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소수주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소수 주민은 다양한 배경을 가진 외국인들을 포함하며, 이들은 한국 사회에 다양한 방식으로 기여하고 있다. 조선족, 고려인, 동남아시아 및 중앙아시아 출신 이주 노동자, 영어 원어민 강사, 주한 미군 등 여러 집단이 한국 사회의 구성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경제, 문화, 사회 각 분야에서 활동하며 한국 사회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다문화 가족의 증가와 엔터테인먼트 및 예술 분야에서의 활동도 두드러진다. 2024년 기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은 200만 명 이상으로, 전체 인구의 약 4%를 차지하며, 중국 국적의 외국인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외국인 - 한국의 유대인
    21세기 대한민국에는 러일 전쟁과 6.25 전쟁 이후 미군을 중심으로 정착한 유대인들이 거주하며, 국제 결혼, 유학, 취업 등으로 공동체가 확대되어 서울을 중심으로 유대교 회당과 문화 시설이 운영되고 있지만, 일부 부정적 인식과 혐오 발언에 대한 사회적 경계와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외국인 - 레나테 홍
    레나테 홍은 동독 유학 중 북한 유학생과 결혼했으나 남편의 귀국 명령으로 이별 후 47년 만에 재회했으나 사별하였고, 그녀의 이야기는 방송을 통해 이산가족 문제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대한민국의 소수주민
지도
개요
정의대한민국 사회에서 역사적, 문화적, 언어적 특징으로 인해 주류 집단과 구별되는 집단
법적 지위대한민국 헌법상 차별 금지 및 평등권 보장
소수주민 보호를 위한 특별법 부재, 개별 법률 및 정책에 의존
사회적 인식단일민족주의적 시각과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 과정에서 다양한 인식 존재
차별 및 편견 해소 노력 필요
현황
규모대한민국 전체 인구의 일부를 차지 (정확한 통계 부재)
구성외국인 노동자 및 이주민
새터민 (탈북민)
성소수자
장애인
혼혈인
기타 (특정 지역 출신, 특정 종교 신자 등)
거주 지역전국 각지 (특정 지역에 집중 거주하는 경우도 존재)
문제점 및 과제
차별 및 편견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한 형태의 차별 및 편견 존재 (고용, 주거, 교육, 의료 등)
사회적 소외주류 사회와의 소통 부족 및 사회 참여 기회 제한
법적 보호 미흡소수주민 보호를 위한 포괄적인 법률 부재
문화적 갈등주류 문화와 소수 문화 간의 갈등 발생 가능성
정책 과제차별 금지 및 평등권 실현을 위한 법적, 제도적 장치 마련
사회적 인식 개선 및 소통 강화
소수주민의 사회 참여 확대 및 자립 지원
다문화 사회 통합 정책 강화
참고 자료
관련 법률대한민국 헌법
국가인권위원회법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출입국관리법
재한외국인 처우에 관한 법률
관련 기관국가인권위원회
법무부
여성가족부
보건복지부
관련 연구소수주민 관련 국내외 연구 자료
같이 보기
관련 항목다문화주의
인권
사회적 소수자
차별
편견

2. 소수 주민

대한민국에는 다양한 소수 주민 집단이 거주하고 있다. 이들은 주로 외국인으로 구성되며, 출신 배경과 대한민국 내에서의 역할은 다양하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집단은 중국계이며, 동남아시아중앙아시아 출신 이주노동자들도 상당수 존재한다. 또한, 영어권 국가 출신의 원어민 영어 강사와 주한 미군 인력 및 그 가족들도 대한민국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살아가고 있다.

2. 1. 중국계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외국인 그룹은 중국계이다.[7] 1970년 한국에는 약 12만 명의 중국인이 거주했다. 그러나 대한민국 정부의 경제 제한으로 인해 그 수가 21,000명까지 감소하기도 했다. 1990년대 후반부터 10년 동안 대한민국 내 중국인 수는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2000년대 중반에는 최소 30만 명 이상[8], 최대 100만 명 이상이 될 것으로 추정되었다.[9] 2009년에는 조선족(한국계 중국인)과 한족을 포함하여 약 45만 명의 중국인이 영주권자 또는 불법 체류자로 대한민국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7] 서울특별시 남서부 지역(대림/남구로)과 성남시에는 대규모 중국인 커뮤니티가 있다. 대한민국 내 화교는 한국인들에 의해 '화교'로 알려져 있다.

2016년 기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중국 국적자는 71만 명이며, 이 중 조선족이 50만 명, 중화인민공화국계가 19만 명, 중화민국(타이완)계가 2만 명을 차지한다. 이들을 합치면 대한민국 전체 외국인의 51.6%를 차지한다.[10]

2. 2. 기타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큰 외국인 그룹은 동남아시아에서 온 이주노동자[11]중앙아시아(특히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몽골인) 출신이다. 주요 도시, 특히 서울에는 비즈니스 및 교육과 관련된 외국인이 적지만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영어권 국가 출신의 원어민 영어 강사는 1988년 1,000명 미만에서 2002년 2만 명 이상으로 증가했으며[12] 2010년에는 22,000명 이상을 기록했다.[13] 대한민국 전역에는 28,500명의 미국 주한 미군 인력과 민간인 직원이 있으며,[14] 이들 중 가족을 동반하는 경우도 점점 많아지고 있다.

3. 다문화가족

내국인과 외국인 간의 결혼 건수는 지난 몇 년 동안 꾸준히 증가했다.[15] 2005년 대한민국 전체 결혼의 14%가 외국인과의 결혼(약 26,000건)이었으며, 대부분 가난한 배경의 다른 아시아계 여성과 결혼하는 시골 대한민국 남성이었다. 높은 성비와 1960년대 이후 출산율 하락으로 인해 아내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했기 때문에 40대까지의 연령대의 대한민국 남성이 약간 젊은 대한민국 여성보다 더 많았다. 많은 대한민국 기관이 중국인, 베트남인, 캄보디아인, 필리핀인, 태국인 여성과의 '국제' 결혼을 장려하여 민족 문제에 새로운 차원의 복잡성을 더하고 있다.(우편주문 신부 참조).[16]

4. 엔터테인먼트 및 예술 분야에서의 영향력

대한민국의 미디어는 외국인 연예인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논란이 되고 있는 E6 비자[17]를 소지한 출연자는 여러 가지 자산을 제공한다. 많은 출연자가 이중 언어로 유명하지만[18] 바람직한 모국어 요소와 대한민국의 문화적 다양성, 이미지 및 영어 능력에 대한 대한민국의 열망에 기여한다. 영어 미디어는 주요 방송 기관을 통해 시청할 수 있다.[19] 규제는 심하지만, 대한민국에서의 외국인 존재감[20]은 한류의 확산으로 인해 고무되었다.

대한민국은 게임 및 더빙 분야의 여러 주요 업체의 본사가 있다.[21] 대중 미디어의 세계화로 인해 외국인이 많은 작품을 제작하는 원동력이 되고 있으며, K-드라마의 인기로 인해 경쟁이 치열하다고 묘사된다.[21] 미국인 카슨 앨런,[22] 다니엘 조이 올브라이트,[23] 칼리드 타피아,[24]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브론윈 멀렌[25]호주 배우[26] 샘 해밍턴[21]과 같은 유명 인사들은 시청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인기 버라이어티 쇼에 자주 출연한다.

아이작 더스트는 어린이, 가족 친화적인 TV 및 라디오를 제공하는 광범위한 작품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특히 후반부부터 매튜 리드먼을 대신해 슈퍼키즈에 출연했다.[27] 교포[28] 리사 켈리,[29] 가나 태생의 샘 오취리,[30] 캐나다 스포츠 해설가 제이슨 리,[31] 미국 출신의 인기 광고 성우 리처드 킴과 같은 방송인들[32][33]이 한국 미디어 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이들의 목소리는 대한민국 미디어, 특히 TV와 라디오에서 필수 요소로 간주될 정도로 그들의 기여가 빈번하다.

아시아 엔터테인먼트의 실용적인 측면에서 볼 때, 호황을 누리고 있는 보이스 산업은 수익성이 높다.[34] '영어로 한국의 목소리'[28]로 불리는 미국 태생의 제니퍼 클라이드[35]와 같은 유명 성우들은 광고, 게임, 더빙을 통해 수백만 명의 시청자를 확보하고 있다. 캐나다 제시 데이,[36] 켈리 프란시스,[37][38] 스티븐 리비어, 벨기에 DJ 겸 배우 줄리안 퀸타르트,[39] 프랑스 공연자 겸 모델 겸 MC 파비앙 윤은 콘텐츠, 음성, 라이브 공연을 통해 기여한다.[40][33] 가수 겸 배우 사미아 마운트는 대한민국에서 젊은 시절을 보낸 포켓몬과 미국한국인 목소리 연기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41][42] 클래식 음악 장르에서 라이언 고슬 박사는 세계에서 가장 다양한 음악 단체 중 하나인 카마라타 뮤직 컴퍼니를 서울에 설립했다. 101개국에서 온 회원을 보유한 이 단체는 연간 최대 40회까지 콘서트를 통해 공연할 수 있다. 고슬 박사는 또한 대한민국의 클래식, 록, K-POP 가수를 코치하는 것 외에도 합창/관현악 지휘자로서 대한민국의 전국 무대에서 공연하는 모습도 볼 수 있다.[43][44]

영어로 된 라디오는 ESL 학습자들에게 필수적인 프로그램으로 여겨지며, 대한민민국에서 가장 잘 알려진 진행자 중 한 명인 베테랑 스티븐 해덜리는 영국 방송국 TBSeFM에서 자신의 이름을 딴 오랜 쇼를 운영하고 있다.[47] 미국인 도로시 남은 유명한 진행자이자 잘 알려진 한국미국인이다.[53]

대한민국의 DJ계도 해외 전문가들이 주목하고 있다.[54][55] 벨리댄스호주의 베테랑[56] 벨린다 아즈하르 박사와 같은 해외 전문가들이 주도하며 종종 공연을 사회적 대의와 연결시킨다.[56] 영국 DJ 올리 펜(DJ 페너)은 현지 및 다국적 전문 DJ로 인정받고 있다.

서울의 패션 입지가 계속 발전함에 따라 외국인 모델이 보편화되고 있다. 그중 브라질 출신의 베테랑 제인 아키노는 케이팝 아이돌과 함께 포즈를 취하고 에르메스 같은 유명 패션 하우스에서 일하는 성공적인 외국 모델로 알려져 있다.[57] 베테랑(전 군인) 디자이너이자 모델인 줄리안 우드하우스는 서울의 패션계를 장악하고 미국 패션 업계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58]

5. 통계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외국인 그룹은 중국계이다.[7] 2016년 기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중국 국적자는 71만 명이며, 이 중 조선족이 50만 명, 중화인민공화국계가 19만 명, 중화민국(대만)계가 20만 명을 차지한다. 이들을 합치면 대한민국 전체 외국인의 51.6%를 차지한다.[10]

1990년대 후반부터 대한민국 내 중국인 수는 급증하기 시작하여, 2000년대 중반에는 최소 30만 명 이상[8], 2009년에는 약 45만 명의 중국인이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7]

동남아시아이주노동자[11]중앙아시아(특히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몽골인) 출신 이주민도 증가 추세에 있다.

영어권 국가 출신의 원어민 영어 강사는 1988년 1,000명 미만에서 2002년 2만 명 이상으로 증가했으며[12] 2010년에는 22,000명 이상을 기록했다.[13]

주한 미군 인력과 민간인 직원은 28,500명이며,[14] 가족 동반도 증가하고 있다.

2022년까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수[5][6][60][61][62]
연도외국인 거주 인구
198040,519
1990100,000
1995269,000
1998308,339
2000491,234
2002629,006
2005747,476
20071,066,273
20101,261,415
20111,395,077
20121,445,103
20131,576,034
20141,797,618
20151,899,519
20162,034,878
20172,180,498
20182,367,607
20192,524,656
20202,036,075
20211,956,781
20222,245,912



대한민국의 외국인 거주자 수


2019년 기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합법 외국인의 국적.[63]
국가2021년 (8월)[64]2019년
중국851,6151,101,782
베트남209,839224,518
태국174,052209,909
미국145,724156,982
우즈베키스탄66,18175,320
러시아48,51161,427
필리핀47,59262,398
캄보디아41,23947,565
몽골37,96348,185
네팔37,09242,781
인도네시아34,51448,854
카자흐스탄30,38934,638
일본28,63186,196
대만42,767
미얀마29,294
캐나다26,789
스리랑카25,064
홍콩20,018
방글라데시18,340
오스트레일리아15,222
말레이시아14,790
파키스탄13,990
인도12,929
기타104,898
총계1,976,0002,524,656



출신 국가별 한국 거주 외국인 비율(2016년).

참조

[1] 뉴스 Korea's ethnic nationalism is a source of both pride and prejudice, according to Gi-Wook Shin http://aparc.stanfor[...] 2006-08-02
[2] 뉴스 Number of foreign residents in S. Korea triples over ten years http://english.hani.[...] 2016-11-21
[3] 웹인용 2013 Immigration Statistics Annual Report http://www.immigrati[...] Foreigner Policy Division 2015-02-16
[4] 웹인용 외국인 주민이 5% 넘는 '다문화 도시' 전국 12곳 http://news.chosun.c[...] The Chosun Ilbo 2015-09-04
[5] 웹인용 경기도 과천시 관문로 위치. 전자민원, 준법 운동, 여성포럼, 인권 광장 https://www.moj.go.k[...]
[6] 웹인용 K2WebWizard http://www.moj.go.kr[...] 2021-03-02
[7] 웹인용 More Than 1 Million Foreigners Live in Korea http://english.chosu[...] 2016-11-21
[8] 뉴스 No 'real' Chinatown in S. Korea, the result of xenophobic attitudes http://english.yonha[...] Yonhap News 2006-08-29
[9] 웹사이트 Tsinghua University http://www.tsinghua.[...]
[10] 웹인용 Foreign national population in Korea up more than 40% in 5 yrs http://m.pulsenews.c[...] 2018-05-10
[11] 웹인용 More Than 1 Million Foreigners Live in Korea http://english.chosu[...] 2016-11-21
[12] 웹인용 막가는 원어민 강사 골치 http://www.seoul.co.[...] 2010-12-20
[13] 웹인용 Animosity against English teachers in Seoul http://www.globalpos[...] GlobalPost 2010-12-27
[14] 웹인용 Briefing by Defense Secretary Gates and ROK Minister Lee: U.S. troop levels in South Korea will remain at 28,500 http://www.america.g[...] U.S. Department of State 2010-12-27
[15] 웹인용 국제결혼 이제는 진짜 대세로 [데이터로 보는 세상] https://www.mk.co.kr[...] 2024-09-26
[16] 뉴스 Marriage brokers in Vietnam cater to S. Korean bachelors http://www.iht.com/a[...] 2007-02-21
[17] 뉴스 South Korea's Entertainment Visas Pose Risk of Human Trafficking: Policy Forum https://www.iom.int/[...] 2018-07-15
[18] 뉴스 Foreigners return to small screen, targeting Korea's national pride http://www.koreahera[...] 2018-07-15
[19] 웹인용 English-language Media in South Korea {{!}} SmartExpat https://smartexpat.c[...] 2018-07-15
[20] 웹인용 In dubbing industry, talk is cheap for voice actors https://www.glassdoo[...] 2018-07-15
[21] 웹인용 In dubbing industry, talk is cheap for voice actors http://koreajoongang[...] 2018-07-15
[22] 웹인용 Carson Allen https://m.imdb.com/n[...] 2020-01-04
[23] 웹인용 Daniel Joey Albright https://m.imdb.com/n[...] 2020-01-04
[24] 웹인용 Khalid Elijah Tapia https://m.imdb.com/n[...] 2020-01-04
[25] 뉴스 The South African Girl Who Captured Korea http://english.chosu[...] 2018-07-15
[26] 웹인용 In dubbing industry, talk is cheap for voice actors https://www.theaustr[...] 2018-07-15
[27] 웹인용 In dubbing industry, talk is cheap for voice actors http://www.arirang.c[...] 2018-07-15
[28] 뉴스 The Voice of Korea in English: Jennifer Clyde http://english.chosu[...] 2018-07-15
[29] 웹인용 Lisa Kelley, 리사 켈리, Seoul, South Korea {{!}} Stevie Awards Asia Pacific http://asia.stevieaw[...] 2018-07-15
[30] 웹인용 Meet the Most Famous Black Man in Korea https://nextshark.co[...] 2018-07-15
[31] 웹인용 Soccer fans cheer for both teams on Korean peninsula https://www.dw.com/e[...] 2018-07-15
[32] 웹인용 Richard K. Kim (리차드 김, Korean actor, voice actor/actress, producer, director, scriptwriter) https://www.hancinem[...] 2018-07-15
[33] 뉴스 K-Foreign Stars: 3 foreigners who are making audiences laugh on Korean TV https://www.straitst[...] 2018-07-15
[34] 뉴스 Q&A With Voice Artist on Why Dubbing Will Never Die {{!}} China Film Insider http://chinafilminsi[...] 2018-07-15
[35] 웹인용 The Voice of Korea in English: Jennifer Clyde https://article.wn.c[...] 2018-07-15
[36] 웹인용 Jesse Day is Here to Stay http://groovekorea.c[...] 2014-03-14
[37] 뉴스 Finding the joy in work http://www.koreahera[...] 2014-06-26
[38] 웹인용 Kelly Frances McKenna on Saving Korea's Moon Bears http://world.kbs.co.[...] 2018-07-15
[39] 뉴스 Jack of all trades http://www.koreahera[...] 2012-11-25
[40] 서적 Discoveries of Korea, 20 Expats' Tales: real anecdotes on south korean everyday life https://play.google.[...] 길잡이미디어 2013-01-16
[41] 웹인용 The backstage https://www.backstag[...] 2018-09-15
[42] 웹인용 'Samia Mounts {{!}} Stripes Korea' https://korea.stripe[...] 2018-09-21
[43] 웹인용 'Home {{!}} Camarata Music Company' http://camaratamusic[...] 2018-09-23
[44] 뉴스 The Camarata Music Company http://groovekorea.c[...] 2018-09-23
[45] 웹인용 Anthony Bourdain with guide Joe McPherson (Dark Side, BBQ) - Picture of ZenKimchi Korean Food Tours, Seoul - TripAdvisor https://www.tripadvi[...] 2018-07-15
[46] 뉴스 Koreans Share Their Secret for Chicken With a Crunch https://www.nytimes.[...] 2018-07-15
[47] 뉴스 Seoul Eats: Steve Hatherly from TBS efm radio eats Bundaeggi 번데기 http://www.seouleats[...] 2018-09-21
[48] 웹인용 The Dark Side of Seoul https://asiasociety.[...] Asia Society 2022-05-01
[49] 웹인용 'The ghosts of Seoul | Stripes Korea' https://korea.stripe[...] Korea.stripes.com 2022-05-01
[50] 웹인용 15 Best Korean History, Travel and Culture Podcasts You Must Follow in 2022 https://blog.feedspo[...] 2021-01-05
[51] 웹인용 Dark Side of Seoul releases comic book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22-05-01
[52] 웹인용 The Dark Side of Seoul - Weird Tales of Korean Lore (Review) https://www.worldcom[...] 2020-09-14
[53] 웹인용 Dorothy Nam Never Runs out of Energy http://english.chosu[...] 2018-12-08
[54] 웹인용 Follow These Clubs To Catch The Hottest DJs In Seoul https://www.10mag.co[...] 2018-07-15
[55] 웹인용 http://se-cu.com/nds[...] 2024-10-14
[56] 뉴스 Bellydance Dinner in Seoul on Saturday http://www.koreahera[...] 2018-07-15
[57] 웹인용 Jane Aquino on modeling, posing with a K-pop idol for Hermes : Korea.net : The official website of the Republic of Korea http://www.korea.net[...] 2018-09-21
[58] 웹인용 How This Designer Went From Serving In The U.S. Military To Creating Menswear For A New Army https://www.forbes.c[...] 2018-12-08
[59] 뉴스 10 Korean YouTube Channels You Need to Know https://www.10mag.co[...] 2018-09-21
[60] 웹인용 Official Korean Website https://www.immigrat[...] 2018-06-19
[61] 뉴스 Foreign population jumps to 2.18 million https://www.koreatim[...] 2018-01-25
[62] 웹인용 경기도 과천시 관문로 위치. 전자민원, 준법 운동, 여성포럼, 인권 광장. https://www.moj.go.k[...] 2024-09-23
[63] 웹사이트 Immigration http://www.immigrati[...]
[64] 뉴스 "Number of foreigners in Korea up for 1st time in 20 months" http://www.koreahera[...] The Korea Herald 2021-09-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