지했는데, 이는 남아공과 이스라엘의 3차 합동 핵실험인 오퍼레이션 피닉스였다.

1980년대 남아공은 포신형 핵분열탄 6개를 조립했다.[62] 1982년 남아공 방위사업청 :en:Armscor는 핵폭탄 생산을 시작하여 핵출력 TNT 6 kt급 핵무기 캐봇(Cabot)을 개발했다. 이 핵탄두는 나중에 분해되어 다른 핵폭탄 모델 개발에 재사용되었으며, 이후 TV 유도 활강 핵폭탄인 HAMERKOP 시리즈가 개발되었다.

1989년 프레데리크 빌렘 데 클레르크 대통령 당선 이후 비핵화 정책이 추진되었다.[62] IAEA는 1991년 11월부터 2년 반 동안 남아공의 모든 핵 관련 시설에 대해 100여 차례의 사찰을 실시했다. 데클레르크 대통령은 1993년 3월 의회 연설을 통해 남아공이 핵무기 6개를 생산 및 보유했으나 모두 폐기했고 개발 정보도 모두 파기했다고 발표했다.[62] 그는 넬슨 만델라와 함께 1993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62] 남아공의 자발적인 핵포기 선언은 주변국에 주둔했던 소련군 철수 등 체제 위협 요인 제거로 가능했던 것으로 분석된다.[63]

2007년 11월에는 무장괴한 4명이 펠린다바 원자력 연구센터에 침입했다가 체포되기도 했다.[64] 당시 펠린다바에는 HEU(우라늄-235) 750 kg이 보관되어 있었는데,[64] 이는 2018년 미국이 추정한 북한의 고농축 우라늄 보유량 800 kg과 비슷한 수준이다.

2018년 현재 전세계에서 완벽한 비핵화를 한 나라는 남아공 뿐이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핵무기 개발은 1948년 남아프리카 원자력 공사(SAAEC) 설립으로 시작되었으며, SAAEC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우라늄 채굴 및 산업 무역을 감독했다.[5] 1957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미국과 평화를 위한 원자력 프로그램에 따라 50년간의 협력 관계를 맺었다.[5]조약으로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펠린다바에 핵 연구용 원자로와 고농축 우라늄(HEU) 연료를 획득했다.[5]

2. 1.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우라늄 매장량

2. 2. 미국의 '평화를 위한 원자력' 프로그램 참여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핵무기 개발은 1948년 남아프리카 원자력 공사 (SAAEC) 설립과 함께 시작되었으며, SAAEC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우라늄 채굴 및 산업 무역을 감독하였다.[5] 1957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미국의 평화를 위한 원자력 프로그램에 따라 미국과 50년간의 협력 관계를 맺는 협정을 체결했다.[5] 이 협정에 따라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펠린다바에 핵 연구용 원자로 1기와 고농축 우라늄(HEU) 연료를 공급받았다.[5]

2. 3. 초기 핵 연구 프로그램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핵무기 개발 야망은 1948년 남아프리카 원자력 공사(SAAEC) 설립과 함께 시작되었다.[5] 1957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미국의 평화를 위한 원자력 프로그램에 따라 미국과 협력 관계를 맺었다.[5] 이 조약을 통해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펠린다바에 SAFARI-1 연구용 원자로와 고농축 우라늄(HEU) 연료를 공급받았다.[5]

1965년 미국의 앨리스 찰머스사는 SAFARI-1 원자로와 90% 고농축 우라늄 연료를 제공했다.[5] 1967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플루토늄 개발을 위해 SAFARI-2 원자로를 건설했으나,[5] 1969년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에 집중하기 위해 중단되었다.[5] SAFARI-2 원자로는 중수를 감속재로, 천연 우라늄을 연료로 사용하고, 용융된 나트륨을 냉각 시스템으로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5]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공기역학적 노즐 농축 기술을 사용하여 무기급 물질을 생산했다. 1969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과학자들은 버밍엄 대학교에서 파키스탄 출신 핵 공학자 술탄 바시루딘 마흐무드와 우라늄 농축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다.[6]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핵 기술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1971년 광산업에서 평화적 핵폭발 (PNE)을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승인받았다.[5] 1970년대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핵무기 개발에 프랑스[7] 및 이스라엘과 협력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추측이 있었다.[8]

3.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핵무기 개발 과정

1967년 핵무기 개발을 시작했다.

남아공에는 우라늄이 많다. OECD 산하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세계 우라늄 총매장량을 474만 3천 톤으로 보고 있다. 이 가운데 호주가 총매장량 114만3천 톤으로 가장 많고, 카자흐스탄(81만6천 톤), 캐나다(44만4천 톤), 미국(34만2천 톤), 남아공(34만1천 톤) 등이 뒤를 이었다. 처음에 플루토늄 핵폭탄을 개발하던 남아공은, 우라늄 핵폭탄 개발로 정책을 변경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1965년 미국의 앨리스 찰머스사로부터 20 MW 연구 원자로인 ''SAFARI-1''과 약 90%의 고농축 우라늄 연료를 제공받았다.[5] 1967년에는 플루토늄 개발을 위해 펠린다바에 자체 원자로인 ''SAFARI-2''를 건설, 미국에서 공급받은 606 kg의 2% 농축 우라늄 연료와 5.4톤의 중수를 사용하여 임계 상태에 도달했다.[5] ''SAFARI-2'' 원자로는 중수를 감속재로, 천연 우라늄을 연료로 사용하고, 용융된 나트륨을 냉각 시스템으로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5]

1969년,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에 집중하기 위해 ''SAFARI-2'' 원자로 가동이 중단되었다.[5]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국내에서 우라늄 광석을 채굴할 수 있었고, 공기역학적 노즐 농축 기술을 이용하여 무기급 물질을 생산했다. 같은 해, 남아프리카 공화국 과학자들은 버밍엄 대학교에서 파키스탄 출신 핵 공학자 술탄 바시루딘 마흐무드를 만나 우라늄 농축에 관한 공동 연구를 수행했다.[6] 이들은 공기역학 제트 노즐 공정을 이용한 연료 농축 연구를 수행했으며, 1970년대에 각자 자국의 프로그램을 구축했다.[6]

1977년 미국과 소련의 정보위성이 남아공 칼라하리 사막에서 핵실험으로 보이는 섬광을 포착했다. 이후 남아공은 비공식 핵보유국으로 간주되었다.[61]

1979년 9월 22일 00:53 GMT, 남아공의 무인도 프린스에드워드 제도 근처 해상에서, 두 번의 섬광이 미국 벨라 (인공위성)에 탐지되었다. 남아공과 이스라엘의 3차 합동 핵실험인 오퍼레이션 피닉스였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미국의 평화적 핵폭발 (PNE) 프로그램 홍보를 활용할 정도로 핵 기술 경험을 쌓았다.[5] 1971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광산부 장관 카렐 데 웨트는 광산업에서 PNE를 사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자국의 PNE 프로그램에 대한 승인을 내렸다.[5] 남아프리카 공화국 PNE 프로그램이 무기 프로그램으로 전환된 시점은 논쟁의 대상이다.[5] 1970년대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핵무기 개발에 프랑스[7] 및 이스라엘과 협력할 가능성에 대한 추측이 있었다.[8]

1980년대 포신형 핵분열탄 6개를 조립했다. 1982년에 남아공 방위사업청 :en:Armscor는 핵폭탄 생산을 시작하고서 오직 1개의 실전용 핵무기를 생산했다. 암호명은 호보(Hobo)였으며, 나중에 캐봇(Cabot)으로 불렸다. 핵출력은 TNT 6 kt이었다. 핵탄두는 나중에 분해되어 다른 핵폭탄 모델 개발에 재사용되었다. 방위사업청은 캐봇 다음에 TV 유도 활강 핵폭탄인 HAMERKOP 시리즈를 개발했다.

1989년 9월 14일 프레데리크 빌렘 데 클레르크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비핵화 정책을 추진했다.

IAEA는 1991년 11월부터 2년 반 동안 남아공의 모든 핵관련 시설에 대해 100여 차례의 사찰을 실시했다. 데클레르크 대통령은 1993년 3월 의회 연설을 통해 "남아공은 핵무기 6개를 생산해 보유했으나 모두 폐기했고 개발 정보도 모두 파기했다"고 전 세계에 알렸다. 그는 넬슨 만델라와 함께 1993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62]

남아공의 자발적인 핵포기 선언은 주변국에 주둔했던 소련군 등 철수로 체제 위협 요인을 제거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63]

2007년 11월 무장괴한 4명이 1만 볼트의 전기철조망과 경보시스템을 뚫고 펠린다바 원자력 연구센터에 침입했다가 체포되었다. HEU(우라늄-235) 750 kg이 보관되어 있었다.[64] 2018년 미국은 북한의 고농축 우라늄 보유량을 800 kg 정도로 추정하고 있어서, 남아공과 비슷한 보유량으로 평가한다.

2018년 현재 전세계에서 완벽한 비핵화를 한 나라는 남아공 뿐이다.

3. 1. 우라늄 농축 기술 개발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1965년 미국의 앨리스 찰머스사로부터 20 MW 연구 원자로인 ''SAFARI-1''과 약 90%의 고농축 우라늄 연료를 제공받았다.[5] 1967년에는 플루토늄 개발을 위해 펠린다바에 자체 원자로인 ''SAFARI-2''를 건설, 미국에서 공급받은 606 kg의 2% 농축 우라늄 연료와 5.4톤의 중수를 사용하여 임계 상태에 도달했다.[5] ''SAFARI-2'' 원자로는 중수를 감속재로, 천연 우라늄을 연료로 사용하고, 용융된 나트륨을 냉각 시스템으로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5]

1969년,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에 집중하기 위해 ''SAFARI-2'' 원자로 가동이 중단되었다.[5]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국내에서 우라늄 광석을 채굴할 수 있었고, 공기역학적 노즐 농축 기술을 이용하여 무기급 물질을 생산했다. 같은 해, 남아프리카 공화국 과학자들은 버밍엄 대학교에서 파키스탄 출신 핵 공학자 술탄 바시루딘 마흐무드를 만나 우라늄 농축에 관한 공동 연구를 수행했다.[6] 이들은 공기역학 제트 노즐 공정을 이용한 연료 농축 연구를 수행했으며, 1970년대에 각자 자국의 프로그램을 구축했다.[6]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미국의 평화적 핵폭발 (PNE) 프로그램 홍보를 활용할 정도로 핵 기술 경험을 쌓았다.[5] 1971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광산부 장관 카렐 데 웨트는 광산업에서 PNE를 사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자국의 PNE 프로그램에 대한 승인을 내렸다.[5] 남아프리카 공화국 PNE 프로그램이 무기 프로그램으로 전환된 시점은 논쟁의 대상이다.[5] 1970년대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핵무기 개발에 프랑스[7] 및 이스라엘과 협력할 가능성에 대한 추측이 있었다.[8]

3. 2. 평화적 핵폭발(PNE) 프로그램

3. 3. 핵무기 개발 전략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핵 전략은 핵무기를 실제 전장에서 사용하기보다는 정치적 도구로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9][3] 핵무기 배치의 위협을 통해 다른 서방 국가들, 특히 미국앙골라 내전에서 소련의 지원을 받는 세력에 대항하여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지원하도록 유도하고, 소련의 개입을 억제하려는 것이었다.[9][3]

1978년, 남아프리카 방위군 계획 참모장 존 하이저(John Huyser) 준장은 5~6개의 핵무기를 개발하여 "보관"하고, 재래식 군대가 치명적인 패배에 직면하면 미국 등 서방 국가에 비밀리에 핵무기 보유 사실을 알리는 등의 내용을 담은 기밀 각서를 작성했다.[10]

1986년 11월, 마그누스 말란 국방부 장관은 '크라마트 능력' 문서를 통해 공식적인 국가 핵 전략을 명시했다.[11] 이 전략은 세 단계의 억제력을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1]

  • 제1단계: '''전략적 불확실성''' - 핵 능력에 대한 공식적인 부인을 유지하고, 정보 유출을 통해 경쟁국들에게 불확실성과 우려를 조성한다.
  • 제2단계: '''비밀 조건'''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영토 보전이 위협받을 경우, 미국과 영국 등 주요 서방 정부에 핵무기 존재를 비밀리에 알리고 군사적 위협 제거를 위한 도움을 요청한다.
  • 제3단계: '''공개 억지''' - 핵무기 존재 공개 발표, 외국 전문가 초청, 지하 핵 실험, 대기 실험 등을 통해 서방 국가들의 개입을 유도한다. 최후의 수단으로, 남아프리카 공화국 영토를 공격하는 적군에 핵 공격을 가한다.[12]


이 전략을 수행하기 위해 전투 준비된 공중 발사 무기, 지하 실험용 폭발 장치, 장거리 탄도 미사일 등의 무기 체계가 필요하다고 명시되었다.[11]

3. 4. 핵무기 생산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1980년대에 최소 억지력의 포신형 핵분열탄 6개를 제작했으며, 1개가 추가로 건설 중이었다.[15] 1967년 핵무기 개발을 시작한 남아공은[61] 우라늄 매장량이 풍부한 국가였다.[61] 초기에는 플루토늄 핵폭탄 개발을 추진했으나, 이후 우라늄 핵폭탄 개발로 정책을 변경했다.[61]

1977년 미국과 소련의 정보위성이 남아공 칼라하리 사막에서 핵실험으로 보이는 섬광을 포착하여, 남아공은 비공식 핵보유국으로 간주되었다.[61] 1979년 9월 22일에는 남아공의 무인도 프린스에드워드 제도 근처 해상에서 미국 벨라 (인공위성)에 의해 두 번의 섬광이 탐지되었는데, 이는 남아공과 이스라엘의 3차 합동 핵실험인 오퍼레이션 피닉스로 추정된다.

1982년, 남아공 방위사업청 암스코어(Armscor)는 첫 번째 작전용 핵무기인 '호보(Hobo)'를 제작했다.[18] 호보는 TNT 6 kt의 핵출력을 가졌으며, 이후 분해되어 다른 핵폭탄 모델 개발에 재사용되었다.[18] 암스코어는 호보/캐봇 이후, TV 유도 활강 핵폭탄인 하머코프(Hamerkop) 시리즈를 개발했다.[18]

프리토리아 근처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버려진 서클 핵폭탄 생산 시설에 있는 폭탄 케이싱. 공중 투하를 위한 총형 핵 패키지를 수용했을 가능성이 높다.


켄트론 서클 건물 내 핵무기 저장 금고


최종 생산 모델은 많은 양의 고농축 우라늄(HEU)을 포함하고 있어, 암스코어 기술자들은 핵탄두의 물리적 안전을 위해 여러 안전 장치를 만들었다.[16] 핵심 제어 기능은 핵 장치를 두 부분으로 나누어 HEU를 분배하고, 각 부분품을 별도 금고에 보관하여 접근을 제한하는 것이었다.[16] 완전히 조립된 총형 장치는 임계 질량에 가까운 HEU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우발적인 핵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장치를 장착하고 사용할 준비가 된 후에만 총신을 회전시켜 구멍을 정렬하고, 총신에는 추진제 발사 압력을 분산시키는 구멍을 추가했다.[17]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비밀 핵무기 생산 라인과 고도의 보안 저장고는 프리토리아 외곽의 암스코어 소유 게로테크 차량 시험 시설 내 켄트론 서클 건물에 있었다.[13] 1981년 5월 4일 비밀 개소식에서 P.W. 보타 총리는 핵 억지력을 군사적 목적보다는 국제 협상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한 "정치적 무기 체계"라고 설명했다.[13]

{{quote box

| quote = "이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쟁기날'을 칼로 단조해야 할 때가 왔다... 이는 세계 지도자들의 손에 들린 유도, 설득, 강제의 무기이다. 이 정치적 무기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핵 억지력 전략을 기반으로 대국들의 협상 테이블에서 그들의 정당한 권리를 규정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준다."[14]

| source = P.W. 보타 총리의 1981년 5월 켄트론 서클 비밀 핵무기 시설 개소식 연설

| width = 28em

}}

1989년 프레데리크 빌렘 데 클레르크 대통령 당선 이후 비핵화 정책이 추진되었다.[62] IAEA는 1991년 11월부터 2년 반 동안 남아공의 모든 핵 관련 시설에 대해 100여 차례의 사찰을 실시했다.[62] 데클레르크 대통령은 1993년 3월 의회 연설을 통해 남아공이 핵무기 6개를 생산해 보유했으나 모두 폐기했고 개발 정보도 모두 파기했다고 발표했으며, 넬슨 만델라와 함께 1993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62] 이러한 자발적인 핵포기 선언은 주변국에 주둔했던 소련군 등의 철수로 체제 위협 요인이 제거되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으로 분석된다.[63]

2007년 11월에는 무장괴한 4명이 펠린다바 원자력 연구센터에 침입했다가 체포되기도 했다.[64] 이곳에는 HEU(우라늄-235) 750 kg이 보관되어 있었는데,[64] 이는 2018년 미국이 추정한 북한의 고농축 우라늄 보유량과 비슷한 수준이다.

3. 5. 핵실험 준비와 중단

남아프리카 공화국 원자력 에너지 위원회(AEB)는 업핑턴 북쪽 바스트라프 무기 시험장에서 칼라하리 사막에 핵실험장을 건설했다.[19] 1976년과 1977년에 깊이 385미터와 216미터의 시험 갱도 두 개가 완공되었다.[19] 1977년, AEB는 펠린다바에 고도의 보안 무기 연구 개발 시설을 설립하고, 솜켐에서 펠린다바로 핵무기 개발 프로그램을 이전했다.[19] 같은 해 중반, AEB는 고농축 우라늄(HEU) 코어가 없는 건타입 장치를 생산했다.[19]

원자력 위원회 관계자에 따르면, 1977년 8월에 "콜드 테스트"(우라늄-235가 없는 테스트)가 계획되었다.[19] 당시 참여하지 않았던 암스코(Armscor) 관계자는 이 시험이 가짜 코어를 사용한 완전 계측 지하 시험이었을 것이며, 실제 폭발을 위한 물류 계획을 테스트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었다고 말했다.

소련 정보는 시험 준비를 감지하고 8월 초에 미국에 알렸으며, 미국 정보국은 록히드 SR-71 정찰기의 비행으로 시험 부지의 존재를 확인했다.[19] 8월 28일, ''워싱턴 포스트''는 미국 관리의 말을 인용하여 "건설이 원자력 시험 준비라고 99% 확신한다"고 보도했다.[20] 소련과 서방 정부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전면적인 핵실험을 준비하고 있다고 확신했으며, 서방 국가들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게 시험을 하지 말 것을 압박했다.[20][21] 프랑스 외무 장관은 8월 22일에 프랑스-남아프리카 공화국 관계에 "심각한 결과"가 있을 것이라고 경고하며, 쾨베르그 원자력 발전소 원자로 제공 계약을 취소할 수도 있음을 암시했다.[21]

1993년에 와이난드 드 빌리어스는 시험 부지가 노출되었을 때 즉시 폐쇄를 명령했다고 밝혔다.[22] 부지는 버려졌고 구멍은 밀봉되었다.[22] 1988년에 남아프리카 국경 전쟁앙골라쿠바와 끝내기 위한 협상 과정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협상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다른 시험을 준비하고자 갱도 중 하나가 일시적으로 다시 열렸지만, 시험은 실행되지 않았다.[22]

4. 국제 협력

4. 1. 이스라엘과의 협력

데이비드 올브라이트와 크리스 맥그리얼은 1970년대와 1980년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핵무기 개발 프로젝트가 이스라엘과의 장기적인 협력 하에 진행되었다고 보도했다.[26][27][28] 1977년 11월 4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418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대한 강제적인 무기 금수 조치를 도입했으며, 모든 국가가 "핵무기 제조 및 개발에 있어 남아프리카 공화국과의 어떠한 협력도 삼가할 것"을 요구했다.[29]

핵 위협 방지 기구(Nuclear Threat Initiative)에 따르면, 1977년 이스라엘은 30g의 삼중수소를 남아프리카 공화국 우라늄 50톤과 교환했으며, 1980년대 중반에는 이스라엘의 샤비트 및 예리코 미사일과 유사한 RSA-3 및 RSA-4 탄도 미사일 개발을 지원했다.[30] 또한 1977년에는 외신 보도에 따르면,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이스라엘과 군사 기술 이전 및 최소 6개의 핵폭탄 제조를 포함하는 협정을 체결한 것으로 추정되었다.[31]

1979년 9월, 미국 벨라 위성은 인도양 상공에서 이중 섬광을 감지했는데, 이는 핵실험으로 추정되었지만, 미국 공군의 WC-135 항공기가 광범위한 공기 샘플링을 실시했음에도 불구하고 확인되지 않았다. 만약 벨라 사건이 핵실험이었다면,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이스라엘과 협력하여 이를 수행했을 가능성이 있는 유일한 국가이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핵실험 여부에 대해 공식적으로 확인한 바 없다. 1997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외무부 차관 아지즈 파하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실험을 수행했다고 밝혔지만, 이후 소문일 뿐이라고 발언을 철회했다.[32]

1994년 2월, 소련을 위해 스파이 활동을 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사이먼스 타운 해군 기지 전 사령관 디터 게르하르트 제독은 그 섬광이 이스라엘-남아프리카 공화국 공동 실험인 ''피닉스 작전''에 의해 발생했다는 것을 비공식적으로 알게 되었다고 말했다.[33][34] 2000년, 게르하르트는 이스라엘이 1974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위해 8기의 예리코 II 미사일에 "특수 탄두"를 장착하기로 합의했다고 말했다.[35]

2010년, ''가디언''(The Guardian)은 이스라엘의 핵무기 존재를 확인하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 문서를 공개했다. ''가디언''에 따르면, 이 문서들은 1975년 이스라엘이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핵무기 판매를 제안한 것과 관련이 있다.[36][37] 이스라엘은 이러한 주장을 전면 부인하며, 문서가 핵무기 판매 제안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이스라엘 대통령 시몬 페레스는 ''가디언'' 기사가 "구체적인 사실이 아닌... 선택적인 해석"에 근거한 것이라고 주장했다.[38] ''이스라엘과 폭탄''과 ''최악의 비밀: 이스라엘의 폭탄 거래''의 저자인 아브너 코헨은 "문서에는 이스라엘이 프리토리아 정권에 핵무기를 실제로 판매하겠다는 제안이 있었다는 내용은 전혀 없다"고 말했다.[39]

4. 2. 대만과의 협력

데이비드 올브라이트(David Albright)와 안드레아 스트릭너(Andrea Strickner)에 따르면,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당시 독재적인 KMT 정권이 통치하던 대만과도 긴밀하고 장기적인 협력을 해왔으며, 때로는 이스라엘과 함께 협력하기도 했다. 대만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부터 1973년과 1974년 사이에 100톤의 우라늄 금속을 구매했다. 1980년에는 대만이 4,000톤의 우라늄 금속을 계약했지만, 이 주문 중 얼마나 인도되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1983년 대만과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레이저 농축, 화학 농축, 소형 원자로 건설에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원자로 프로그램은 1985년 예산 삭감으로 인해 속도가 늦춰졌고, 5년 뒤 완전히 취소되었다. 농축 프로그램 역시 이 시기에 종료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5.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비핵화 과정

1967년 핵무기 개발을 시작했다. 남아공에는 우라늄이 많다. OECD 산하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세계 우라늄 총매장량을 474만 3천 톤으로 보고 있다. 이 가운데 호주가 총매장량 114만3천 톤으로 가장 많고, 카자흐스탄(81만6천 톤), 캐나다(44만4천 톤), 미국(34만2천 톤), 남아공(34만1천 톤) 등이 뒤를 이었다. 처음에 플루토늄 핵폭탄을 개발하던 남아공은, 우라늄 핵폭탄 개발로 정책을 변경했다.

1977년 미국과 소련의 정보위성이 남아공 칼라하리 사막에서 핵실험으로 보이는 섬광을 포착했다. 이후 남아공은 비공식 핵보유국으로 간주되었다.[61]

1979년 9월 22일 00:53 GMT, 남아공의 무인도 프린스에드워드 제도 근처 해상에서, 두 번의 섬광이 미국 벨라 (인공위성)에 탐지되었다. 남아공과 이스라엘의 3차 합동 핵실험인 오퍼레이션 피닉스였다.

1980년대 포신형 핵분열탄 6개를 조립했다. 1982년에 남아공 방위사업청 :en:Armscor는 핵폭탄 생산을 시작하고서 오직 1개의 실전용 핵무기를 생산했다. 암호명은 호보(Hobo)였으며, 나중에 캐봇(Cabot)으로 불렸다. 핵출력은 TNT 6 kt이었다. 핵탄두는 나중에 분해되어 다른 핵폭탄 모델 개발에 재사용되었다. 방위사업청은 캐봇 다음에 TV 유도 활강 핵폭탄인 HAMERKOP 시리즈를 개발했다.

1989년 9월 14일 프레데리크 빌렘 데 클레르크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비핵화 정책을 추진했다.

IAEA는 1991년 11월부터 2년 반 동안 남아공의 모든 핵관련 시설에 대해 100여 차례의 사찰을 실시했다. 데클레르크 대통령은 1993년 3월 의회 연설을 통해 "남아공은 핵무기 6개를 생산해 보유했으나 모두 폐기했고 개발 정보도 모두 파기했다"고 전 세계에 알렸다. 그는 넬슨 만델라와 함께 1993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62]

남아공의 자발적인 핵포기 선언은 주변국에 주둔했던 소련군 등 철수로 체제 위협 요인을 제거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63]

2007년 11월 무장괴한 4명이 1만 볼트의 전기철조망과 경보시스템을 뚫고 펠린다바 원자력 연구센터에 침입했다가 체포되었다. HEU(우라늄-235) 750 kg이 보관되어 있었다.[64] 2018년 미국은 북한의 고농축 우라늄 보유량을 800 kg 정도로 추정하고 있어서, 남아공과 비슷한 보유량으로 평가한다.

2018년 현재 전세계에서 완벽한 비핵화를 한 나라는 남아공 뿐이다.

5. 1. 비핵화 결정 배경

남아프리카 공화국군은 남아프리카 남부에서 앙골라의 쿠바군이 남아프리카 공화국군이 지원하는 경쟁 세력에 맞서 앙골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혁명 단체를 지원하고, 나미비아를 위협하면서 공산주의에 유리한 "도미노 이론"의 위협을 두려워했다. 1988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쿠바 및 앙골라와 삼자 협정을 체결했으며, 이 협정은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쿠바군의 앙골라 철수와 나미비아의 독립으로 이어졌다. 핵무기의 선제적 제거는 지역 안정과 평화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지역 및 국제 정치에서의 신뢰를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41] F. W. 데 클레르크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내 핵무기 존재를 문제로 인식했다. F. W. 데 클레르크는 무기 제거를 위해 미국에 무기에 대한 정보를 공개했다.[41]

1993년, 뉴욕 타임스의 빌 켈러는 남아프리카 남부 국가들에서 무장 해제의 시기가 아파르트헤이트 시스템이 정착민 식민주의에 의해 통제되던 시기에 핵무기가 원주민 아프리카인과 유색인종 정부의 손에 들어가는 것을 막으려는 의도를 나타낸다는 대중의 의심이 있었다고 보도했다.[3] 데 클레르크는 2017년 인터뷰에서 이에 대한 질문을 받자 그러한 동기를 부인했다.[41] 아파르트헤이트 이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권력을 잡은 아프리카 민족 회의 정당은 핵무기 해체를 승인했다.[3]

5. 2. 핵무기 폐기 및 NPT 가입

1989년 9월 14일 프레데리크 빌렘 데 클레르크가 대통령으로 당선되면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비핵화 정책을 추진했다.[62] 1989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핵무기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1991년 핵무기 비확산 조약(NPT)에 가입했다.[41] 남아공은 1995년 4월 5일 핵 공급국 그룹(NSG)에 정식 회원국으로 가입했고,1996년 아프리카 비핵 지대 조약(펠린다바 조약)의 설립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으며, 1997년 최초 회원국 중 하나가 되었다.[41] 또한 1996년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에 서명하고 1999년 비준했다.[41]

1980년대 포신형 핵분열탄 6개를 조립했으나, 모두 폐기되었다.[62] 1993년 3월 데클레르크 대통령은 의회 연설을 통해 "남아공은 핵무기 6개를 생산해 보유했으나 모두 폐기했고 개발 정보도 모두 파기했다"고 전 세계에 알렸다.[62] IAEA는 1991년 11월부터 2년 반 동안 남아공의 모든 핵관련 시설에 대해 100여 차례의 사찰을 실시했으며,[62] 1994년 8월 19일, 검사를 완료한 후 부분적으로 완성된 1기 및 완전히 완성된 6기의 핵무기가 해체되었음을 확인했다.[41] 그 결과, IAEA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핵 프로그램이 평화적 용도로 전환되었다는 데 만족했다.

남아공의 자발적인 핵포기 선언은 주변국에 주둔했던 소련군 등 철수로 체제 위협 요인을 제거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63] 핵무기의 선제적 제거는 지역 안정과 평화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지역 및 국제 정치에서의 신뢰를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41] F. W. 데 클레르크는 무기 제거를 위해 미국에 무기에 대한 정보를 공개했다.[41]

펠린다바 조약은 28개국이 비준한 후 2009년 7월 15일에 발효되었다.[42]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2017년 9월 20일 핵무기 금지 조약에 서명하고 2019년 2월 25일 비준했다.[44]

5. 3. 아프리카 비핵지대 조약 참여

5. 4. 핵무기 금지 조약 서명 및 비준

6.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비핵화 이후

6. 1. 핵물질 관리

2015년 기준으로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핵무기에서 추출한 무기 등급 우라늄의 대부분을 여전히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일부는 의료용 동위 원소 생산에 사용했다.[45] 아파르트헤이트 종식 이후 펠린다바에서 3건의 보안 침해가 발생했으며, 2007년 침해는 전 미국 관리에 의해 "끔찍한" 사건으로 묘사되었지만,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는 2007년 침해를 "일상적인 절도"로 일축했다.[46]

```wikitable

남아프리카 공화국 핵무기 프로그램 연표[47]
연도활동
1950년대 ~ 1960년대평화적 핵 폭발의 가능성에 대한 과학적 연구와 핵 발전 생산 노력 지원
1969원자력 위원회, 핵 폭발의 기술적, 경제적 측면을 평가하는 그룹 결성
1970원자력 위원회(AEC)는 핵 폭발의 용도를 식별하는 보고서를 발표
1971"핵 폭발의 평화적 이용"에 대한 연구 개발 승인
1973AEC는 건 타입 설계에 대한 작업 우선순위 지정
1974핵 장치 및 바스트라프 시험 부지에 대한 작업 허가
1977AEC, "콜드" 테스트를 위한 폭탄 조립 완료
1978최초의 고농축 우라늄(HEU) 생산; 암스코어가 무기 프로그램 통제
1979벨라 사건; AEC가 생산한 HEU 코어를 갖춘 첫 번째 폭탄
1982최초의 투하 가능한 폭탄 제작; 무기 안전에 대한 연구
19853단계 핵 전략 검토
1987첫 번째 생산 폭탄 제작; 7개 생산, 8번째 건설 중
1988암스코어, 핵 실험을 위해 바스트라프 준비
1989핵무기 해체
1991NPT 가입


7.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생화학 무기 개발 (코스트 프로젝트)

1998년 10월, 남아프리카 공화국 진실과 화해 위원회의 보고서는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진행된 비밀 정부의 화학 및 생물학 무기 프로그램인 코스트 프로젝트를 공개적으로 밝혔다.[48] 코스트 프로젝트는 1981년에 시작되었으며, 초기에는 방어적인 측면이 주요 목표였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공격적인 프로그램이 더욱 널리 퍼지고 중요해졌다.[48] 이 프로젝트는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인접 지역 내에서 공격 및 방어 목적으로 다양한 화학 및 생물학 작용제를 개발하는 유일한 프로그램이 되었다.[49]

코스트 프로젝트는 대량 살상 무기와 개별 암살에 사용될 수 있는 "더티 트릭" 무기, 이 두 가지 범주의 공격적 제품을 개발했다.[50] 대량 살상 무기 연구는 주로 탄저병, 파상풍, 콜레라, 살모넬라 등 생물학적 개발 과정에 초점을 맞추었다.[50] "더티 트릭" 무기에는 화학적, 식물성, 생물학적 성격의 독소가 포함되었다.[50] 1997년 우터 바손이 체포된 후, 그의 소유에서 발견된 문서에 따르면 "더티 트릭" 제품에는 탄저병이 든 담배, 유기 인산염으로 오염된 가정 용품[54], 파라옥손이 든 진과 위스키가 포함되어 있었다.[49]

방어 측면에서 코스트 프로젝트는 전투에서 군인과 VIP를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공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작용제 개발에 대한 연구를 감독했다.[48][51] 이 프로젝트는 또한 군중 통제를 위한 CS 가스와 CR 가스 작용제를 개발하고,[52] 군대를 위한 방어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보호복을 개발하는 임무를 맡았다.[49]

이 프로그램은 남아프리카 국방군 군의감(메이저 제너럴 N. J. 니우보트(1980-1988)와 메이저 제너럴 D.P. 노벨(1988–1998))에게 보고했다.[49] 니우보트는 우터 바손(1981–1992)을 프로젝트 책임자로 영입했으며, 궁극적으로 니우보트와 바손은 이러한 무기 및 관련 해독제를 연구하고 개발하기 위해 많은 수의 의료 전문가, 과학자 및 무기 전문가를 영입했다. 바손은 1992년 콜. 벤 스테인(1992–1995)으로 교체되었다.[49] 델타 G 과학 회사, 프로테크닉, 로데플라트 연구소를 포함한 여러 전선 회사가 화학 및 생물학 무기의 연구 및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53]

이 프로그램은 1993년까지 운영되었다.[58][59][60]

참조

[1] 서적 "The Bomb: South Africa’s Nuclear Weapons Programme" Litera
[2] 서적 Revisiting South Africa's Nuclear Weapons Program https://isis-online.[...] Institute for Science and International Security
[3] 뉴스 South Africa Says It Built 6 Atom Bombs http://www.nytimes.c[...] 1993-03-25
[4] 웹사이트 Nuclear Weapons Program – South Africa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11-05-15
[5] 웹사이트 South African nuclear bomb http://www.nti.org/c[...] Nuclear Threat Initiatives, South Africa (NTI South Africa) 2012-03-13
[6] 웹사이트 Separating Myth from Reality§ The Uranium Enrichment programme: Building Kahuta Research Laboratories (KRL) http://owlstree.blog[...] 2012-03-05
[7] 뉴스 Carl Rowan: South Africa emulates Nazi Germany (1977) https://www.newspape[...] 1977-10-26
[8] 뉴스 Scenarios Always See Confrontation (Israel, South Africa, nuclear weapons) (1977) https://www.newspape[...] 1977-11-24
[9] 서적 Revisiting South Africa's Nuclear Weapons Program https://isis-online.[...] Institute for Science and International Security
[10] 서적 Revisiting South Africa's Nuclear Weapons Program https://isis-online.[...] Institute for Science and International Security
[11] 서적 Revisiting South Africa's Nuclear Weapons Program https://isis-online.[...] Institute for Science and International Security
[12] 서적 Revisiting South Africa's Nuclear Weapons Program https://isis-online.[...] Institute for Science and International Security
[13] 서적 Revisiting South Africa's Nuclear Weapons Program https://isis-online.[...] Institute for Science and International Security
[14] 서적 Revisiting South Africa's Nuclear Weapons Program https://isis-online.[...] Institute for Science and International Security
[15] 웹사이트 South Africa: Nuclear Case Closed? http://www.gwu.edu/~[...] National Security Archive 1993-12-19
[16] 서적 Revisiting South Africa's Nuclear Weapons Program https://isis-online.[...] Institute for Science and International Security
[17] 서적 Revisiting South Africa's Nuclear Weapons Program https://isis-online.[...] Institute for Science and International Security
[18] 웹사이트 Revisiting South Africa's Bomb http://www.armscontr[...] 2015-12-03
[19] 서적 U.S. Military Involvement in Southern Africa https://books.google[...] South End Press
[20] 간행물 South Africa and the Affordable Bomb https://books.google[...] 1994-07
[21] 뉴스 South Africa is about to test atomic bomb, France claims (1977) https://www.newspape[...] 1977-08-23
[22] 웹사이트 South Africa's Nuclear Weapon Program: Lessons For U.S. Non Proliferation Policy http://cns.miis.edu/[...] James Martin Center for Nonproliferation Studies 2008-12-08
[23] 서적 Out of (South) Africa: Pretorias Nuclear Weapons Experience https://books.google[...] DIANE Publishing 2018-05-06
[24] 웹사이트 Book Review: How SA built six atom bombs - defenceWeb http://www.defencewe[...] 2018-05-06
[25] 웹사이트 Jericho http://www.astronaut[...] 2010-05-29
[26] 뉴스 Brothers in arms — Israel's secret pact with Pretoria https://www.theguard[...] 2006-02-07
[27] 간행물 South Africa and the Affordable Bomb https://books.google[...] 1994-08
[28] 웹사이트 RSA Nuclear Weapons Program https://fas.org/nuke[...]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29] 웹사이트 UNSCR 418 of 4 November 1977: States should refrain from "any co-operation with South Africa in the manufacture and development of nuclear weapons" https://www.un.org/d[...] United Nations 2011-05-15
[30] 웹사이트 South Africa: Missile http://www.nti.org/c[...] Nuclear Threat Initiative 2011-11
[31] 뉴스 P.W. Botha felt Israel had betrayed him http://fr.jpost.com/[...] 2006-11-02
[32] 웹사이트 Aziz Pahad's statement and retraction discussed here http://nuclearweapon[...] 2011-05-15
[33] 문서 South Africa and the affordable bomb The Bulletin of the Atomic Scientists 1994-07
[34] 문서 Proliferation: A flash from the past The Bulletin of the Atomic Scientists 1997-11
[35] 웹사이트 Tracking Nuclear Proliferation https://www.pbs.org/[...] PBS Newshour 2005-05-02
[36] 뉴스 Revealed: how Israel offered to sell South Africa nuclear weapons https://www.theguard[...] 2010-05-24
[37] 뉴스 The memos and minutes that confirm Israel's nuclear stockpile https://www.theguard[...] 2010-05-24
[38] 뉴스 Israel Denies It Offered South Africa Warheads https://www.nytimes.[...] 2010-05-24
[39] 뉴스 Avner Cohen: Yitzhak Rabin would have opposed sale of nuclear weapons https://www.independ[...] 2010-05-25
[40] 웹사이트 Taiwan's Former Nuclear Weapons Program https://isis-online.[...] ISIS 2021-06-09
[41] 간행물 Why One President Gave Up His Country's Nukes https://www.theatlan[...] 2017-09-09
[42] 웹사이트 disarmament.un.org - Pelindaba Treaty - View chronological order by deposit http://disarmament.u[...]
[43] 웹사이트 African Nuclear Weapons Free Zone Treaty http://www.dfa.gov.z[...] Department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South Africa 2006-07-28
[44] 웹사이트 UNODA Treaties https://treaties.uno[...]
[45] 뉴스 U.S. Frets over South African vault with enough fuel for 6 nuclear bombs https://www.washingt[...]
[46] 뉴스 How armed intruders stormed their way into a South African nuclear plant https://www.washingt[...]
[47] 서적 Out of (South) Africa: Pretoria's Nuclear Weapons Experience https://archive.org/[...] Dianne Publishing
[48] 서적 Warfare by other means: South Africa in the 1980s and 1990s Galago Press
[49] 논문 Project Coast: Apartheid's Chemical and Biological Warfare Programme http://www.unidir.or[...]
[50] 웹사이트 Frontline: Interview with Dr. Daan Goosen: Former Managing Director: Roodeplaat Research Laboratories. https://www.pbs.org/[...]
[51] 웹사이트 Frontline: Interview with Ronnie Kasrils: Deputy Defence Minister, South Africa https://www.pbs.org/[...]
[52] 웹사이트 Special Hearings: Chemical and Biological Warfare Hearings https://sabctrc.saha[...]
[53] 서적 South Africa's Weapons of Mass Destruction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54] 웹사이트 The South Africa Chamical and Biological Weapons Program: An Overview https://www.nonproli[...]
[55] 웹사이트 What Happened In South Africa? - Plague War - FRONTLINE https://www.pbs.org/[...] PBS 1998-10-29
[56] 논문 The History of the Use of Bacteriological and Chemical Agents during Zimbabwe's Liberation War of 1965-80 by Rhodesian Forces 2002-12
[57] 웹사이트 South Africa Chemical Overview https://www.nti.org/[...]
[58] 웹사이트 South Africa - Countries http://www.nti.org/l[...] 2018-02-23
[59] 웹사이트 What Happened In South Africa? - Plague War https://www.pbs.org/[...] PBS 2018-02-23
[60] 논문 Project Coast: eugenics in apartheid South Africa 2008-03-01
[61] 뉴스 북 핵선언,협상용 엄포 가능성높다 문화일보 2005-02-15
[62] 뉴스 [오늘과 내일/방형남]‘핵 포기’ 남아공과 ‘핵 무장’ 北 동아일보 2009-06-26
[63] 뉴스 '[리비아-남아공 핵폐기 사례와 북핵] 북 ‘리비아 모델’ 실패 보고 핵보유 더 집착' 내일신문 2013-02-14
[64] 뉴스 “HEU 등 핵물질 도난·불법거래 18년간 33건” IAEA에 신고 접수 국민일보 2011-1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