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 제12대 대통령 선거 한국국민당 후보 선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제12대 대통령 선거에서 한국국민당은 김종철을 대통령 후보로 선출했다. 박정희 정권의 민주공화당 해체 이후, 신군부는 김종철을 한국국민당 총재로 내정했다. 1981년 1월 21일, 창당준비위원회는 김종철을 대통령 후보로 추천했고, 1월 23일, 세종문화회관에서 대의원 대회를 열어 김종철을 당 총재 및 대통령 후보로 추대했다. 선거 결과, 김종철은 85표를 얻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제12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제12대 대통령 선거 민주정의당 후보 선출
    대한민국 제12대 대통령 선거 민주정의당 후보는 1981년 1월 15일 잠실체육관에서 열린 민주정의당 창당대회에서 전두환 대통령을 당 총재 및 대선 후보로 추대함으로써 선출되었다.
  • 대한민국 제12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제12대 대통령 선거 민주한국당 후보 선출
    대한민국 제12대 대통령 선거 민주한국당 후보 선출은 제5공화국 출범 후 민주한국당이 대통령 후보를 선출하는 과정으로, 유치송이 당수로 추대되어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으나 당 조직 재건의 어려움 등으로 130만 표 이상을 득표하는 데 그쳤다.
대한민국 제12대 대통령 선거 한국국민당 후보 선출
선거 정보
국가대한민국
이전 선거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민주공화당 후보 선출
이전 선거 연도1971년
차기 선거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신민주공화당 후보 선출
차기 선거 연도1987년
선거명대한민국 제12대 대통령 선거 한국국민당 후보 선출
선거일1981년 1월 23일
선거 전박정희
선거 후김종철
유형대통령
직책대통령 후보
후보김종철
득표율추대
선거 전 정당민주공화당
선거 후 정당한국국민당
노랑
정당한국국민당

2. 창당 배경 및 과정

박정희 정권의 여당이었던 민주공화당유신정우회는 1980년 10월 27일 신군부의 정당 및 국회 해산 조치로 인해 해체되었다. 그러나 신군부는 같은 해 11월 25일 공화당 의원 25명과 유정회 의원 57명의 정치 활동 제재를 해제하였고, 이에 따라 정치 활동 재개가 허용된 김종철, 양찬우, 김용호, 이만섭, 고재필, 윤인식, 김영광 등은 곧바로 공화당 재건에 돌입하였다. 그러나 공화당의 당 조직과 재산, 직원들을 신군부에서 고스란히 가져가버려 조직 재건에 애를 먹어야 했다.[2]

국민당의 총재가 될 것이 유력한 창당준비위원장에는 해금 인사 중 최다선 의원인 김종철 전 공화당 의원이 선출되었다. 김종철은 자유당에서 정치를 시작한 원로 인사에 한화 회장 등을 지낸 경제통이었으나, 공화당에서 핵심적인 당직을 맡거나 언론의 주목을 받은 적은 없어 당 총재를 맡기에는 정치적 중량감이 없는 인물이었다. 따라서 김종철이 한국국민당의 초대 당수로 선택된 것은 의아하다는 평이 많았다.[2]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군부가 김종철을 한국국민당의 총재로 내정한 것은 "여야를 불문하고 당수나 당 대표에는 지역 기반이 강한 사람과 영호남 출신은 안 된다"는 전두환 대통령의 뜻에 따른 것이었다. 실제로 이재형 민정당 대표와 유치송 민주한국당 총재는 경기도, 반공당을 추진하던 오제도 전 의원은 이북 출신이었으며, 김종철 전 의원은 충남 출신이었다.[3] 신군부는 김종철 전 의원 외에도 양찬우 전 의원과 고재필 전 의원 역시 당수 후보로 고려하고 있었다. 특히 양찬우 전 의원은 김종철 전 의원보다 더 유력한 후보로 평가 받았다. 그러나 양찬우 전 의원은 영남, 고재필 전 의원은 호남 출신이라 탈락하였고, 유일하게 남은 김종철 전 의원이 낙점을 받았다.[3]

3. 1981년 대통령 선거

1981년 2월 25일 대통령 선거에서 한국국민당은 김종철 후보를 내세웠으나 85표를 얻는데 그쳤다. 앞서 2월 11일에 실시된 대통령 선거인 선거에서는 총 49명의 당선자를 배출하였다.[4]

3. 1. 당내 논쟁과 후보 추대

한국국민당 내에서는 제12대 대통령 선거 참여 여부를 놓고 찬반 양론이 있었다. 당선 가능성이 낮은데다 선거인 선거 결과 약세가 드러나면 당세가 더 위축될 수 있다는 이유였다. 그렇게 될 경우 총선에서의 경쟁력마저 보장할 수 없다는 불안감이 팽배했다.[4]

이러한 분위기는 김종철 한국국민당 창당준비위원장이 1981년 1월 11일 대통령 선거 출마를 공식 선언하면서 반전되었다.[5] 한국국민당은 상임위원 및 재경조직책 연석회의를 열고 한때 여당을 지낸 공당으로써 대선에 불참할 수는 없다는 것에 의견을 모았다. 결국 대통령 후보 추천권을 가진 창당준비위원회 상임위원회는 1981년 1월 21일 회의에서 김종철 창당준비위원장을 대통령 후보로 추천하였다.[6]

한국국민당은 1981년 1월 23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별관에서 대의원 1,189명 중 1,123명이 참석한 가운데 창당 및 대선 후보 지명 대회를 열고 김종철 창당준비위원장을 당 총재 및 대통령 후보로 추대하였다.

3. 2. 선거 결과

한국국민당은 1981년 2월 11일에 실시된 대통령 선거인 선거에서 총 49명의 당선자를 내었으며, 김종철 후보는 2월 25일에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서 85표를 획득하였다.[4]

참조

[1] 웹인용 "[나의 이력서]영원한 청년 이만섭(43)10대 의원시절 ⑥" http://www.hankookil[...] 2019-04-01
[2] 웹인용 김종철 한국국민당 준비위원장 https://newslibrary.[...] 2019-06-06
[3] 웹인용 구여 인사로 "준여" 한국국민당 창당 https://newslibrary.[...] 2019-09-21
[4] 웹인용 대통령 후보에 이견 https://newslibrary.[...] 2019-09-21
[5] 웹인용 김 한국국민당 준비위장 대통령 출마 공식 선언 https://newslibrary.[...] 2019-09-21
[6] 웹인용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s://newslibrary.[...] 2019-03-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