뇨르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뇨르드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바다, 어업, 풍요의 신이다. 이름은 고대 게르만 다산 여신 네르투스와 관련 있으며, 원시 게르만어 "*Nerþuz*"에서 파생되었다. 뇨르드는 바다의 신으로 묘사되며, 어업, 항해, 무역과 관련이 깊다. 그는 노아툰에 거처를 두었으며, 스카디와 결혼했으나 서로의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헤어졌다. 뇨르드는 아들 프레이와 딸 프레이야를 두었으며, 아시르 신족과의 평화 조약에 따라 인질로 아스가르드로 보내져 숭배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비아인의 신화적 왕 - 프레이
프레이는 풍요, 다산, 평화를 주관하는 바니르 신족의 주요 신으로, 뇨르드의 아들이자 프레이야의 오빠이며, 게르드와 결혼하여 피요르니르를 낳았고, 스키드블라드니르, 굴린부르스티 등의 신성한 물건들을 소유하고 라그나로크에서 수르트와 싸우는 운명으로 알려져 있으며, 스웨덴 왕조의 시조로 묘사되기도 한다. - 스비아인의 신화적 왕 - 사고코눙가르
사고코눙가르는 스웨덴의 전설적인 왕조들에 대한 문서로, 윙글링 왕조, 이바르 비드파드미 왕조, 문쇠 왕조의 계보와 역사성 논란을 다루며, 한국의 시각에서 스웨덴 왕조의 역사를 조명하고 한국의 역사와 비교 분석한다. - 반 - 프레이
프레이는 풍요, 다산, 평화를 주관하는 바니르 신족의 주요 신으로, 뇨르드의 아들이자 프레이야의 오빠이며, 게르드와 결혼하여 피요르니르를 낳았고, 스키드블라드니르, 굴린부르스티 등의 신성한 물건들을 소유하고 라그나로크에서 수르트와 싸우는 운명으로 알려져 있으며, 스웨덴 왕조의 시조로 묘사되기도 한다. - 반 - 프레이야
프레이야는 고대 노르드어로 '여인, 여주인'을 뜻하며 풍요, 다산, 사랑, 아름다움을 상징하는 여신으로, 고양이가 끄는 마차를 타고 전투에서 죽은 자들의 절반을 맞이하는 폴크방이라는 거처를 가지며, 다양한 문헌에서 여러 이름으로 등장하고 현대 예술과 문화에도 영향을 준다. - 바람의 신 - 포세이돈
포세이돈은 그리스 신화에서 바다, 지진, 말을 다스리는 중요한 신으로, 다양한 칭호를 가지고 있으며 그리스 전역과 이탈리아에서 숭배받았지만, 신화 속에서 여성에 대한 폭력적인 행위도 나타난다. - 바람의 신 - 티폰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괴물 티폰은 가이아와 타르타로스의 아들이며 제우스에게 패배하여 화산 아래 갇힌 뱀의 하반신과 짐승 머리를 가진 존재로, 에키드나와의 사이에서 괴물을 낳았고 화산 활동과 지진의 원인으로도 여겨진다.
뇨르드 | |
---|---|
기본 정보 | |
![]() | |
신화 | |
신의 종류 | 해신, 항해신, 풍요신 |
다른 언어 표기 | |
부모 | 알 수 없음 |
배우자 | 자매, 스카디 |
자녀 | 프레이, 프레야 |
정치 | |
직위 | 스비아인의 왕 (윙글링 왕조) |
전임자 | 오딘 |
후임자 | 윙그비프레위 |
재임 순서 | 2대 |
2. 명칭 및 어원
'뇨르드(Njörðr)'라는 이름은 고대 게르만어 '*네르투스(Nerþuz)'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초기 게르만족의 다산 여신 네르투스(Nerthus)와 관련이 있다.[2] 뇨르드의 이름은 스칸디나비아 지역의 여러 지명과 해면동물을 가리키는 "뇨르드의 장갑(Njarðarvöttr)"이라는 단어에서 찾아볼 수 있다.
2. 1. 어원 연구
뇨르드(Njörðr)라는 이름은 더 오래된 게르만 다산 여신 네르투스(Nerthus)(서기 1세기 초)의 이름과 일치한다. 둘 다 원시 게르만어 신격 *네르투스(Nerþuz)에서 파생되었다.[2]이름의 원래 의미는 논쟁의 대상이지만, "힘"을 의미하는 아일랜드 단어 nert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여성형 네르투스(Nerthus)에서 남성형 뇨르드(Njörðr)로의 성별 변화는 u-어간을 가진 여성 명사가 게르만어에서 일찍 사라진 반면 u-어간을 가진 남성 명사가 우세했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있다. 그러나 다른 학자들은 이러한 변화가 문법적 성별이 아닌 종교적 신념의 진화에 기반한다고 주장한다. 즉, *네르투스(Nerþuz)와 뇨르드(Njörðr)는 별개의 존재로 간주되기 때문에 다른 성별로 나타난다.[2] 뇨르드(Njörðr)의 이름은 북유럽 여신 뇨룬(Njörun)의 이름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3]
뇨르드(Njörðr)의 이름은 스칸디나비아의 여러 지명에 나타난다. 스웨덴의 나르데헤비(Nærdhæwi) (현재 나르케(Närke)의 나라비 Nalavi), 냐에르다비(Njærdhavi) (현재 린셰핑(Linköping)의 먀르데비 Mjärdevi; 둘 다 종교 용어 베(vé) 사용), 나르데룬다(Nærdhælunda) (현재 헬싱보리(Helsingborg)의 네를룬다 Närlunda), 니에르다투눔(Nierdhatunum) (현재 웁플란드(Uppland)의 네르투나 Närtuna), 아이슬란드 남서부의 냐르드비크(Njarðvík), 노르웨이의 냐르다르뢰그(Njarðarlög)와 네뢰이야(Nærøya)가 그 예이다.[2][4] 뇨르드(Njörðr)의 이름은 해면(sponge)을 나타내는 단어에도 나타난다; 냐르다르뵈트르(Njarðarvöttr) (고대 노르드어: Njarðarvǫttrnon, "뇨르드의 장갑"). 또한 고전 신화의 고대 아이슬란드어 번역에서 로마 신 사투르누스(Saturn)의 이름은 "뇨르드"(Njörðr)로 주석 처리된다.[4]
3. 신화 속 묘사
뇨르드는 반 신족과 아스 신족 간의 전쟁 이후, 프레이야, 프레이 남매와 함께 인질로 아스가르드에 오게 되었다. 이후 반 신족의 존재는 희미해졌고, 이들 셋은 아스 신족의 일원으로 받아들여진다.[37]
거인 시아치의 딸 스카디는 아버지의 복수를 위해 아스가르드에 왔으나, 신들은 그녀에게 아스 신족 중 한 명을 남편으로 삼는 조건으로 화해를 제안했다. 스카디는 남신들의 다리만 보고 남편을 선택해야 했는데, 가장 아름다운 다리를 가진 뇨르드를 선택했다. 뇨르드의 다리는 항상 파도에 씻겨 아름다웠다고 한다.[31][32]
하지만 바다를 사랑하는 뇨르드와 산에서 사냥하는 것을 좋아하는 스카디는 서로의 거처에서 번갈아 가며 9일 밤씩 함께 지내기로 했지만, 서로의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결국 헤어지게 되었다.[33] H.R. 엘리스 데이비드슨은 이 이야기가 과거 9일간의 제례 동안 "성스러운 결혼"이 행해지고, 한쪽 신이 다른 쪽 신이 숭배되는 장소로 옮겨졌다는 제사를 반영한다고 해석했다.[34]
북유럽 각지에는 "뇨르드의 신전", "뇨르드의 숲", "뇨르드의 경작지"를 의미하는 지명이 많이 남아있어 그가 널리 숭배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결혼 이야기 외에 특별한 에피소드는 전해지지 않으며,[37] 라그나로크에서 그의 최후도 불분명하다. 다만, 『바프스루드니르의 말』에서는 세상이 끝날 때 뇨르드가 반 신족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언급된다.[38]
『로키의 말다툼』에서는 뇨르드가 로키에게 인질 시절 휘미르의 딸들에게 요강 취급을 당했다는 모욕을 듣기도 한다.[39][40]
3. 1. 에다(Edda)
오딘이 변장하여 요툰 바프스루드니르와 지혜 대결을 펼치는 ''바프스루드니르말''에서 뇨르드는 라그나로크 이후 생존할 신으로 묘사된다. 뇨르드는 상당한 수의 사원과 호르그를 다스리지만, 아사 신들 사이에서 자라지 않았다고 언급된다. 바프스루드니르는 뇨르드가 바나헤임에서 현명한 권능들에 의해 만들어져 신들에게 인질로 보내졌으며, 인간의 종말에 현명한 바니르 가운데 고향으로 돌아올 것이라고 말한다.[5]''그리니르스말''에서 뇨르드는 노아툰에 자신을 위해 만들어진 홀을 가지고 있다고 묘사된다. 그는 "인간의 왕자"이며 "악의가 없다"고 묘사되며, "높은 목재 사원"을 다스린다고 묘사된다.[6] 또한, 신 프레이의 배 스키드블라드니르의 창조가 언급되며, 프레이는 뇨르드의 아들로 언급된다.[7] ''스키르니르말''의 산문 서문과 본문에서 프레이는 뇨르드의 아들로, 스카디는 프레이의 어머니로 언급된다.[8][9]
''로키의 말다툼''에서 뇨르드와 로키는 설전을 벌인다. 로키는 뇨르드가 "신들에게 인질로 동쪽으로 보내졌다" (아시르-바니르 전쟁에 대한 언급)며 "히미르의 딸들이 당신을 변기처럼 사용했고 당신의 입에 오줌을 쌌다"고 비난한다.[10] 뇨르드는 자신이 신들에게 인질로 보내졌을 때, 아무도 미워하지 않고 아시르의 왕자로 여겨지는 아들(프레이)을 낳았다고 응답한다.[10] 로키는 뇨르드에게 "그만"하고 "어느 정도 절제하라"고 말하며, 뇨르드의 아들 프레이가 그의 이름 없는 누이와 함께 낳았다는 사실을 "더 이상 비밀로 하지 않겠다"고 말한다.[10]
''트림의 서사시''에서 뇨르드는 프레이야의 아버지로 언급된다. 요툰 트림은 프레이야를 신부로 맞이할 것이라고 오해하고, 그녀를 노아툰의 뇨르드의 딸이라고 지칭한다.[11]
3. 2. 산문 에다(Prose Edda)
뇨르드는 『산문 에다』의 『길피의 속임수』와 『시어법』에 언급되어 있다.『스카르스카파르말』에서 뇨르드는 에기르를 위해 열린 연회에 참석한 12명의 아사 중 한 명으로 소개된다. 스칼드 신 브라기는 스카디의 아버지 토아치가 아사들에게 죽임을 당한 이야기를 전한다. 토아치의 죽음에 대한 보상으로 스카디는 아사들 중에서 남편을 선택할 수 있었지만, 발만 볼 수 있다는 조건이 있었다. 스카디는 발의 아름다움으로 발드르를 선택할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뇨르드를 선택했다.
6장에서는 뇨르드에 대한 케닝 목록이 제공된다. "전차의 신", "바니르의 후손", "반", 프레이르와 프레이야의 아버지, "주는 신" 등이다. 이어서 11세기 스칼드 토르르 시아레크손의 작품에서 발췌한 내용이 나오는데, 스카디가 뇨르드를 떠나는 것에 대한 언급이 있다.
> 군드룬은 아들의 살해자가 되었고, 현명한 신부[스카디]는 반을 사랑할 수 없었다. 키알라르[오딘]는 말을 매우 잘 훈련시켰고, 함디르는 칼싸움을 주저하지 않았다고 한다.
7장에서는 프레이르에 대한 다양한 케닝을 제공하며, 뇨르드의 아들로 그를 언급한다. 이어서 10세기 스칼드 에길 스칼라그림손의 작품에서 발췌한 내용이 나오는데, 뇨르드를 언급한다.
> 프레이르와 니오르드는 그리오비오른에게 부의 힘을 부여했다.
20장에서는 "뇨르드의 딸"이 프레이야에 대한 케닝으로 주어진다. 33장에서는 뇨르드가 에기르가 주최한 연회에 참석한 신들 중 한 명으로 언급된다. 37장에서는 12세기 스칼드 아이나르 스쿨라손의 구절에서 프레이야를 다시 뇨르드의 딸이라고 언급한다. 75장에서는 뇨르드가 아사 목록에 포함된다. 또한, ''뇨르드''는 ''스카르스카파르말''에서 "전사" 또는 "전사들"에 대한 케닝으로 여러 번 사용된다.
반 신족과 아스 신족의 전쟁이 끝났을 때, 뇨르드는 딸 프레이야, 아들 프레이와 함께 인질로 잡혔다. 이후 반 신족의 존재는 희미해져가고, 이 세 신은 아스 신족의 일원이 된다.
『스노리 에다』 제2부 『시어법』에서, 거인 여성 스카디와의 결혼 경위가 전해진다. 시아치가 신들에게 살해당하고 복수를 위해 아스가르드에 찾아온 딸 스카디에게, 신들은 아스 신족 중 한 명을 남편으로 삼는 것으로 화해를 제안했다. 그녀는 남신들의 다리만 보고 그 아름다움으로 선택했다. 발드르를 노렸지만, 다리의 아름다움으로 선택된 신은 바로 뇨르드였다. 뇨르드의 다리는 항상 파도에 씻겨 아름다웠지만, 미소년이라기보다는 미남자였다.[31][32] 결혼은 했지만, 바다의 신인 뇨르드는 바다에 가까운 자신의 거처에 사는 것을 원했고, 스키를 타고 산을 달리며 사냥하는 것을 좋아하는 스카디는 산에 있는 아버지의 저택에 사는 것을 원했다. 두 사람은 9일 밤씩 서로의 거처에서 함께 지내기로 했지만, 스카디의 저택에서 지낸 뇨르드는 늑대의 울음소리를 싫어했고, 뇨르드의 저택에서 지낸 스카디는 아침에 바닷새의 울음소리에 깨어나는 것이 고통스러웠다. 그 결과, 이 부부는 헤어졌다[33]고 한다.
북유럽 각지에는 "뇨르드의 신전", "뇨르드의 숲", "뇨르드의 경작지"를 의미하는 지명이 많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그가 매우 숭배받았다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결혼 이야기 외에는 특별한 에피소드가 없다.[37] 또한 라그나로크에서는 많은 주요 신들의 죽음이 묘사되어 있지만, 뇨르드가 어떻게 죽었는지는 불분명하다. 『고 에다』의 『바프스루드니르의 말』 제39절에서, 세상이 끝날 때 반 신족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언급될 뿐이다.[38]
그 외에 『로키의 말다툼』 제34절에서는, 뇨르드가 로키로부터 인질로서 "동쪽의 신들[39]" 혹은 "동쪽의 거인[40]"에게 보내졌고, 휘미르의 딸들에게 요강 대신 사용되어 입 안에 오줌을 갈겨졌다는 지적을 받는다.
3. 3. 헤임스크링글라(Heimskringla)

뇨르드는 헤임스크링글라에 수집된 ''잉글링가 사가'', ''하콘 선왕의 사가'', ''하랄 그레이클로크의 사가''에 등장하거나 언급된다.
'''잉글링가 사가(Ynglinga saga)'''
''잉글링가 사가'' 4장에서는 아에시르-바니르 전쟁 이후 평화 협정 과정에서 뇨르드가 인질로 보내졌다고 묘사된다. 바니르는 뇨르드와 그의 아들 프레이르를 아에시르에게 보냈고, 아에시르는 호니르와 미미르를 보냈다.[17]
같은 장에서 오딘은 뇨르드와 프레이르를 사제로 임명했고, 프레이야는 뇨르드의 딸이자 제물 의식의 여사제로 소개된다. 뇨르드는 바니르에 있던 시절 자신의 누이와 결혼하여 프레이르와 프레이야를 낳았지만, 아에시르 사이에서는 이러한 관습이 금지되었다.[17]
5장에서 오딘은 뇨르드에게 노아툰을 거처로 주었다.[18] 8장에서는 뇨르드가 스카디와 결혼했지만, 스카디는 그와 성관계를 갖지 않았다고 한다.[19]
9장에서 오딘이 죽은 후 뇨르드가 스웨덴의 통치자가 되었다. 뇨르드의 통치는 평화와 풍년으로 특징지어졌으며, 스웨덴인들은 뇨르드가 작물과 번영을 다스린다고 믿었다. 뇨르드는 오딘처럼 스스로를 "지목"하고 침대에서 죽었고, 그의 시신은 스웨덴인들에 의해 불태워졌다. 이후 그의 아들 프레이르가 왕위를 계승했다.[20]
'''하콘 선왕의 사가(Hákonar saga góða)'''
''하콘 선왕의 사가'' 14장에는 게르만 이교의 율 축제에서 행해지는 토스트 의식이 묘사된다. 오딘에게 왕의 승리와 권력을 기원하는 토스트를 올린 후, 뇨르드와 프레이르에게 풍년과 평화를 기원하는 토스트를 올린다.[21] 28장에서는 "항해자"를 뜻하는 "뇨르드-롤러-말"이라는 케닝이 인용된다.[22]
'''하랄 그레이클로크의 사가(Haralds saga gráfeldar)'''
''하랄 그레이클로크의 사가''에는 10세기 아이슬란드 시인 에이나르 스칼라글람의 시 ''벨레클라''("금의 부족")에서 "전사"를 뜻하는 케닝으로 뇨르드를 언급하는 구절이 나온다.[23]
아리 소르길손의 『아이스란드인의 서』에는 잉글링 가문에서 아리로 이어지는 계보가 실려 있는데, 뇨르드는 투르크 왕 잉그비 다음으로 스웨덴의 왕으로 언급된다.[42]
3. 4. 에길의 사가(Egils saga)
에길 스칼라그림손의 시에서 프레이와 함께 부를 주는 신으로 언급된다.[1]4. 스카디와의 결혼
반 신족과 아스 신족의 전쟁이 끝났을 때, 뇨르드는 딸 프레이야, 아들 프레이와 함께 인질로 잡혔다. 이후 반 신족의 존재는 희미해져 갔고, 이 세 신은 아스 신족의 일원이 된다.
『스노리 에다』 제2부 『시어법』에는 거인 여성 스카디와의 결혼 이야기가 전해진다. 시아치의 딸 스카디는 아버지의 복수를 위해 아스가르드에 왔다가 신들의 제안으로 남편을 선택하게 되었다. 스카디는 남신들의 다리만 보고 가장 아름다운 다리를 가진 신을 골랐는데, 발드르를 원했지만 실제로는 파도에 씻겨 아름다운 다리를 가진 뇨르드였다.[31][32]
뇨르드는 바다의 신으로 바닷가에 살기를 원했고, 스카디는 스키와 사냥을 즐기는 산에 살기를 원했다. 결국 이 부부는 헤어졌다.[33]
4. 1. 결혼의 의미와 해석
『스노리 에다』 제2부 『시어법』에는 거인 여성 스카디와의 결혼 이야기가 전해진다. 시아치의 딸 스카디는 아버지의 복수를 위해 아스가르드에 왔다가 신들의 제안으로 남편을 선택하게 되었다. 스카디는 남신들의 다리만 보고 가장 아름다운 다리를 가진 신을 골랐는데, 발드르를 원했지만 실제로는 파도에 씻겨 아름다운 다리를 가진 뇨르드였다.[31][32]바다의 신 뇨르드는 바닷가에 살고 싶어했고, 스키와 사냥을 즐기는 스카디는 산에 있는 아버지의 저택에 살고 싶어했다. 두 사람은 9일 밤씩 번갈아 가며 서로의 거처에서 지내기로 했지만, 뇨르드는 스카디의 저택에서 늑대 울음소리를 싫어했고, 스카디는 뇨르드의 저택에서 아침마다 바닷새 소리에 깨는 것이 고통스러웠다. 결국 두 사람은 헤어졌다.[33]
H. R. 엘리스 데이비드슨(Hilda Ellis Davidson)은 이 이야기가 9일간의 제례 동안 '성스러운 결혼'이 이루어지고, 한쪽 신이 다른 쪽 신을 숭배하는 장소로 옮겨지는 제사를 반영한다고 해석했다.[34]
스카디와 뇨르드의 결혼은 삭소 그라마티쿠스가 언급한 하딩구스(Hadingus)와 레그닐다의 결혼과 매우 유사하여 예전부터 논의되어 왔다.[35][36]
5. 다른 신들과의 관계
뇨르드는 《스카르스카파르말》에서 에기르를 위해 열린 연회에 참석한 12명의 아사 중 한 명으로 소개된다. 스칼드 신 브라기는 스카디의 아버지 토아치가 아사들에게 죽임을 당한 이야기를 전한다. 토아치의 죽음에 대한 보상으로, 스카디는 아사들 중에서 남편을 선택할 수 있었지만, 발만 보고 선택해야 했다. 스카디는 아름다운 발을 보고 발드르를 선택하리라 예상했지만, 실제로는 뇨르드를 선택했다.
《스카르스카파르말》 6장에는 뇨르드에 대한 케닝 목록이 "전차의 신", "바니르의 후손", "반", 프레이와 프레이야의 아버지, "주는 신" 등으로 제공된다. 11세기 스칼드 토르르 시아레크손의 작품에는 스카디가 뇨르드를 떠나는 것에 대한 언급이 있다. 7장에서는 뇨르드의 아들인 프레이에 대한 다양한 케닝을 제공하며, 10세기 스칼드 에길 스칼라그림손의 작품에서 뇨르드를 언급한다.
> 프레이르와 니오르드는 그리오비오른에게 부의 힘을 부여했다.
20장에서는 "뇨르드의 딸"이 프레이야에 대한 케닝으로 주어지며, 33장에서는 뇨르드가 에기르가 주최한 연회에 참석한 신들 중 한 명으로 다시 언급된다. 37장에서는 12세기 스칼드 아이나르 스쿨라손의 구절에서 프레이야를 다시 뇨르드의 딸이라고 언급한다. 75장에서는 뇨르드가 아사 목록에 포함된다.
뇨르드는 프레이와 프레이야의 아버지이며, 바니르 신족의 일원이다. 뇨르드(Njörðr)라는 이름은 오래된 게르만 다산 여신 네르투스와 어원이 같으며, 둘 다 원시 게르만어 신격 ''*네르투스''(Nerþuz)에서 파생되었다.[2] 뇨르드는 종종 여신 네르투스와 동일시되기도 한다.[48]
5. 1. 프레이, 프레이야와의 관계
뇨르드는 아름답고 강력한 두 자녀, 프레이와 프레이야를 두었다.[15] 프레이는 아들이고, 프레이야는 딸이다.[29]프레이와 프레이야는 스카디의 자식[30]이라고도 하지만, 『고 에다』의 『로키의 말다툼』 제36절에서는 뇨르드의 여동생의 자식이라고 한다. 바니르 신족에서는 근친상간이 당연하게 행해졌기 때문에, 뇨르드가 인질로서 아스 신족에게 올 때 여동생과 이혼하고 바니르 신족에게 두고 왔다고 여겨진다.
에길 스칼라그림손은 아린비요른을 칭찬하는 시(''아린비아르나르크비다'')에서 아린비요른이 프레이르와 뇨르드 신으로부터 부여받은 능력으로 재물을 나누는 모습을 모든 이들이 경이롭게 지켜본다고 썼다. (''에길의 사가'' 80장 17절)[13]
5. 2. 로키와의 갈등
로키는 뇨르드가 인질로 "동쪽의 신들[39]" 혹은 "동쪽의 거인[40]"에게 보내졌으며, 휘미르의 딸들에게 요강처럼 취급되어 입 안에 오줌을 갈겨졌다고 비난한다.[40]5. 3. 네르투스와의 관계
뇨르드(Njörðr)라는 이름은 오래된 게르만 다산 여신 네르투스와 어원이 같으며, 둘 다 원시 게르만어 신격 ''*네르투스''(Nerþuz)에서 파생되었다.[2] 이 이름의 원래 의미는 "힘"을 의미하는 아일랜드 단어 ''nert''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주장이 있다. 그러나 여성형 ''네르투스''(Nerthus)에서 남성형 ''뇨르드''(Njörðr)로의 성별 변화는 문법적 성별이 아닌 종교적 신념의 진화에 기반한다는 주장이 더 설득력이 있다.[2] 즉, *네르투스*(Nerþuz)와 뇨르드(Njörðr)는 별개의 존재로 여겨진다.뇨르드는 종종 여신 네르투스와 동일시되는데, 그녀에 대한 숭배는 1세기 로마 역사가 타키투스의 저서 ''게르마니아''에 묘사되어 있다.[48] ''뇨르드''와 재구된 "*Nerþuz*" 사이의 언어학적 관계에서 기인하며, "네르투스"는 1세기경의 ''뇨르드''의 여성적이고 라틴어화된 형태이다. 이는 뇨르드가 한때 양성적인 신이었을 가능성, 또는 프레이르와 프레이야와 같은 남매를 나타낼 수 있다는 이론으로 이어졌다. 결과적으로, 네르투스는 뇨르드의 이름을 알 수 없는 여동생과 동일시되기도 한다.[50]
아이슬란드의 문헌에 뇨르드의 이름이 나타나기까지 약 1천 년의 시간이 걸렸지만, 넬투스(Nerthus)의 이름은 뇨르드의 이름과 어원을 같이한다. 또한 뇨르드의 자식인 프레이와 프레이야의 이름 어원도 매우 가까우며, 이 두 명이 쌍둥이 남매라는 점에서 뇨르드와 넬투스도 성이 다른 쌍둥이일 가능성이 있다.[49]
6. 숭배와 영향
뇨르드는 고대 스칸디나비아 지역에서 널리 숭배되었으며, 그의 영향은 현대까지 이어지고 있다. 뇨르드는 어업과 어류 거래, 그리고 여름과 풍요의 신으로 여겨졌다. 겨울이 혹독한 북유럽에서는 여름에만 어업이 가능했고, 농업에 적합한 토지가 여름의 피오르 주변에 있었기 때문이다.
북유럽 신화에서 바다의 신으로는 에기르도 있지만, 에기르는 바다의 자연 현상을 상징하는 반면, 뇨르드는 배, 항구, 무역, 어업과 관련이 깊다. 뇨르드의 거처는 노아툰으로, "항구"를 의미하며 바다와 가깝다고 여겨진다. 뇨르드는 하늘의 아스가르드와 노아툰에 살며, 에기르가 바다에서 폭풍우를 일으키면 그를 멈추기 위해 노아툰으로 돌아갔다고 한다.
18세기 또는 19세기 노르웨이 민속 신앙에서도 뇨르드 숭배의 흔적이 발견된다. 노르웨이 호르달란 오다 지역 어부들은 풍어에 감사하며 뇨르드에게 기도를 올렸다. 조르주 뒤메질은 바다 날씨, 부, 또는 마법의 배를 다스리는 "바다 사람들"(havmenneskerno)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인용하며, 이들이 역사적으로 뇨르드와 관련이 있다고 제안한다.
6. 1. 고대 숭배
뇨르드의 이름은 스칸디나비아 여러 지명에서 발견된다. 스웨덴의 나르데헤비(Nærdhæwi, 현재 나르케(Närke)의 나라비 Nalavi), 냐에르다비(Njærdhavi, 현재 린셰핑(Linköping)의 먀르데비 Mjärdevi), 나르데룬다(Nærdhælunda, 현재 헬싱보리(Helsingborg)의 네를룬다 Närlunda), 니에르다투눔(Nierdhatunum, 현재 웁플란드(Uppland)의 네르투나 Närtuna) 등은 종교 용어 베(vé)가 사용된 지명이다.[2] 아이슬란드 남서부의 냐르드비크(Njarðvík), 노르웨이의 냐르다르뢰그(Njarðarlög)와 네뢰이야(Nærøya)도 뇨르드의 이름을 딴 지명이다.[4]뇨르드는 어업과 어류 거래의 수호신으로 여겨졌다. 겨울이 혹독한 북유럽에서는 여름에만 어업이 가능했기에, 여름의 신으로도 여겨졌다. 또한 농업에 적합한 토지가 여름의 피오르 주변에 있었기 때문에 풍요의 신으로도 숭배받았다.
북유럽 신화에는 바다의 신으로 에기르도 있지만, 에기르가 바다의 자연 현상을 상징하는 반면, 뇨르드는 배, 항구, 무역, 어업과 관련이 깊다. 뇨르드의 거처는 노아툰으로, "항구"를 의미하며 바다와 가깝다고 여겨진다. 뇨르드는 하늘의 아스가르드와 노아툰에 살며, 에기르가 바다에서 폭풍우를 일으키면 그를 멈추기 위해 노아툰으로 돌아갔다고 한다.
6. 2. 현대의 민속 신앙
18세기 또는 19세기 노르웨이 민속 신앙에서 뇨르드 숭배의 흔적이 발견된다. 노르웨이 호르달란 오다 지역 어부들은 풍어에 감사하며 뇨르드에게 기도를 올렸다. 1746년, 군힐드 레인스노스와 요하네스 레인스노스는 쇼사바튼에서 낚시를 하던 중 많은 물고기를 잡았고, 군힐드는 "이번에는 뇨르에게 감사한다"라고 말했다.학자 조르주 뒤메질은 바다 날씨, 부, 또는 마법의 배를 다스리는 "바다 사람들"(havmenneskerno)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인용하며, 이들이 역사적으로 뇨르드와 관련이 있다고 제안한다.
7. 현대적 해석 및 평가
(요약 및 참조할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고, 이전 결과물도 없으므로, 현대적 해석 및 평가에 대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8. 현대 문화 속 뇨르드
뇨르드는 다양한 예술 작품과 대중문화에서 영감을 주고 있다. 특히 뉴질랜드 코미디/드라마 "전능한 존슨"에서는 신으로 화신하여 등장하기도 한다.[1]
8. 1. 예술 작품
칼 프레데릭 폰 잘차의 ''뇨르드''(1893), K. 에렌베르크의 ''프레이르와 게르다, 스카데와 니르드''(드로잉, 1883), E. 됴플러 d. J.의 ''스카디''(1901), W. G. 콜링우드의 ''바다를 향한 뇨르드의 갈망''(1908) 등에서 뇨르드가 묘사되었다.뇨르드는 뉴질랜드 코미디/드라마 "전능한 존슨"에 화신된 신들 중 하나로 등장한다. 스튜어트 데베니가 "요한 존슨/뇨르드" 역을 맡았다.
8. 2. 대중문화
칼 프레데릭 폰 잘차의 '뇨르드'(1893), E. 됴플러 d. J.의 '스카디'(1901), W. G. 콜링우드의 '바다를 향한 뇨르드의 갈망'(1908), K. 에렌베르크의 '프레이르와 게르다, 스카데와 니르드'(드로잉, 1883) 등 뇨르드를 묘사한 예술 작품이 많다.[1]뇨르드는 뉴질랜드 코미디/드라마 "전능한 존슨"에 등장하는 화신된 신들 중 하나이다.[1] "요한 존슨/뇨르드" 역은 스튜어트 데베니가 맡았다.[1]
참조
[1]
웹사이트
Njörðr
https://myndir.uvic.[...]
2023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웹사이트
The Almighty Johnsons
http://thealmightyjo[...]
thealmightyjohnsons.co.nz
2014-11-11
[26]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27]
간행물
北欧神話の神々事典
[28]
서적
北欧神話物語
[29]
서적
ヘイムスクリングラ(一)
北欧文化通信社
[30]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筑摩書房
[31]
서적
北欧のロマン ゲルマン神話
大修館書店
[32]
서적
「詩語法」訳注
[33]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34]
서적
北欧神話
[35]
서적
デュメジル・コレクション 4
[36]
주석
スカジ (北欧神話)#注釈
[37]
서적
北欧の神話 神々と巨人のたたかい
[38]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39]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40]
서적
エッダ/グレティルのサガ
[41]
서적
北欧の神話 神々と巨人のたたかい
[42]
서적
サガとエッダの世界 アイスランドの歴史と文化
社会思想社
[43]
서적
北欧の神話伝説 (I)
[44]
서적
北欧の神話
[45]
서적
北欧の神話
[46]
서적
北欧の神話伝説 (I)
[47]
서적
北欧の神話伝説 (I)
[48]
서적
[49]
간행물
異教神話と宗教
[50]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