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내 인종차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내 인종차별은 한국의 역사, 사회적 맥락, 정부 정책, 교육, 그리고 이민자에 대한 태도와 관련된 다양한 측면에서 나타난다. 한국의 강한 민족주의는 역사적 배경과 1997년 외환 위기 등 특정 사건을 거치면서 이민자와 외국인에 대한 차별적 태도를 형성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정부는 외국인 근로자 고용 등에 관한 법률과 다문화가족 지원법을 통해 이민자의 권리를 보호하려는 노력을 기울였으나, 반차별법 부재, 교육 현장에서의 차별, 그리고 특정 인종 및 집단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외국인에 대한 차별적인 정책이 시행되면서 논란이 일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라별 인종주의 - 미국의 인종차별
미국의 인종차별은 다양한 인종과 민족을 대상으로 역사적으로 나타났으며 현대 사회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지속되고 있어, 이에 대응하기 위한 사회적, 정치적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 나라별 인종주의 - 러시아 안에서의 인종차별
러시아 안에서의 인종차별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소수 민족에 대한 차별이 존재해왔으며 외국인 혐오가 심화되는 경향을 보이는 러시아 사회의 인종차별과 혐오를 다루는 문서이다. - 대한민국의 인종주의 - 일베저장소
일베저장소는 디시인사이드 코미디 프로그램 갤러리에서 시작된 온라인 커뮤니티로, 혐오 표현과 극우 성향의 정치적 입장을 특징으로 하며 사회적 갈등과 윤리적 문제점을 야기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 대한민국의 인종주의 - 네이트 판
네이트 판은 2006년 네이트닷컴 게시판으로 시작하여 여러 변화를 거쳐 현재의 온라인 커뮤니티 형태를 갖추었으며, 사용자들은 다양한 주제 토론과 경험 공유를 통해 소통하고 특히 톡톡 섹션은 활발한 참여로 큰 규모를 자랑한다. - 한국 국민주의 - 한국의 민족주의
한국의 민족주의는 순혈주의에 기반한 방어적 민족주의 성격을 띠며, 역사적 배경과 이념 대립 속에서 형성되었으나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며 비판적 논의와 차별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 한국 국민주의 - 주체사상파
주체사상파(주사파)는 주체사상을 지도 이념으로 삼는 세력으로, 1980년대 대한민국 학생운동권에서 헤게모니를 장악하며 반미, 민족주의적 성향을 보였으나, 종북 논란과 함께 제도권 정당으로 진출하거나 뉴라이트 운동에 가담하기도 했으며, 진보적 사상을 가진 사람이나 단체를 싸잡아 부르는 용어 오용 문제도 존재한다.
대한민국 내 인종차별 | |
---|---|
대한민국 내 인종차별 | |
![]() | |
개요 | |
현황 | 대한민국에서는 다양한 형태로 인종차별이 존재하며, 특히 이주민, 외국인 노동자, 다문화 가정 구성원 등이 차별을 경험함. |
법적 보호 | 대한민국은 헌법에서 평등권을 보장하고 있지만, 인종차별을 직접적으로 규제하는 법률은 미비함. 국가인권위원회법에 따라 인종차별 행위에 대한 진정을 제기할 수 있음. 국가인권위원회 |
유형 | |
사회적 차별 | 고용, 주거, 교육 등 사회 전반에서 외국인 및 다문화 가정 구성원에 대한 차별이 발생함. 피부색, 출신 국가, 언어 등을 이유로 부당한 대우를 받거나 혐오 발언의 대상이 되는 경우가 있음. |
제도적 차별 | 이주민에 대한 제한적인 사회 서비스 접근성, 불합리한 체류 자격 요건 등 제도적인 차별이 존재함. 외국인 등록, 비자 발급 과정에서 차별적인 대우를 받는 사례가 보고됨. |
온라인 차별 | 인터넷 상에서 외국인 혐오 표현 및 가짜 뉴스 유포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음. |
외모 차별 | 외모에 대한 차별과 편견이 존재하며, 이는 특정 인종이나 민족에 대한 고정관념과 결합되어 나타나기도 함. |
원인 | |
단일민족주의 | 한국 사회의 오랜 단일민족주의적 사고방식이 외국인에 대한 배타성으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음. |
경제적 불안 | 경제 불황 시기에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반감이 증가하고, 이들을 잠재적 경쟁자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음. |
문화적 차이 | 문화적 차이에 대한 이해 부족과 편견이 외국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으로 이어질 수 있음. |
미디어의 영향 | 미디어가 외국인 범죄를 과장 보도하거나 특정 인종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부각하는 경우, 인종차별을 조장할 수 있음. |
통계 | |
인종차별 경험 | 한국에 거주하는 이주민의 상당수가 인종차별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남. 세계 가치관 조사 (2010-2014) 세계 가치관 조사 (2017-2020) |
차별에 대한 대응 | 인종차별 피해자들은 차별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보다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경우가 많음. Don't ask for fair treatment? A gender analysis of ethnic discrimination, response to discrimination, and self-rated health among marriage migrants in South Korea |
해결 노력 | |
법률 제정 | 인종차별금지법 제정을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국회 통과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교육 및 캠페인 | 다문화 이해 교육, 인종차별 반대 캠페인 등을 통해 사회적 인식 개선을 도모하고 있음. |
시민단체의 활동 | 다양한 시민단체들이 인종차별 피해자 지원, 법률 제정 촉구, 인식 개선 활동 등을 활발하게 전개하고 있음. |
사회적 인식 변화 | |
젊은 세대 |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다문화 수용성이 높아지고, 인종차별에 대한 비판적 인식이 확산되고 있음. The end of ethnic nationalism? Changing conceptions of national identity and belonging among young South Koreans |
과제 | 여전히 사회 전반에 걸쳐 인종차별적 태도가 존재하며, 이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함. |
2. 역사
학자들은 한국의 강력한 민족 정체성이 1,000년의 '순수한' 조상 혈통, 공통 언어, 관습 및 역사[10]의 오랜 전통에서 비롯되었으며, 20세기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강화되었다고 보고 있다. 일제의 한국 언어, 문화, 역사 말살 시도는 한국인들의 자민족 중심주의와 민족주의를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캐서린 문은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가 한국인들의 이민자와 외국인에 대한 태도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보았다. 또한 차별 금지법 부재로 인해 한국인이 아닌 사람들에게 클럽이나 택시에서 서비스 제공을 거부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12][13][37][38]
2. 1. 일제강점기
학자들은 한국의 강한 국가 정체성이 조상 혈통, 공통어, 관습, 역사"의 오랜 전통에서 비롯되었다고 믿고 있으며, 20세기 일제강점기와 그 이후에 강화되었다고 본다. 한국의 언어, 문화, 역사, 민족성을 없애려는 일제의 시도는 한국인들의 주권을 되찾고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민족 중심주의와 민족주의를 강화시켰다.[50]2. 2.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 (IMF)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는 한국인들의 이민자와 외국인에 대한 지배적인 태도를 형성하는 사건 중 하나이다. 1997년 외환위기 때, IMF는 대한민국에 구조조정과 긴축을 강요했고, 이는 한국 경제에 악영향을 미쳐 금융 기관 폐쇄, 기업들의 도산, 노동자 5%의 실직, 대다수 국민의 소득 감소를 야기했다.[51] GDP 역시 고소득 국가에서 중소득 국가로 하락했다.[51]3. 정부 정책
외국인 근로자 고용 등에 관한 법률(2004년)과 다문화가족 지원법(2008년) 등 이민자들의 인권과 노동권을 보호하기 위한 법률이 제정되었다.[49][2] 2011년 군 당국은 혼혈인의 입영을 금지하는 규정을 폐지하고, 입영 선서에서 시민권에 대한 인종 순수를 언급하는 것을 삭제하였다.[49][14] 학교 교육 과정에서도 민족 중심적인 내용을 삭제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14] 이는 유엔 인종차별 철폐 위원회가 한국의 민족 중심적 사고가 외국인에 대한 차별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한 것에 대한 국제적 압력을 일부 인정한 것이다.[49][14]
하지만 2015년 유엔 인권 위원회의 권고에도 불구하고, 2021년 9월 현재까지 한국에는 차별금지법이 제정되지 않고 있다.[35][5]
3. 1. 차별금지법 제정 노력
2007년, 2010년, 2012년에 차별을 막기 위한 법률이 제기되었지만, 주로 보수적인 개신교 신자들의 반대에 부딪혀 무산되었다.[62] 2020년에는 정의당이 성, 장애, 나이, 언어, 출신 국가, 성적 지향, 신체적 조건, 학력 및 기타 이유에 근거한 모든 종류의 차별을 금지하려는 포괄적 차별금지법 제정을 다시 추진하고 있다.[62]4. 교육
혼혈 초·중학생이나 국제결혼으로 태어난 학생의 40%만이 반 친구들에게 한국인으로 여겨진다. 학생의 거의 50%가 같은 국적 배경을 공유하지 않는 학생들과 관계를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고 말했다. 한국 학생들이 이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급우들의 피부색이 다르기 때문(24.2%), 다른 한국 학생들에게 따돌림을 당할까 봐 두렵기 때문(16.8%), 혼혈아와 친구가 되면 창피하기 때문(15.5%)이다.[52]
한국 아이들은 아프리카인과 아프리카계 사람들을 차별하는 경향도 보인다. 2015년 Education Research International의 연구에서 한국 아이들은 그림책에 나오는 어두운 피부색의 캐릭터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러한 아이들의 태도는 흑인과 백인이 지배적인 환경에 대한 부모의 반흑인 편견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53]
학문적인 환경에서, 여러 연구에 따르면 한국 대학생들은 외국인 교수를 이름으로 부르고, 한국인 교수에게 전통적으로 보이는 존경심을 보이지 않음으로써 차별하는 경향을 보인다. 한국 문화에서 가르치는 행위는 높은 존경을 받고 있으며, 이러한 대우의 차이는 많은 대학의 외국인 교수들이 인지하고 있다.[54]
5. 이민자를 향한 인종차별주의
미등록 이주 아동들은 한국 아동들이 누리는 권리를 제대로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2] 난민 지위 결정 과정은 난민 보호보다는 난민 유입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된다는 비판이 있다.[2]
문화와 언어 차이, 차별, 기본적인 서비스 접근성 부족은 난민과 망명자들이 겪는 어려움 중 하나이다. 특히 북한에서 온 이주민들이 이러한 어려움을 겪는다.[2] 많은 여성 외국인 배우자들은 가정 폭력과 차별의 피해자이지만, 현행법의 보호를 받지 못해 피해 사실이 제대로 보고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2]
이주 노동자들은 직업을 바꾸기 위해 이전 고용주의 허락을 받아야 하며,[2] 농업, 중소기업, 국내 서비스업 등에서 일하는 이주 노동자들은 차별에 더욱 취약하다.[2]
5. 1. 특정 인종 및 집단에 대한 태도
서유럽 및 일본 출신 이민자에 대한 인종차별적 태도는 미묘한 형태로 나타나는 반면, 가난한 아시아 국가, 라틴 아메리카, 아프리카 출신 이민자들에 대한 인종차별은 더 노골적으로 표현된다.[2] 혼혈 아동, 중국 조선족, 탈북자 등에 대한 차별도 보고되었다.[2][14] 인종차별적 태도는 계급 차별과도 연관될 수 있는데, 싱가포르인이 대한민국에서 필리핀인이나 캄보디아인, 베트남인, 태국인과 같은 다른 동남아시아인에 비해 차별이나 부정적인 태도를 덜 겪는 경향이 있다.[15][16][17][18]2021년의 한 기사에서는 인종차별의 일반적인 설명이 백인에 대한 편애 때문이며, 이는 국내에 주둔한 미군으로부터 흡수된 인종 계층에 대한 생각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언급한다.[19]
무슬림 또한 한국 사회에서 인종차별과 편견에 직면하는데, 이는 한국에 거주하는 많은 무슬림의 외국 또는 이민자 배경으로 인해 더욱 복잡해진다. 많은 한국인들이 무슬림을 잠재적인 "테러 단체"로 인식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부정적인 시각은 한국 및 아시아 전역에서 이슬람 혐오가 증가하고 한국 미디어에서 무슬림과 이슬람에 대한 전형적인 묘사에서 비롯되었다.[20]
혼혈 초중학생 또는 국제결혼으로 태어난 학생의 40%만이 반 친구들에 의해 한국인으로 여겨진다. 거의 50%의 학생들은 같은 국적 배경을 가지고 있지 않은 학생들과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고 말했다. 한국 학생들이 이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급우들의 피부색이 다르고(24.2%), 다른 한국 학생들에게 따돌림을 당할 우려(16.8%), 혼혈아들과 친구가 될 경우 창피함을 느끼기(15.5%) 때문이다.[52]
한국 아이들은 또한 아프리카인과 아프리카계 사람들을 차별하는 경향을 보인다. 2015년 Education Research International의 연구에서 한국 아이들은 그림책의 어두운 피부 캐릭터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다. 아이들의 이런 태도는 흑인과 백인 지배적인 환경에 대한 부모의 반흑인 편견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53]
좀 더 학문적인 환경에서, 연구들은 한국 대학생들이 외국인 교수들을 그들의 이름으로 부르고, 학생들이 전통적으로 한국 교수들에게 보여주는 것과 같은 정도의 존경을 보여주지 않음으로써 그들을 차별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가르치는 것은 한국 문화에서 높은 존경과 존경을 받고 있으며, 이러한 대우의 차이는 많은 대학 외국인 교수들에 의해 눈에 띈다.[54]
6. 현대적 이슈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140만 명의 외국인들은 한국 가정에 최대 100만원의 구제 기금을 지원하는 정부 보조금 계획에서 초기에는 제외되었다. 모든 사람이 바이러스에 취약하지만, "대한민국과의 강한 연대"를 이유로 한국 시민과 결혼한 외국인만이 지원금을 받을 수 있었다.[65] 이후 비판이 제기되자, 그해 8월에 대부분의 외국인에게 재정 지원이 확대되었다.[26][27]
코로나19로 인해 학교가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되면서, 이민자와 난민 자녀들은 적절한 온라인 교육 과정 부족으로 인해 교육 기회를 제대로 얻지 못했다.[66]
2021년 3월, 일부 지역에서는 모든 외국인에게 코로나19 검사를 강제하고 이를 어길 시 벌금을 부과하는 조치를 시행하여 차별 논란이 일었다.[29]
6. 1. 코로나19 팬데믹
대한민국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백신 여권 시스템을 시행하여 술집, 식당, 클럽 등 위험도가 높은 장소에 대한 접근을 제한했다.[30] 한국의 백신 여권 시스템은 격리 면제를 받은 경우를 제외하고 해외에서 백신 접종을 한 외국인의 예방 접종을 인정하지 않아 차별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이는 한국인의 해외 예방 접종을 격리 면제 여부와 상관없이 인정하는 것과 대조적이었다.당시 주한 영국 대사인 사이먼 스미스는 주한 영국 대사관 공식 트위터 계정을 통해 "한국인이 해외 예방 접종 증거를 제시해 백신 패스 등록이 가능하다면, 외국인의 해외 예방 접종도 동일한 증거로 등록할 수 있어야 한다"고 비판했다.[31] 미국 대사관은 "주한 미국 대사관은 미국 시민이 미국에서 받은 예방 접종을 현지 보건소에 등록하는 것을 막는 한국 정부의 차별적인 정책을 인지하고 있으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 최고위층에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는 공식 성명을 발표했다.[32]
2021년 12월 6일,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인도, 주한 EU 대표부 대사들은 공동으로 한국 정부에 외국인의 해외 예방 접종을 인정할 것을 촉구했다.[33] 대한민국은 2021년 12월 9일 정책을 변경하여 외국인도 백신을 등록할 수 있도록 하여 백신 여권과 3차 부스터 샷에 대한 접근성을 허용했다.[34]
6. 2. 하인스 워드 사례
2006년, 서울특별시에서 한국인 어머니와 흑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미식축구 선수 하인스 워드는 NFL 슈퍼볼 MVP를 수상한 최초의 한국 출신 미국인이 되었다. 이 업적으로 그는 한국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21] 하인스 워드가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했을 때, "혼혈" 아동들의 수용 문제에 대해 전례 없는 관심을 불러일으켰다.[21] 그는 "하인스 워드 돕는 손 재단"을 설립하기 위해 100만달러를 기부했는데, 이 재단은 언론에서 "그와 같은 혼혈 아이들을 돕기 위한 재단"이라고 불렸다.[22] 하인스 워드는 명예 대한민국 시민권을 받았다.[23]참조
[1]
웹사이트
Workers, Immigration, and Racialized Hierarchy
http://sinonk.com/20[...]
2015-04-01
[2]
논문
Foreigners or multicultural citizens? Press media's construction of immigrants in South Korea
https://doi.org/10.1[...]
2014-07-29
[3]
웹사이트
World Values Survey Wave 7 (2017-2020)
https://www.worldval[...]
2020-12-05
[4]
웹사이트
World Values Survey Wave 6 (2010-2014)
http://www.worldvalu[...]
2020-12-05
[5]
논문
Don't ask for fair treatment? A gender analysis of ethnic discrimination, response to discrimination, and self-rated health among marriage migrants in South Korea
2016-07-19
[6]
웹사이트
World Values Survey (2010-2014)
http://www.worldvalu[...]
2016-09-11
[7]
웹사이트
World Values Survey Wave 7 (2017-2020)
https://www.worldval[...]
2020-12-05
[8]
웹사이트
7 in 10 foreign residents say 'racism exists' in S. Korea
https://m.koreaheral[...]
2024-01-18
[9]
웹사이트
국내 체류 외국인 20% "차별대우 받은 적 있다"
https://www.khan.co.[...]
2024-09-19
[10]
웹사이트
South Korea's Demographic Changes and their Political Impact
https://www.brooking[...]
2015-10
[11]
뉴스
Why South Korean Businesses Can Legally Refuse to Serve Foreigners
https://www.bloomber[...]
2020-12-01
[12]
뉴스
"[From the scene] Korean-only bars trigger controversy"
https://www.koreaher[...]
2023-04-15
[13]
뉴스
The South Korean Businesses That Ban Foreigners
http://thediplomat.c[...]
2018-01-09
[14]
논문
The end of ethnic nationalism? Changing conceptions of national identity and belonging among young South Koreans: The end of ethnic nationalism?
https://onlinelibrar[...]
2015
[15]
뉴스
Why #CancelKorea and #ApologizeToFilipinos are trending in the Philippines
https://www.pep.ph/l[...]
2020-09-09
[16]
뉴스
"#CancelKorea? Why it’s trending and what Filipinos are saying"
https://news.abs-cbn[...]
2020-09-09
[17]
뉴스
"'I was crying inside': 'Squid Game' Filipino actor bares racism experience in South Korea"
https://www.philstar[...]
2021-11-04
[18]
뉴스
Koreans on vlogger Tzuyang’s video making fun of Filipinos: We need to learn about racism
https://mb.com.ph/20[...]
2024-02-10
[19]
논문
"[Us and Them] The whiter the better: Korea's racist hierarchy"
https://www.koreaher[...]
2021
[20]
논문
Islamophobia and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of Islam in Korea
http://dx.doi.org/10[...]
2018
[21]
뉴스
Hines Ward scores big for social change
http://www.post-gaze[...]
2006-04-09
[22]
뉴스
Ward kicks off his new charity
http://www.post-gaze[...]
2006-05-30
[23]
웹사이트
MVP Ward Visit Exposes Korean Racism – OhmyNews International
http://english.ohmyn[...]
2010-08-24
[24]
뉴스
Foreign residents shut out of virus relief funds
http://www.koreahera[...]
2021-03-19
[25]
뉴스
"[Herald Interview] 'Coronavirus does not exclude foreigners'"
http://www.koreahera[...]
2020-11-24
[26]
웹사이트
Foreign residents of Seoul to get COVID-19 relief funds : Korea.net : The official website of the Republic of Korea
https://www.korea.ne[...]
2021-03-19
[27]
뉴스
Gyeonggi residents, including foreigners, to receive COVID-19 relief
http://www.koreahera[...]
2021-03-19
[28]
뉴스
What a Blackface Photo Says About South Korea's Racism Problem
https://thediplomat.[...]
2020-11-24
[29]
뉴스
"[Newsmaker] Expat community displeased with mandatory COVID-19 testing for foreign workers"
http://www.koreahera[...]
2021-03-19
[30]
뉴스
"S.Korea eases curbs, imposes vaccine passports in 'living with COVID-19' campaign"
https://www.reuters.[...]
2022-08-25
[31]
트윗
'"We will continue to argue for an urgent review of the current guidance" 📺 WATCH: update from Ambassador @SimonSmithFCDO on 🇰🇷 "vaccine pass" system & recognition of foreign nationals vaccinated overseas⬇️ #VaccinePass #LivingwithCOVID19 https://t.co/Veoy4JE809'
2023-03-28
[32]
웹사이트
COVID-19 Information - U.S. Embassy & Consulate in the Republic of Korea
https://kr.usembassy[...]
2022-08-25
[33]
트윗
.@UKinKorea, alongside 🇦🇺 🇨🇦 🇮🇳 🇳🇿 🇺🇸 Embassies, has again asked the government of 🇰🇷 for urgent recognition of foreign nationals fully vaccinated overseas. They should have same access rights to public facilities as those Korean nationals fully vaccinated overseas.
2023-03-28
[34]
웹사이트
Coronavirus disease 19(COVID-19)
http://ncov.mohw.go.[...]
2022-08-25
[35]
웹사이트
Debate on anti-discrimination law gains momentum
https://www.koreaher[...]
2023-04-15
[36]
웹사이트
"[From the scene] Korean-only bars trigger controversy"
https://www.koreaher[...]
2016-02-21
[37]
뉴스
Discrimination flows freely at bars across Seoul
http://koreajoongang[...]
2014-05-07
[38]
웹사이트
Taxi drivers to lose license for refusing passengers
http://www.koreaobse[...]
2015-01-28
[39]
뉴스
Anti-discrimination law back on table at National Assembly
https://www.koreatim[...]
2020-07-03
[40]
뉴스
"7 in 10 foreign residents say 'racism exists' in S. Korea"
https://www.koreaher[...]
2020-03-20
[41]
뉴스
Biracial children shunned by classmates
https://www.koreaher[...]
2010-03-30
[42]
논문
Why South Korean Universities Have Low International Rankings – Part II: The Student Side of the Equation
https://scholars.fhs[...]
2009-07-01
[43]
웹사이트
“우리는 교수 아닌 투명인간인가”
https://www.sisajour[...]
2007-09-03
[44]
뉴스
Welcome foreigners to avoid demographic cliff edge, Korea told. Times Higher Education
https://www.timeshig[...]
[45]
웹인용
국가인권위원회
https://www.humanrig[...]
2024-06-03
[46]
논문
"Don't ask for fair treatment? A gender analysis of ethnic discrimination, response to discrimination, and self-rated health among marriage migrants in South Korea"
2016-07-19
[47]
웹인용
World Values Survey (2010-2014)
http://www.worldvalu[...]
2016-09-11
[48]
웹인용
World Values Survey Wave 7 (2017-2020)
https://www.worldval[...]
[49]
논문
The end of ethnic nationalism? Changing conceptions of national identity and belonging among young South Koreans
[50]
웹인용
South Korea's Demographic Changes and their Political Impact
https://www.brooking[...]
2015-10
[51]
뉴스
Why South Korean Businesses Can Legally Refuse to Serve Foreigners
https://www.bloomber[...]
2016-03-11
[52]
웹인용
Biracial children shunned by classmates
http://www.koreahera[...]
2010-03-30
[53]
웹인용
Korean-Origin Kindergarten Children's Response to African-American Characters in Race-Themed Picture Books
https://www.hindawi.[...]
2015-04-06
[54]
저널
Why South Korean Universities Have Low International Rankings – Part II: The Student Side of the Equation
https://scholars.fhs[...]
2009-07-01
[55]
웹인용
"[From the scene] Korean-only bars trigger controversy"
http://www.koreahera[...]
2016-02-21
[56]
웹인용
The South Korean Businesses That Ban Foreigners
http://thediplomat.c[...]
2018-01-09
[57]
웹인용
Discrimination flows freely at bars across Seoul
http://koreajoongang[...]
[58]
웹인용
Taxi drivers to lose license for refusing passengers
http://www.koreaobse[...]
2015-01-28
[59]
웹인용
Korea to shorten asylum process
http://koreajoongang[...]
[60]
뉴스
Opinion - South Korea's Enduring Racism
https://www.nytimes.[...]
2018-07
[61]
웹인용
Jeju Uprising anniversary can shape response to Yemeni refugees
http://www.koreatime[...]
2018-07-02
[62]
웹인용
"7 in 10 foreign residents say 'racism exists' in S. Korea"
http://www.koreahera[...]
2020-03-20
[63]
뉴스
Why South Korean Businesses Can Legally Refuse to Serve Foreigners
https://www.bloomber[...]
2016-03-11
[64]
웹인용
Anti-discrimination law back on table at National Assembly
http://www.koreatime[...]
2020-07-03
[65]
웹인용
"[Herald Interview] 'Coronavirus does not exclude foreigners'"
http://www.koreahera[...]
2020-05-07
[66]
웹인용
What a Blackface Photo Says About South Korea's Racism Problem
https://thediploma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