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전광역시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전광역시청은 대전광역시의 행정 사무를 총괄하는 기관이다. 1999년 완공된 청사는 지하 2층, 지상 21층 규모이며, 시장, 행정부시장, 경제과학부시장 아래 여러 실, 국, 본부, 담당관실, 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산하에는 대전광역시 소방본부, 대전광역시인재개발원 등 직속기관과 여러 사업소를 두고 있으며, 5개의 자치구를 관할한다. 2022년 총예산은 6조 3651억 8600만 원으로, 일반 공공 행정, 사회 복지, 교통 및 물류 등 다양한 분야에 투입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전광역시청 - 대전광역시장
    대전광역시장은 대전광역시의 행정을 책임지는 최고 책임자로, 1949년 충청남도 대전시장으로 시작하여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1995년부터 주민 직선으로 선출되는 민선 시장이 운영되고 있다.
  • 대전광역시청 - 대전예술의전당
    대전예술의전당은 대전광역시의 대표적인 공연 시설로 아트홀과 앙상블홀을 갖추고 다양한 장르의 공연을 선보이며, 대전시립 예술단체의 상주 공연과 공연 기획 및 무대 기술 지원을 통해 지역 문화 예술 발전에 기여한다.
  • 대전 서구 소재의 관공서 - 대한민국 특허법원
    대한민국 특허법원은 특허, 실용신안, 디자인, 상표, 종자 관련 사건을 전담하는 고등법원급 법원으로서 특허청과 농림수산식품부 소관 사건을 전속 관할하며, 특허심판원 또는 품종보호심판위원회의 심결에 대한 불복 소송을 통해 특허 관련 소송을 2심제로 운영한다.
  • 대전 서구 소재의 관공서 - 대전지방법원
    대전지방법원은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를 관할하는 지방법원으로, 1895년 공주재판소로 설치되어 1938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본원은 대전 서구 둔산동에 위치하고 5개의 지원과 여러 시·군법원 및 등기소를 두며 2031년 세종지방법원이 분리 신설될 예정이다.
  • 대한민국의 시도교육청 -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은 서울특별시의 교육 행정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교육감과 부교육감을 중심으로 실·국과 직속기관 및 교육지원청으로 구성되어 교육 연구, 정보 제공, 학생 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교원 평가 및 학생 관리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교육청 - 부산광역시의회
    부산광역시의회는 의장, 부의장, 상임위원회, 특별위원회 등을 통해 부산 시정을 심의하고 감독하는 자치입법기관으로, 의회사무처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며, 역대 의장들은 다양한 정당 소속으로 구성되어 왔다.
대전광역시청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대전광역시청
영어명Daejeon Metropolitan City Hall
대전광역시청사
대전광역시청사
설립일1989년 1월 1일
전신대전직할시청
모토대한민국 과학수도 일류 경제도시 대전
소재지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로 100 (둔산동)
직원1,639명
예산6조 3651억 8600만 원
웹사이트대전광역시청
주요 인사
기관장이장우
기관장 직책시장
기관장2 성명이택구
기관장2 직책행정부시장
기관장3 성명이석봉
기관장3 직책경제과학부시장
조직
산하기관조직

2. 청사

大田廣域市廳舍중국어는 1995년 3월부터 1999년 11월까지 공사가 진행되어 완공되었다.[1] 청사 면적은 68908.4m2이고, 지하 2층, 지상 21층, 연면적 87213.4m2 규모이다.[1] 주차는 옥외 263대, 옥내 546대로 총 809대를 주차할 수 있다.[1]

대전광역시청 청사 정보
구분내용
면적68908.4m2
규모지하 2층, 지상 21층 (연면적 87213.4m2)
주차 대수총 809대 (옥외 263대, 옥내 546대)
공사 기간1995년 3월 ~ 1999년 11월


3. 조직

대전광역시청은 시장, 행정부시장, 경제과학부시장 아래 여러 실, 국, 본부, 담당관실, 과 등으로 구성되어 시민의 안전과 복지, 경제 성장과 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다양한 업무를 수행한다.[4]

시장 산하 하부조직
홍보담당관실[4]소방본부대전광역시 감사위원회[4]
대전광역시자치경찰위원회 사무국
자치경찰총괄과자치경찰정책과
행정부시장 산하 하부조직
인사혁신담당관실기획조정실
정책기획관실
시민안전실
균형발전담당관실예산담당관실법무규제담당관실
도시브랜드담당관실성인지정책담당관실정보화담당관실
행정자치국문화관광국시민체육건강국
운영지원과자치분권과소통정책과
세정과회계과통합민원과
문화예술과문화유산과관광진흥과
문화콘텐츠과교육도서관과체육진흥과
건강보건과감염병관리과식의약안전과
복지국환경녹지국교통건설국
복지정책과노인복지과장애인복지과
청년정책과여성가족청소년과아동보육과
기후환경정책과미세먼지대응과맑은물정책과
산림녹지과도시공원과자원순환과
생태하천과교통정책과보행자전거과
버스정책과운송주차과건설도로과
철도광역교통본부도시주택국
도시철도정책과트램건설과철도광역교통과
도시계획과도시재생과도시정비과
건축경관과주택정책과토지정보과
경제과학부시장 산하 하부조직
전략사업추진실경제과학국
산업정책과특화산업과스마트도시과
산업입지과기업투자유치과창업진흥과
일자리경제과과학협력과소상공정책과
에너지정책과농생명정책과


3. 1. 시장 직속 조직

홍보담당관실[4]

소방본부는 시민의 안전을 위한 소방, 구조, 구급 업무를 담당하며 소방행정과, 예방안전과, 화재대응조사과, 구조구급과, 119종합상황실, 119특수구조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전광역시 감사위원회[4]

대전광역시자치경찰위원회는 사무국과 자치경찰총괄과, 자치경찰정책과를 통해 시민 생활과 밀접한 치안 관련 업무를 수행한다.

3. 2. 행정부시장 산하 조직

실·국담당관실·과
colspan=2 |인사혁신담당관실
기획조정실정책기획관실균형발전담당관실ㆍ예산담당관실ㆍ법무규제담당관실ㆍ도시브랜드담당관실ㆍ성인지정책담당관실ㆍ정보화담당관실
시민안전실안전정책과ㆍ재해예방과ㆍ사회재난과ㆍ자연재난과ㆍ민생사법경찰과
행정자치국운영지원과ㆍ자치분권과ㆍ소통정책과ㆍ세정과ㆍ회계과ㆍ통합민원과
문화관광국문화예술과ㆍ문화유산과ㆍ관광진흥과ㆍ문화콘텐츠과ㆍ교육도서관과
시민체육건강국체육진흥과ㆍ건강보건과ㆍ감염병관리과ㆍ식의약안전과
복지국복지정책과ㆍ노인복지과ㆍ장애인복지과ㆍ청년정책과ㆍ여성가족청소년과ㆍ아동보육과
환경녹지국기후환경정책과ㆍ미세먼지대응과ㆍ맑은물정책과ㆍ산림녹지과ㆍ도시공원과ㆍ자원순환과ㆍ생태하천과
교통건설국교통정책과ㆍ보행자전거과ㆍ버스정책과ㆍ운송주차과ㆍ건설도로과
철도광역교통본부도시철도정책과ㆍ트램건설과ㆍ철도광역교통과
도시주택국도시계획과ㆍ도시재생과ㆍ도시정비과ㆍ건축경관과ㆍ주택정책과ㆍ토지정보과


3. 3. 경제과학부시장 산하 조직

대전광역시청의 경제과학부시장 산하에는 전략사업추진실과 경제과학국이 있다.

'''전략사업추진실'''은 지역 경제 발전을 위한 전략 사업을 추진하며, 주요 업무는 산업 정책, 특화 산업, 스마트 도시, 산업 입지, 기업 투자 유치, 창업 진흥 등이다.[4] 산하에는 산업정책과, 특화산업과, 스마트도시과, 산업입지과, 기업투자유치과, 창업진흥과를 두고 있다.

'''경제과학국'''은 경제 활성화 및 과학 기술 발전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며, 주요 업무는 일자리 경제, 과학 협력, 소상공 정책, 에너지 정책, 농생명 정책 등이다.[4] 산하에는 일자리경제과, 과학협력과, 소상공정책과, 에너지정책과, 농생명정책과를 두고 있다.

3. 4. 직속기관

대전광역시인재개발원은 공무원 교육 훈련을 담당한다. 대전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은 시민 건강과 환경 보전을 위한 연구 및 검사 업무를 수행한다. 대전광역시농업기술센터는 농업 기술 개발 및 보급을 통해 농업 경쟁력 강화를 지원한다. 소방본부 산하에 동부소방서, 둔산소방서, 대덕소방서, 유성소방서, 서부소방서를 두고 있다.

3. 5. 사업소

4. 산하 자치단체

대전광역시는 5개의 자치구를 두고 있다.


5. 정원

대전광역시청의 지방공무원 정원은 다음과 같다.[2]

구분총계
총계1,639명
정무직 계3명
시장1명
위원장1명
사무국장1명
일반직 계1,433명
1급 이하 2급 이상2명
3급 이하 5급 이상365명
6급 이하1,065명
전문경력관1명
별정직 계12명
1급 상당 이하 2급 상당 이상1명
3급 상당 이하 5급 상당 이상6명
6급 상당 이하5명
연구직 계4명
연구사4명
소방직 계187명
소방정6명
소방령 이하181명


6. 재정

2022년 대전광역시청의 총예산은 전년도에 비해 12.03% 증가한 6조 3.651조 86억이다.[3] 주요 세입 재원은 다음과 같다.

구분세입예산
지방세 수입2조 3990억 42.39억 800만
세외 수입2.039조 31.57억 800만
지방교부세1조 1.586조 73억
보조금1조 8.58조 3.93억 400만
지방채2.339조
보전 수입 등 및 내부 거래5.635조 53.09억



예산은 다음과 같은 분야에 사용된다.

분야부문세출예산
행정일반공공행정6.718조 12.04억 900만
입법 및 선거관리580억 68.75억 400만
지방행정·재정지원5.258조 24.33억 200만
일반행정1.401조 18.96억 300만
공공질서 및 안전경찰490억 96.89억 300만
재난방재·민방위4490억 51.23억 200만
소방2.108조 69.08억 200만
교육유아 및 초중등교육3.873조 11.43억 200만
문화 및 관광문화예술1.045조 25.1억 100만
관광1410억 79.73억 300만
체육1.04조 47.97억 200만
문화재1600억 64.12억 100만
환경상하수도·수질960억 59.9억 200만
폐기물1.189조 46.69억
대기1.205조 38.9억 200만
자연1580억 96.12억 200만
환경보호일반670억 94.63억 400만
사회복지기초생활보장6.432조 85.02억 200만
취약계층지원3.116조 34.19억 800만
보육·가족 및 여성6.33조 41.6억 700만
노인·청소년6.632조 95.73억 400만
노동2320억 43.73억 800만
보훈1150억 46.55억 600만
주택8810억 97.96억 100만
사회복지일반3960억 95.2억 700만
보건보건의료1.04조 35.94억 900만
식품의약안전330억 38.49억 500만
농림해양수산농업·농촌2480억 93.92억 800만
임업·산촌1000억 45.63억 600만
산업·중소기업에너지산업금융지원1370억 56.54억 600만
무역 및 투자유치3290억 53.64억
산업진흥·고도화1.316조 13.57억 700만
에너지 및 자원개발3960억 63.82억 200만
산업·중소기업일반1.816조 53.88억 100만
교통물류도로1.222조 39.99억 400만
도시철도1.175조 2.49억
대중교통·물류 등 기타2.629조 16.19억 700만
국토 및 지역 개발수자원3520억 8.07억 400만
지역 및 도시1.974조 56.71억 700만
산업단지2750억 27.51억 800만
과학기술과학기술연구지원6370억 30.88억 500만
과학기술일반1680억 35.62억 500만
예비비예비비2490억 97.62억 100만
기타기타4.03조 99.51억 700만


참조

[1] 문서 국가직 제외
[2] 조례 대전광역시 행정기구 및 정원 조례 시행규칙 별표 2
[3] 웹인용 세입세출예산서 https://www.daejeon.[...] 2022-12-04
[4] 문서 개방형 직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