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덴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덴표는 729년(진키 6년)부터 749년까지 사용된 일본의 연호이다. 주요 사건으로 740년 후지와라노 히로쓰구의 난, 전국 국분사 건립(741년), 곤덴에이넨시자이 법 시행(743년), 난바경 천도(744년), 헤이조쿄로의 천도 및 대불 건립 재개(745년) 등이 있었다. 이 시기에는 쇼무 천황이 고켄 천황에게 양위하고 출가했으며, 준닌 천황, 간무 천황 등이 덴표 시대의 인물로 언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라 시대 - 고후쿠지
    고후쿠지는 669년 후지와라 가마타리가 창건한 나라의 불교 사찰로, 후지와라 씨의 후원을 받아 번성했으나 화재와 전란으로 피해를 입고 재건을 거듭했으며, 현재는 여러 문화재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나라 시대 - 헤이조궁
    헤이조궁은 710년부터 784년까지 일본의 수도였던 헤이조쿄의 천황 거처로, 내정과 외조, 주작문 등의 시설을 갖추었으며,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어 국영 역사공원으로 운영되고 있다.
  • 일본의 연호 - 다이쇼 시대
    다이쇼 시대는 1912년부터 1926년까지 일본의 연호로,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국제 연맹 이사국 진출, 국내 사회 변화, 민주주의 사상 발전 등을 특징으로 하며, 1920년대 후반 세계 경제 불황의 영향을 받았다.
  • 일본의 연호 - 쇼와 시대
    쇼와 시대는 1926년부터 1989년까지 이어진 일본의 연호로, 히로히토 천황의 치세 동안 일본 제국의 군국주의, 태평양 전쟁, 패전 후 민주화와 경제 성장을 겪었으며, 쇼와 천황의 사망으로 헤이세이 시대로 전환되었다.
덴표
지리
기본 정보
시대일본 시대
기간729년 ~ 749년
천황쇼무 천황
기타
이전 시대신키
다음 시대덴표간포
로마자 표기Tenpyō
한자 표기天平

2. 연혁

진키 6년 8월 5일(율리우스력 729년 9월 2일), "天王貴平知百年"(천황귀평지백년)을 껍데기에 새긴 상서로운 거북이를 헌상 받아 개원하였고, 덴표 21년 4월 14일(율리우스력 749년 5월 4일) 덴표칸포로 개원되었다.

2. 1. 개원

진키 6년 8월 5일(율리우스력 729년 9월 2일), "天王貴平知百年"(천황귀평지백년)을 껍데기에 새긴 상서로운 거북이를 헌상받아 개원하였다.[3]

2. 2. 주요 사건


  • 덴표 12년(740년)
  • * 후지와라노 히로쓰구가 반란을 일으켰다.[4] 이는 겐보 등의 영향력 증대에 대한 반발이었다.[4]
  • * 오오노노 아즈마비토(小野東人)가 이끄는 1만 7천 명의 군대가 규슈(九州)로 파병되었다.[4]
  • * 히젠 국에서 히로쓰구가 패배하고 참수당했다.[4]
  • * 수도가 국경(국도)로 옮겨졌다.[5]
  • 덴표 13년(741년)
  • * 쇼무 천황이 전국에 국분사 건립을 명령했다.[6]
  • 덴표 14년(742년)
  • * 큐슈 치쿠젠의 행정 기관 다자이후(大宰府)가 폐지되었다.
  • 덴표 15년(743년)
  • * 5월 27일: 황무지 개간을 촉진하기 위해 개간지의 사유 재산화를 영구히 인정하는 곤덴에이넨시자이 법(墾田永年私財法)이 시행되었다.
  • * 10월 15일: 도다이지(동대사)에 안치될 대불(大仏) 건립 조서가 내려졌다.[7]
  • 덴표 16년(744년)
  • * 난바경(難波京)이 수도로 선포되었다.[4]
  • 덴표 17년(745년)
  • * 수도가 헤이조쿄(평성경)(나라(奈良))로 돌아오고, 대불 건립이 재개되었다.[8]
  • 덴표 20년(748년)
  • * 겐쇼 상황이 사망했다.
  • 덴표 21년(749년)
  • * 쇼무 천황고묘 황후출가했다.
  • * 무쓰쿠니에서 이 나왔다고 전해졌다.

3. 덴표 시대의 인물

덴표 시대에는 여러 주요 인물들이 역사에 영향을 끼쳤다.

729년 8월 10일, 후지와라 고묘가 황후로 책봉되었다. 731년 8월 11일에는 후지와라노 우구, 후지와라노 마로, 가즈라키 왕(타치바나노 모로에), 스즈카 왕 등이 참의가 되었다. 733년 정월에는 아가타 이누카이 타치바나 미치요가 사망하고 종일위를 추증받았다.

735년에는 니타베 신노와 토네리 신노가 사망하고, 규슈에서 시작된 천연두가 본토로 퍼져 천평의 역병 대유행을 일으켰다. 736년에는 가즈라키 왕과 사위 왕이 신적강하하여 타치바나노 모로에와 타치바나노 사위가 되었다.

737년에는 천연두로 인해 후지와라 사형제 (후지와라노 부젠, 후지와라노 마로, 후지와라노 무치마로, 후지와라노 우구)와 타치바나노 사위가 사망했다. 같은 해 9월, 스즈카 왕은 지태정관사로, 타치바나노 모로에는 대납언으로 임명되었고, 12월에는 후지와라노 토요나리가 참의가 되었다.

738년 1월 13일, 아베노 내친왕이 여성으로서는 유일하게 황태자가 되었다. 740년 8월 29일, 다자이후의 후지와라노 히로쓰구가 국정을 비판하며 겐보와 기비노 마키비를 배척할 것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렸고, 이는 후지와라노 히로쓰구의 난으로 이어졌다. 결국 히로쓰구와 그의 동생은 고토 열도에서 체포되었다.

748년에는 겐쇼 천황이 사망했고, 749년에는 무쓰쿠니에서 이 나왔다고 전해진다.

3. 1. 천황


  • 740년 (덴표 12년 8월): 나라의 聖武天皇|쇼무 천황일본어 궁정에서 기비노 마키비(吉備真備)와 겐보(玄昉)가 규슈(九州)의 다자이쇼니(大宰帥)였던 후지와라노 히로쓰구(藤原広嗣)를 헐뜯으려고 음모를 꾸몄다.[4]
  • 741년 (덴표 13년): 천황은 전국적인 국분사 건립을 명령했다. 전국에 국분사(國分寺)와 국분니지(國分尼寺)가 세워졌다. 국분사의 정식 명칭은 금광명사천왕호국사(金光明四天王護國寺)(금광의 네 수호신에 의한 나라 보호 사찰)였고, 국분니지의 정식 명칭은 법화멸죄사(法華滅罪寺)(법화경을 통해 죄를 소멸시키는 사찰)였다.[6]
  • 743년 (덴표 15년): 천황은 나라의 도다이지(동대사)에 안치될 대불(大仏) 건립을 위한 조서를 발표했다.[7]
  • 749년 (덴표 20년): 25년간의 통치 후, 聖武天皇|쇼무 천황일본어은 딸 다카노히메(高野姫)에게 양위했고, 그녀는 고켄 천황(孝謙天皇)이 되었다. 聖武天皇|쇼무 천황일본어은 양위 후 출가하여 은퇴한 천황으로는 처음으로 불교 승려가 되었다. 그의 배우자인 고묘 황후(光明皇后)도 그의 뒤를 따라 불교 비구니가 되었다.[9]
  • 준닌 천황
  • 간무 천황

3. 2. 주요 귀족

덴표 시대에는 후지와라노 히로쓰구, 기비노 마키비, 겐보 등이 주요 귀족으로 활동했다. 740년(덴표 12년) 8월, 나라쇼무 천황 궁정에서 기비노 마키비와 겐보는 규슈의 다자이쇼니였던 후지와라노 히로쓰구를 헐뜯으려고 음모를 꾸몄다.[4] 겐보 등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이에 반발한 후지와라노 히로쓰구는 난을 일으켰다.[4]

오노노 아즈마비토가 이끄는 1만 7천 명의 군대가 규슈로 파병되었고,[4] 히로쓰구는 히젠 국에서 패배하여 참수당했다.[4]

737년(덴표 9년)에는 후지와라노 사형제가 모두 천연두로 사망했다. 같은 해 9월에는 스즈카 왕이 지태정관사로, 타치바나노 모로에가 대납언으로 임명되었고, 12월에는 후지와라노 토요나리가 참의가 되었다.

749년(덴표 21년)에는 쇼무 천황이 딸 다카노히메에게 양위하여 고켄 천황이 즉위하였다. 쇼무 천황은 양위 후 출가하여 최초로 불교 승려가 된 상황이 되었고, 그의 배우자인 고묘황후도 비구니가 되었다.

다음은 덴표 시대 주요 귀족과 관련된 주요 사건을 정리한 표이다.

연도사건주요 귀족
737년 (덴표 9년)천연두로 후지와라노 사형제 사망후지와라노 부젠, 후지와라노 마로, 후지와라노 무치마로, 후지와라노 우구
737년 (덴표 9년)스즈카 왕 지태정관사 임명, 타치바나노 모로에 대납언 임명, 후지와라노 토요나리 참의 임명스즈카 왕, 타치바나노 모로에, 후지와라노 토요나리
740년 (덴표 12년)기비노 마키비와 겐보가 후지와라노 히로쓰구를 헐뜯으려는 음모를 꾸밈기비노 마키비, 겐보, 후지와라노 히로쓰구
740년 (덴표 12년)후지와라노 히로쓰구의 난 발발, 진압후지와라노 히로쓰구, 오노노 아즈마비토
749년 (덴표 21년)쇼무 천황 양위, 고켄 천황 즉위, 쇼무 천황과 고묘황후 출가쇼무 천황, 고켄 천황, 고묘황후


3. 3. 기타


  • 729년
  • * 8월 5일: 상서로운 거북이가 나타나 덴표(天平)로 연호를 변경하였다.
  • 730년
  • * 1월 13일: 오오토모노 타비토의 집에서 제자들이 모여 연회를 열었다. (이때의 시가 레이와 연호의 출전이 되었다.)
  • 731년
  • * 8월 11일: 후지와라노 우구, 후지와라노 마로, 가즈라키 왕(타치바나노 모로에), 스즈카 왕 등이 참의가 되었다.
  • 733년
  • * 정월: 아가타 이누카이노 타치바나노 미치요가 사망하고 종일위를 추증받았다.
  • 735년
  • * 니타베 신노와 토네리 신노가 사망하였다. 규슈에서 천연두가 크게 유행하여 본토로 전파되었다. (천평의 역병 대유행)
  • 736년
  • * 가즈라키 왕과 사위 왕이 신적에 내려 타치바나 스쿠네를 칭하며 타치바나노 모로에, 타치바나노 사위가 되었다.
  • 737년
  • * 4월: 천연두로 참의 후지와라노 부젠이 사망하였다.
  • * 7월: 천연두로 후지와라노 마로와 후지와라노 무치마로가 사망하였다.
  • * 8월: 천연두로 후지와라노 우구가 사망하였다. (후지와라 사형제 모두 사망) 타치바나노 사위도 사망하였다.
  • * 9월: 스즈카 왕을 지태정관사로, 타치바나노 모로에를 대납언으로 임명하였다.
  • * 12월: 후지와라노 토요나리가 참의가 되었다.
  • 738년
  • * 1월 13일: 아베노 내친왕이 황태자가 되었다. (여성으로서는 유일한 황태자)
  • 740년
  • * 8월 29일: 다자이후의 후지와라노 히로쓰구가 국정을 비판하며 승려 겐보와 게도 마비를 배척할 것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렸다. (후지와라노 히로쓰구의 난)
  • * 9월 3일: 히로쓰구의 상소가 모반으로 단정되고, 오오노 토리히토가 이끄는 1만 7천 명의 군사가 정벌에 나섰다.
  • * 10월 23일: 도주 중이던 히로쓰구와 그의 동생 후지와라노 쓰나데가 고토 열도에서 체포되었다.
  • 742년
  • *다자이후 폐지.
  • 743년
  • *5월 27일: 간전영년사재법 시행.
  • 748년
  • * 겐쇼 상황이 사망하였다.
  • 749년
  • * 무쓰국에서 이 나왔다고 전해졌다.

4. 덴표 시대의 문화

덴표 시대의 문화는 쇼무 천황(聖武天皇) 통치 기간 동안 불교 융성과 중앙 집권화 정책 추진으로 특징지어진다.

740년(덴표 12년) 후지와라노 히로쓰구(藤原広嗣)의 난이 일어났다.[4] 이는 겐보(玄昉) 등의 영향력 증대에 대한 반발로 일어난 사건이었다.[4] 난은 오노노 아즈마비토(小野東人)가 이끄는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고, 히로쓰구는 처형되었다.[4]

741년(덴표 13년), 쇼무 천황은 전국적인 국분사 건립을 명령했다.[6] 전국에 국분사(國分寺)와 국분니지(國分尼寺)가 세워졌으며,[6] 이는 불교를 통해 국가의 안녕을 기원하고 중앙 집권화를 강화하려는 목적이었다.

743년(덴표 15년)에는 도다이지 대불(大仏) 건립 조서가 발표되었고,[7] 같은 해 개간지 영구 사유화법(墾田永代私財法)이 발표되었다. 이는 토지 개간을 장려하고 농민들의 생활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정책이었다.

749년(덴표 20년), 쇼무 천황은 딸 다카노히메(高野姫)에게 양위했고, 그녀는 고켄 천황(孝謙天皇)이 되었다.[9] 쇼무 천황과 고묘황후(光明皇后)는 출가하여 불교에 귀의했다.[9]

이 시기에는 수도 이전이 빈번하게 일어났다. 740년(덴표 12년) 구니쿄로 천도했다가,[5] 744년(덴표 16년) 난바쿄로 다시 천도했다.[4] 745년(덴표 17년)에는 헤이조쿄(나라(奈良))로 환원되었다.[8] 이러한 잦은 천도는 정치적 불안정과 권력 다툼의 결과로 해석된다.

덴표 시대는 불교 문화가 융성하고 중앙 집권화가 강화된 시기였지만, 동시에 정치적 불안정과 사회적 혼란이 존재했던 시기였다.

5. 서력과의 대조표


참조

[1] 서적 Japan Encyclopedia https://archive.toda[...] (출판사 정보 없음) 2005
[2]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1834
[3] 서적 (책 제목 정보 없음)
[4]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1834
[5] 웹사이트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www.kyoto-be.[...] 2011-07-14
[6] 서적 (책 제목 정보 없음)
[7] 서적 (책 제목 정보 없음)
[8]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1834
[9] 서적 (책 제목 정보 없음)
[10] 간행물 聖武天皇と国土経営 日本治山治水協会 2017
[11] 서적 平城京と木簡の世紀 講談社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