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니콜라 1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콜라 1세는 1860년부터 1910년까지 몬테네그로 공작, 1910년부터 1918년까지 몬테네그로 국왕으로 재위했다. 그는 오스만 제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위해 투쟁했으며, 1878년 베를린 조약을 통해 독립을 인정받았다. 1905년 헌법 개정을 통해 입헌 군주제를 도입하고, 1910년 국왕으로 승격했다. 발칸 동맹을 결성하여 제1차 발칸 전쟁에서 승리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중 오스트리아-헝가리에 의해 몬테네그로가 점령당하고 프랑스로 망명했다. 이후 유고슬라비아에 몬테네그로가 흡수되었지만, 그는 망명지에서 몬테네그로 왕위를 계속 주장했다. 그는 "유럽의 장인"이라는 별칭을 얻을 정도로 여러 왕족과 결혼한 딸들을 두었으며, 다양한 국가로부터 훈장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튀르크 전쟁 (1877년-1878년) 관련자 - 펫코 슬라베이코프
    페트코 슬라베이코프는 불가리아의 시인, 작가, 언론인, 정치인 등으로 활동하며 불가리아어 발전과 민족 의식 고취에 기여했고, 불가리아 자치 교회와 엑자르크를 위한 투쟁에 참여했으며, 불가리아 제헌의회 의장과 장관을 역임했다.
니콜라 1세
기본 정보
니콜라 1세 (1910년대)
니콜라 1세 (1910년대)
전체 이름니콜라 미르코프 페트로비치-네고시
출생일1841년 10월 7일
출생지니예구시, 몬테네그로 주교공국
사망일1921년 3월 1일
사망지카프다이유, 프랑스
매장일1989년 10월 1일
매장지법원 교회, 체티네, 몬테네그로
종교세르비아 정교회
니콜라 1세 몬테네그로 서명
니콜라 1세 몬테네그로 서명
통치
군주몬테네그로 공작
재위 기간 (공작)1860년 8월 13일 – 1910년 8월 28일
선임 공작다닐로 1세
후임 공작자신 (몬테네그로 국왕)
군주몬테네그로 국왕
재위 기간 (국왕)1910년 8월 28일 – 1918년 11월 26일
선임 국왕자신 (몬테네그로 공작)
후임 국왕포드고리차 의회에 의해 폐지
가문
왕가페트로비치-네고시 왕조
아버지미르코 페트로비치-네고시, 그라호보 대공
어머니아나스타시야 "스타나" 마르티노비치
결혼 및 자녀
배우자밀레나 부코티치 (1860년 11월 8일 결혼)
자녀










2. 생애

니콜라 1세는 백부인 몬테네그로 공작 다닐로 1세가 후계자 없이 사망하면서 공위를 계승했다. 오스만 제국에 대한 독립 투쟁을 지도했으며, 이 과정에서 러-터키 전쟁이 발발했다. 1878년 산스테파노 조약베를린 조약을 통해 몬테네그로의 독립이 국제적으로 승인되었다.

1905년 헌법 개정을 통해 1910년 몬테네그로 공작에서 국왕으로 승격했다. 1912년 발칸 동맹을 결성하여 제1차 발칸 전쟁에서 오스만 제국에 승리했고, 1913년 제2차 발칸 전쟁에서도 승리했다.

제1차 세계 대전에는 연합국으로 참전했으나, 오스트리아-헝가리에 점령당해 프랑스로 망명했다. 이후 몬테네그로는 세르비아에 점령되어 1918년 세르브-크로아트-슬로베니아 왕국에 흡수되었다. 니콜라 1세는 몬테네그로 왕위를 계속 주장했으며, 1989년 유해가 몬테네그로로 이장되었다.

2. 1. 초기 생애

니콜라는 통치 가문인 페트로비치 가문의 고향인 네구시 마을에서 태어났다. 그는 유명한 몬테네그로의 전사인 다닐로 1세의 형인 미르코 페트로비치-녜고시와 그의 아내 아나스타시야 마르티노비치-오를로비치(1824–1895)의 아들이었다. 1696년 이후 블라디카, 즉 주교의 지위가 페트로비치 가문에서 세습되면서 주권은 삼촌에서 조카로 이어졌으며, 블라디카들은 결혼이 금지된 검은 성직자(즉, 수도원 성직자)에 속했다. 다닐로 1세는 주교직을 거부하고 결혼하여 공국을 직계 남성으로 세습할 것을 선언함으로써 변화가 도입되었다. 미르코 페트로비치-녜고시는 왕위 계승권을 포기했고, 그의 아들이 추정 상속자로 지명되었고, 따라서 구체제 계승이 우연히 계속되었다.

어린 시절부터 무술과 체력 단련을 받아온 니콜라 공은 어린 시절의 일부를 다닐로 2세의 아내인 다린카 공주가 속해 있던 쿠스틱 가문의 집에서 트리에스테에서 보냈다. 공주는 열렬한 친프랑스주의자였고, 그녀의 제안에 따라 블라디카의 젊은 추정 상속자는 파리의 루이-르-그랑 고등학교로 보내졌다. 동시대 인물인 세르비아의 밀란 왕과는 달리, 니콜라 공은 파리 교육에 의해 취향과 습관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강한 애국심, 리더십 능력, 시적 재능을 일찍부터 보인 젊은 고원지대 출신은 프랑스 수도의 즐거움에 대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고, 고국으로 돌아가는 것을 열망했다.

니콜라는 "세르비아 청년 연합"(Уједињена омладина српска)의 구성원이었다(1866–1871).[1][2] 이 조직이 세르비아 공국오스트리아-헝가리에서 금지된 후, 니콜라, 마르코 포포비치, 시모 포포비치, 마쇼르비차, 바사 펠라기치 등에 의해 체티네에 "세르비아 해방과 통일을 위한 협회"(Дружина за ослобођење и уједињење српско)가 설립되었다(1871).[3][4][5]

2. 2. 몬테네그로 공작 (1860년 ~ 1910년)

1909년의 니콜라 공


니콜라는 파리에 있는 동안 암살당한 삼촌 다닐로 1세를 이어 1860년 8월 13일에 몬테네그로 공작이 되었다.[7] 1860년 11월 8일, 19세의 나이로 체티네에서 13세의 밀레나 부코티치와 결혼했는데, 그녀는 보이보다 페타르 부코티치와 옐레나 보이보디치의 딸이었다.

니콜라는 즉위 후 평화로운 시기에 군사, 행정 및 교육 개혁을 수행했다. 1862년부터 1878년까지 오스만 제국과의 일련의 전쟁에 휘말렸다. 1867년 파리에서 황제 나폴레옹 3세를 만났고, 1868년에는 러시아를 방문하여 차르 알렉산드르 2세로부터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따뜻한 환영을 받았다. 정교회의 옹호자였던 러시아는 몬테네그로에 군사 임무와 물품을 제공했다.[7] 그는 그 후 베를린의 궁정을 방문했다.[7] 러시아 황실 가족의 공감을 얻으려는 그의 노력은 몬테네그로에 중요한 결과를 가져왔다. 차르와 차리나는 교육 및 기타 목적을 위해 상당한 보조금을 지원했고, 무기와 탄약이 체티네로 보내졌다. 1871년 돌고루코프 공작이 차르의 특별 임무를 받아 몬테네그로에 도착하여 사람들에게 많은 돈을 나누어주었다.

1876년 니콜라는 터키에 전쟁을 선포했다. 그의 군사적 명성은 그 후의 작전, 특히 1877~1878년에 니크시치, 바르와 울친을 점령하면서 더욱 높아졌다. 그 전쟁으로 몬테네그로의 국경이 크게 확장되었고 아드리아 해 해안을 확보하게 되었다. 니콜라는 그 전쟁을 코소보 전투 (1389)에 대한 복수라고 정당화했다.

1878년 베를린 회의는 몬테네그로의 독립을 인정했으며, 그 후 수십 년 동안 몬테네그로는 상당한 번영과 안정을 누렸다. 교육, 통신, 군대가 크게 확장되었다(후자는 러시아 제국의 지원을 받았다). 1883년 니콜라 공작은 술탄을 방문했고, 그 후 가장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으며, 1896년에는 페트로비치 왕조 200주년을 기념했고, 같은 해 니콜라이 2세의 대관식에 참석했으며, 1898년 5월에는 윈저 성에서 빅토리아 여왕을 방문했다.

1905년 헌법 개정을 통해 니콜라 1세는 1910년에 몬테네그로 공작에서 몬테네그로 국왕으로 승격했다.

2. 3. 몬테네그로 국왕 (1910년 ~ 1918년)

1910년 8월 28일, 니콜라는 즉위 기념 행사에서 스쿠프슈티나의 청원에 따라 국왕 칭호를 얻었다.[7] 그는 동시에 러시아 제국 육군에서 야전 원수로 임명되었는데, 이는 웰링턴 공작을 제외하고는 외국인에게 한 번도 부여된 적이 없는 영예였다.[7]

니콜라 1세 국왕이 1913년 4월 슈코더에 승리하며 입성하고 있다. 포위전 이후


1912년 발칸 전쟁이 발발했을 때 니콜라 국왕은 동맹국들 중 가장 열정적인 인물 중 한 명이었다. 그는 오스만 제국을 유럽에서 완전히 몰아내고 싶어했다.[8] 그는 유럽 열강에 반항하여 슈코더를 포위한 후 점령했는데, 유럽 열강이 몬테네그로의 모든 해안을 봉쇄했음에도 불구하고 점령했다. 1914년에 시작된 제1차 세계 대전에서도 그는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을 발칸 반도에서 격퇴하기 위해 세르비아를 돕기 위해 가장 먼저 나섰다.

1916년 1월, 세르비아가 패배한 후 몬테네그로 역시 오스트리아-헝가리에게 점령당했고, 국왕은 이탈리아로, 그 후 프랑스로 도망쳤다. 정부는 작전을 보르도로 이전했다. 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포드고리차 회의에서 니콜라를 폐위하고 몬테네그로를 세르비아에 합병하기로 결의했다.

2. 4. 망명과 사망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포드고리차 의회는 니콜라를 폐위하고 몬테네그로를 세르비아에 합병하기로 결의했다.[8] 며칠 후, 세르비아(몬테네그로 포함)는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이전 남 슬라브 영토와 합병하여 1929년에 유고슬라비아로 개명된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및 슬로베니아인 왕국을 형성했다. 니콜라는 프랑스에서 망명 생활을 하던 중 1921년 앙티브에서 사망할 때까지 왕위를 주장했다. 그는 이탈리아에 묻혔다. 1989년, 니콜라와 그의 왕비 밀레나, 그리고 그들의 12명의 자녀 중 2명의 유해가 몬테네그로로 이장되었다.[8]

3. 가족

밀레나 부코티치와의 사이에서 3남 9녀를 두었다. 그의 딸들은 유럽 각국의 왕가와 혼인하여 "유럽의 장인"이라는 별명을 얻었다.[7]

니콜라 1세의 자녀
이름출생사망비고자녀
류비차 공주1864년 12월 23일1890년 3월 28일1883년 8월 1일에 세르비아의 페타르 1세와 결혼.세르비아의 엘레나 공주, 세르비아의 밀레나 공주, 세르비아의 조르지 왕세자, 유고슬라비아의 알렉산다르 1세, 세르비아의 안드레아 공자
밀리차 공주1866년 7월 26일1951년 9월 5일1889년 7월 26일에 러시아의 페테르 니콜라예비치 대공과 결혼.러시아의 마리나 페트로브나 공주, 러시아의 로만 페트로비치 공자, 러시아의 나데즈다 페트로브나 공주, 러시아의 소피아 페트로브나 공주
아나스타시야 공주1868년 1월 4일1935년 11월 15일1889년 4월 16일에 로이히텐베르크 공작 조르지와 결혼, 1906년 11월 15일에 이혼.로이히텐베르크의 세르게이 게오르기예비치, 8대 공작, 엘레나 게오르기예브나 공주
몬테네그로의 마리야 공주1869년 3월 29일1885년 5월 7일요절.
다닐로 왕세자1871년 6월 29일1939년 9월 24일1899년 7월 15일에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유타 공작부인과 결혼.
엘레나 공주1873년 1월 8일1952년 11월 28일1896년 10월 24일에 이탈리아의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와 결혼.사보이의 욜란다 공주, 사보이의 마팔다 공주, 이탈리아의 움베르토 2세, 사보이의 조반나 공주, 사보이의 마리아 프란체스카 공주
아나 공주1874년 8월 18일1971년 4월 22일1897년 5월 18일에 바텐베르크의 프란츠 요제프 공자와 결혼.
몬테네그로의 소피아 공주1876년 5월 2일1876년 6월 14일유아 사망.
미르코 공자1879년 4월 17일1918년 3월 2일1902년 7월 25일에 나탈리야 콘스탄티노비치와 결혼.몬테네그로의 슈체파츠 공자, 몬테네그로의 스타니슬라프 공자, 몬테네그로의 미하일 공자, 몬테네그로의 파블레 공자, 몬테네그로의 엠마누엘 공자
제니아 공주1881년 4월 22일1960년 3월 10일미혼으로 사망.
비예라 공주1887년 2월 22일1927년 10월 31일미혼으로 사망.
페타르 공자1889년 10월 10일1932년 5월 7일1924년 4월 29일에 바이올렛 에밀리 웨그너와 결혼.


4. 유산과 평가

니콜라 1세는 몬테네그로의 독립과 근대화에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1878년 베를린 회의를 통해 몬테네그로의 독립을 인정받았으며, 이후 교육, 통신, 군대를 크게 확장하며 몬테네그로의 발전에 힘썼다.[7] 특히 러시아 제국의 지원을 받아 군사력을 강화하고, 니크시치, 바르, 울친을 점령하여 영토를 확장하고 아드리아 해 해안을 확보했다.

발칸 전쟁제1차 세계 대전에서 니콜라 1세는 오스만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에 맞서 싸우며 몬테네그로의 영토 확장을 추구했다. 특히 슈코더 포위전에서 승리하여 슈코더를 점령하는 등 군사적 업적을 남겼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 중 몬테네그로는 오스트리아-헝가리에 점령당했고, 니콜라 1세는 프랑스로 망명해야 했다.

전후 포드고리차 의회는 니콜라 1세를 폐위하고 몬테네그로를 세르비아에 합병하기로 결정했다. 이후 세르비아는 다른 남슬라브 영토와 통합하여 유고슬라비아를 형성했다. 니콜라 1세는 망명 중에도 왕위를 주장하다 1921년 사망했고, 그의 유해는 1989년 몬테네그로로 이장되었다.

니콜라 1세는 민족주의적 성향과 독립을 위한 노력을 통해 긍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하지만, 군주제와 권위주의적 통치는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그의 딸들은 유럽 각국의 왕가와 혼인하여 몬테네그로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8]

5. 훈장

니콜라 1세는 몬테네그로 공국 및 여러 국가로부터 다양한 훈장을 받았다.

국가훈장
몬테네그로 공국체티네 성 베드로 훈장 창설자이자 최고 수장[10]
오스트리아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철관 훈장 1급 (1865)[11]
레오폴트 제국 훈장 대십자장 (1870)[11]
성 슈테판 대십자 훈장 (1879)[11]
불가리아 왕국성 키릴과 메토디우스 훈장 (칼라 포함)
성 알렉산더 대십자 훈장
용기 훈장 대십자장
시민 훈장 대십자장
덴마크코끼리 훈장 (1889년 5월 18일)[12]
프랑스 제3공화국레지옹 도뇌르 그랜드 오피서
농업 공로 훈장 사령관
학술 훈장 장교
프로이센 왕국적색 독수리 훈장 대십자장 (1869년 2월 15일)[13]
흑색 독수리 훈장
바덴 대공국충성 훈장 기사 (1893)[14]
베르톨트 1세 훈장 기사 (1893)[14]
바이에른 왕국성 후베르투스 훈장 기사 (1886)[15]
에르네스티네 공작국작센-에르네스티네 가문 훈장 대십자장
헤센 대공국루드비히 훈장 대십자장 (1897년 6월 5일)[16]
메클렌부르크 대공국벤데 왕관 훈장 대십자장 (보관 포함)
그리스 왕국구세주 대십자 훈장
이탈리아 왕국수태 고지 훈장 기사 (1893년 5월 2일)[17]
성 마우리치오와 라자로 대십자 훈장
사보이 군사 훈장 사령관
교황청교황 비오 9세 훈장 칼라
성묘 기사단 훈장 대십자장
일본 제국국화대수장 대수장 (1884년 1월 11일)[18]
오스만 제국오스마니예 훈장 1급
포르투갈 왕국두 개의 훈장 띠 대십자장
루마니아 왕국카롤 1세 훈장 칼라
루마니아의 별 훈장 대십자장
러시아 제국성 안드레 훈장 기사
성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훈장 기사
백색 독수리 훈장 기사
성 안나 훈장 1급 기사
성 게오르기 훈장 3급 (1877년 4월 12일), 2급 (1878년 1월)[19]
성 스타니슬라프 훈장 1급
산마리노산마리노 훈장 대십자장
세르비아 왕국카라조르제 성 훈장 대십자장
타코보 십자 훈장 대십자장
백색 독수리 훈장 대십자장
성 사바 훈장 대십자장
스페인카를로스 3세 훈장 대십자장 (1883년 6월 7일)[20]
영국로열 빅토리아 훈장 명예 대십자장 (1897년 3월 26일)[21]
대한제국대한 욱일 대수장[23]


6. 대중문화

F. 스콧 피츠제럴드의 소설 ''위대한 개츠비''에서 니콜라 1세와 몬테네그로 왕국이 짧게 언급된다. 소설의 주인공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자신의 업적과 영웅적인 행위에 대해 몬테네그로 국왕이 왕국 최고의 훈장인 ''다닐로 훈장''을 수여했다고 회상한다. 개츠비는 손님에게 훈장을 보여주는데, 훈장에는 "몬테네그로, 니콜라스 렉스(Montenegro, Nicolas Rex)"라는 문구와 뒷면에는 "메이저 제이 개츠비 - 특별 용맹상(Major Jay Gatsby - For Valour Extraordinary)"이라고 적혀 있다.[22]

모리스 슈발리에의 영화 ''The Merry Widow''(1934)에 등장하는 국왕 캐릭터는 니콜라 1세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참조

[1] 간행물 Zbornik za istoriju, Volume 2 Matica srpska 1970
[2] 논문 Sto godina Opšteg imovinskog zakonika za Crnu Goru Arhiv za pravne i društvene nauke 2006
[3] 서적 Лексикон уставности Србије 1804–1918
[4] 간행물 Istoriski zapisi, Volume 63 Istorijski institut u Titogradu 1990
[5] 논문 Валтазар Богишић и Уједињена омладина српска Зборник Матице српске 1954
[6] 뉴스 Двије црногорске химне http://www.njegos.or[...] Glas Crnogorca 1999-10-19
[7] 웹사이트 Vanished Kingdoms: The History of Half-Forgotten Europe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Limited
[8] 서적 Petar I Karađorđević: U otadžbini, 1903–1914. godine https://books.google[...] Beogradskĭ izdavačko-grafički zavod
[9] 서적 Slava i čast: Odlikovanja među Srbima, Srbi među odlikovanjima Službeni Glasnik
[10] 서적 The orders, medals and history of Montenegro Bent Carlsen
[11]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r Österreichisch-Ungarischen Monarchie 1908
[12] 서적 Riddere af Elefantordenen, 1559–2009 https://books.google[...] Syddansk Universitetsforlag
[13] 간행물 Königlich Preussische Ordensliste
[14]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 Baden https://digital.blb-[...]
[15]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s Königreich Bayern https://archive.org/[...]
[16] 간행물 Großherzoglich Hessische Ordensliste Staatsverlag
[17] 서적 Calendario generale del Regno d'Italia https://books.google[...] Unione tipografico-editrice
[18] 서적 明治時代の勲章外交儀礼 http://meijiseitoku.[...] 明治聖徳記念学会紀要
[19] 웹사이트 Russian Imperial Army - King of Montenegro Nikola I Petrovich-Njegos http://regiment.ru/b[...]
[20] 웹사이트 Guía Oficial de España http://hemerotecadig[...] 1887
[21] 서적 The Knights of England https://archive.org/[...]
[22] 서적 The Great Gatsby https://archive.org/[...] Scribner
[23] 웹사이트 外交史料 Q&A明治期 https://www.mofa.go.[...] 外務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