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제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제도는 일제강점기 와세다 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1946년 판검사 특별임용시험에 합격하여 검사로 활동하였다. 1940년대와 1950년대 초 반공 검사로 활동하며 보도연맹을 제안, 5.16 군사정변 이후 반혁명분자로 옥고를 치렀다. 변호사 개업 후 북한연구소 창립 및 이사장, 국회의원 등을 역임했고, 1977년 종로 중구 보궐선거에서 당선되어 제9대 국회의원이 되었으며, 제11대 국회의원은 민주정의당 전국구로 지냈다. 1997년 황장엽과 의형제를 맺었으며, 2001년 국가유공자로 인정되어 국립현충원에 안장되었다.
1946년 제1회 판검사 특별임용시험에 합격하여 서울지방검찰청과 대검찰청에서 검사로 활동하였다. 1940년대와 1950년대 초반 반공검사로 활동하였으며, 선우종원과 함께 좌익 전력자를 전향하도록 한 보도연맹을 제안하였다.[1][2] 1949년 보도연맹 창설 때 지도위원을 맡았다.
2. 생애
1950년 4월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야당의 우세가 점쳐지자 자유당의 하수단체인 대한정치공작대가 제1야당인 민국당 인사들을 간첩과 밀통하였다고 엮어 붕괴시키려 하였다. 오제도는 이에 의문을 품고 수사하여 조작극임을 밝혀내는 등 좌우를 가리지 않고 활동하였다. 5.16 군사정변에 검찰총장직을 제안 받았으나 거절하고 반혁명분자 1호로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
변호사 개업 후 북한연구소를 창립하고 초대 이사장을 맡는 등 여러 보수 단체에서 활동하면서, 박홍의 한국통신 노조 주사파 발언 사건, 권영해의 북풍사건(총풍 사건)을 변론하는 등 우익 인사에 대한 지원활동에 힘썼다.
1977년 5월 주사파 발언이 문제가 되어 박홍이 제소되자 노재봉, 언론인 이도형 등 보수 인사 70여 명이 후원회를 결성하였다.[3] 같은 해 9월 17일 황장엽 전 북한노동당 비서가 망명 후 심리적 안정을 위해 개별 면담을 해줄 것을 요청하여 안기부가 마련한 자리에서 만나 의형제를 맺었다.
2001년 법조인 최초로 국가유공자로 인정되어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학력
2. 2. 검사 시절 (1946년 ~ 1960년)
1946년 제1회 판검사 특별임용시험에 합격하여 서울지방검찰청과 대검찰청에서 검사로 활동하였다. 1940년대와 1950년대 초반 반공검사로 활동하였으며, 선우종원과 함께 좌익 전력자를 전향하도록 한 보도연맹을 제안하였다.[1][2] 1949년 보도연맹 창설 때 지도위원을 맡았다.
1950년 4월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야당의 우세가 점쳐지자 자유당의 하수단체인 대한정치공작대가 제1야당인 민국당 인사들을 간첩과 밀통하였다고 엮어 붕괴시키려 하였다. 오제도는 이에 의문을 품고 수사하여 조작극임을 밝혀내는 등 좌우를 가리지 않고 활동하였다.
2. 3. 변호사 개업 및 반공 활동 (1960년 ~ 1977년)
1960년 변호사로 개업한 후 북한연구소를 창립하고 초대 이사장을 맡는 등 여러 보수 단체에서 활동하였다.[1][2] 박홍의 한국통신 노조 주사파 발언 사건, 권영해의 북풍사건(총풍사건)을 변론하는 등 우익 인사 지원 활동에 힘썼다.[3]
2. 4. 정치 활동 (1977년 ~ 1984년)
1977년 정일형이 3·1 명동사건으로 의원직을 상실하여 치러진 종로, 중구 보궐선거에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제9대 국회의원이 되었으며, 제11대에는 민주정의당 소속 전국구로 국회의원이 되었다. 법무부 장관 제의도 있었으나 학원 문제, 남북 대화 문제에 대한 견해 차이로 1984년 말 의원직을 사퇴하고 안보 교육 활동에 힘썼다.
2. 5. 생애 후반 (1984년 ~ 2001년)
1977년 정일형이 3·1 명동사건으로 의원직을 상실하여 치러진 종로 중구 보궐선거에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제9대 국회의원이 되었으며, 제11대에는 민주정의당 소속 전국구로 국회의원이 되었다. 법무부 장관 제의도 있었으나 학원 문제, 남북 대화 문제에 대한 견해 차이로 1984년 말 의원직을 사퇴하고 안보 교육 활동에 힘썼다.[1][2]
1997년 5월 주사파 발언이 문제가 되어 박홍이 제소되자 노재봉, 언론인 이도형 등 보수 인사 70여 명이 후원회를 결성하였다.[3] 같은 해 9월 17일 황장엽 전 북한노동당 비서가 망명 후 심리적 안정을 위해 개별 면담을 해줄 것을 요청하여 안기부가 마련한 자리에서 만나 의형제를 맺었다.
2001년 법조인 최초로 국가유공자로 인정되어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었다.
3. 경력
연도 경력 1946년 판검사 특별임용시험 합격 서울지검, 서울고검, 대검찰청 검사, 군·검·경 합동수사본부 총지휘관 1960년 변호사 개업, 국제법률가대회 한국대표 1977년 라스아메리카대학교 명예문학박사 1979년 로스앤젤레스침례신학대학 명예철학박사 1993년 미주리주립대학교 명예정치학박사 한국반공연맹 이사, 월간지 북한 창간 및 발행인, 북한연구소 창립 및 이사장 제9대 국회의원, 세계반공연맹 한국대표, 한국안보교육협회 이사장, 아시아국제예술제 1~18대 총재, 북한탈출동포돕기운동본부 회장, 제11대 국회의원, 한국국제평화연구소 이사장, 월간 사상21세기 창간 및 회장
4. 상훈
5. 오제도를 연기한 배우
배우 | 작품 | 연도 | 방송사/기타 |
---|---|---|---|
최무룡 | 특별수사본부 기생 김소산 | 1973년 | 영화 |
이순재 | 특별수사본부 김수임의 일생 | 1974년 | 영화 |
박근형 | 국회프락치 | 1974년 | 영화 |
최성 | 구삼육 사건 | 1976년 | 영화 |
권성덕 | 제1공화국 | 1981년 | MBC 드라마 |
송재호 | 표적 | 1981년 | KBS1 드라마 |
장보규 | 반민특위 | 1990년 | MBC 드라마 |
6.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 종류 | 대수 | 직책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1977년 | 6.10 재보궐선거 | 9대 | 국회의원 | 서울 종로구·중구 | 무소속 | 37,650표 (30.2%) | 1위 | 당선 | 초선 |
1978년 | 총선 | 10대 | 국회의원 | 서울 종로구·중구 | 무소속 | 61,270표 (24.59%) | 3위 | 낙선 | |
1981년 | 총선 | 11대 | 국회의원 | 민주정의당 | 5,776,624표 (35.6%) | 전국구 27번 | 당선 | 재선 |
참조
[1]
서적
우리들의 현대침묵사 - 한국현대사 미스터리 추적
해냄
2006-09-25
[2]
뉴스
"[안내면 인포리] 보도연맹 관련 죄없는 주민 15명 희생"
http://www.okinews.c[...]
옥천신문
1993-12-11
[3]
웹인용
한겨레 21
http://www.hani.co.k[...]
2010-06-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