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도부현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도부현도는 일본의 지방 도로로, 각 도도부현이 관리하며, 정령지정도시에서는 해당 시가 관리한다. 주요 지방도와 일반 도도부현도로 나뉘며, 주요 지방도는 국토교통대신이 지정하고 녹색 선으로 표시된다. 도도부현도는 정리 번호, 노선명, 통칭의 세 가지 이름을 가지며, 표지판은 파란색 바탕에 흰색 테두리의 육각형 모양이다. 여러 도도부현에 걸쳐 있거나, 특정 지역에서만 인정되는 경우, 10m 미만의 짧은 구간, 또는 100km가 넘는 긴 구간 등 다양한 특징을 가진 노선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도부현도 - 주요 지방도
    주요 지방도는 일본의 도도부현이 관리하는 지방도 중 중요도가 높은 노선으로, 1954년부터 1993년까지 6차례 지정 및 변경이 이루어졌으며, 노선 번호는 1~100번대를 사용하나 지역에 따라 예외가 존재한다.
  • 일본의 도로에 관한 - 나카센도
    나카센도는 에도 시대에 에도와 교토를 잇는 다섯 개의 주요 간선도로 중 하나로, 쇼군과 다이묘의 공식 통행로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일부 구간은 옛 모습을 보존하거나 복원되어 관광 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 일본의 도로에 관한 - 후쿠오카 고속도로
    후쿠오카 고속도로는 후쿠오카 시를 중심으로 6개의 노선으로 운행되며, 차량 종류와 시간대에 따라 통행 요금이 다르고 ETC 이용 시 할인 혜택이 적용된다.
  • 일본의 도로 - 주요 지방도
    주요 지방도는 일본의 도도부현이 관리하는 지방도 중 중요도가 높은 노선으로, 1954년부터 1993년까지 6차례 지정 및 변경이 이루어졌으며, 노선 번호는 1~100번대를 사용하나 지역에 따라 예외가 존재한다.
  • 일본의 도로 - 시정촌도
    시정촌도는 시, 정, 촌의 도로를 총칭하며 특별구의 특별구도와 함께 간선 시정촌도와 일반 시정촌도로 나뉘지만, 협소하거나 비포장인 곳도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
도도부현도
지도 정보
명칭
한국어도도부현도
일본어都道府県道
로마자 표기Todōfukendō
개요
종류지방 도로
관리 주체도도부현
역할지역 내 주요 연결 및 국도 보조
지정 기준주요 도시, 공항, 항만, 역, 관광지 등 연결 도로
특징
노선 번호 부여각 도도부현별 독립적 부여
도로 표지도로 표지에 도도부현 이름 및 번호 표기
도로 관리각 도도부현 도로 관리자가 담당
법적 근거도로법에 근거
종류 (일본어 표기)
도도東京都道 (도쿄도도)
北海道道 (홋카이도도)
大阪府道 (오사카부도), 京都府道 (교토부도)
広島県道 (히로시마현도) 등
이미지
일본 도도부현도 표지판 예시
일본 도도부현도 표지판 예시
도쿄도 12호선 표지판
도쿄도 12호선 표지판
홋카이도 34호선 표지판
홋카이도 34호선 표지판
오사카부 56호선 표지판
오사카부 56호선 표지판
히로시마현 78호선 표지판
히로시마현 78호선 표지판

2. 역사

주요 지방도와 일반 현도의 노선 번호 표지 설치 예


과거 도도부현도의 노선번호 안내 표지판이 없던 시절에는 여러 도도부현에 걸쳐 있는 노선의 경우, 각 도도부현마다 관리 번호가 다른 경우가 많았다.[3] 도카이 지방, 주고쿠 지방, 시코쿠 지방, 규슈 지방에서는 1970년대에 노선 번호 통일이 이루어졌지만(돗토리현도는 비교적 늦은 1984년 시행), 동일본이나 긴키 지방에서는 1994년까지 대부분 도도부현도의 관리 번호가 제각각이었다.

이후, 도도부현도의 노선 번호 안내 표지판이 설치되어 관리 번호가 표시되기 시작하면서, 도도부현 경계를 넘을 때 번호가 바뀌는 것에 따른 안내상의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이에 1993년(헤이세이 5년) 당시 미야자와 내각 하의 건설성(현 국토교통성)[6]은 이러한 노선에서는 가능한 한 동일한 관리 번호가 되도록 도도부현 간에 조정하도록 통지하였다. 그 결과, 1994년(헤이세이 6년) 4월 이후에는 경계를 넘는 도도부현도의 대부분에서 동일한 번호를 사용하도록 관리 번호가 변경되었다.[3] 예를 들어, 주요 지방도 소노베노세 선의 관리 번호는 교토부는 54호선, 오사카부는 3호선이었지만, 1994년 4월 1일에 54호선으로 통일되었다.

하지만 현재에도 야마나시, 가나가와, 시즈오카현을 넘나드는 현도 야마나카코코야마 선처럼, 동일 노선임에도 현에 따라 관리 번호가 변경되지 않고 다른 도도부현과 번호가 통일되지 않은 현도가 몇 개 존재한다.[3]

3. 노선 지정 및 관리

도도부현도는 지역 간선 도로망을 구성하며, 도도부현 지사가 도도부현 의회의 의결을 거쳐 노선을 인정한다.[2] 도도부현도는 또는 인구 5,000명 이상의 과 이들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주요 지역, 주요항만 또는 지방항만, 어항, 비행장, 철도 또는 궤도의 주요 정차장 또는 정류장, 주요 관광지를 연결한다.[2]

도도부현도의 관리는 해당 노선이 있는 도도부현이 담당하지만, 정령지정도시 지역 내에서는 해당 시가 담당한다.[3] 오카야마현 등은 정령지정도시 이외의 시에서도 관리를 이관하는 경우가 있다.[3] 노선의 일부가 인접 현에 걸쳐 있는 노선은 한쪽 도도부현이 관리하는 경우도 있다. (예: 이와테현도·미야기현도 295호 후지사와오가로선은 이와테현이 전 구간을 관리한다.)

국토교통대신이 지정한 주요 도도부현도를 주요 지방도라고 한다.[4] 주요 지방도는 도로 정비 및 유지 비용의 일부가 국고에서 보조된다.[4] 주요 지방도와 특례도 이외의 도도부현도는 '''일반 도도부현도'''라고 불린다.

4. 노선 번호 및 명칭

도도부현도는 정리번호, 노선명, 통칭이라는 세 가지 이름으로 불린다.

정리번호는 각 도도부현마다 다르게 부여되며, 특별한 규칙은 없다. 대부분 1~3자리 수로 구성되지만, 노선 수가 가장 많은 홋카이도는 4자리 정리번호를 사용한다.[2] 원칙적으로 주요 지방도에는 1~100번(홋카이도는 200번까지), 일반 현도에는 101번(홋카이도는 201번) 이후의 번호를 부여한다.[4] 그러나 야마나시현처럼 지역별로 번호대를 할당하거나, 이바라키현처럼 자전거 전용도로에 500번대를 부여하는 등 예외도 있다. 가나가와현후쿠이현에서는 국도와의 혼란을 피하기 위해 현도 번호와 중복되는 국도 번호를 결번 처리한다.[2]

노선명은 일반적으로 기점과 종점의 지명을 조합하여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도쿄도도 5호 신주쿠오메선의 노선명은 '신주쿠오메선'이다. 기점과 종점 외에 중요한 경유지 명칭을 포함하거나, 주요 항구나 정차장을 기점으로 하는 경우 "○○항선", "○○정차장선"과 같은 이름이 붙기도 한다.[2] 특히 "정차장선"은 도도부현도에서만 볼 수 있는 명칭으로, 구 국철이나 사철에 관계없이 전국 각지의 철도역을 연결하는 도로에 붙여진다.[2] 아키타현에는 차량기지(화물역)의 이름을 딴 아키타현도 126호 아키타차량기지선도 있다. 대규모 자전거도로는 "○○자전거도로선"이라는 명칭이 붙는다.[2]

통칭은 도로명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도시 지역 이외에는 통칭이 없는 구간도 많다. 도쿄도도 5호 신주쿠오메선의 통칭은 '오메가도·신오메가도'이다.

시정촌 합병으로 자치단체명이 변경되면 도로명도 변경되는 경우가 있지만, 혼란을 야기할 수 있거나 지역명이 이미 정착된 경우에는 변경하지 않기도 한다.[5]

5. 표지판

도도부현도 정비 번호 표지판은 1971년에 제정되었으며, 파란색 바탕에 흰색 테두리가 있는 모서리가 둥근 정육각형 모양이다. 표지판 상단에는 "현도", "도도", "도도", "부도" 문자가, 중앙에는 정비 번호, 하단에는 도도부현명이 흰색 문자로 기입된다.[4] 1972년 효고현을 시작으로 설치가 보급되어, 1994년 와카야마현과 후쿠이현을 마지막으로 전국 모든 도도부현에 설치가 완료되었다.

치바현도 137호 소고사사이선의 옛 스타일 도로 표지판


후쿠시마현도 38호선 노선 번호 표지판


표지판 디자인은 전국적으로 통일되어 있지만, 일부 예외도 있다. 치바현 등에서는 중앙에 노선명을 배치한 옛 스타일 표지판이 남아있고, 후쿠시마현에서는 노선 번호와 노선명을 별도로 기입한 2단 겹침 형태의 육각형 표지판을 사용한다.[4] 1990년 국제 꽃과 녹색 박람회를 계기로 상단의 부도를 "ROUTE", 부명을 "Osaka"로 변경한 오사카부도 표지판이나, 약간 세로로 긴 육각형 모양의 홋카이도도 표지판도 있었다.[4] 시즈오카현도 223호선에는 해상 페리에 세운 표지판에 그림을 그린 것도 있다.[4]

일부 도로 애호가들은 일반 국도 표지판을 "오니기리"라고 부르는 것에 비해, 도도부현도 표지판은 육각형 모양에서 착안하여 "헥사곤(영: ''hexagon'')"이라고 부르기도 한다.[4]

6. 특징적인 도도부현도

도도부현도는 국도와 마찬가지로 노선 번호와 노선명을 가진다. 노선 번호는 '정리번호'라고 불리며, 대부분 1~3자리 수이지만, 노선이 가장 많은 홋카이도는 4자리 번호를 사용한다.[2] 노선명은 주로 기점과 종점의 지명을 나열하고, 경우에 따라 경유지를 포함하기도 한다.[2] 다만, 오키나와현은 미군 점령 시대의 영향으로 노선명 없이 번호만 있는 현도가 많다.[2]

도도부현도로 지정되는 도로는 예전부터 있던 가도나 지역 간 생활 도로가 많으며, 과거 일반 국도였다가 지정 해제된 도로가 도도부현도가 되기도 한다.[2]

도도부현도의 규모와 도로 상황은 매우 다양하다. 도쿄도도 제311호 환상 8호선, 오사카부도 제2호 오사카 중앙 환상선처럼 일반 국도를 능가하는 규모의 도로나, 수도고속도로, 한신 고속도로와 같은 도시고속도로도 도도부현도로 취급된다.[2] 반면, 통행이 어려운 협애도로나 비포장 구간도 많으며, 교토부도·시가현도 제782호 다이고오쓰 선처럼 등산로에 해당하거나 사람이 다닐 수 없는 길, 주택가나 상점가의 골목길, 골프장이나 목장 구내를 통과하는 등 도로로서의 기능이 제한되거나 없는 경우도 있다.[2] 도로 답사를 취미로 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정비가 미흡한 국도를 "혹도"라고 부르는 것처럼, 현도는 "험도(険道)"라고 불리기도 한다.[2] 부도는 "부패한 도로(腐道)", 도도는 "토하는 도로(吐道)", 도도는 "사나운 도로(獰道)"라고도 한다.[2]

6. 1. 여러 도부현에 걸쳐 있는 도도부현도


  • 도치기현도·군마현도·사이타마현도·이바라키현도 제9호 사노후루가와 선 - 4개의 현에 걸쳐 있으며, 하나의 도로로 이어지지만 총 연장은 18.183 km로 국도 제466호선과 비슷하다. 4개 현에 걸쳐 있는 도도부현도는 이 노선뿐이다.
  • 나가노현도·아이치현도·시즈오카현도 제1호 이이다토야마사쿠마 선
  • 도치기현도·군마현도·사이타마현도 제7호 사노기타 선
  • 오이타현도·쿠마모토현도·미야자키현도 제8호 다케다고케세 선
  • 도치기현도·군마현도·사이타마현도 제20호 아시카가우라가기타 선
  • 이바라키현도·지바현도·사이타마현도 제26호 사카이 스기토 선
  • 지바현도·도쿄도도·사이타마현도 제54호 마쓰도소카 선
  • 미에현도·나라현도·교토부도 제82호 우에노미나미야마시로 선
  • 나가노현도·아이치현도·기후현도 제101호 츠키세카미야하사쿠 선
  • 후쿠오카현도·오이타현도·구마모토현도 제115호 야메오구니 선
  • 아이치현도·기후현도·미에현도 제125호 사야타도 선
  • 가나가와현도·도쿄도도·지바현도 제294호 고속완간 선(수도고속 완간선)
  • 가나가와현도·야마나시현도·도쿄도도 제521호 사노가와우에노하라 선
  • 야마나시현도·가나가와현도·시즈오카현도 제730호·147호 야마나카코코야마 선


과거에는 도도부현도의 노선번호 안내 표지판이 없어 여러 도도부현에 걸친 노선의 경우 각 도도부현마다 관리 번호가 다른 경우가 많았다.[6] 1993년 미야자와 내각 하에서 건설성(현 국토교통성)이 이러한 노선에서 가능한 한 동일한 관리 번호가 되도록 도도부현 간에 조정하도록 통지하여, 1994년 4월 이후에는 경계를 넘는 도도부현도의 대부분에서 동일한 번호를 사용하도록 관리 번호가 변경되었다.[6]

하지만 현재에도, 현도 야마나카코코야마 선처럼, 동일 노선이라도 현에 따라 관리 번호가 변경되지 않고 다른 도도부현과 번호가 통일되지 않은 현도가 몇 개 존재한다.[6]

6. 2. 한쪽 도부현에서 인정하지 않는 도도부현도

불인정 도도부현불인정 현도
아키타현아오모리현도 제21호선
후쿠오카현구마모토현도 제29호선
기후현나가노현도 제84호선
오사카부효고현도 제13호선
오카야마현돗토리현도 제303호선
도쿠시마현고치현도 제369호선
구마모토현후쿠오카현도 제787호선
시즈오카현가나가와현도 제731호선
가나가와현시즈오카현도 제20호선
와카야마현오사카부도 제218호선
히로시마현오카야마현도 제377호선

[2]

6. 3. 100km 이상의 도도부현도

니가타현도 제45호선은 일본의 도도부현도 노선 중 가장 긴 167.2km이지만 일주 도로로 분류된다.[1] 홋카이도도 제142호선은 일본 전체 2위의 도도부현도로 163.1km이다.[2][6]

순위노선명총 연장
1니가타 현도 45호 사도 일주선169.6km[5]
2홋카이도도 142호 네무로 하마나카 쿠시로선163.1km[2][6]
3가고시마현도 제79호선100.7km[3][7]
4히로시마현도·시마네현도 제5호선100.3km[4]


6. 4. 10m 이하의 도도부현도

나가노현도 제162호선은 일본에서 가장 짧은 도도부현도로, 그 길이가 7m에 불과하여 아홉 발자국이면 닿을 수 있다.[2] 히로시마현도 제204호선은 일본에서 두 번째로 짧은 도도부현도로, 총 연장이 10m이다.[2]

6. 5. 단독 구간이 없는 도도부현도

다음은 단독 구간이 없는 도도부현도 목록이다.

도도부현도중복 노선
시가현도 제10호선시가현도 제2호선[2]
나가노현도 제23호선국도 제143호선[2]
에히메현도 제33호선국도 제320호선[2]
미야기현도·후쿠시마현도 제104호선국도 제342호선[2]
시즈오카현도 제104호선시즈오카현도 제11호선[2]
도치기현도 제116호선도치기현도 제38호선[2]
군마현도 제162호선, 군마현도 제163호선군마현도 제26호선[2]
와카야마현도 제209호선국도 제179호선[2]
이바라키현도 제325호선국도 제461호선[2]
후쿠오카현도 제559호선국도 제202호선[2]
미야기현도·후쿠시마현도 104호 가와마에야나가와 선국도 제349호선[2]
이바라키현도 325호 히타치오오타시 정차장 선국도 제461호선[2]
도치기현도 116호 아시카가시 정차장 선도치기현도 38호 아시카가치요다 선[2]
군마현도 162호 야기하라 정차장 선군마현도 26호 타카사키안나카시부카와 선[2]
군마현도 163호 야기하라 정차장 오구라 선군마현도 26호 타카사키안나카시부카와 선[2]
니가타현도 302호 혼다카쓰토노메 선니가타현도 184호 산와나이 선, 국도 제405호선, 국도 제18호선[2]
나가노현도 23호 마쓰모토 정차장 선국도 제143호선[2]
시즈오카현도 104호 기노미야 정차장 선시즈오카현도 11호 아타미함난 선[2]
아이치현도 198호 이치노미야코마키 선국도 제155호선, 아이치현도 199호 타카조지코마키 선[2]
시가현도 10호 나가하마 정차장 선시가현도 2호 오쓰노토가와나가하마 선[2]
돗토리현도 25호 돗토리 정차장 선돗토리현도 192호 니시마치돗토리 정차장 선[2]
돗토리현도 48호 아비엔스가사와 선돗토리현도·시마네현도 108호 인가오쿠이즈모 선, 돗토리현도·시마네현도 106호 타리헤이타 선, 돗토리현도·시마네현도 105호 혼야마헤이타 선[2]
시마네현도 199호 니시이즈모 정차장 선시마네현도 277호 타기코난이즈모 선[2]
시마네현도 206호 나미코 정차장 선시마네현도 300호 아토이치나미코 정차장 선, 시마네현도 301호 사노나미코 정차장 선[2]
오카야마현도 209호 카츠마다 정차장 선국도 제179호선[2]
히로시마현도 236호 코누카 정차장 선히로시마현도 448호 시모치도리코누카 정차장 선[2]
에히메현도 33호 우와지마 정차장 선국도 제320호선[2]
후쿠오카현도 559호 하라히가시케이고 선국도 제202호선[2]


6. 6. 기타 특징적인 도도부현도

돗토리현도 제307호선과 도쿠시마현도 제227호선, 도쿠시마현도 제263호선 등과 같이 노선이 이미 인정되었으나, 미공용인 상태에 머물러 있어 실제 연장이 아예 없는 도도부현도도 존재한다.[7] 특히 홋카이도도 제1086호선의 경우와 유사하게 착공에 이른 상태임에도 불구, 전 구간이 미공용 및 실제 연장 없이 건설이 중단된 도도부현도들도 존재한다.[7]

  • 야마나시현도 701호 후지카미요시다 선 - 일본에서 가장 높은 표고에 있는 도도부현도. 기점인 후지산 정상의 표고는 3715m이다.
  • 시즈오카현도 223호 시미즈항 도히 선, 돗토리현도 307호 갹사 아오바 선, 도쿠시마현도 227호 오아사 기타무라 선, 도쿠시마현도 263호 고세이 사다미쓰 선과 같이 노선은 인정되었지만 미개통 상태로 실제 연장이 없는 현도가 존재한다.
  • 홋카이도도 1086호 마스모에 도우베쓰 선과 같이 착공에 이르렀으나 전 구간 미개통·실제 연장 없이 건설이 중지된 도도부현도도 존재한다.

참조

[1] 웹사이트 Road definition & classification http://www.mlit.go.j[...]
[2] 웹사이트 県道ならぬ「険道」 数は「酷道」よりも膨大? 初心者にはお勧めできない道路たち https://trafficnews.[...] 2022-04-30
[3] 웹사이트 市町村に移譲された事務・権限の一覧 http://www.pref.okay[...] 2009-04-01
[4] 문서 平成6年6月30日 建設省道政発第33号「都道府県道の路線認定等について」(各都道府県知事宛、建設省道路局長通達) 1994-06-30
[5] 뉴스 市名は変わるけど…県道名に「丹波」入れません https://www.kobe-np.[...] 2019-09-12
[6] 문서 당시의 건설대신은 中村喜四郎
[7] 문서 지바현도·도쿄도도·가나가와현도 294호선을 전용하고 있는 수도고속도로 완간선 해당 고속도로 노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