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연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내연산은 경상북도 영덕군, 포항시, 죽장면에 걸쳐 있는 산으로, 화산암 기반의 깎아지른 절벽과 깊은 계곡, 폭포와 용소가 어우러진 경관을 자랑한다. 내연산 진입 길목에는 보경사가 위치해 있으며, 보경사 원진국사비, 보경사 부도 등 문화재와 조선 숙종의 친필 각판 등이 있다. 내연산 계곡은 12폭포로 불리며, 겸재 정선의 그림, 문인들의 기록을 통해 그 아름다움을 엿볼 수 있다. 대한민국 명승 지정을 위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백산맥 - 금대봉
금대봉은 강원도 태백시에 있는 상함백산의 봉우리로, 한강의 발원지인 골지천이 발원하고 잣나무 수림과 고산 식물 군락을 이루며 산양 등이 서식한다. - 태백산맥 - 설악산
설악산은 강원특별자치도에 위치하며, 대청봉을 중심으로 내설악, 외설악, 남설악으로 구분되고, 수려한 자연경관과 다양한 등산 코스를 제공하여 많은 관광객이 찾는 명산이다. - 영덕군의 지리 - 주왕산
주왕산은 백악기 말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화산암 지형으로, 다양한 화산암류와 주왕산 응회암의 지질 명소, 그리고 주왕 관련 전설로 인해 주왕계곡은 대한민국의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 영덕군의 지리 - 영덕군의 지질
영덕군의 지질은 선캄브리아기 암석, 트라이아스기 화성암, 쥐라기 화성암, 경상 누층군, 영해 분지, 단층, 광산 등으로 구성된다. - 포항시의 지리 - 2017년 포항 지진
2017년 11월 15일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발생한 규모 5.4의 지진은 한국 전역과 일본 일부 지역에서 감지되었고, 인명 및 시설 피해, 대학수학능력시험 연기 등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지열 발전소의 유체 주입이 지진 발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밝혀져 사회적 논란을 야기했다. - 포항시의 지리 - 운제산
포항시 오천읍에 위치한 운제산은 운제부인 설화와 기우제 전설이 있으며, 가뭄 극복과 풍농 기원의 신앙적 의미를 지닌 운제산성모 신앙이 전해지는 산이다.
내연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내연산 |
한자 표기 | 內延山 |
높이 | 710m |
위치 | 경상북도 포항시 - 영덕군 |
지리 | |
산맥 | 해당 사항 없음 |
좌표 | 해당 사항 없음 |
지형 종류 | 해당 사항 없음 |
구글 지도 검색어 | 내연산 |
등반 정보 | |
최초 등반 | 해당 사항 없음 |
가장 쉬운 경로 | 해당 사항 없음 |
참고 자료 | |
참고 문헌 | 안경호, 2007, 한국 300 명산 (300 Korean Mountains), 서울, 깊은솔 (Gipeunsol), ISBN 978-89-89917-21-2 |
씨네21 | 씨네21 |
2. 지리적 특징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과 포항시 송라면, 죽장면에 걸쳐있는 산이다. 경북 내륙의 산들이 동해안으로 이어지는 산으로 풍화에 강한 화산암 기반이라 깎아지른 절벽과 깊게 패인 계곡이 많다. 이 계곡에는 자연스럽게 형성된 침식지형의 폭포와 용소들이 다양한 경관을 만들어낸다.[4]
내연산의 주요 명소로는 보경사, 12폭포, 겸재 정선의 그림으로 유명한 삼용추 등이 있다.[4]
3. 주요 명소
3. 1. 보경사
보경사는 진입하는 길목에 있다. 경내에는 보경사 원진국사비(보물 252)와 보경사 부도(보물 430)가 있으며, 조선 숙종의 친필 각판 및 5층 석탑 등이 있다.[3] 602년 진나라에서 유학하고 돌아온 신라 지명법사가 진평왕에게 '동해안 명산에서 명당을 찾아 자신이 진나라의 도인에게 받은 팔명보경을 묻고 그 위에 불당을 세우면 왜구의 침입을 막고, 이웃 나라의 침입도 받지 않으며 삼국을 통일할 것'이라고 전하였다. 진평왕은 지명법사와 함께 내연산 아래에 있는 큰 못에 팔면보경을 묻고 못을 메워 금당을 건립하고 보경사라고 했다고 한다.[3]
3. 2. 12폭포
내연산 계곡은 직선거리로 10km가 넘는 긴 구간에 굴참나무와 물푸레나무, 작살나무와 병꽃나무 등이 숲을 이루고 있으며 기암괴석 사이사이마다 부처손, 바위솔, 바위채송화 등이 자라 식생의 보존도 양호하다.[4]
청하골 또는 내연골이라고도 부르는데, 계곡 입구의 유서 깊은 사찰인 보경사를 지나면 상생폭포를 시작으로 여러 폭포들을 만날 수 있으며 풍부한 폭포수가 크고 작은 용소(龍沼)를 만들어 언제나 시원한 감흥을 일으킨다. 특히, 연산폭포(내연폭포)는 여러 폭포 중 규모가 가장 커 웅장한 위용을 자랑하며 여름철의 우렁찬 물소리와 겨울철의 얼음기둥이 압권이다. 대한민국의 명승으로 지정 논의가 있다.[4]
3. 3. 삼용추
《신증동국여지승람》, 《대동여지도》에 내연산과 삼용추(三龍湫)로 기록되어 있고, 겸재 정선의 <내연산폭포도>, <내연삼용추도>, 조선 중기 문신 황여일(1556~1622)의 <유람록>, 조선 중기 문인 서사원(1550~1615)의 <동유일록> 등에 폭포의 아름다움이 시, 글, 그림으로 묘사되어 있다. 조선 후기 겸재 정선은 내연산을 찾은 후 그린 3층 폭포인 삼용추(三龍湫)는 금강산보다 더욱 아름다운 경관이라 묘사했다.[4]
참조
[1]
서적
한국 300 명산 (300 Korean Mountains)
깊은솔 (Gipeunsol)
[2]
웹인용
씨네21
http://www.cine21.co[...]
2009-06-25
[3]
간행물
한국지명요람(韓國地名要覽)
건설부 국립지리원
[4]
웹인용
「포항 내연산 폭포」 명승으로 지정예고
https://www.cha.go.k[...]
문화재청
2021-08-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