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제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운제산은 경상북도 포항시 오천읍에 위치한 산으로, 오어사가 있으며 영일만온천과 토함산 자락으로 이어진다. 운제산이라는 이름은 원효대사와 혜공선사가 수도하며 구름을 사다리 삼아 절벽을 넘나들었다는 설과, 신라 남해왕의 비 운제부인의 성모단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가뭄 시 기우제를 지내면 영험하다는 전설이 전해지며, 삼국유사에는 운제산성모에 대한 기록이 있다. 운제산성모는 가뭄과 관련되어 농사를 풍요롭게 하는 풍농신의 성격을 지니며, 지역 수호신적 성격도 가지고 있어 복합적인 신격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항시의 지리 - 2017년 포항 지진
2017년 11월 15일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발생한 규모 5.4의 지진은 한국 전역과 일본 일부 지역에서 감지되었고, 인명 및 시설 피해, 대학수학능력시험 연기 등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지열 발전소의 유체 주입이 지진 발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밝혀져 사회적 논란을 야기했다. - 포항시의 지리 - 내연산
내연산은 경상북도 포항시에 위치한 화산암 기반의 산으로, 절벽과 계곡, 폭포, 용소가 특징이며 다양한 식생이 보존되어 있고, 특히 보경사를 품은 계곡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 경상북도의 산 - 속리산
속리산은 충청북도 보은군과 경상북도 상주시에 걸쳐있는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높은 산으로, 문장대, 천왕봉을 포함한 봉우리들, 법주사를 비롯한 사찰들, 정이품송 등의 명승지와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국립공원이다. - 경상북도의 산 - 월악산
월악산은 충청북도와 경상북도 경계에 위치한 신성한 산으로, 아름다운 경관과 역사적 유적, 충주호 등으로 유명하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부산민주공원
부산민주공원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공원 내에 위치하며 부마민주항쟁 20주년 기념으로 1999년에 개관한 공원으로, (사)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가 부산광역시로부터 위탁받아 운영하며, 부산광역시 조례에 따라 관리된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한강공원
한강공원은 서울과 경기도에 걸쳐 조성된 대규모 공원 시스템으로, 1982년부터 1986년까지의 한강종합개발계획을 통해 조성되었으며, 한강르네상스 사업을 통해 문화, 예술, 레저 공간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행사와 활동을 제공하며 생태계 보전에도 기여한다.
운제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리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운제산 |
한자 표기 | 雲梯山 |
높이 | 482 m |
위치 |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 항사리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대송면 산여리 |
산맥 | 알려진 정보 없음 |
2. 위치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 동쪽 기슭에는 신라 진평왕 때 창건된 유서 깊은 사찰 오어사가 있다. 대송면의 포스코 철강단지 남쪽으로 가면 산 아래쪽에 대규모 휴양지인 영일만온천이 있고, 산맥을 따라 남쪽으로 계속 가면 토함산 자락을 만날 수 있다.[1]
원효대사와 혜공선사가 운제산에서 수도하며 구름을 사다리 삼아 절벽을 넘나들었다는 설과, 신라 남해왕의 왕비 운제부인의 성모단에서 이름이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가뭄이 심할 때 산 정상 대왕암에서 기우제를 지내면 영험하다는 전설이 전해진다.[1]
3. 유래
『삼국유사』에는 남해차차웅의 비(妃)인 운제부인과 운제산성모에 대한 기록이 있다. 일연 당시 운제산성모가 있었고, 가뭄에 빌면 영검을 얻을 수 있었다고 한다. 이는 신모신앙 또는 산모신앙으로, 선도산성모, 지리산성모 등과 함께 언급된다.[1]
운제산성모는 물을 관장하고 농사를 풍요롭게 하는 풍농신이며, 지역수호신적 성격도 지닌다. 미륵할미신앙이나 노적봉전설과도 관련이 있으며, 왕권신화, 산모신앙, 지역수호신앙 등이 복합된 자료로 평가된다.[1]
3. 1. 원효대사와 혜공선사 설화
원효대사와 혜공선사가 이곳 운제산에서 함께 수도를 하면서 구름을 사다리 삼아 절벽을 넘나들어 운제산이라고 했다는 설과 신라 제2대 왕인 남해왕(南解王)의 비 운제부인(雲帝夫人)의 성모단이 있어 이름이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가뭄이 심할 때 산 정상에 있는 대왕암에서 기우제를 지내면 영험하다는 전설이 전한다.[1]
3. 2. 운제부인과 신모신앙
신라 남해왕의 왕비 운제부인의 성모단이 있어 운제산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가뭄이 심할 때 산 정상의 대왕암에서 기우제를 지내면 영험하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삼국유사』 남해왕조에는 운제산성모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으며, 가뭄에 빌면 영검이 있다는 내용이 전해진다.[1]
운제산성모는 물을 관장하고 농사를 풍요롭게 하는 풍농신의 성격을 지니며, 지역수호신적인 성격도 함께 지닌다.[1]
3. 2. 1. 신모신앙의 사례
원효대사와 혜공선사가 운제산에서 함께 수도를 하면서 구름을 사다리 삼아 절벽을 넘나들어 운제산이라고 했다는 설과 신라 제2대 왕인 남해왕의 비 운제부인(雲帝夫人)의 성모단이 있어 이름이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가뭄이 심할 때 산 정상에 있는 대왕암에서 기우제를 지내면 영험하다는 전설이 전한다.[1]
운제산성모에 관한 기록은 『삼국유사』 1권 남해왕조(南解王條)에 전한다. “남해거서간(南海居西干)은 또한 남해차차웅(南海次次雄)이라고 이르니, 이것은 존장(尊長)의 칭호로서 오직 왕을 일컫는다. 아버지는 혁거세이고, 어머니는 알영부인이다. 비는 운제부인(雲帝夫人)이다. 달리 운제(雲梯)로도 쓰니 지금도 영일현 서쪽에 운제산성모가 있다. 가뭄에 빌면 영검이 있다.”고 되어 있다.[1]
이 기록은 신라 제2대왕인 남해왕을 언급한 것으로, 그의 비인 운제부인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중요하게 간주되는 사실은 일연 당시에 운제산성모가 잔존하고 있었고, 이곳에 빌면 가뭄에 대한 영검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신모신앙(神母信仰) 또는 산모신앙(山母信仰)으로 판별된다. 신모신앙의 대표적 사례로는 선도산성모, 지리산성모, 정견모주, 성거산여신, 치술령신모 등을 들 수 있다.[1]
이들 신모는 운제산성모와 견주어지는 것들로 각종 문헌에 전하는 기록이 있다. 운제산성모의 신격은 가뭄 때와 깊이 관련되어 있는데, 가뭄에 빌면 효험이 있다고 한 기록이 그 증거이다. 이는 물을 관장하는 것이고, 물은 곧 농사와 깊은 관련을 맺기 때문에 운제산성모는 농사를 풍요롭게 하는 풍농신(豊農神)의 성격을 지닌다.[1]
물과 관련되는 미륵할미신앙이나 「노적봉전설」 등과도 관련이 있다. 산모신앙은 지역수호신적 성격도 지니기 때문에 복합적 신격으로 간주된다. 운제산성모는 왕권신화, 산모신앙, 지역수호신앙 등이 복합된 것으로 이른 시기에 보여지는 긴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1]
3. 3. 기타
원효대사와 혜공선사가 이곳 운제산에서 함께 수도를 하면서 구름을 사다리 삼아 절벽을 넘나들어 운제산이라고 했다는 설과 신라의 제2대 왕인 남해왕(南解王)의 비 운제부인(雲帝夫人)의 성모단이 있어 이름이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가뭄이 심할 때 산 정상에 있는 대왕암에서 기우제를 지내면 영험하다는 전설이 전한다.[1]
운제산성모에 관한 기록은 『삼국유사』 1권 남해왕조(南解王條)에도 전하고 있다. 해당 기록에는 “남해거서간(南海居西干)은 또한 남해차차웅(南海次次雄)이라고 이르니, 이것은 존장(尊長)의 칭호로서 오직 왕을 일컫는다. 아버지는 혁거세이고, 어머니는 알영부인이다. 비는 운제부인(雲帝夫人)이다. 달리 운제(雲梯)로도 쓰니 지금도 영일현(영일군) 서쪽에 운제산성모가 있다. 가뭄에 빌면 영검이 있다.”고 되어 있다.[1]
이 기록은 신라의 제2대왕인 남해왕을 언급한 것으로, 그의 비인 운제부인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중요하게 간주되는 사실은 일연 당시에 운제산성모가 잔존하고 있었고, 이곳에 빌면 가뭄에 대한 영검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신모신앙(神母信仰) 또는 산모신앙(山母信仰)으로 판별된다. 신모신앙의 대표적 사례로는 선도산성모, 지리산성모, 정견모주, 성거산여신, 치술령신모 등을 들 수 있다.[1]
이들 신모는 운제산성모와 견주어지는 것들로 각종 문헌에 전하는 기록이 있다. 운제산성모의 신격은 가뭄 때와 깊이 관련되어 있는데, 가뭄에 빌면 효험이 있다고 한 기록이 그 증거이다. 이는 물을 관장하는 것이고, 물은 곧 농사와 깊은 관련을 맺기 때문에 운제산성모는 농사를 풍요롭게 하는 풍농신(豊農神)의 성격을 지닌다.[1]
물과 관련되는 미륵할미신앙이나 「노적봉전설(露積峰傳說)」 등과도 관련이 있다. 이뿐만 아니라 산모신앙은 지역수호신적 성격도 지니기 때문에 복합적 신격으로 간주된다. 운제산성모는 왕권신화, 산모신앙, 지역수호신앙 등이 복합된 것으로 이른 시기에 보여지는 긴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1]
참조
[1]
서적
삼국유사
일조각
1971
[1]
논문
박혁거세신화논고(朴赫居世神話論考)
일조각
198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