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마스쿠스의 요안니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마스쿠스의 요안니스는 675년경 또는 680년경 다마스쿠스에서 태어난 아랍 기독교인으로, 신학자이자 찬송가 작곡가이다. 그는 우마이야 칼리파조의 관리로 일하다가 수도사가 되었으며, 성상 파괴주의에 반대하여 성상 숭배를 옹호했다. 대표 저서로는 기독교 철학, 사상 및 교리를 집대성한 『지식의 샘』이 있으며, 이슬람교를 비판하는 등 다양한 저술 활동을 했다. 동방 정교회와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12월 4일을 축일로 기념하며, 그의 업적을 기리는 성당과 음악 작품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76년 출생 - 도네리 친왕
    도네리 친왕은 덴무 천황의 아들이자 문인이자 정치가로서 《일본서기》 편찬을 총재하고 지태정관사에 임명되어 황친정권 수립에 기여했으며, 준닌 천황의 아버지이다.
  • 7세기 천문학자 - 이시도루스 히스팔렌시스
    이시도루스 히스팔렌시스는 서고트 왕국의 문화 부흥을 이끈 세비야 대주교이자 학자, 저술가로서, 20권의 백과사전 《어원》을 통해 중세 시대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가톨릭 교회에서 성인이자 교회 학자로 추존되고 인터넷의 수호 성인으로도 지정되었다.
  • 749년 사망 - 교기 (승려)
    교기(行基)는 7~8세기 일본에서 활동한 승려로, 빈민 구제, 치수 사업 등 사회 사업을 펼치고 일본 지도 제작에 기여했으며, 대불 건립에 협력하여 사회적 영향력을 확대했다.
다마스쿠스의 요안니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존칭성인
이름다마스쿠스의 요한
다른 이름요한네스 다마스케누스 (라틴어)
이오안니스 오 다마스키노스 (그리스어)
유한나 앗-디마쉬키 (아랍어)
이오안 다마스킨 (러시아어)
존 오브 다마스쿠스 (영어)
출생명유한나 이븐 만수르 이븐 사르준
출생675년/676년 경
출생지다마스쿠스, 빌라드 알-샴, 우마이야 칼리파조
사망749년 12월 4일 (72–74세)
사망지마르 사바 수도원, 예루살렘, 빌라드 알-샴, 우마이야 칼리파조
공경하는 교파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성공회
루터교회
주요 성지해당사항 없음
상징잘린 손, 이콘
수호약사, 이콘 화가, 신학도
철학적 정보
분야
기독교 신학
기독교 철학
기독교 변증학
이슬람 비판
기하학
마리아론
산술
천문학
음악
시대중세 철학
비잔틴 철학
주요 사상이콘
영면/승천
테오토코스
마리아의 평생 동정성
중재자
영향바울로스
아리스토텔레스
플라톤
신플라톤주의
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오스
카이사리아의 바실리오스
니사의 그레고리오스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
레오 1세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오스
요한 크리소스토모스
영향을 줌사실상 모든 후대 동방 및 서방 기독교 철학
제2차 니케아 공의회
가톨릭 신학
스콜라 철학
헤시카즘
학파/전통신플라톤주의
주요 저서지식의 샘
철학적 장
이단에 관하여
정통 신앙의 정확한 해설
기일
기념일12월 4일 (율리우스력 사용 교회에서는 12월 17일에 해당)
추가 정보
영향제2차 니케아 공의회

2. 생애

요안니스는 680년경 시리아 다마스쿠스의 유력한 기독교 가문에서 태어났다.[72] 그의 아버지 세르기오스 만수르는 초기 우마이야 칼리파국의 고위 재정 관리였으며, 요안니스 역시 코스마스라는 입양된 형제와 함께 코스마스 수도사에게 수준 높은 교육을 받았다. 그는 여러 학문과 신학을 배웠으며, 아버지의 사후 잠시 칼리프의 관리로 일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33]

717년경, 요안니스는 예루살렘 인근의 마르 사바 수도원에 들어가 수도사가 되었고, 예루살렘 총대주교 요안니스 5세에게 사제품을 받았다.[19][27] 당시 동로마 제국에서는 동로마 황제 레온 3세가 주도한 성상파괴주의가 큰 논쟁거리였다.[35] 칼리프의 통치 아래 있던 요안니스는 비교적 자유롭게 자신의 신학적 입장을 펼칠 수 있었으며, 성상 옹호의 주요 인물로 부상했다. 그는 세 편의 《성스러운 성상에 반대하는 자들에 대한 변증 논문》을 저술하여 성상 숭배의 정당성을 강력하게 변호했다.[36] 이는 황제의 정책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것이었다.

이후 요안니스는 마르 사바 수도원에서 여생을 보내며 신학 연구와 저술 활동에 전념했고, 750년경 선종한 것으로 추정된다.[68] 그의 저술은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787년 제2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성상 공경 교리를 다시 확립하는 데 중요한 신학적 근거를 제공했다.[36][39]

2. 1. 초기 생애와 배경

요안니스는 675년 또는 676년[15][16], 혹은 680년경[72] 시리아 다마스쿠스의 저명한 기독교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문이 아랍 기독교인인지 아니면 시리아계 기독교인인지에 대해서는 학자들 간에 논쟁이 있다.[17] 그의 할아버지 만수르 이븐 사르준은 비잔틴 제국의 저명한 관료였으며, 황제 헤라클리우스와 마우리키우스 밑에서 일했고, 특히 다마스쿠스 지역의 세금을 담당했다.[19][18] 만수르는 635년 할리드 이븐 알-왈리드가 이끄는 이슬람 군대가 다마스쿠스를 점령할 당시, 도시가 유리한 조건으로 항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9][18] 10세기 멜키트 총대주교 알렉산드리아의 에우티키우스는 만수르를 다마스쿠스를 무슬림에게 항복시킨 고위 관료 중 한 명으로 언급했다.[20]

만수르 이븐 사르준의 부족 배경은 명확하지 않지만, 전기 작가 다니엘 사하스는 '만수르'라는 이름이 아랍 기독교인 부족인 바누 칼브나 타글리브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21] 이 이름은 아랍계 시리아 기독교인들 사이에서 흔했으며, 에우티키우스는 만수르 이븐 사르준을 아랍인으로 언급했다.[21] 그러나 사하스는 이 이름이 반드시 아랍 혈통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아랍인이 아닌 셈족 계통의 시리아인이 사용했을 수도 있다고 지적한다.[21] 레이몬드 르 코즈와 같은 학자는 "그 가문은 의심할 여지 없이 시리아 출신"이라고 주장하는 반면[22], 다니엘 J. 야노식은 "만약 그의 가계가 실제로 시리아 출신이었다면, 그의 할아버지 [만수르]는 아랍인들이 정부를 장악했을 때 아랍 이름을 받았을 수 있다"고 설명한다.[23]

630년대 시리아가 이슬람 세력에 정복된 후에도 다마스쿠스 궁정은 요안니스의 할아버지를 포함한 많은 기독교인 문관들을 유지했다.[19][20] 요안니스의 아버지 사르준 이븐 만수르(세르기오스)는 초기 우마이야 칼리파국에서 칼리프를 섬기는 고위 재정 관리로 일했다.[19][72] 요안니스가 아버지의 직위를 이어받아 칼리프의 관리로 일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예루살렘의 요안니스(총대주교)는 요안니스가 압드 알-말리크 이븐 마르완 치하에서 일하다가 705년경 다마스쿠스를 떠나 예루살렘에서 수도사가 되었다고 주장하지만,[19] 그의 아버지나 할아버지와 달리 우마이야 행정 기록에는 요안니스에 대한 언급이 없다.[24] 일부 학자들은 그가 궁정 관료였다는 주장을 부인하는 반면[24], 다른 학자들은 그가 기록에 남지 않을 정도의 하위직 세무 관리였을 가능성을 제기한다.[25][26] 요안니스 자신의 저술에도 무슬림 궁정에서의 경험에 대한 언급은 없다.

19세기 아이콘 (아랍어 비문)


''뉘른베르크 연대기''에 묘사된 다마스쿠스의 요안니스


요안니스는 다마스쿠스에서 성장했으며, 아랍 기독교 민간 전승에 따르면 젊은 시절 미래의 우마이야 칼리프 야지드 1세 및 타글리브 부족 출신의 기독교 궁정 시인 알 아크탈과 교류했다고 전해진다.[28]

요안니스에게는 코스마스라는 입양된 형제가 있었다.[72] 요안니스의 아버지는 그가 "무슬림의 책뿐만 아니라 그리스의 책도 배우기를" 원했다고 전해지며, 이를 통해 요안니스가 그리스어와 아랍어를 모두 구사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29] 실제로 요안니스는 코란에 대한 지식을 보여주며 이를 비판적으로 다루었다.[30]

그의 교육은 헬레니즘 교육 원칙에 따라 이루어졌다고 묘사된다.[31][32] 그의 가정교사는 코스마스라는 이탈리아 시칠리아 출신 수도사였다. 코스마스는 아랍인들에게 납치되어 노예가 되었으나, 요안니스의 아버지가 큰 대가를 지불하고 구해내어 요안니스와 그의 입양 형제 코스마스의 가정교사로 삼았다.[32] 이 수도사 코스마스는 요안니스 형제에게 산술, 기하학, 천문학, 음악 등 다양한 학문과 신학을 가르쳤으며[32], 라틴 기독교의 학문적 전통을 전수한 것으로 여겨진다. 전승에 따르면, 코스마스 수도사는 요안니스가 학문적으로 성숙해지자 만족하며 세르기우스 가문을 떠나 마르 사바 수도원에서 여생을 보냈다고 한다.

일부 기록은 요안니스가 알 왈리드 1세가 칼리프 행정부의 이슬람화를 강화한 706년경 다마스쿠스를 떠나 수도사가 되었다고 주장하지만[34], 이는 불확실하다. 무슬림 자료는 이 시기에 그의 아버지 사르준(세르기우스)이 행정부를 떠났다고만 언급할 뿐, 요안니스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다.[24] 요안니스는 이후 예루살렘 근처의 마르 사바 수도원에서 수도사가 되었으며, 735년경 예루살렘 총대주교 요안니스에게 사제품을 받은 것으로 여겨진다.[19][27]

2. 2. 우마이야 칼리파국에서의 활동

요안니스의 아버지 세르기오스 만수르(Σέργιος του Μανσούρ)는 초기 우마이야 칼리파국 칼리프 밑에서 일하던 고위 재정 관리였다.[72][68] 아버지 사후, 요안니스는 세습직이었던 아버지의 자리를 이어받아 칼리프의 관리로 봉직하였다.[72] 다른 기록에 따르면 그는 아버지의 협력자로서 칼리프를 섬겼다고도 한다.[68] 사제로 서품되기 전에 칼리프를 위해 다마스쿠스에서 공무원으로 일했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33] 아랍 기독교 민간 전승에 따르면, 그는 젊은 시절 미래의 우마이야 칼리프가 될 야지드 1세나 타글리비 기독교 궁정 시인 알 아크탈과 교류했다고 전해진다.[28]

요안니스가 칼리프의 관직을 떠난 시기와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설명이 존재한다. 한 자료는 700년경 제5대 칼리프인 압드 알말리크의 반기독교 정책 때문에 은퇴했다고 설명한다.[68] 다른 자료에서는 알 왈리드 1세가 칼리파조 행정부의 이슬람화를 강화한 706년경 다마스쿠스를 떠나 수도사가 되었다고 주장한다.[34] 그러나 이 시기에 관직을 떠난 인물은 그의 아버지 사르준(세르기오스)이며, 요안니스의 이름은 무슬림 자료에서 언급되지 않아 706년 설의 확실성은 떨어진다.[24]

한편, 동로마 제국 황제 레온 3세가 요안니스가 다마스쿠스 공격 음모에 연루되었다는 위조 문서를 칼리프에게 보내어, 칼리프가 요안니스의 오른손을 잘랐으나 테오토코스에게 기도하여 기적적으로 회복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러나 이 이야기는 후대에 만들어진 전설로 여겨진다.[37][68]

2. 3. 수도 생활과 성상 옹호

요안니스는 칼리프를 위해 다마스쿠스에서 공무원으로 일했을 가능성이 있으나,[33] 이후 예루살렘 근처의 마르 사바 수도원에서 사제이자 수도사가 되었다. 수도사가 된 시점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하나는 칼리프 알 왈리드 1세가 행정부의 이슬람화를 강화한 706년경 다마스쿠스를 떠났다는 설이고,[34] 다른 하나는 717년경 성 사바 수도원에서 수도사가 되었다는 설이다.[37] 그는 예루살렘 총대주교 요안니스 5세에게 사제품을 받았다.

8세기 초, 동로마 제국에서는 성상 숭배에 반대하는 운동인 성상파괴주의가 황실의 지지를 얻었다. 726년과 730년, 황제 레온 3세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게르마노스 1세의 항의에도 불구하고[35] 공공장소에서 성상 숭배와 전시를 금지하는 칙령을 발표하며 성상파괴 논쟁을 격화시켰다.

칼리프의 통치 아래 있던 요안니스는 성상 옹호자로서, 세 편의 《성스러운 성상에 반대하는 자들에 대한 변증 논문》을 저술하여 열렬히 성상 숭배를 변호했다. 그는 이 논문들에서 동로마 황제를 비판했을 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도 이해하기 쉬운 문체로 논지를 전개하여 성상 파괴론자들 사이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그의 저술은 훗날 제2차 니케아 공의회(787)에서 성상 논쟁을 해결하고 성상 공경의 교리를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36]

정교회 성전에 따르면, 레온 3세는 요안니스가 다마스쿠스 공격 음모에 연루되었다는 내용의 편지를 위조하여 칼리프에게 보냈다고 한다. 이에 속은 칼리프는 요안니스의 오른손을 잘라 공개적으로 매달도록 명령했다. 요안니스는 며칠 후 자신의 잘린 손을 돌려받아, 테오토코스(성모 마리아)의 성상 앞에서 간절히 기도했고, 그의 손이 기적적으로 회복되었다고 전해진다.[37] 이 기적적인 치유에 감사하며 요안니스는 은으로 만든 손 모형을 성상에 부착했고, 이 성상은 이후 "세 손의 성모"라는 의미의 트로예루치차( Τριχεροῦσα|트리헤루사el )로 알려지게 되었다.[38] 이 성상은 현재 아토스 산의 힐란다르 수도원에 보존되어 있다.

이콘 『세 손의 성모』(아토스 산·힐란다르 수도원)


요안니스는 성상 숭배에 대한 그의 헌신 때문에 754년 성상파괴주의 히에리아 공의회에서 아나테마(파문) 선고를 받았다.[39][40][41] 그러나 이후 787년 제2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성상 공경 교리가 재확인되면서 복권되었다.[39]

2. 4. 말년과 죽음



다마스쿠스의 성 요안의 이콘. 아랍어가 적힌 종이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그려져 있다.


성상파괴주의 논쟁에서 성상 숭배를 적극적으로 변호한 이후, 요안니스는 예루살렘 인근의 성 사바 수도원에서 남은 생애를 보냈다.[69] 그는 이곳에서 가르침을 전하고 예루살렘의 성당에서 설교했으며, 특히 신학 관련 저술 활동에 전념했다.[68]

요안니스는 750년경, 100세에 가까운 나이로 선종한 것으로 추정된다.[68] 그의 사후, 성상 숭배에 대한 입장은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754년, 성상 파괴주의를 공식 입장으로 채택한 히에리아 공의회에서는 요안니스를 아나테마(파문)로 선언하며 이단으로 정죄했다.[39][40][41] 그러나 이후 성상 숭배가 다시 정당성을 인정받으면서, 787년에 열린 제2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요안니스는 공식적으로 복권되었고 존자로 선언되었다.[39][68] 라틴 교회에서도 그의 업적을 높이 평가하여 1890년 교회학자로 선언하였다.[68]

3. 주요 사상과 저술

''요안니스 다마세니 오페라'' (1603)


다마스쿠스의 요안니스는 성상 옹호론, 이슬람교 비판, 기독교 교리 해설 등 다양한 주제에 걸쳐 중요한 저술들을 남겼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지식의 샘』이 꼽힌다. 또한, 그는 많은 저술 활동 외에도 찬송가를 작곡했으며, 비잔틴 전례에서 사용되는 구조화된 찬송가 형식인 캐논을 완성하는 데 기여했다.[47] 그의 사상과 저술은 후대 동방 정교회 신학뿐만 아니라 서방 스콜라 학파에도 영향을 미쳤다.

3. 1. 성상 옹호론

요안니스는 비잔티움 제국 황제 레오 3세가 성화상(이콘)의 경배나 전시를 금지하는 칙령을 내렸을 때, 이에 맞서 세 편의 ''성상 폄훼자들에 대한 변증론''을 저술하며 성상 옹호를 위한 논증을 펼친 초기 인물 중 하나였다.

당시 동로마 제국에서는 성상 파괴 운동(이코노클라즘)이 거세게 일어났다. 이슬람 지배 하의 다마스쿠스에 있던 요안니스는 이콘 옹호의 입장에서 신자들에게 꾸준히 편지를 보내며 논쟁에 참여했다. 이러한 요안니스의 활동은 동로마 황제 레오 3세의 분노를 샀고, 황제는 요안니스를 제거하기 위한 계략을 꾸몄다. 황제는 요안니스가 자신(동로마 황제)과 내통하여 다마스쿠스를 넘기려 한다는 내용의 편지를 위조하여 이슬람 지배자에게 전달했다.

이슬람 지배자는 위조된 편지를 그대로 믿고 요안니스의 결백 주장을 듣지 않은 채, 그의 다마스쿠스 지사직을 박탈하고 오른손을 절단하는 형벌을 내렸다. 정교회의 성전에 따르면, 요안니스가 성모 마리아에게 기도하며 손의 회복을 간절히 빌자 잘렸던 오른손이 기적적으로 다시 자라나 회복되었다고 전해진다. 이 기적에 감사하며 요안니스가 그린 것이 바로 성모의 이콘에 세 번째 손이 더해진 형태의 『세 손의 성모』 이콘이다.

이 기적을 알게 된 이슬람 지배자는 요안니스의 무고함을 깨닫고 동로마 황제의 계략에 속았음을 후회하며 요안니스에게 복직을 요청했다. 그러나 요안니스는 세속적인 명예를 버리고 가난 속에서 하느님을 섬기기로 결심하고 이를 거절했다. 이슬람 지배자 역시 그의 뜻을 존중하여 복직을 강요하지 않았다.

요안니스는 동서 교회의 분열 이전의 정교회와 가톨릭교회에서 이콘을 옹호하고 교회의 전통을 수호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많은 신학 저서를 남겼으며, 특히 『지식의 샘』은 그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또한 정교회에서는 팔조라 불리는 성가를 편찬하고 작곡한 인물로도 알려져 있으며, 이 팔조는 정교회 성가 체계의 근간을 이루는 중요한 요소이다.

3. 2. 『지식의 샘』



『지식의 샘』(Πηγή Γνώσεως|페게 그노세오스grc, Pēgē gnōseōs, 문자 그대로 "지식의 근원")은 다마스쿠스의 요안니스의 대표작으로, 기독교 철학, 사상 및 교리를 종합하고 체계화한 저술이다. 이 책은 중세 라틴 사상의 방향에 영향을 주었으며, 그리스 정교회 신학의 주요 교과서가 되었다. 『지식의 샘』은 다음과 같이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 '''철학 장''' (Κεφάλαια φιλοσοφικά''|케팔라이아 필로소피카grc, Kefálea filosofiká): 일반적으로 "변증법"이라고 불리며, 주로 논리학을 다룬다. 이 부분의 주된 목적은 독자들이 책의 나머지 부분을 더 잘 이해하도록 준비시키는 것이다. 3세기 후반 신플라톤주의자 포르피리오스의 이사고게를 기반으로 하는데, 이는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 입문서이다. 이 저술은 요안니스가 논리의 기본 개념과 하나님에 대한 합리적 설명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49]

# '''이단에 관하여''' (Περὶ αἱρέσεων|페리 하이레세온grc, Perì eréseon, 문자 그대로 "이단에 관하여"): 살라미스의 에피파니우스가 저술한 『파나리온』(Πανάριον|파나리온grc, 라틴어 ''panarium''에서 유래, "빵 바구니"를 의미)을 기반으로 한다.[50][51] 이 저술은 요안니스에게 다양한 이단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이단 목록을 구성하는 모델을 제공했다. 에피파니우스는 아담 시대부터 4세기 후반까지 80개의 종교적 종파를 이단으로 분류했으며, 요안니스는 자신의 시대에 발생한 20개의 이단을 추가했다.[52][49] 『이단에 관하여』의 마지막 장(101장)은 '이스마엘인들의 이단', 즉 이슬람교를 다룬다.[53] 다른 이단들이 몇 줄로 간결하게 처리된 것과 달리, 이 장은 여러 페이지에 걸쳐 상세히 서술된다. 이는 이슬람교에 대한 초기 기독교의 중요한 반박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요안니스는 이 장에서 무함마드의 일부 행위와 쿠란의 특정 가르침이 예언자의 비행을 정당화하기 위해 삽입되었다고 비판한다.[52] 『이단에 관하여』는 그리스어에서 라틴어로 자주 번역되었으며, 이슬람에 대한 최초의 동방 정교회 반박 중 하나로서 서방 로마 가톨릭교회의 이슬람에 대한 태도 형성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 저술은 무함마드를 "거짓 예언자"이자 "적그리스도"로 서방 세계에 소개한 초기 자료 중 하나였다.[54]

# '''정통 신앙의 정확한 해설''' (Ἔκδοσις Ἀκριβὴς τῆς Ὀρθοδόξου Πίστεως|엑도시스 아크리베스 테스 오르토독수 피스테오스grc, Ékdosis akribès tēs Orthodóxou Písteōs): 교부, 특히 4세기의 카파도키아 교부(성 바실리우스, 성 그레고리우스, 성 그레고리우스)들의 가르침과 교리적 저술을 요약한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용어를 사용하고, 안티오키아 학파의 분석적인 신학 관점에서 텍스트를 선택하고 주석을 달아 독창성을 보여준다. 이 저술은 동방 언어들과 라틴어로 번역되어 동서양 사상가 모두에게 귀중한 자료가 되었으며, 논리적이고 신학적인 개념들을 제공했다. 또한, 체계적인 서술 방식은 중세 스콜라 학파 학자들이 후대에 저술한 신학적 종합 저술들의 모델이 되었다. "해설"은 하나님의 본성과 존재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를 다루며, 이는 후대 신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이 저술은 동방 기독교 최초의 조직신학 저술로 평가받으며, 후대의 스콜라 학파 저작들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55][49]

3. 3. 이슬람교에 대한 비판

요안니스는 그의 저서 '''이단에 관하여''' 마지막 장에서 이슬람교를 "이스마엘파의 이단"으로 규정하며, 초기 기독교 관점에서 이슬람을 비판한 주요 인물 중 한 명으로 평가된다.[56] 그는 무슬림들이 본래 아프로디테를 숭배했으나, 무함마드의 "겉으로 보이는 경건함"에 이끌려 그를 따르게 되었다고 주장했다. 또한, 무함마드가 성경을 읽었으며, 기독교 대신 아리우스주의를 가르친 아리우스파 수도사의 영향을 받았다고 썼다.[56]

요안니스는 자신이 꾸란의 일부 내용을 접했다고 밝히며, 꾸란이 마리아를 모세아론의 누이로 잘못 기술하고, 예수십자가에 못 박히지 않고 살아서 하늘로 올라갔다고 주장하는 점을 비판했다. 그는 자신이 무슬림들과 직접 대화를 나누었다고 기록했는데, 이때 사용된 복수 "우리"는 요안니스 자신, 그가 속했던 기독교인 집단, 또는 당시 기독교인 전체를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56]

대화 중에 요안니스는 무슬림들에게 무함마드가 신으로부터 꾸란을 받았다는 주장을 뒷받침할 증인이 누구인지 물었다고 한다. 이는 모세이스라엘 백성 앞에서 토라를 받은 것과 대조되며, 이슬람법에서 결혼이나 거래 시 증인을 요구하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또한, 성경에서 무함마드의 출현을 예언하는 구절이 있는지 질문했는데, 이는 예수의 등장이 구약성경의 예언자들에 의해 예고되었다는 기독교의 믿음에 기반한 것이었다. 이에 대해 무슬림들은 무함마드가 잠결에 꾸란을 받았다고 답했고, 요안니스는 "당신은 내 꿈을 왜곡하고 있군"이라며 비판적으로 응수했다고 한다.[56]

요안니스는 일부 무슬림들이 기독교인들이 예수의 출현을 예언한다고 믿는 구약성경 구절이 잘못 해석되었다고 주장하거나, 다른 무슬림들은 유대인들이 기독교인들을 속이기 위해 구약성경을 편집했다고 주장했다고 기록했다.[56]

또한, 요안니스는 무슬림들이 기독교인들의 십자가 숭배와 예수 숭배를 우상 숭배라고 비난했다고 언급하며, 이에 대해 메카검은 돌이 실제로는 아프로디테 조각상의 머리라고 반박했다고 주장했다. 더 나아가, 무슬림들이 예수를 '하나님의 말씀과 영'이라고 인정한다면, 말씀과 영은 그것이 존재하는 근원과 분리될 수 없으므로 예수를 하나님과 동일시하는 것이 논리적으로 타당하다고 주장했다. 즉, 하나님의 말씀이 항상 하나님 안에 존재했다면 그 말씀 자체도 하나님이어야 한다는 논증을 펼쳤다.[56]

마지막으로 요안니스는 이슬람이 일부다처제를 허용하는 점, 무함마드가 간음을 금지하기 전에 동료의 아내와 관계를 맺었다는 주장, 그리고 꾸란에 신의 암낙타와 같은 신빙성 없는 이야기가 포함되어 있으며 하나님이 예수에게 "썩지 않는 식탁"을 주었다는 내용을 비판하며 글을 맺었다.[56]

3. 4. 기타 저술



다마스쿠스의 요안니스는 여러 저술 활동 외에도 찬송가를 작곡했으며, 비잔틴 전례에 사용되는 구조화된 찬송가 형식인 캐논을 완성했다.[47] 그의 저술 중 『지식의 샘』은 걸작으로 평가받는다.[70] 특히 정교회에서는 팔조라고 불리는 성가인 옥토에코스 (교회의 8가지 성가의 전례서)를 편찬하고 작곡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정교회 성가의 근간을 이루는 중요한 시스템이다.

그의 다른 주요 저술들은 다음과 같다.

  • 『야곱파 반박』
  • 『네스토리우스파 반박』 (『신앙에 관하여, 네스토리우스파 반박』 포함 가능성)
  • 『마니교도 반박 대화』 (또는 『마니교도 반박』)
  • 『이슬람교도 반박』
  • 『교의학 입문』 (또는 『교리의 기초』)
  • 『삼중 거룩 찬가에 관한 편지』
  • 『올바른 사유에 관하여』
  • 『그리스도 안의 두 의지에 관하여 (단의론자 반박)』 (또는 『그리스도 안의 두 의지에 관하여』)
  • 『성상 파괴론자 반박』
  • 『단식에 관하여』
  • 『여덟 가지 악령에 관하여』
  • 『신앙 고백』
  • 『바울 서간 주해』
  • 『성모 마리아의 선종』
  • 『성모 마리아의 탄생』
  • 『주의 변용』
  • 『성스러운 안식일』
  • 『말라버린 무화과』
  • 『요안니스 크리소스토모스에 관한 강론』
  • 『성 바르바라에 관한 강론』
  • 『성스러운 평행구절들』 (또는 『사크라 팔라렐라』 - 도덕·수덕 생활에 관한 성경과 교부 문헌 발췌 모음. 저작 여부 의심됨)
  • 『용과 유령에 관하여』

4. 유산과 영향

다마스쿠스의 요안니스는 동방 정교회와 서방 가톨릭 교회 모두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신학자이자 찬송가 작곡가로 평가받는다. 그는 특히 성상 파괴 운동이라는 격동기에 이콘 사용의 정당성을 강력히 변호하며 교회의 전통을 수호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47]

그의 신학적 업적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대표 저서인 Πηγὴ γνώσεως|페게 그노세오스grc (지식의 샘)이다. 이 책은 후대 신학 사상에 깊은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동방 정교회에서는 신학의 기본 교과서와 같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신학 저술 외에도 요안니스는 비잔틴 전례 음악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그는 찬송가 형식인 캐논을 완성하는 데 기여했으며, 동방 정교회의 중요한 성가 체계인 팔조를 편찬하고 관련 곡들을 작곡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47]

이러한 그의 폭넓은 활동과 영향력으로 인해, 동방 정교회에서는 그를 "교회의 마지막 교부"로 존경하며, 동서 교회의 분열 이전에 활동했던 중요한 교회 인물로서 오늘날까지 기억되고 있다.

4. 1. 동방 정교회



다마스쿠스의 요안니스는 동방 정교회에서 "교회의 마지막 교부"로 존경받는 인물이다. 그는 신학 저술뿐만 아니라 비잔틴 전례에 사용되는 구조화된 찬송가 형식인 캐논을 완성하는 등 찬송가 작곡에도 기여했다.[47] 그의 저술과 성가는 동방 정교회 신학과 전례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정교회의 성전에 따르면, 요안니스는 재산을 정리하여 가난한 이들에게 나누어 준 뒤, 친구 코스마와 함께 예루살렘으로 가 주 예수의 무덤을 순례하고 마르 사바 수도원에 들어갔다. 그의 명성 때문에 대부분의 수도사들이 제자로 받아들이기를 꺼렸으나, 겸손을 중시하는 한 노수도사가 그를 제자로 삼았다. 스승은 요안니스에게 겸손을 가르치기 위해 순종을 강조하며 문학 활동과 글쓰기를 금지했다. 박학다식했던 요안니스에게 학문을 사용할 수 없다는 점은 큰 고통이었다.

어느 날, 수도원 동료의 동생이 죽은 형을 위해 위로의 시를 써달라고 간청했다. 요안니스는 스승의 명령 때문에 처음에는 거절했으나, 간절한 부탁에 결국 시를 지어주었다. 이 시는 오늘날 정교회 장례식에서 불리는 성가가 되었다. 하지만 스승은 요안니스가 시를 읊는 것을 듣고 크게 노하여 그를 수도원에서 추방했다. 다른 수도사들의 간청과 요안니스의 참회 끝에 스승은 그를 다시 받아들였고, 벌로 힘든 노동을 명했다. 요안니스가 기꺼이 벌을 받는 모습을 보고 스승은 비로소 기뻐하며 그를 용서했다.

이후 어느 날 밤, 스승의 꿈에 성모 마리아가 나타나 요안니스의 지식을 샘에 비유하며 막지 말라고 계시했다. 꿈에서 깬 스승은 크게 놀라 요안니스에게 저술과 시 작성을 허락하고 과거의 잘못을 사과했다.

이때부터 요안니스는 왕성한 집필 활동을 시작하여 신학 서적과 논문을 쓰고 성가를 작곡했다. 특히 그의 저서 Πηγὴ γνώσεως|페게 그노세오스grc (지식의 샘)은 동방 정교회 신학의 중요한 교과서이자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또한 성상 파괴 운동 논쟁이 다시 일어났을 때, 그는 이콘 옹호를 위한 반박서를 저술하여 교회의 전통을 지키는 데 기여했다. 그는 마니교이슬람교 신자들과도 논쟁을 벌였으며, 말년에는 마르 사바 수도원에 은퇴하여 생을 마감했다.

요안니스는 정교회에서 팔조라고 불리는 성가 체계를 편찬하고 작곡한 인물로도 알려져 있다. 팔조는 정교회 성가의 근간을 이루는 중요한 시스템으로, 그의 교회에 대한 기여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의 어린 시절 친구였던 코스마 역시 요안니스와 함께 수도사가 된 후 주교가 되어 논문과 성가를 남겼다. 요안니스는 동서 교회의 분열 이전의 "정통" 교회(정교회 · 가톨릭교회)에서 이콘을 옹호하고 교회의 전통을 지킨 중요한 인물로 기억된다.

4. 2. 서방 가톨릭 교회



다마스쿠스의 요안니스는 여러 저술 활동 외에도 찬송가를 작곡했으며, 비잔틴 전례에서 사용되는 구조화된 찬송가 형식인 캐논을 완성하는 데 기여했다.[47] 그는 동서 교회의 분열 이전에 "정통"을 표방했던 정교회와 가톨릭교회 모두에서 이콘 사용을 옹호하고 교회의 전통을 수호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의 신학 저술 중 『지식의 샘』은 대표적인 걸작으로 꼽힌다. 또한, 동방 정교회에서는 팔조라고 불리는 성가 체계를 편찬하고 관련 곡들을 작곡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정교회 성가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5. 기념

다마스쿠스의 요안니스는 기독교의 여러 교파에서 중요한 인물로 여겨져 다양한 방식으로 기념되고 있다. 그의 축일은 여러 교회력에서 지정되어 있으며, 그를 기리는 성당과 그를 주제로 한 음악 작품들도 찾아볼 수 있다.

5. 1. 축일

1890년 다마스쿠스의 요안니스의 이름이 로마 일반 전례력에 추가되었을 때 축일은 3월 27일로 지정되었다. 1969년에는 요안니스의 사망일인 12월 4일로 축일이 변경되었으며,[42] 이 날은 동방 정교회로마 가톨릭교회의 공식적인 축일이다.

12월 4일비잔틴 전례 달력,[42] 루터교 기념일,[43] 그리고 성공회에서도 축일로 기념된다.[44] 특히 잉글랜드 성공회 성인력과 미국 성공회 성인력에서도 이날을 기념한다.[45][46]

율리우스력을 사용하는 일부 동방 정교회(예루살렘 총대주교청, 러시아 정교회, 세르비아 정교회, 일본 정교회 등)에서는 그레고리력 12월 17일에 해당한다.

5. 2. 성당

다마스쿠스의 요한을 기념하는 성당도 다수 존재한다. 일본 정교회에서도 [http://www.orthodoxjapan.jp/annai/n-handa.html 한다 하리스토스 정교회]의 성당이 다마스쿠스의 성 요한을 기념하는 "성 요한 다마스킨 성당"이다.

5. 3. 음악 작품

다마스쿠스의 요안니스에 착안한 음악 작품으로는, 세르게이 타네예프의 혼성 4부 합창과 대오케스트라를 위한 『다마스쿠스의 성 요안』, 바실리 칼리니코프의 오케스트라와 합창과 솔리스트를 위한 칸타타 『다마스쿠스의 성 요안』 등이 있다.

참조

[1] 서적 "Mary's Pope: John Paul II, Mary, and the Church" 2000-09-01
[2] 웹사이트 On the Aristotelian Heritage of John of Damascus Joseph Koterski, S .J https://web.archive.[...] 2019-07-31
[3] 간행물 St. John Damascene http://www.newadvent[...] The Catholic Encyclopedia 1910
[4] 웹사이트 Byzantine Empire - Iconoclasm, Religion, Empire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11-20
[5] 서적 "Butler's Lives of the Saints" HarperCollins Publishers 1991
[6] 서적 Lutheran Service Book Concordia Publishing House 2006
[7] 논문 1999
[8] 서적 The 33 Doctors of the Church https://books.google[...] Tan Books 2000
[9] 서적 "Cicumincession".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2 ed.). Oxford University Press
[10] 문서 1910
[11] 논문 1972
[12] 논문 1972
[13] 문서 Historiae animae utilis de Barlaam et Ioasaph 2006
[14] 웹사이트 Barlaam and Ioasaph, John Damascene http://www.hup.harva[...]
[15] 서적 Late Antiquity: A Guide to the Postclassical World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9
[16] 논문 2001
[17] 서적 Byzantine Ideas of Persia, 650–1461 Routledge 2024
[18] 논문 2016
[19] 논문 2003
[20] 논문 1972
[21] 논문 1972
[22] 논문 2016
[23] 논문 2016
[24] 논문 1996
[25] 서적 Byzantium and Islam: collected studies on Byzantine-Muslim encounters Brill 2023-09-07
[26] 학술지 Byzantine Views of Islam https://www.jstor.or[...] 1964
[27] 논문 2004
[28] 논문 2001
[29] 문서
[30] 논문 1996
[31] 논문 2002
[32] 논문 2000
[33] 문서
[34] 논문 2003
[35] 간행물 St. John Damascene http://www.newadvent[...] The Catholic Encyclopedia 1910
[36] 서적 Cambridge Dictionary of Christian The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7] 웹사이트 St. John of Damascus http://www.catholic.[...]
[38] 문서
[39] 웹사이트 John of Damascus: Johannes von Damaskus https://patristik.ba[...] 2023-07-26
[40] 학술지 John of Damascus's Theology of Icons in the Context of Eighth-Century Palestinian Iconoclasm https://www.jstor.or[...] 2021
[41] 학술지 Handmade: A Critical Analysis of John of Damascus's Reasoning for Making Icons https://onlinelibrar[...] 2011
[42] 문서 Calendar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1969
[43] 서적 Lutheranism 101 Concordia Publish House, St. Louis 2010
[44] 서적 Lesser Feasts and Fasts, 2006 Church Publishing 2006
[45]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4-08
[46] 서적 Lesser Feasts and Fasts 2018 https://books.google[...] Church Publishing, Inc. 2019-12-17
[47] 문서
[48] 문서 St. John Damascene on Holy Images, Followed by Three Sermons on the Assumption 1899
[49] 웹사이트 Saint John of Damascus ! Biography, Writings, Legacy,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7-05
[50] 서적 The Panarion of Epiphanius of Salamis. Book 1 https://gnosis.study[...] Brill 2008
[51] 서적 The Panarion of Epiphanius of Salamis, Books II and III. de Fide https://ia801202.us.[...] Brill 2012
[52]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Saint John Damascene https://www.newadven[...] 2023-10-05
[53] 웹사이트 St. John of Damascus: Critique of Islam http://orthodoxinfo.[...]
[54] 학술지 Stereotypes associated with real prototypes of the prophet of Islam's name till the 19th century http://journals.yu.e[...] 2015
[55] 서적 Returning home to Rome: the Basilian monks of Grottaferrata in Albania https://books.google[...] Analekta Kryptoferri 2009
[56] 웹사이트 St. John of Damascus: Critique of Islam http://orthodoxinfo.[...] 2020-07-21
[57] 웹사이트 Homily on the Annunciation – John of Damascus eBook: John of Damascus… https://archive.toda[...]
[58] 문서 Saint Jean de Damas, son époque, sa vie, son oeuvre 1930
[59] 학술지 Letter to Cosmas – Lettre à Cosmas de Jean Damascène (Arabe) https://www.academia[...]
[60] 웹사이트 Philosophical chapters (Arabic) eBook: John of Damascus, Ibrahim Habi… https://archive.toda[...]
[61] 문서 Histoire III
[62] 학술지 Arabic life of John Damascene – Vie arabe de Jean Damascène https://www.academia[...]
[63] 웹사이트 ハナアン…カナンの日本正教会における転写・表記 https://web.archive.[...]
[64] 문서 新約聖書に記された、イイスス・ハリストス(イエス・キリストのギリシャ語読み)の十字架刑に際して、ハリストスの右側に架けられた盗賊が天国に入れられた出来事を指す。
[65] 문서 処女のまま、神であり人であるイイスス・ハリストスを産んだ、生神女マリヤ(聖母マリア)を指す。
[66] 문서 天使で構成される軍のこと。
[67] 문서 アミン…「アーメン」({{lang-el|Αμήν}})の現代ギリシャ語読み。詳細はアーメンを参照。
[68] 서적 『中世思想原点集成3 後期ギリシャ教父・ビザンティン思想』
[69] 문서 マル・サバは483年に造られた世界で最も古い修道院の一つで、カッパドキア出身の修道士、{{仮リンク|聖サバス|en|Sabbas the Sanctified}}によって創立されたと伝えられている。エルサレムの南東、約10キロメートルに位置するケデロンの谷にそびえ立っている。
[70] 서적 『中世思想原点集成3 後期ギリシャ教父・ビザンティン思想』
[71] 서적 기독교 세계의 등장 http://worldcat.org/[...] 새물결 출판사 2004
[72] 웹인용 Martyr John of Damascus https://www.oca.org/[...] 2022-1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