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맥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동맥활은 오름대동맥과 내림대동맥을 연결하는 대동맥의 일부로, 셋째 흉추 높이에 위치하며 머리, 목, 팔로 혈액을 운반하는 세 개의 주요 동맥, 즉 완두동맥, 왼쪽 총경동맥, 왼쪽 쇄골하동맥을 분지한다. 대동맥활은 가슴세로칸 안에 위치하며, 혈관벽의 이완을 감지하여 혈압 변화에 따라 심박수를 조절하는 압력수용성 신경 말단이 분포한다. 대동맥활의 발달은 왼쪽 넷째 대동맥활에서 유래하며, 태아기에는 동맥관을 통해 폐혈관을 우회하는 혈류를 제공한다. 대동맥활의 구조, 가지의 해부학적 변이, 흉부 X선에서의 중요성, 대동맥고정술, 외상에 대한 취약성 등 임상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동맥 - 내림대동맥
내림대동맥은 대동맥의 일부로, 심장에서 시작하여 흉부와 복부를 지나며 온몸에 혈액을 공급하고, 흉부 대동맥과 복부 대동맥으로 구성된다. - 대동맥 - 내림가슴대동맥
내림가슴대동맥은 심장에서 나온 혈액을 신체로 전달하는 가슴 부위 대동맥의 일부로, 여러 분지를 통해 혈액을 공급하며 다양한 질환과 관련되어 임상적으로 중요하다. - 가슴의 동맥 - 맨아래갑상동맥
맨아래갑상동맥은 갑상샘, 기관, 부갑상샘에 혈액을 공급하는 드문 동맥으로, 팔머리동맥에서 주로 시작되며 크기, 기능, 시작 지점 등에서 변이가 많고 수술 시 출혈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 가슴의 동맥 - 대동맥
대동맥은 좌심실에서 시작하여 전신에 혈액을 공급하는 가장 큰 동맥으로, 상행대동맥, 대동맥궁, 흉부 및 복부 대동맥으로 이어지며, 혈관벽은 세 층으로 구성되어 혈압 유지와 맥파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목동맥고랑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의학 용어집
의학 용어집은 의학 분야의 다양한 용어와 정의를 모아놓은 목록으로, 인체 해부학적 용어인 '복부'와 희귀 유전 질환인 '아르스코그-스콧 증후군' 등이 포함된다.
대동맥활 | |
---|---|
개요 | |
라틴어 명칭 | arcus aortae |
영어 명칭 | arch of aorta |
설명 | 상행 대동맥에서 시작하여 하행 대동맥, 흉부 대동맥으로 이어짐 |
구조 | |
기원 | 상행 대동맥 |
분기 | 팔머리동맥 왼총경동맥 왼쇄골하동맥 |
연속 | 하행 대동맥, 흉부 대동맥 |
정맥 | 위대정맥과 아래대정맥의 조합 |
발생학적 전구체 | 왼 네 번째 대동맥궁 |
기능 | |
혈액 공급 | 팔, 머리, 목 (분기 동맥을 통해), 심장과 폐를 제외한 전신 (대동맥의 일부로서) |
식별 | |
그레이 해부학 주제 | '142' |
그레이 해부학 페이지 | '547' |
메시 명칭 | Aortic+Arch |
메시 번호 | A07.231.114.056.372 |
도르란드 사전 접두사 | a_58 |
도르란드 사전 접미사 | '12150514' |
이미지 | |
![]() | |
![]() |
2. 구조
대동맥활은 허파동맥줄기와 심실유출로 뒤쪽, 오른쪽의 둘째와 셋째 복장갈비관절 위쪽 경계 높이에서 시작한다. 오른심방귀가 대동맥에 겹쳐져 있다. 오름대동맥과 허파동맥줄기의 처음 몇 cm는 같은 심장막 덮개에 싸여 있다. 오름대동맥은 처음에는 위로 주행하다가 허파동맥줄기, 오른허파동맥, 오른쪽 주기관지를 감고 오른쪽 둘째 갈비연골 뒤에 놓인다. 오른쪽 폐와 복장뼈는 이 지점에서 대동맥 앞쪽에 위치한다. 그 후 대동맥은 기관의 앞쪽에서 뒤쪽, 왼쪽으로 주행하여 왼쪽 주기관지와 왼허파동맥을 감고 T4 척추뼈몸통 왼쪽 측면에 도달한다.[21][22] 기관, 식도, 가슴림프관 등도 T4 척추뼈몸통과 떨어져서 대동맥 왼쪽에 놓여 있다.[21] 대동맥활은 아래쪽으로는 동맥관인대와 연결되며, T4 척추뼈몸통보다 아래에서는 내림대동맥으로 계속된다.[25][23]
대동맥활은 두 개의 굽이를 형성하는데, 하나는 위로 볼록하며 다른 하나는 왼앞쪽으로 볼록하다. 위쪽 경계는 복장뼈자루 위쪽 경계로부터 약 2.5cm 아래에 위치한다.[25] 위쪽 굽이의 혈류는 주로 심장보다 위쪽인 머리, 목, 팔 등으로 이어진다.
심장에서 나온 대동맥의 뿌리 부분 직경은 최대 40mm 정도이다. 오름대동맥의 직경은 35–38mm보다 작아야 하며, 대동맥활은 직경이 30mm 정도이다. 내림대동맥의 직경은 25mm를 넘어서는 안 된다.[26][27]
대동맥활은 가슴세로칸 안에 놓여 있다.
세포 수준에서 대동맥과 대동맥활은 세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혈관속막은 내강을 둘러싸고 있으며 단층편평상피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혈관중간막은 평활근 세포와 탄성섬유로 이루어져 있고, 혈관바깥막은 성긴 콜라겐 섬유가 주 성분이다.[28] 대동맥활에는 압력수용성 신경 말단이 분포하며 이를 통해 대동맥활은 혈관 벽의 이완을 감지하고, 바뀐 혈압을 보상하기 위해 심박수를 변화시키도록 유도한다.[29]
2. 1. 가지
대동맥활의 위쪽 면에서는 세 개의 주된 가지들이 갈라져 나온다. 첫 번째 가지이자 가장 큰 가지는 팔머리동맥으로, 다른 두 가지보다 오른쪽에 있고 살짝 앞에 있다. 복장뼈자루 뒤쪽에서 팔머리정맥이 갈라져 나온다.[24] 다음으로 왼온목동맥은 팔머리동맥 왼쪽에서 갈라져 나오고 기관의 왼쪽에서 위세로칸을 올라간다. 마지막으로 왼빗장밑동맥은 왼온목동맥보다 왼쪽에서 갈라지며 왼온목동맥과 마찬가지로 위세로칸 안의 기관 왼쪽에서 위로 올라간다.[24] 왼빗장밑동맥 대신 왼쪽 척추동맥이 대동맥활에서 나누어지는 해부학적 변이가 존재할 수 있다.몸쪽에서부터 차례대로 팔머리동맥, 왼온목동맥, 왼빗장밑동맥이 대동맥활 위쪽에서 갈라져 나온다. 왼쪽 빗장밑동맥과의 분기부 바로 말단 쪽에서는 대동맥활이 가늘어지는데, 이 부분을 대동맥 협부(isthmus of aorta)라고 부른다. 대동맥 협부의 선천적인 강한 협착은 대동맥 축착이라고 하며, 하반신으로의 혈역학이 불완전하게 된다.
3. 발달
대동맥활은 오름대동맥과 내림대동맥 사이를 연결하는 부분으로, 대동맥활의 중간 부분은 발생 초기에 왼쪽 넷째 대동맥활이 발달하여 형성된다.[30]
동맥관은 태아기에는 대동맥활의 아래쪽 부분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동맥관이 연결되어 있어 우심실에서 나온 혈액은 발달 중에는 폐혈관을 우회할 수 있다.
대동맥활의 마지막 부분은 '''대동맥잘룩'''(aortic isthmus) 또는 '''대동맥협부'''라고 한다. 태아기 대동맥잘룩에서 대동맥활은 좁아지며 따라서 혈류도 적어진다.[31] 심장의 좌심실은 발달이 지속되면 크기가 커지고, 결국 대동맥잘룩은 정상 크기까지 넓어진다. 이 과정이 일어나지 않으면 대동맥 협착(축착)의 원인이 된다.[32][33] 동맥관은 태아기에 대동맥활 마지막 부분으로 이어지며 이후 퇴화하여 동맥관인대로 남는다.[32]
4. 변이
대동맥활에서 갈라져 나오는 동맥 가지의 양상에는 세 가지 흔한 변이가 있다. 대략 75%의 사람들은 위에서 서술된 것과 같은 정상적인 양상을 보인다. 반면 왼온목동맥이 대동맥활이 아니라 팔머리동맥에서 갈라져 나오는 변이가 있다. 다른 변이로는 팔머리동맥과 왼온목동맥이 시작하는 부분을 공유하는 경우가 있다.[34] 이 변이는 약 20%에서 관찰된다. 세 번째 변이로는 팔머리동맥이 왼온목동맥, 오른온목동맥, 오른빗장밑동맥의 세 동맥으로 나누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 변이는 7% 정도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추정된다.[34] 드문 경우로서 맨아래갑상샘동맥이 팔머리동맥이 아닌 대동맥활에서 갈라져 나올 수 있다.[35]
5. 임상적 중요성
흉부 X선에서 대동맥활의 주된 음영은 대동맥 융기이다.[36] 정면 흉부 방사선 사진에서 대동맥 융기는 대동맥활의 두드러진 그림자로 나타난다.[18]
Aortopexy|대동맥고정술영어은 기관을 열린 채로 유지하기 위해 대동맥활을 복장뼈에 고정시키는 외과적 처치이다.
대동맥잘룩은 대동맥활에서 상대적으로 고정된 부분이다. 따라서 전단력과 외상에 취약하며, 이로 인해 대동맥잘룩 부분이 찢어져 대동맥 파열로 이어져 대량 출혈을 유발할 수 있다.[21],[3] 대동맥활이 가늘어지는 부분인 대동맥 협부는 왼쪽 쇄골하동맥과의 분기부 바로 말단측에 있으며, 이 부분의 선천적인 강한 협착을 대동맥 축착이라고 하며, 하반신으로의 혈역학이 불완전하게 된다.
6. 추가 이미지
참조
[1]
OED
"[[OED]]'' 2nd edition, 1989, as {{IPA|/eɪ'ɔ:ɹtɪk/}}"
[2]
웹사이트
Entry "aortic"
http://www.merriam-w[...]
[3]
서적
Anatomy for diagnostic imaging
Elsevier Ltd
2011
[4]
서적
Gray's Anatomy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40th Edition
Elsevier Health Sciences UK
[5]
서적
Textbook of anatomy
Jaypee Brothers Medical Publishers
2011
[6]
서적
Gray's anatomy for students
Elsevier/Churchill Livingstone
[7]
서적
Clinical anatomy for students : problem solving approach
Jaypee Bros. Medical Publishers
2006
[8]
논문
Normal thoracic aorta diameter on cardiac computed tomography in healthy asymptomatic adults: impact of age and gender
[9]
논문
Aortic size assessment by noncontrast cardiac computed tomography: normal limits by age, gender, and body surface area
[10]
웹사이트
The Cardiovascular System (Blood Vessels)
http://www2.highland[...]
2017-04-22
[11]
웹사이트
Printed from STUDENT CONSULT: Berne and Levy Physiology 6E - The Online Medical Library for Students plus USMLE Steps 123 (ver. 2.9)
http://users.atw.hu/[...]
2017-04-22
[12]
논문
Clarification of the identity of the mammalian fifth pharyngeal arch artery
https://eprint.ncl.a[...]
2013-03-01
[13]
논문
The Aortic Isthmus: A Significant yet Underexplored Watershed of the Fetal Circulation
2016
[14]
서적
Rubin's Pathology: clinicopathologic foundations of medicine
Wolters Kluwer/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8
[15]
서적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of the thorax
Wolters Kluwer/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7
[16]
논문
Letters to Editor Bovine arch
[17]
논문
"[A case of the thyroidea ima artery arising from the aortic arch]"
https://pubmed.ncbi.[...]
1989
[18]
웹사이트
wrongdiagnosis.com > Aortic knob
http://www.wrongdiag[...]
[19]
논문
2010 ACCF/AHA/AATS/ACR/ASA/SCA/SCAI/SIR/STS/SVM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atients With Thoracic Aortic Disease
https://www.ahajourn[...]
2010-04-06
[20]
웹사이트
대한의협 의학용어 사전, 대한해부학회 의학용어 사전
https://www.kmle.co.[...]
[21]
서적
Anatomy for diagnostic imaging
Elsevier Ltd
2011
[22]
서적
Gray's Anatomy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40th Edition
Elsevier Health Sciences UK
[23]
서적
Textbook of anatomy
Jaypee Brothers Medical Publishers
2011
[24]
서적
Gray's anatomy for students
https://archive.org/[...]
Elsevier/Churchill Livingstone
[25]
서적
Clinical anatomy for students : problem solving approach
Jaypee Bros. Medical Publishers
2006
[26]
논문
Normal thoracic aorta diameter on cardiac computed tomography in healthy asymptomatic adults: impact of age and gender
[27]
논문
Aortic size assessment by noncontrast cardiac computed tomography: normal limits by age, gender, and body surface area
[28]
웹인용
The Cardiovascular System (Blood Vessels)
http://www2.highland[...]
2017-04-22
[29]
웹인용
Printed from STUDENT CONSULT: Berne and Levy Physiology 6E - The Online Medical Library for Students plus USMLE Steps 123 (ver. 2.9)
http://users.atw.hu/[...]
2017-04-22
[30]
논문
Clarification of the identity of the mammalian fifth pharyngeal arch artery
https://eprint.ncl.a[...]
2013-03-01
[31]
논문
The Aortic Isthmus: A Significant yet Underexplored Watershed of the Fetal Circulation
2016
[32]
서적
Rubin's Pathology: clinicopathologic foundations of medicine
https://archive.org/[...]
Wolters Kluwer/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8
[33]
서적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of the thorax
https://archive.org/[...]
Wolters Kluwer/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7
[34]
논문
Letters to Editor Bovine arch
[35]
논문
"[A case of the thyroidea ima artery arising from the aortic arch]"
https://pubmed.ncbi.[...]
1989
[36]
웹사이트
Aortic knob
http://www.wrongdiag[...]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