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팔머리동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팔머리동맥은 대동맥활에서 분기되어 오른쪽 팔, 머리, 목으로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이다. 오른쪽 둘째 갈비연골 위쪽에서 시작하여 오른온목동맥과 빗장밑동맥으로 분기되며, 앞쪽에는 팔머리정맥, 뒤쪽에는 기관, 오른쪽에는 위대정맥, 왼쪽에는 왼온목동맥이 위치한다. 팔머리동맥은 맨아래갑상동맥과 같은 가지를 낼 수 있으며, 동맥류, 기관-팔머리동맥 누공, 기형과 같은 임상적 중요성을 가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슴의 동맥 - 맨아래갑상동맥
    맨아래갑상동맥은 갑상샘, 기관, 부갑상샘에 혈액을 공급하는 드문 동맥으로, 팔머리동맥에서 주로 시작되며 크기, 기능, 시작 지점 등에서 변이가 많고 수술 시 출혈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 가슴의 동맥 - 대동맥
    대동맥은 좌심실에서 시작하여 전신에 혈액을 공급하는 가장 큰 동맥으로, 상행대동맥, 대동맥궁, 흉부 및 복부 대동맥으로 이어지며, 혈관벽은 세 층으로 구성되어 혈압 유지와 맥파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목동맥고랑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의학 용어집
    의학 용어집은 의학 분야의 다양한 용어와 정의를 모아놓은 목록으로, 인체 해부학적 용어인 '복부'와 희귀 유전 질환인 '아르스코그-스콧 증후군' 등이 포함된다.
팔머리동맥
개요
이름팔머리동맥
라틴어 이름truncus brachiocephalicus
기원대동맥활
가지오른온목동맥
오른빗장밑동맥
맨아래갑상동맥 (가끔)
정맥팔머리정맥
발생기 구조대동맥주머니의 오른뿔
혈액 공급오른쪽 머리, 목, 팔
식별
그레이 주제142
그레이 페이지548
메시 이름Brachiocephalic Veins
메시 번호A07.231.908.130
도를란드 사전 접두사t_20
도를란드 사전 접미사12825973
그림
대동맥 몸쪽의 모식도
대동맥 몸쪽의 모식도. 팔머리동맥은 대동맥의 세 번째 가지이자 대동맥활의 첫 번째 가지이다. 좌측 하단에 있을 심장은 그려지지 않았다.
오름대동맥의 경로
앞에서 본 오름대동맥의 경로. 허파줄기 등쪽, 오른허파동맥 배쪽에 위치한다.

2. 구조

팔머리동맥은 오른쪽 둘째 갈비연골 위쪽 경계 높이에서 대동맥활 시작 부분으로부터 갈라져 나온다.[15] 그 후 비스듬히 오른쪽과 뒤쪽을 향하며 위로 올라가 오른쪽 복장빗장관절 위쪽 경계 높이에 이르고, 여기서 오른온목동맥과 오른빗장밑동맥으로 나누어진다.

2. 1. 위치 관계

팔머리동맥의 위치 관계는 다음과 같다.[18][19]

가슴샘은 일반적으로 팔머리동맥 위에 위치하며, 팔머리동맥을 흉골의 자루 뒤쪽 표면에서 분리한다.[4]

2. 2. 가지

팔머리동맥에서 가끔 나오는 가지인 맨아래갑상동맥기관 앞쪽에서 위로 주행하여 갑상샘의 아래쪽 부분에 도달해 혈액을 공급한다.[1] 갑상샘최하동맥이라고도 불린다.[1]

2. 3. 변이

보통 팔머리동맥은 두 개의 종말가지로 나누어질 뿐 가지를 내지 않으나, 가끔 맨아래갑상샘동맥이라는 가지를 낸다. 가슴샘이나 기관지로 가는 가지를 내기도 한다.

맨아래갑상샘동맥은 그 크기가 다양하며, 다른 갑상샘으로 가는 혈관이 결손되었을 때 이를 보상하는 것으로 보인다. 팔머리동맥 외에 가끔 대동맥, 오른온목동맥, 빗장밑동맥, 속가슴동맥에서 갈라져 나오기도 한다.

3. 발생

대동맥주머니는 대동맥활 몸쪽 부분의 발생기 구조이다. 대동맥 구조 중 시간 순으로 가장 먼저 만들어지는 구조로, 동맥줄기 위쪽이 확장되며 형성된다. 대동맥주머니의 오른뿔(right horn)과 왼뿔(left horn) 중에서 오른뿔이 팔머리동맥을 형성한다.[16] 오른뿔은 그 후 오른쪽의 셋째, 넷째 대동맥활과 융합하여 오른온목동맥과 몸쪽 오른빗장밑동맥을 형성한다.[16] 정리하면 팔머리동맥은 오름대동맥과 함께 배대동맥에서 유래한다고 할 수 있다.[20]

4. 기능

팔머리동맥은 심장에서 오른쪽 팔, 머리, 목으로 혈액을 운반한다.[21] 대동맥에서 산소가 풍부한 혈액은 팔머리동맥을 거쳐 오른쪽 팔로 혈액을 운반하는 우측 쇄골하동맥과 머리와 목으로 혈액을 운반하는 우측 총경동맥으로 이동한다.[9]

5. 임상적 중요성

팔머리동맥과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는 질환으로는 팔머리동맥 동맥류, 기관-팔머리동맥 누공(TIF), 팔머리동맥 기형 등이 있다. 이들은 각각 동맥류, 누공, 선천적 기형 등의 특징을 가지며, 심각한 합병증이나 사망을 초래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5. 1. 팔머리동맥 동맥류

팔머리동맥의 동맥류는 모든 동맥류의 3% 정도를 차지한다. 혈전색전증 같은 합병증과 자발적 파열 등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초기에 수술을 통해 복구하는 것이 보통 권장된다. 팔머리동맥의 동맥류는 종종 팔머리동맥 압박 증후군의 소견일 수 있으며 파열될 위험성이 매우 높다.[22] 동맥류를 일으키는 주된 원인은 죽상경화증이다. 그 외 다른 원인에는 매독, 결핵, 가와사키병, 다카야스 동맥염, 베체트병, 결합조직질환, 혈관육종 등이 있다.[22]

기도와 팔머리동맥 사이의 누공(tracheo-innominate artery fistula, TIF)는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외과적 응급 상황이다. 기관절개술 이후 발생률은 0.1%-1.0%로 보고되고 있다. TIF는 출혈이 생길 시 일반적으로 치명적이다. TIF를 성공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항상 이런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실제로 발생 시 즉시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23]

팔머리동맥의 여러 기형 사례가 보고되었다. 식도 뒤(retroesophageal)의 팔머리동맥은 드문 선천성 기형이다.[24] 또한 갑상샘잘룩(thyroid isthmus) 바로 밑에서 기관 앞쪽을 가로지르는 비정상적인 팔머리동맥도 발견된 바 있다. 기관지내시경이나 세로칸내시경 같은 목 앞쪽의 수술, 시술은 흔하고 비교적 안전한데, 기관 주변에는 큰 혈관이 수술 시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유형의 기형이 있을 때는 혈관이 약간만 손상되어도 대량의 출혈로 인해 환자가 사망할 수 있다.[25] 한편 비정상적인 팔머리동맥으로 인해 불완전 혈관고리가 발생할 수 있다. 불완전한 혈관고리는 기관과 식도를 완전히 둘러싸지는 않지만, 일부 경우에서 기관과 식도가 혈관고리에 의해 눌릴 수 있다. 대동맥활에서 늦게 갈라져 나와 기관을 가로질러 주행하는 팔머리동맥 기형으로 인해 기관이 앞쪽에서 압박될 수 있다.[26]

5. 2. 기관-팔머리동맥 누공 (TIF)

기관-팔머리동맥 누공(tracheo-innominate artery fistula, TIF)은 사망률이 높은 외과적 응급 상황이다. 기관절개술 이후 발생률은 0.1%-1.0%로 보고되고 있다. TIF는 출혈이 생길 시 일반적으로 치명적이다. TIF를 성공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항상 이런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실제로 발생 시 즉시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23]

5. 3. 팔머리동맥 기형

팔머리동맥의 동맥류는 모든 동맥류의 3% 정도를 차지한다. 혈전색전증 같은 합병증과 자발적 파열 등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초기에 수술을 통해 복구하는 것이 보통 권장된다. 팔머리동맥의 동맥류는 종종 팔머리동맥 압박 증후군의 소견일 수 있으며 파열될 위험성이 매우 높다.[22] 동맥류를 일으키는 주된 원인은 죽상경화증이다. 그 외 다른 원인에는 매독, 결핵, 가와사키병, 다카야스 동맥염, 베체트병, 결합조직질환, 혈관육종 등이 있다.[22]

기도와 팔머리동맥 사이의 누공(tracheo-innominate artery fistula, TIF)은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외과적 응급 상황이다. 기관절개술 이후 발생률은 0.1%-1.0%로 보고되고 있다. TIF는 출혈이 생길 시 일반적으로 치명적이다. TIF를 성공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항상 이런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실제로 발생 시 즉시 치료를 시작해야한다.[23]

팔머리동맥의 여러 기형 사례가 보고되었다. 식도 뒤(retroesophageal)의 팔머리동맥은 드문 선천성 기형이다.[24] 또한 갑상샘잘룩(thyroid isthmus) 바로 밑에서 기관 앞쪽을 가로지르는 비정상적인 팔머리동맥도 발견된 바 있다. 기관지내시경이나 세로칸내시경 같은 목 앞쪽의 수술, 시술은 흔하고 비교적 안전한데, 기관 주변에는 큰 혈관이 수술 시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유형의 기형이 있을 때는 혈관이 약간만 손상되어도 대량의 출혈로 인해 환자가 사망할 수 있다.[25] 한편 비정상적인 팔머리동맥으로 인해 불완전 혈관고리가 발생할 수 있다. 불완전한 혈관고리는 기관과 식도를 완전히 둘러싸지는 않지만, 일부 경우에서 기관과 식도가 혈관고리에 의해 눌릴 수 있다. 대동맥활에서 늦게 갈라져 나와 기관을 가로질러 주행하는 팔머리동맥 기형으로 인해 기관이 앞쪽에서 압박될 수 있다.[26]

6. 추가 이미지

팔머리동맥


팔머리동맥


참조

[1] 웹사이트 Brachiocephalic trunk ! Radiology Reference Article ! Radiopaedia.org https://radiopaedia.[...] 2023-11-14
[2] 간행물 Anatomy, Thorax, Brachocephalic (Right Innominate) Arteries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3
[3] 서적 Stroke Elsevier 2016-01-01
[4]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022-06-12
[5]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022-06-12
[6] 웹사이트 Innominate Artery http://www.meddean.l[...] 2022-06-14
[7] 논문 Computed tomography in the evaluation of vascular rings and slings 2014-08
[8] 웹사이트 Innominate Artery Disease https://uvahealth.co[...] 2022-06-14
[9] 웹사이트 Brachiocephalic Artery https://my.cleveland[...] 2023-11-17
[10] 논문 Surgical treatment of innominate artery and aortic aneurysm: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2013-06
[11] 논문 Tracheo-innominate artery fistula: two case reports and a clinical review 2013
[12] 논문 Right Aortic Arch with an Aberrant Retroesophageal Innominate Artery: Angiographic Diagnosis https://pubs.rsna.or[...] 1968-04-01
[13] 논문 Aberrant innominate artery may complicate a potentially safe surgery 2016-01-21
[14]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022-06-12
[15] 서적 Stroke Elsevier 2016-01-01
[16]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022-06-12
[17]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022-06-12
[18] 웹인용 Innominate Artery http://www.meddean.l[...] 2022-06-14
[19] 문서 그레이 해부학
[20] 저널 Computed tomography in the evaluation of vascular rings and slings 2014-08
[21] 웹인용 Innominate Artery Disease https://uvahealth.co[...] 2022-06-14
[22] 저널 Surgical treatment of innominate artery and aortic aneurysm: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2013-06
[23] 저널 Tracheo-innominate artery fistula: two case reports and a clinical review 2013
[24] 저널 Right Aortic Arch with an Aberrant Retroesophageal Innominate Artery: Angiographic Diagnosis https://pubs.rsna.or[...] 1968-04-01
[25] 저널 Aberrant innominate artery may complicate a potentially safe surgery https://www.ncbi.nlm[...] 2016-01-21
[26]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022-06-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