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왕쥐가오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왕쥐가오리는 쥐가오리류 중 가장 큰 종으로, '자이언트 만타' 또는 '데블피시'라고도 불린다. 2017년까지는 '만타 비로스트리스'라는 학명으로 대왕쥐가오리속으로 분류되었으나, 분자생물학 연구 결과에 따라 현재는 쥐가오리속에 포함되어 '모불라 비로스트리스'로 불린다. 평균 날개 너비는 3~4.5미터에 달하며, 플랑크톤을 먹고 지능이 높아 미러 테스트를 통과하는 등 뛰어난 인지 능력을 보인다.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하며, 사람에게 해를 끼치지 않아 다이버들에게 인기가 높지만, 낮은 번식력과 남획, 해양 오염 등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쥐가오리과 - 쥐가오리속
    쥐가오리속은 열대 및 온대 기후 바다에 서식하며 플랑크톤을 여과 섭식하는 가오리류의 한 속으로, 2017년 분류 개정으로 대왕쥐가오리속이 통합되어 현재 8종의 현존하는 종과 여러 멸종된 종을 포함한다.
  • 1792년 기재된 물고기 - 연어
    연어는 태평양과 북극해에 분포하며 강에서 태어나 바다에서 성장 후 산란을 위해 다시 강으로 돌아오는 어류로, 몸 색깔이 변하고 기름지느러미가 있으며 물렁뼈 비중이 높은 골격 구조를 가진 중요한 수산 자원이지만, 개체 수 감소가 심각한 문제이다.
  • 1792년 기재된 물고기 - 돛새치
    돛새치는 몸길이가 최대 3.3m에 달하고 위턱이 뻗어 있으며 제1 등지느러미가 크게 발달한 어종으로, 체색 변화를 통해 사냥과 신호를 하며,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분포하며 육식성으로 작은 물고기나 오징어류를 먹고, 일부 지역에서 어획되거나 낚시 대상이 되기도 하며, 사육이 어려운 특징을 가진다.
  • 대서양의 물고기 - 바다칠성장어
    바다칠성장어는 턱이 없는 원구류 어류로 흡반 모양의 입으로 다른 어류의 혈액을 섭취하며, 북대서양과 서대서양, 유럽과 북미 해안에 분포하고, 강에서 유생 시기를 거쳐 바다에서 기생 생활을 한 뒤 산란을 위해 다시 강으로 돌아오는 강해성 어류이지만, 북미 오대호에서는 침입종으로 분류되어 방제 노력이 진행 중이다.
  • 대서양의 물고기 - 청어과
    청어과는 대서양과 태평양 연안에 주로 서식하는 해양 어류 분류군으로, 머리에 비늘이 없고 긴 아가미 갈퀴를 이용해 플랑크톤을 걸러 먹으며, 청어, 정어리, 멸치 등이 대표적이다.
대왕쥐가오리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자이언트 해양 쥐가오리
자이언트 해양 쥐가오리
학명Mobula birostris
명명자Walbaum, 1792
이전 학명Manta hamiltoni (Hamilton & Newman, 1849)
Manta ehrenbergii (Müller & Henle, 1841)
Raja birostris Walbaum, 1792
한국어 이름오니이토마키에이 (일본어에서 유래)
영어 이름Giant manta
Giant manta ray
분포
자이언트 해양 쥐가오리 분포도
자이언트 해양 쥐가오리 분포 범위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연골어강
매가오리목
쥐가오리과
쥐가오리속
보존 상태
IUCN 적색 목록EN (멸종 위기)
CITES부록 II
화석 기록
시기마이오세 초기 ~ 현재
참고 자료
인용Marshall, A., Barreto, R., Carlson, J., Fernando, D., Fordham, S., Francis, M.P., Derrick, D., Herman, K., Jabado, R.W., Liu, K.M., Rigby, C.L. & Romanov, E. 2020. Mobula birostris.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0: e.T198921A68632946. doi:10.2305/IUCN.UK.2020-3.RLTS.T198921A68632946.en. 2023년 2월 22일에 확인함.
UNEP (2021). Manta birostris. The Species+ Website. Nairobi, Kenya. Compiled by UNEP-WCMC, Cambridge, UK. Available at: www.speciesplus.net. 2023년 2월 22일에 확인함.
Froese, R. and D. Pauly. Editors. 2019. Mobula birostris. FishBase. World Wide Web electronic publication. www.fishbase.org, version (12/2019).
本村浩之 『日本産魚類全種目録 これまでに記録された日本産魚類全種の現在の標準和名と学名』、鹿児島大学総合研究博物館、2020年、16頁.
小学館国語辞典編集部 (2006). おにいとまきえい(鬼糸巻鱝). 日本国語大辞典 (精選 ed.). 小学館.
見坊豪紀ほか (2014). マンタ. 三省堂国語辞典 (第七 ed.). 三省堂.
Manta. Collins English Dictionary – Complete & Unabridged (11th ed.). HarperCollins Publishers. http://www.collinsdictionary.com/dictionary/english/manta
William T. White, Shannon Corrigan, Lei Yang, Aaron C. Henderson, Adam L. Bazinet, David L. Swofford, Gavin J. P. Naylor (2017년 6월 24일). Phylogeny of the manta and devilrays (Chondrichthyes: mobulidae), with an updated taxonomic arrangement for the family. Zoological Journal of the Linnaean Society.

2. 이름

대한민국에서는 이전에 보고되었던 쥐가오리보다 더 크다는 의미에서 대왕쥐가오리라는 명칭이 붙었다.[69] 영어 명칭은 자이언트 만타(Giant manta) 또는 자이언트 오시애닉 만타 레이(Giant oceanic manta ray)이며, 여기서 만타(Manta|만타es)란 단어는 스페인어로 모포나 양탄자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는 대왕쥐가오리의 신체에 양탄자 같이 넓은 가슴지느러미가 달려 있어서 붙여진 것이다.[70][71] 이 외에도 전체적인 실루엣이 악마를 닮았다 하여 데블피시(Devilfish)라고 부르기도 한다.[70]

3. 분류

대왕쥐가오리는 1792년 독일의 의사 겸 박물학자 요한 율리우스 발바움에 의해 처음 가오리속(`Raja`)으로 분류되어 Raja birostrisla라는 학명으로 보고되었다.[68] 이후 동물 분류 체계가 개편되면서 가오리속에서 분리되었고, 2017년 이전까지는 '''대왕쥐가오리속'''(Mantala)으로 분류되어 Manta birostrisla라는 학명을 사용했다. 속명 '만타'(Mantala)는 스페인어로 모포나 양탄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대왕쥐가오리의 넓은 가슴지느러미 모습에서 유래한 것이다.[70][71]

그러나 2017년 6월 24일, 윌리엄 화이트(William T. White)와 동료 연구진들이 발표한 분자생물학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왕쥐가오리속(Mantala)은 기존의 쥐가오리속(Mobulala)과 유전적으로 큰 차이가 없어 별개의 속으로 분류될 근거가 부족하다고 밝혀졌다. 이에 따라 대왕쥐가오리는 쥐가오리속으로 재분류되었으며, 학명은 Mobula birostrisla로 변경되었다.[68]

한편, 이전에는 대왕쥐가오리속(Mantala)에 Manta birostrisla 한 종만 속한다고 여겨졌으나,[45] 2009년에는 기존에 동의어로 처리되었던 Manta alfredila를 별개의 종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52] 2010년에는 일본 근해에서 Mobula birostrisla와 Manta alfredila 두 종 모두 서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당시 일본 내 3개 수족관(엡손 시나가와 아쿠아 스타디움, 오키나와 츄라우미 수족관, 가이유칸)에서 사육 중이던 대왕쥐가오리류 8마리가 모두 Manta alfredila임이 밝혀지면서, 이 종에 대해 '난요만타'라는 일본어 일반명이 제안되기도 했다.[45]

2017년에 발표된 미토콘드리아 DNA와 핵 DNA의 분자 계통 분석에서는, 쥐가오리속(Mobulala)이 대왕쥐가오리속(Mantala)을 포함해야만 하나의 완전한 계통군(단계통군)을 형성한다는 결과가 나왔다.[53] 하지만 일부 분류 체계, 예를 들어 《세계의 어류》(Fishes of the World) 제5판에서는 여전히 대왕쥐가오리속(Mantala)을 독립된 속으로 인정하고, 쥐가오리속(Mobulala)과 함께 가오리과(Myliobatidaela)로 분류하고 있다.[54]

4. 외관

펼쳐진 머리 지느러미를 가진 ''M. birostris''의 측면 모습 (코힌댕, 태국)


대왕쥐가오리는 가오리류 중에서 가장 큰 종이다.[72] 평균 날개 너비(체반 폭)는 4.5m 정도이며,[9] 최대 9m까지 자랄 수 있다.[7][8] 몸무게는 평균 약 1톤이며, 최대 3000kg에 달하는 개체도 기록되었다.[72][7][8]

몸은 등쪽에서 배쪽(아래)으로 납작한 마름모꼴이며, 몸통 양쪽에 크고 삼각형 모양의 가슴지느러미가 날개처럼 달려 있어 이를 이용해 헤엄친다.[73] 머리 앞쪽 양쪽에는 가슴지느러미에서 유래된 한 쌍의 '''두엽'''(머리지느러미)이 있다. 이 두엽은 평소에는 나선형으로 말려 있다가 먹이를 먹을 때는 앞으로 펴서 넓은 입으로 물과 함께 먹이를 모으는 역할을 한다.[73]

입은 머리 앞쪽 가장자리, 즉 정면에 위치하며,[51][47] 매우 작은 이빨이 아래턱 중앙 부분에만 18줄로 배열되어 있다. 눈과 분기공은 머리 측면, 두엽 뒤쪽에 위치하며, 아가미 갈라진 틈은 배쪽에 있다. 등에는 작은 등지느러미가 하나 있다.

꼬리는 길고 채찍 모양이지만, 다른 많은 가오리들과 달리 독가시는 없다.[74][10] 대신 꼬리 밑부분에 뭉툭한 덩어리 같은 돌출부가 있다.[10] 피부는 전반적으로 매끄러우며, 원뿔형과 능선 모양의 작은 결절들이 흩어져 있다.[11]

기본적인 몸 색깔은 등쪽(위)이 검은색, 짙은 갈색 또는 강철색 파란색이며, 배쪽은 흰색이다.[11] 등과 배에 나타나는 흰색 또는 검은색 반점과 얼룩의 패턴은 개체마다 달라 개체 식별에 사용된다.[11][45] 드물게 온몸이 검은색인 개체(블랙 만타)도 발견된다.

대왕쥐가오리는 외형상 흑가오리(암초 가오리, ''Mobula alfredi'')와 매우 유사하며, 두 종의 서식지가 겹치는 지역에서는 혼동될 수 있다. 하지만 크기, 등과 배의 무늬 패턴, 입 주변 색깔 등에서 뚜렷한 차이점을 보인다.[46][47]

4. 1. 무늬

흰색 무늬가 있는 대왕쥐가오리.


대왕쥐가오리의 등쪽 표면은 기본적으로 검은색(어두운 갈색 또는 어두운 푸른색으로도 보임) 바탕에 작은 흰색 무늬가 있다.[75][11] 일반적으로 머리 부분에는 데칼코마니처럼 한 쌍의 "후크" 형태 흰색 무늬가 있으며, 가슴지느러미 양쪽 끝에도 흰색 무늬가 존재한다.[75] 등쪽 흰색 반점의 앞쪽 가장자리는 입술에 평행하며 직선적인 형태를 띤다.[45] 입술 주변은 검은색인 경우가 많다.[45][47]

배쪽 표면은 거의 완전한 흰색이지만, 연한 검은색 무늬나 검은 반점, 얼룩이 있는 개체도 있다.[75][11] 아가미 아래쪽에 검은 무늬나 검은색 뭉텅이 반점 무늬가 나타나기도 한다.[47]

대왕쥐가오리의 무늬는 개체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어 개체 식별에 사용되며,[75][11] 특히 배쪽의 무늬가 중요한 표식이 된다.[11] 드물게 등 부분에 흰 무늬가 전혀 없어 온몸이 검은색인 개체도 관찰되는데, 이런 개체는 배 부분에도 흰색보다 검은색 무늬가 더 많이 분포하며 다이버들 사이에서는 '''블랙 만타'''라고 불린다.[75]

피부는 매끄러운 편이며 원뿔형과 능선 모양의 결절이 흩어져 있다.[11]

대왕쥐가오리(''Mobula birostris'')는 외형상 흑가오리(''Mobula alfredi'')와 유사하여 혼동될 수 있으나, 무늬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46]

특징대왕쥐가오리 (M. birostris)흑가오리 (M. alfredi)
등 무늬직선적 (T자형)[47]곡선적 (Y자형, 그라데이션 있음)[47]
입술 색검은색인 경우가 많음[45][47]흰색 또는 회색[47]
복부 무늬아가미 아래 검은 무늬, 검은색 뭉텅이 반점[47]아가미 위 포함, 성긴 반점 무늬[47]


4. 2. 암초 가오리와의 차이점



암초 가오리(''Mobula alfredi'')의 앞모습. 입 주변이 흰색인 것을 볼 수 있다.


대왕쥐가오리(''Mobula birostris'')는 겉모습이 암초 가오리(''Mobula alfredi'')와 매우 유사하여 두 종의 서식지가 겹치는 지역에서는 혼동하기 쉽다. 하지만 몇 가지 뚜렷한 차이점을 통해 두 종을 구별할 수 있다.[46]

가장 눈에 띄는 차이는 크기이다. 대왕쥐가오리는 평균 체반 폭(날개 너비)이 4.5m에 달하며, 최대 9m까지 자랄 수 있는 반면,[9][12] 암초 가오리는 평균 3m에서 3.5m 정도로 더 작다.[12] 하지만 어린 개체의 경우 크기만으로는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어 다른 외형적 특징을 함께 살펴보아야 한다.

등 부분의 색상 패턴은 두 종을 구별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대왕쥐가오리는 짙은 검은색 바탕에 어깨 부분의 흰색 무늬 경계선이 명확하여 마치 알파벳 "T"자 모양을 형성한다.[45][47] 반면, 암초 가오리는 등 쪽의 흰색 무늬 경계가 뚜렷하지 않고 그라데이션처럼 부드럽게 이어지며, 전체적으로 "Y"자 형태를 띤다.[46][47]

입 주변의 색깔도 차이가 있다. 대왕쥐가오리는 입 주변과 두엽(머리지느러미) 안쪽이 주로 검은색인 경우가 많지만,[45][47] 암초 가오리는 입 주변이 흰색 또는 회색을 띤다.[47]

배 부분의 무늬 분포에서도 차이가 나타난다. 대왕쥐가오리는 배가 흰색 바탕이며, 검은 반점들이 주로 아가미 슬릿(틈새) 주변과 복부 뒤쪽(꼬리 쪽)에 집중되어 뭉쳐 있는 경향이 있다.[47] 반면, 암초 가오리 역시 배는 흰색이지만, 검은 반점들이 아가미 슬릿 사이를 포함하여 배 전체에 비교적 성기게 흩어져 있다.[47] 이 배 쪽의 반점 패턴은 개체마다 달라 사람의 지문처럼 개체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11]

겉으로 보이지 않는 차이점으로는 이빨의 배열 형태가 있다. 대왕쥐가오리의 이빨은 아래턱 중앙부에 넓게 분포하며 비교적 촘촘하게 배열되어 서로 맞닿아 있는 반면,[45][48][49] 암초 가오리의 이빨은 더 가늘고 드문드문 배열되어 있다.[48][49] 또한, 대왕쥐가오리는 꼬리에 가시는 없지만 꼬리 밑부분에 뭉툭한 덩어리 모양의 돌기가 있다.[10]

'''대왕쥐가오리와 암초 가오리의 주요 차이점 요약'''
특징대왕쥐가오리 (Mobula birostris)암초 가오리 (Mobula alfredi)
평균 크기 (체반 폭)4.5m (최대 9m)[9][12]3m ~ 3.5m[12]
등 무늬 (어깨 부분)선명한 흰색 무늬, "T"자 형태[46][47]그라데이션이 있는 밝은 무늬, "Y"자 형태[46][47]
입술 색주로 검은색[45][47]주로 흰색 또는 회색[47]
복부 반점 분포아가미 슬릿 주변 및 복부 뒤쪽에 집중[47]아가미 슬릿 사이 포함, 복부 전체에 분산[47]
이빨 배열넓고 촘촘함[45][48][49]가늘고 드문드문함[48][49]
꼬리 가시없음 (덩어리 모양 돌기 있음)[10]없음


5. 분포 및 생태

대왕쥐가오리는 북반구남반구열대온대 해역에 걸쳐 널리 분포한다.[76] 북반구에서는 미국 캘리포니아 남부와 뉴저지주 북부, 일본 아오모리현, 이집트 시나이 반도, 북대서양의 아조레스 제도까지 기록되었으며,[2] 남반구에서는 페루, 우루과이, 남아프리카 공화국, 뉴질랜드까지 분포한다.[2] 대한민국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추자군도에서 처음 발견되었다.[69]

주로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바다에 서식하는 원양 어류이며,[77][13] 햇빛이 잘 드는 수면 가까이에서 활동하는 경우가 많다.[77] 해류를 따라 이동하며, 동물플랑크톤이 풍부한 용승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13]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대양 섬 주변이나[10] 산호초 주변에서도 발견되며,[45] 평소에는 외양의 표층을 유영하지만 연안에서도 관찰된다.[45] 한 지역에 머물지 않고 먹이를 찾아 먼 거리를 이동한다.[77]

대왕쥐가오리는 주로 플랑크톤과 같은 미세 생물을 아가미로 걸러 먹으며,[77] 몸에 붙은 기생충을 제거하기 위해 산호초 근처의 특정 장소를 찾아 다른 물고기들에게 청소를 받기도 한다.[80]

1979년부터 2009년까지 오키나와 츄라우미 수족관과 가이유칸오키나와현고치현에서 채집·기록한 대왕쥐가오리류 35개체 중, 대왕쥐가오리(Mobula birostrisla)는 4개체뿐이었다는 기록도 있다.[45]

5. 1. 먹이

대왕쥐가오리는 이빨이 작은 대신 커다란 입과 먹이를 걸러낼 수 있는 아가미를 이용하여 플랑크톤과 같은 미세 생물을 걸러서 먹는다.[77] 주요 먹이는 동물플랑크톤으로, 요각류, 갯가재, 새우, 크릴, 십각류 유충 등이 있으며, 때로는 다양한 크기의 작은 물고기를 사냥하기도 한다.[18]

먹이를 찾을 때는 주로 직선으로 유영하거나[78], 먹이 주변을 천천히 헤엄치며 플랑크톤을 좁은 무리로 몰아넣은 다음, 입을 크게 벌린 채 뭉쳐진 먹이 떼를 빠르게 통과하는 방식으로 섭취한다.[19] 먹이를 먹는 동안에는 머리지느러미를 펼쳐 먹이를 입으로 유도하고, 아가미 아치 사이의 조직을 이용해 물에서 작은 입자들을 걸러낸다.[19] 때로는 수중제비를 돌면서 먹이를 섭취하기도 하며[78], 빠른 속도로 여러 번 공중제비를 돌듯이 상하 방향으로 선회하기도 한다. 이때 큰 입으로 해수와 함께 플랑크톤을 빨아들인 뒤, 아가미로 플랑크톤만 걸러내고 여분의 해수는 아가미 틈새로 배출한다.

연구에 따르면, 대왕쥐가오리 먹이의 약 73%는 물고기를 포함한 중층(심해)에서 얻어지며,[20] 나머지 약 27%는 표층 근처에서 여과 섭식을 통해 얻는 것으로 추정된다.[19][20] 먹이가 풍부한 곳에서는 최대 50마리의 대왕쥐가오리가 모여 함께 먹이를 먹기도 한다.[11] 대왕쥐가오리처럼 미세 생물을 걸러 먹고 사는 고래상어와 함께 발견되기도 한다.[79]

5. 2. 청소

"청소 구역"에 있는 대왕쥐가오리.


대왕쥐가오리는 몸에 붙은 기생충을 제거하기 위해 산호초 근처에 있는 "청소 구역"(cleaning station영어)을 방문한다.[21][80] 이곳에서 주로 청소놀래기속에 속하는 물고기들이 대왕쥐가오리의 피부에 붙은 기생충이나 느슨해진 피부 조각을 먹으며 청소를 한다.[80][21] 청소를 받는 동안 대왕쥐가오리는 몇 분 동안 거의 움직이지 않는 자세를 취하며,[21] 이러한 청소 활동은 주로 만조 때 이루어진다.[80][21] 빨판상어는 대왕쥐가오리가 청소 구역을 떠나 이동할 때도 함께 붙어 다니는 경우가 많다.[80]

5. 3. 지능

대왕쥐가오리는 지능이 매우 높은 어류이며, 뇌화 지수가 높고 어류 중에서는 가장 지능이 발달한 종 중 하나로 여겨진다.[57] 뇌의 무게는 최대 200g에 달하며, 이는 고래상어의 약 5배에서 10배 더 큰 크기로 어류나 변온동물 중에서는 최대 규모의 뇌 질량에 해당한다.[26][58] 또한 뇌로 가는 혈액을 데우는 능력이 있다.[26]

특히 대왕쥐가오리는 미러 테스트(Mirror test)를 통과한 최초의 어류로 알려져 있다.[81][26] 2016년 사우스 플로리다 대학교에서 진행된 실험에서 대왕쥐가오리는 거울 앞에서 자신을 의식하는 듯한 행동을 보였다. 거울 주위를 맴돌거나 지느러미를 반복적으로 움직였으며, 거울을 향해 공기방울을 내뿜기도 했다.[81] 이러한 행동은 대왕쥐가오리가 거울 속의 상을 다른 개체와 구별하고, 자아 인식 능력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26][59]

5. 4. 번식

대왕쥐가오리는 봄과 가을에 수면 위로 뛰어오르는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정확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번식과 관련된 행동으로 추측된다.[82] 연안 지역에서는 번식을 위해 무리를 지어 모이는 것으로 생각된다.[55]

수컷은 가슴지느러미 너비가 약 4m일 때, 암컷은 약 5m 너비가 되어야 번식이 가능하다.[23] 번식기가 되면 한두 마리의 수컷이 암컷을 뒤쫓는 '짝짓기 열차'를 형성하기도 한다.[23] 짝짓기는 수컷이 암컷의 뒤꽁무니를 뒤쫓으며 시작되는데, 때로는 암컷을 공격하는 듯한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83][84] 수컷은 암컷의 가슴지느러미 한쪽을 입으로 물고 배를 서로 맞댄 자세에서 교미기를 암컷의 총배설강에 삽입하여 교미한다.[83][84][23] 이 때문에 암컷의 지느러미 끝에는 수컷의 이빨 자국이 남아있는 경우가 많다.[55] 짝짓기는 몇 분간 지속된 후 서로 떨어진다.[23]

대왕쥐가오리는 난태생으로 번식한다.[85][25] 수정된 알은 어미의 수란관 안에서 난각에 싸인 채 발달하며, 배아는 처음에는 노른자를 통해 영양분을 얻는다.[85][25] 노른자가 소진되면 어미의 자궁에서 분비되는 우유빛의 영양액(조직영양)을 통해 추가 영양을 공급받는다.[85][25] 어미와 태반으로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새끼는 아가미를 통한 구강 펌핑에 의존하여 산소를 공급받는다.[86][24]

임신 기간은 약 12~13개월이다.[73][85][25] 한 번에 보통 한 마리, 드물게 두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73][85][25] 이는 백상아리와 함께 어류 중 가장 적은 수이다. 갓 태어난 새끼는 날개 너비가 약 1.4m, 몸무게는 약 9kg 정도이며, 성체와 거의 같은 모습이다.[73][85][11][25] 출산은 주로 해안가에서 이루어지며, 새끼는 성장할 때까지 몇 년 동안 얕은 바다에서 지낸다.[73][85][11][25] 암컷은 2~3년에 한 번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25] 성적으로 성숙하는 데는 10년에서 20년 정도 걸린다.[46]

6. 사람과의 관계

다이버와 만난 대왕쥐가오리.


사람에게 해를 입히지 않고 온순하여 다이버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호기심이 많아 사람을 잘 따르기도 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다이버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은 어종이다. 특정 서식지에서는 비교적 쉽게 만날 수 있어 다이빙 경험이 적은 사람도 대왕쥐가오리와 함께 유영하는 경험을 할 수 있다.

오키나와 츄라우미 수족관에서 사육되고 있는 대왕쥐가오리


거대한 크기 때문에 사육을 위해서는 매우 넓은 공간이 필요하지만, 수족관 기술 발달로 대형 수조를 갖춘 곳에서 사육 및 전시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일본의 추라우미 수족관과 가이유칸 등이 있으며, 추라우미 수족관에서는 사육 개체가 번식에 성공한 기록도 있다.[87] 과거 수족관에서 사육되던 개체는 대부분 근연종인 쥐가오리류(''M. alfredi'')로 여겨졌으나, 2018년 11월 오키나와 츄라우미 수족관은 세계 최초로 대왕쥐가오리(''M. birostris'')의 사육 및 전시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61][62][63] 당시 가슴지느러미 폭이 4.6m에 달하는 개체를 수족관으로 옮기기 위해 특수 제작한 수조를 이용하고, 반년 이상 이동용 가두리에서 적응시키는 등 세심한 과정을 거쳤다.[64][65][66][67] 이 외에도 프랑스의 노시카 국립 해양 센터(Nausicaä Centre National de la Mer)와 싱가포르 리조트 월드 센토사의 해양 생물 공원(Marine Life Park)에서도 전시 및 사육된 바 있다.[14][15][16][17]

한편, 큰 몸집과 느린 이동 속도, 해수면 가까이에서 활동하는 습성 때문에 어획 및 밀렵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38] 특히 아가미 덮개 등이 특정 지역에서 약재로 거래되면서 상업적 포획 압력이 증가했다.[76] 또한 다른 어종을 대상으로 한 어업 과정에서 혼획되거나 상어 방지용 그물에 걸려 죽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러한 요인들은 낮은 번식력과 맞물려 대왕쥐가오리의 개체 수를 위협하고 있으며,[38] 이로 인해 2013년 워싱턴 조약(CITES) 부속서 II에 등재되어 국제 거래가 규제되고 있다.[39]

6. 1. 위협

소코로 섬의 ''M. birostris''


소코로 섬의 ''M. birostris''(멜라닌 과다)


온순한 성격과 거대한 덩치 때문에 밀렵의 대상이 되기 쉽다. 필리핀, 멕시코, 모잠비크, 마다가스카르, 인도, 스리랑카, 브라질, 탄자니아, 인도네시아 등 여러 아열대 지방 국가에서 대왕쥐가오리의 지느러미, 피부, 간, 살, 아가미 덮개 등을 얻기 위해 어부들에 의해 잡히고 있다.[38] 특히 중국에서는 아가미 덮개(아가미갈퀴)가 전통 의약품의 재료로 가공되어 '펑위사이'(pengyusai)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면서 수요가 증가했다.[76][32][33] 1970년대 이후 아가미갈퀴의 가격은 킬로그램당 최대 400USD까지 상승했으며,[33][31] 이는 면역력 증진과 혈액 순환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효능에 대한 강력한 과학적 증거는 부족하다.[32] 이러한 상업적 목적의 어업 증가는 동남아시아와 동아프리카 등지에서 자급자족 어업을 상업 어업으로 변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38]

과도한 어획과 밀렵으로 인해 대왕쥐가오리의 개체수는 지난 20년간 급격히 감소했다.[30] 특히 낮은 번식력(한 번에 주로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 긴 임신 기간과 늦은 성적 성숙) 때문에 한번 줄어든 개체수가 회복되기 매우 어렵다.[30][38] 이러한 이유로 2011년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대왕쥐가오리를 IUCN 적색 목록의 '''취약'''(VU, Vulnerable) 등급으로 분류하며 개체수 감소를 경고했다.[76][30] 또한 2013년에는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 부속서 II에 등재되어 국제 거래가 규제되고 있다.[39] 뉴질랜드 보존부는 2018년 6월, 뉴질랜드 위협 분류 시스템에 따라 대왕쥐가오리를 "해외 위협"이라는 한정사와 함께 "자료 부족"으로 분류했다.[34]

목표 어획 외에도 참치 등 다른 어종을 잡기 위한 어업 과정에서 혼획(bycatch)되는 경우도 많다. 특히 얕은 물에서 먹이를 먹는 습성 때문에 표층 유자망이나 저층 고정망, 상어 방지용 그물 등에 걸려 죽는 경우가 발생한다.[29][38]

환경 오염 역시 심각한 위협 요인이다. 미세 플라스틱을 먹이인 플랑크톤과 함께 섭취할 위험이 크다. 2019년 인도네시아 산호 삼각지대에서 수행된 연구에 따르면, 대왕쥐가오리는 정기적으로 미세 플라스틱을 섭취하며, 이는 플라스틱 자체뿐만 아니라 플라스틱에 흡착된 디클로로-디페닐-트리클로로에탄(DDTs)이나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와 같은 잔류성 유기 오염물질 축적으로 이어져 장기적으로 생식 적합도 저하 등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35] 또한 생물 축적을 통해 비소, 카드뮴, 수은과 같은 중금속이 몸 안에 쌓이는 문제도 있다. 가나에서 수행된 연구에서 6마리의 ''M. birostris'' 사체 조직 샘플을 분석한 결과, 모든 개체에서 높은 농도의 비소(약 0.155–2.321 μg/g)와 수은(약 0.001–0.006 μg/g)이 검출되었다. 이는 인간 활동으로 인한 오염이 대왕쥐가오리에게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사례이며, 대왕쥐가오리 자체의 건강뿐 아니라 이를 섭취하는 인간에게도 해를 끼칠 수 있다.[36]

이 외에도 연안 개발로 인한 어린 개체의 성장 장소 파괴, 해양 오염, 원유 유출, 선박과의 충돌 등도 개체수를 위협하는 요인이다.[38]

기후 변화와 기온 상승으로 전 세계 식물성 플랑크톤 개체수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열대 지역에서는 그 감소 폭이 클 수 있다. 이는 대왕쥐가오리의 주 먹이 감소로 이어져 개체수 감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37]

자연 상태에서는 큰 몸집과 빠른 속도(시속 24km)[27] 덕분에 천적이 많지 않지만, 뱀상어(뱀상어, ''Galeocerdo cuvier''), 귀상어(''Sphyrna mokarran''), 황소상어(''Carcharhinus leucas''), 돌고래, 거짓범고래(''Pseudorca crassidens''), 범고래(''Orcinus orca'') 등이 포식자로 알려져 있다. 성체 대부분은 상어에게 공격당한 상처를 가지고 있을 정도로 비치명적인 공격은 흔하게 발생한다.[28]

참조

[1] 논문 A compendium of fossil marine animal genera (Chondrichthyes entry) http://strata.ummp.l[...] 2008-01-09
[2] 간행물 "Mobula birostris" 2023-05-05
[3] 웹사이트 Appendices https://cites.org/en[...] 2022-01-14
[4] 웹사이트 Mantas at a Glance http://www.mantatrus[...] The Manta Trust 2012-04-04
[5] 논문 Phylogeny of the manta and devilrays (Chondrichthyes: Mobulidae), with an updated taxonomic arrangement for the family 2018-01-01
[6] 논문 Evolutionary pathways toward gigantism in sharks and rays https://cronfa.swan.[...]
[7] 웹사이트 Giant Manta Ray caught in Batticaloa - Sri Lanka Latest News https://www.newsfirs[...] 2019-02-09
[8] 논문 Sizing ocean giants: patterns of intraspecific size variation in marine megafauna 2015-01-13
[9] 웹사이트 Mantas at a Glance http://www.mantatrus[...] Manta Trust 2016-12-15
[10] Webarchive Field guide to the identification of Mobulid rays (Mobulidae) http://www.mantatrus[...] Manta Trust
[11] 웹사이트 Biological profiles: Manta birostris http://www.flmnh.ufl[...] Florida Museum of Natural History 2013-09-14
[12] 웹사이트 Mantas at a Glance http://www.mantatrus[...] 2016-07-19
[13] 논문 Seasonal occurrences of Manta birostris (Chondrichthyes: Mobulidae) in southeastern Brazil
[14] 웹사이트 LA GRANDE RAIE-MANTA https://www.nausicaa[...] Nausicaä Centre National de la Mer 2021-12-29
[15] 웹사이트 オニイトマキエイ https://churaumi.oki[...] 美ら海生き物図鑑 2021-12-29
[16] 뉴스 Singapore Academy of Corporate Management - Singapore Marine Life Park http://singapore-aca[...] 2018-01-09
[17] 웹사이트 Top 5 Things to Do on Sentosa Island http://www.marinabay[...] 2018-01-09
[18] 웹사이트 Giant Manta Ray https://www.fisherie[...] 2021-11-11
[19] 서적 Sharks, Rays and Chimaeras of Californ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 웹사이트 Giant rays shown to be predators of the deep https://phys.org/new[...] 2019-02-09
[21] 논문 When giants turn up: sighting trends, environmental influences and habitat use of the manta ray Manta alfredi at a coral reef
[22] 논문 Paired-laser photogrammetry as a simple and accurate system for measuring the body size of free-ranging manta rays Manta alfredi
[23] 논문 Observations of mating behavior of the manta ray, Manta birostris, at the Ogasawara Islands, Japan
[24] 논문 Live-bearing manta ray: how the embryo acquires oxygen without placenta and umbilical cord
[25] 논문 Reproductive ecology of the reef manta ray Manta alfredi in southern Mozambique
[26] 웹사이트 Manta ray brainpower blows other fish out of the water https://oceana.org/b[...] 2019-02-09
[27] 웹사이트 Natural Predation http://www.mantatrus[...] Manta Trust 2016-12-15
[28] 논문 The frequency and effect of shark-inflicted bite injuries to the reef manta ray Manta alfredi
[29] 논문 Reverse diel vertical movements of oceanic manta rays off the northern coast of Peru and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2021
[30] 웹사이트 Manta Fisheries http://www.mantatrus[...] Manta Trust 2016-12-15
[31] 웹사이트 Turning the tide for devil rays https://www.iucn.org[...] 2021-12-03
[32] 웹사이트 Gill Plate Trade http://www.mantatrus[...] Manta Trust 2016-12-15
[33] 논문 Characterization of the trade in manta and devil ray gill plates in China and South-east Asia through trader surveys 2017
[34] 서적 Conservation status of New Zealand chondrichthyans (chimaeras, sharks and rays), 2016 https://www.doc.govt[...] Department of Conservation
[35] 논문 Microplastics on the Menu: Plastics Pollute Indonesian Manta Ray and Whale Shark Feeding Grounds 2019
[36] 논문 Analysis and Human Health Risk Assessment of Arsenic, Cadmium, and Mercury in ''Manta birostris'' (Manta Ray) Caught Along the Ghanaian Coastline https://doi.org/10.1[...] 2009-10-01
[37] 웹사이트 Mantas in a Climate Crisis https://www.mantatru[...] 2021-12-03
[38] 간행물 Mobula birostris https://doi.org/10.2[...]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0
[39] 웹사이트 Manta birostris https://www.speciesp[...] UNEP 2021
[40] 웹사이트 Mobula birostris https://www.fishbase[...] 2019
[41] 서적 日本産魚類全種目録 これまでに記録された日本産魚類全種の現在の標準和名と学名 鹿児島大学総合研究博物館 2020
[42] 서적 日本国語大辞典 小学館
[43] 서적 三省堂国語辞典 三省堂
[44] 논문 Manta http://www.collinsdi[...] HarperCollins Publishers
[45] 논문 南日本におけるオニイトマキエイ属(Genus ''Manta'')2種の記録と分類,同定および標準和名の提唱 日本板鰓類研究会 2010
[46] 웹사이트 Mantas at a Glance Manta Trust http://www.mantatrus[...] 2016-07-19
[47] 웹사이트 WHAT ARE MOBULID RAYS? https://www.mantatru[...]
[48] 웹사이트 動物分類学 理学部 遠藤広光 https://www.kochi-u.[...] 高知大学 2023-02-22
[49] 웹사이트 Redescription Of The Genus Manta With Resurrection Of Manta Alfredi (Krefft, 1868) (Chondrichthyes; Myliobatoidei; Mobulidae) https://www.research[...]
[50] 웹사이트 板鰓類研究会報 第 27 号 http://www.jses.info[...] 板鰓類研究会 2017-04-20
[51] 웹사이트 Shark Fact Friday #8: Will the real mobula ray please stand up? https://usa.oceana.o[...]
[52] 논문 Redescription of the genus Manta with resurrection of Manta alfredi (Krefft, 1868) (Chondrichthyes; Myliobatoidei; Mobulidae) 2009
[53] 논문 Phylogeny of the manta and devilrays (Chondrichthyes: mobulidae), with an updated taxonomic arrangement for the family 2018
[54] 서적 Family Myliobatidae John Wiley & Sons, Inc. 2016
[55] 웹사이트 Copulation https://www.mantatru[...]
[56] 웹사이트 Live-bearing manta ray: how the embryo acquires oxygen without placenta and umbilical cord https://www.ncbi.nlm[...]
[57] 서적 サメ・ガイドブック 阪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2008
[58] 웹사이트 Manta ray brainpower blows other fish out of the water https://oceana.org/b[...]
[59] 웹사이트 Manta ray brainpower blows other fish out of the water https://oceana.org/b[...] 2021-06-15
[60] 웹사이트 【魚類】海洋生物レッドリスト https://www.env.go.j[...] 環境省 2023-02-22
[61] 웹사이트 世界最大のエイ「ジャイアントマンタ」公開 https://churaumi.oki[...] 美ら海水族館 2023-02-22
[62] 뉴스 最大エイ飼育成功 ジャイアントマンタ 美ら海水族館、世界初 https://ryukyushimpo[...] 2018-11-29
[63] 뉴스 ジャイアントマンタ、優雅に 美ら海水族館が飼育成功 https://www.asahi.co[...] 2018-12-01
[64] 웹사이트 美ら海生き物図鑑 オニイトマキエイ https://churaumi.oki[...]
[65] 웹사이트 沖縄美ら海水族館年報 第 15 号 https://churaumi.oki[...]
[66] 뉴스 Visitors wowed as Okinawa aquarium becomes world's first to exhibit giant oceanic manta ray https://www.japantim[...]
[67] 뉴스 特注の水槽は大きすぎて… ジャイアントマンタ搬送に難関次々 半年かけ成功 https://www.okinawat[...] 2018-11-28
[68] 저널 Phylogeny of the manta and devilrays (Chondrichthyes: mobulidae), with an updated taxonomic arrangement for the family
[69] 서적 현산어보를 찾아서 5
[70] 웹인용 Common names of Manta birostris http://www.fishbase.[...]
[71] 웹인용 Manta https://www.collinsd[...] ''HarperCollins Publishers'' 2017-08-09
[72] 웹인용 Mantas at a Glance http://www.mantatrus[...] 2017-08-09
[73] 웹인용 Biological profiles: Manta birostris https://www.floridam[...] 2017-08-09
[74] 웹인용 Field guide to the identification of Mobulid rays (Mobulidae) http://www.mantatrus[...] 2017-08-09
[75] 웹인용 Spot the Difference: Patterning & Morphs http://www.mantatrus[...] 2017-08-09
[76] 웹인용 "Manta birostris" http://www.iucnredli[...] 2011
[77] 논문 Seasonal occurrences of Manta birostris (Chondrichthyes: Mobulidae) in southeastern Brazil 2009
[78] 웹인용 Feeding Frenzy: Manta Rays in the Maldives (동영상) https://www.youtube.[...] 2017-08-09
[79] 뉴스 Drone Captures Aerial Footage Of Whale Shark And Manta Ray Feeding Frenzy https://www.thedodo.[...] 2017-08-09
[80] 논문 When giants turn up: sighting trends, environmental influences and habitat use of the manta ray Manta alfredi at a coral reef 2012
[81] 뉴스 Manta rays are first fish to recognise themselves in a mirror https://www.newscien[...] 2017-08-09
[82] 논문 Biology of the manta ray Manta birostris Walbaum, in the Indo-Pacific 1999
[83] 논문 Observations of mating behavior of the manta ray, Manta birostris, at the Ogasawara Islands, Japan 1999
[84] 웹인용 "Manta birostris" http://www.fishbase.[...] 2017-08-09
[85] 논문 Reproductive ecology of the reef manta ray Manta alfredi in southern Mozambique 2010
[86] 논문 Live-bearing manta ray: how the embryo acquires oxygen without placenta and umbilical cord 2012
[87] 웹인용 Behind the scenes with the Churaumi Aquarium Mantas http://www.mantatrus[...] 2017-08-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