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국의 유대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내 유대인에 대한 문서는 21세기 한국의 유대인 공동체 현황, 한국과 이스라엘 관계, 한국 사회의 유대인 인식 등을 다룬다. 대부분의 유대인들은 서울에 거주하며, 주한미군, 사업가, 언론인, 교사, 관광객 등으로 구성된다. 한국은 이스라엘과 외교 관계를 맺고 있으며, 기독교인들의 지지도 높다. 서울에 차바드 하우스가 설립되었고, 2019년에는 최초의 미크베가 개통되었다. 2022년에는 평택에 카라임 유대교 공동체가 설립되었다. 한국 사회는 유대인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유대인의 학문적 우수성을 높이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외국인 - 대한민국의 소수주민
    대한민국의 소수 주민은 다양한 배경을 가진 외국인들로, 경제, 문화, 사회 각 분야에서 활동하며 한국 사회에 기여하고 있고, 2024년 기준 200만 명 이상이 거주한다.
  • 한국 사람 - 한민족
    한민족은 한반도를 중심으로 전 세계에 거주하며, 남한에서는 '한민족' 또는 '한국인', 북한에서는 '조선민족' 또는 '조선인'으로 불리고, 동북아시아에서 기원하여 삼국시대 이후 다양한 민족의 혼합을 거쳐 형성되었으며, 한국어와 유교, 불교, 샤머니즘 등의 문화를 공유하지만 남북 분단 이후 문화적 변화를 겪고 있고, 전 세계적으로 약 8천만 명의 인구가 분포하며 저출산으로 인한 인구 감소 문제에 직면해 있다.
  • 한국 사람 - 제주인
    제주인은 신석기 시대부터 제주도에 거주하며 탐라국을 건국하고 독자적인 문화와 언어를 발전시켜 왔으며, 제주 4·3 사건의 아픔을 겪고 다양한 분야의 인물을 배출한 제주도 사람들을 지칭한다.
  • 유대인 - 마이모니데스
    마이모니데스는 12세기 유대인 랍비이자 철학자, 의사로서, 유대교 법전을 집대성하고 아리스토텔레스 철학과 유대교 신학을 조화시키려 했으며, 의학에도 정통하여 유대교, 철학, 의학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유대인 - 예수
    예수는 기원후 1세기경 갈릴리에서 활동한 유대인으로, 기독교의 중심 인물이자 하느님의 아들로 여겨지며, 복음서에 따르면 세례자 요한에게 세례를 받고 공생애를 시작하여 가르침을 전파하고 기적을 행했으며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은 후 부활했다고 전해진다.
한국의 유대인
지도
일반 정보
국가대한민국
인구 통계
총 인구200명 미만 (2021년)
대다수아슈케나짐
미즈라히
거주 지역서울
경기도
부산
인천
종교
유대교 분파개혁 유대교
보수 유대교
정통 유대교
유대교 회당서울 (비공식)
역사
기원한국 전쟁 중
유엔군
1950년대미국 군인 및 관련자
1960년대 이후다양한 국적의 유대인 유입
최근이스라엘인, 영어 교사, 사업가 등
문화
언어한국어
영어
히브리어
유대교 행사로쉬 하샤나
욤 키푸르
하누카
유월절
음식코셔 음식 이용 가능

2. 21세기 대한민국 내 유대인 공동체 현황

대한민국 내 유대인 공동체는 대부분 서울에 거주하며, 주로 주한 미군 장병과 그 가족, 사업가, 영어 언론인 및 교사, 관광객 등으로 구성된다.[1][15] 주한 미군 병력의 순환 배치로 인해 유대인 인구는 지속적으로 변동하는 특징을 보인다.[15]

이스라엘은 대한민국과 완전한 외교 관계를 맺고 있으며, 한국의 상당한 기독교 인구 역시 양국 간의 유대를 강화하는 데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05년 8월에는 이스라엘에 대한 기독교적 지지를 증진하기 위한 예루살렘 정상회담이 서울에서 개최되기도 했다.[2][16] 반면, 이웃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는 공식적으로 알려진 유대인 거주자가 없다.

한국 사회에서는 유대교 자체에 관심을 보이는 경우는 드물지만, 친유대주의적인 경향이 나타나기도 한다. 일부 한국인들은 토라탈무드와 같은 유대교 경전을 연구하며 유대인의 높은 학문적 성취를 본받으려 하기도 한다.[3][17] 한국 사회 특유의 높은 교육열과 맞물려, 유대인은 종종 학문적 우수성의 모델이자 매우 지적인 집단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4][18] 또한, 많은 한국인들은 유대인들이 이룬 경제적 성공이나 다수의 노벨상 수상 실적 등을 근거로 유대인을 높이 평가하며, 이를 한국 사회 발전의 본보기로 삼으려는 시각도 존재한다.[6][7][8][20][21][22] 한국 언론 역시 종종 "유대인 교육"의 장점을 강조하며 대중에게 소개하기도 한다.[9][10][23][24] 더불어, 억압의 역사를 지성과 창의력으로 극복하고 성공을 이루었으며 가족을 중시하는 유대인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한국인들이 정서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측면도 있다.[11][25]

한편, 2014년 반명예훼손 연맹(ADL)은 한국인의 반유대주의 성향이 세계 평균보다 두 배 이상 높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12] 그러나 언론인 데이브 하잔은 한국 사회를 조사한 결과 반유대주의적 정서는 찾기 어렵다고 보고했으며,[5][19] ADL의 대표 에이브 폭스만 역시 해당 조사 결과 분석 시 한국의 문화적 특수성을 고려해야 함을 인정했다.[5][19]

2. 1. 미군 기지와의 관계

대한민국 내 유대인 공동체의 상당수는 서울에 거주하며, 이들은 주로 미군 장병과 그 가족, 사업가, 영어 언론인 및 교사, 관광객 등으로 구성된다.[1] 주한 미군 병력의 순환 배치로 인해 유대인 인구는 지속적으로 변동하는 특징을 보인다.[15]

용산기지에는 미군 장병을 위한 유대교 군목(랍비)이 있지만, 이들이 주관하는 예배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지며 대부분의 민간인은 접근하기 어렵다.[1] 과거 대한민국에 회당이 없던 시절에는 서울의 하바드 하우스가 설립(2008년)되기 전까지 안식일 식사나 명절 예배를 위해 미군 기지를 이용해야 했다.[3] 현재 대한민국에는 유대인 학교가 없다.[1]

2022년 11월에는 평택시에 주둔 중인 한 유대계 미국인 군인에 의해 최초의 카라임족 공동체가 설립되기도 하였다.[14][27]

2. 2. 유대교 시설 현황

대한민국의 유대인 공동체는 주로 서울에 거주하며, 이들은 대부분 주한 미군 장병과 그 가족, 사업가, 영어 언론인 및 교사, 관광객 등으로 구성된다.[1] 유대인 인구는 주한 미군의 순환 근무로 인해 유동적인 편이다.[15]

2008년 4월, 오셔 리츠만 랍비와 그의 아내 무시아 리츠만의 주도로 서울에 첫 차바드 하우스가 설립되기 전까지 대한민국에는 공식적인 유대교 회당이 없었다.[3] 이전에는 국내 유대인들이 안식일 식사나 명절 예배 등 종교 활동을 위해 주한 미군 기지를 이용해야만 했다.[3] 주한 미군용산 미군 기지에 유대교 군목을 두고 있지만, 군목의 종교 활동은 제한적이며 대부분의 민간인은 접근하기 어려웠다.[1]

2019년에는 대한민국 최초의 미크베(정결 예식용 목욕 시설)가 문을 열었다.[13] 2022년 11월에는 평택에서 주한 미국계 유대인 군인에 의해 최초의 카라임 유대교 공동체가 설립되었다.[14]

현재 대한민국 내에는 유대인 학교가 없다.[1]

3. 한국-이스라엘 관계

이스라엘대한민국과 완전한 외교 관계를 맺고 있으며, 대한민국의 상당한 기독교 인구 또한 두 나라 간의 관계를 굳건하게 유지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2005년 8월에는 이스라엘에 대한 기독교 지지를 촉진하는 예루살렘 정상 회담이 서울에서 열리기도 했다.[2] 반면, 인접 국가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는 알려진 유대인이 없다.

4. 한국 사회의 유대인 인식

한국 사회에서는 유대인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다. 특히 높은 교육열과 성공 지향적인 사회 분위기 속에서, 유대인의 학문적 성취나 경제적 성공 사례[6][7][8]는 많은 한국인에게 깊은 인상을 주며, 탈무드와 같은 유대 문헌 연구나 유대인 교육 방식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기도 한다.[3][4][9][10] 또한, 역사적 시련 극복 경험이나 가족 중심적 가치관 등에서 문화적 공감대를 형성하기도 한다.[11] 이러한 배경에서 유대인을 배우고 본받으려는 친유대주의적 경향이 나타난다.[3][4]

4. 1. 반유대주의 정서 관련 논란

2014년, 반명예훼손 연맹(ADL)은 한국인이 세계 평균보다 두 배 이상 반유대주의적일 가능성이 높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12] 그러나 이러한 조사 결과에 대한 반론도 존재한다. 언론인 데이브 하잔은 한국 사회를 조사한 결과, 반유대주의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5] 또한, ADL의 대표인 에이브 폭스만은 조사 당시 문화적 규범이 응답자들의 답변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으며, 이는 향후 설문 조사에서 고려해야 할 부분이라고 인정했다.[5]

실제로 한국 사회에서는 유대인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널리 퍼져 있는 친유대주의적 경향도 나타난다. 유대인의 높은 학문적 성취나 토라, 탈무드 같은 문헌 연구를 통해 유대인의 성공 비결을 배우려는 움직임이 있으며,[3][4] 유대인을 학문적 탁월함의 모델이자 매우 지적인 존재로 보는 시각이 일반적이다.[4] 한국 언론에서도 종종 '유대인 교육'의 장점을 강조하고,[9][10] 유대인을 성공적인 사업가나 다수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집단으로 칭찬하며, 한국인들이 본받아야 할 대상으로 제시하기도 한다.[6][7][8] 또한, 억압받는 민족으로서의 고된 역사, 지성과 창의력만으로 역경을 헤쳐 나가 사회 경제적으로 성공한 점, 그리고 가족에 대한 강한 강조점에 대해 한국인들이 공감하는 측면도 있다.[11]

참조

[1] 웹사이트 "The Virtual Jewish History Tour- South Korea" https://www.jewishvi[...] Jewish Virtual Library
[2] 웹사이트 The Jerusalem Summit http://www.jerusalem[...] 2009-04-26
[3] 간행물 How the Talmud Became a Best-Seller in South Korea http://www.newyorker[...] 2015-06-23
[4] 웹사이트 ADL Global 100 http://global100.adl[...] Anti-Defamation League 2016-09-14
[5] 웹사이트 Seoul Mates: Are Jewish Stereotypes Among Koreans a Source of Hate, or Love? http://www.tabletmag[...] Tablet 2014-11-04
[6] 웹사이트 Why South Koreans are in love with Judaism http://www.thejc.com[...] 2011-05-12
[7] 웹사이트 South Koreans Learning Talmud http://www.aish.com/[...] Aish 2011-05-12
[8] 웹사이트 The Talmud: Why has a Jewish law book become so popular? https://www.bbc.com/[...] BBC 2013-11-08
[9] 뉴스 Why Koreans study Talmud http://www.ynetnews.[...] 2011-05-12
[10] 뉴스 Why South Koreans are in love with Judaism http://www.thejc.com[...] 2011-05-12
[11] 웹사이트 How I made the leap from being Korean to being Jewish http://qz.com/436687[...] Quartz 2015-06-25
[12] 웹사이트 Why is South Korea So Anti-Semitic? https://thediplomat.[...] 2024-07-03
[13] 뉴스 South Korea Gets Its First Mikveh https://www.jpost.co[...] 2019-04-04
[14] 웹사이트 About 3 https://www.karaism.[...] 2023-03-26
[15] 웹사이트 "The Virtual Jewish History Tour- South Korea" https://www.jewishvi[...] Jewish Virtual Library
[16] 웹사이트 The Jerusalem Summit http://www.jerusalem[...] 2009-04-26
[17] 웹인용 How the Talmud Became a Best-Seller in South Korea http://www.newyorker[...] The New Yorker 2015-07-13
[18] 웹인용 ADL Global 100 http://global100.adl[...] Anti-Defamation League 2016-09-14
[19] 웹인용 Seoul Mates: Are Jewish Stereotypes Among Koreans a Source of Hate, or Love? http://www.tabletmag[...] Tablet 2014-11-04
[20] 웹인용 Why South Koreans are in love with Judaism http://www.thejc.com[...] 2011-05-12
[21] 웹인용 South Koreans Learning Talmud http://www.aish.com/[...] Aish 2015-07-13
[22] 웹인용 The Talmud: Why has a Jewish law book become so popular? https://www.bbc.com/[...] BBC 2015-07-13
[23] 뉴스 Why Koreans study Talmud http://www.ynetnews.[...] 2014-06-27
[24] 뉴스 Why South Koreans are in love with Judaism http://www.thejc.com[...] 2014-06-27
[25] 웹인용 How I made the leap from being Korean to being Jewish http://qz.com/436687[...] Quartz 2015-06-27
[26] 뉴스 South Korea Gets Its First Mikveh https://www.jpost.co[...] 2019-04-04
[27] 웹인용 About 3 https://www.karaism.[...] 2023-03-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