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리언 르 갤리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리언 르 갤리언은 1915년 멜버른에서 태어나 1963년 사망한 오스트레일리아의 작곡가, 피아니스트, 지휘자, 음악 평론가이다. 1938년 피아니스트로, 1939년 지휘자로 데뷔했으며, 1946년 한국을 방문하여 피아노 연주를 하였고, 김경화라는 한국어 이름을 사용하기도 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발레곡, 관현악곡, 실내악곡, 성악곡 등이 있으며, 멜버른 대학교에서 화성학을 가르치고, 신문 음악 평론가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레일리아의 침례교도 - 리베카 세인트 제임스
호주 출신 기독교 음악가 리베카 세인트 제임스는 12세에 음악 경력을 시작하여 그래미상을 수상하고, 영화, 책, 뮤지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2024년에는 가족의 삶을 바탕으로 한 영화 'Unsung Hero'가 개봉되었다. - 아일랜드에 거주한 오스트레일리아인 - 모리스 패리시
모리스 패리시는 2차 세계 대전에 참전 후 캘리포니아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대한제국 독립 운동을 지원한 공로로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받았고, 캘리포니아 주와 호주에서 정치 활동을 펼치면서 다양한 가명과 한국어 이름을 사용했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클래식 작곡가 - 퍼시 그레인저
오스트레일리아 출신 작곡가, 피아니스트이자 민족음악학자인 퍼시 그레인저는 독창적인 작품과 민요 편곡, 혁신적인 악기 편성 및 악보 기법, 자유 음악 실험으로 음악사에 중요한 발자취를 남겼으며, 대표작으로는 "컨트리 가든"이 있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클래식 작곡가 - 브렛 딘
브렛 딘은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의 비올라 연주자이자 작곡가로,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비올리스트로 활동 후 오케스트라, 실내악, 오페라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하며 그라베마이어 작곡상, APRA 어워드 등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도리언 르 갤리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Dorian Leon Marlois Le Gallienne |
출생일 | 1915년 4월 19일 |
출생지 | 오스트레일리아 캔버라 |
사망일 | 1963년 7월 27일 |
사망지 | 오스트레일리아 캔버라 |
국적 | 오스트레일리아 |
직업 | 피아노 연주자 작곡가 편곡가 음악 평론가 |
악기 | 피아노 |
종교 | 개신교 (침례회) |
활동 시기 | 1938년 ~ 1963년 |
2. 생애
도리언 르 갤리언(1915년 ~ 1963년)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작곡가, 피아니스트, 지휘자, 음악 평론가 및 교육자이다. 멜버른에서 태어나 음악 교육을 받았고, 1938년 영국 런던의 왕립 음악 대학에서 유학한 후 현지에서 피아니스트와 지휘자로 데뷔하였다.
1941년 오스트레일리아로 귀국하여 작곡과 평론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호주 방송 위원회(ABC)의 운영 방식을 비판하는 등 활발한 평론 활동을 펼쳤으며, 1950년부터 사망 시까지 ''아거스''와 ''더 에이지''의 음악 평론가로 활동했다. 1946년 5월에는 미 군정 미국 제8군의 초청으로 한국을 방문하여 피아노 연주회를 가졌으며, 이때 '''김경화'''(金京華)라는 한국어 이름을 사용하기도 했다. 미군정청에는 '''Thomas Marlois Kim영어'''으로 알려졌다.
그의 주요 작품으로는 《신포니에타》, 교향곡 1번, 그리고 존 던의 시에 곡을 붙인 연가곡 《존 던의 네 개의 거룩한 소네트》 등이 있다. 또한 멜버른 대학교 음악원에서 화성학을 가르치며 후학 양성에도 힘썼다.
1963년 캔버라에서 당뇨병으로 인한 심장병으로 사망하였다. 그의 음악적 업적을 기리기 위해 사후 '도리언 르 갤리언 상'이 제정되어 2년마다 빅토리아 지역 작곡가에게 수여되고 있다.[4][5]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915-1938)
도리언 르 갤리언은 1915년 멜버른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프랑스 태생의 배우였고, 어머니는 G. W. L. 마셜-홀에게 피아노를 배운 피아니스트였으며, 멜버른 천문대 천문학 보조원의 딸이었다. 그의 부모는 1924년에 헤어졌고, 아버지는 이후 영국에서 살았다. 그는 멜버른 성공회 문법 학교에 다녔으며, 16세에 당뇨병 진단을 받았다. 학교를 졸업한 후에는 멜버른 음악원에서 A. E. H. 닉슨에게 음악을 배웠다. 1938년에는 영국 런던의 왕립 음악 대학에서 아서 벤자민과 허버트 호웰스에게 사사했으며, 같은 해 런던에서 피아니스트로 데뷔하였다.2. 2. 런던 유학과 귀국 (1938-1945)
1938년 영국 런던의 왕립 음악 대학에서 아서 벤자민과 허버트 호웰스에게 음악을 배웠다. 같은 해 런던에서 피아니스트로 데뷔하였고, 이듬해인 1939년에는 지휘자로서도 데뷔하였다. 1939년에는 훗날 호주 방송 위원회(ABC)의 회장이 되는 리처드 다운닝과 함께 유럽을 여행하기도 했다.이후 1941년 오스트레일리아로 귀국하였다. 귀국 후에는 작곡과 평론 활동을 시작하여, 1942년 클래식 피아노 연주곡 《Blue wrens》를 작곡 및 편곡하였고, 1943년에는 서양 고전 음악 평론 《Solveig's cradle song》을 발표하며 음악 평론가로 등단하였다.
2. 3. 음악 평론가 및 교육 활동 (1946-1963)
1946년 5월, 당시 미 군정 남조선 과도정부 서울 미군정청에 주재하던 미국 제8군의 초청으로 한국을 방문하여 클래식 피아노 연주 내한 공연을 가졌다. 이 시기 그는 김경화(金京華)라는 한국어 이름을 사용했으며, 미군정청에는 토머스 멀로이스 킴(Thomas Marlois Kim영어)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지기도 했다.호주로 돌아온 후, 1950년부터 1963년 사망할 때까지 멜버른의 신문사인 ''아거스''와 ''더 에이지''에서 음악 평론가로 활동했다. 그는 평론 활동 중 "왜 '유명 인사'를 선호하는가?"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호주 방송 위원회(ABC)가 소위 '유명 인사' 중심의 구독 콘서트 정책으로 인해 호주 현지 음악과 음악가에 대한 지원이 부족하다고 비판하며 지역 문화 진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1951년부터 1953년까지는 영국으로 건너가 작곡가 고든 제이콥에게 사사하며 음악 연구를 이어갔다. 이후 1954년부터 1960년까지는 멜버른 대학교 음악원에서 학생들에게 화성학을 가르치는 등 교육 활동에도 힘썼다. 그의 평론가 및 교육자로서의 활동은 1963년 사망할 때까지 계속되었다.
2. 4. 사망 (1963)
1963년 오스트레일리아 캔버라에서 당뇨병으로 인한 심장병으로 사망하였다. 그는 예술가 콜로니 몽살바트 옆의 엘텀 묘지에 묻혔다. 사망 당시 두 번째 교향곡은 미완성 상태로 남아 있었다.그의 음악 인생을 기리기 위해 도리언 르 갤리언 상이 제정되었다. 이 상은 2년에 한 번씩 빅토리아에 거주하는 작곡가에게 수여된다.[4] 1965년 첫 번째 상은 헬렌 기포드에게 수여되었다.[5]
3. 주요 작품
(내용 없음)
3. 1. 관현악
3. 2. 실내악
- 피아노 4중주를 위한 E 단조 소나티나 (1941)
-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1943)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1945)
- 바이올린과 비올라를 위한 듀오 (1956)
- 오보에, 바이올린, 비올라를 위한 삼중주 (1957)
3. 3. 피아노
- ''푸른 굴뚝새'' (피아노)
- 맥베스 부수 음악 (피아노)
- ''징커 라이드'' (피아노, 로버트 휴즈와 함께)
- ''전설'' (피아노 2대)
- 야상곡 (피아노)
- ''라이벌'' (피아노)
- 소나타 (플루트와 피아노, 1943)
- 소나타 (피아노, 트레버 바나드가 녹음)
- 소나타 (바이올린과 피아노, 1945)
- 피아노 4중주를 위한 E 단조 소나티나 (1941)
- 교향적 연구 (피아노, 1940?)
- 피아노 소품 3개
3. 4. 성악
- ''사랑하는 이여, 서로 사랑합시다''
- ''안녕! 그대는 내가 소유하기엔 너무 소중하오''
- ''더 이상 태양의 열기를 두려워하지 마시오''
- ''존 던의 네 개의 신성한 시'' (1950)
- ''네 개의 자장가''
- ''가라, 마음'' (제임스 웨더번 작사)
- ''오, 그대 나의 음악이 얼마나 자주'' (셰익스피어, 소네트 128번)
- ''나는 작은 호두 나무를 가지고 있었네''
- ''가장 축복받은 아침'' (SATB 무반주 합창단을 위한 짧은 서창)
- ''더 이상 나를 위해 슬퍼하지 마시오'' (셰익스피어, 소네트 71번)
- ''오 장미여, 그대는 병들었네'' (SSATB 무반주 합창)
- ''페타 화이트''; ''회색 거위와 수컷 거위'' (두 개의 전통 노래)
- ''솔베이의 자장가'' (입센의 ''페르 귄트''에서)
- ''옛날에 왕이 있었는데''
- 세 개의 시편 (SATB 합창과 오르간)
3. 5. 발레
- ''문장의 문장'' (또는 잠자는 공주) (1947)
- ''보야저'' (1954)
3. 6. 부수 음악
3. 7. 영화 음악
(내용 없음)참조
[1]
웹사이트
Rhoderick McNeill, The Australian Symphony of the 1950s
https://web.archive.[...]
2008-11-20
[2]
웹사이트
Australian Music Centre: library recording of Le Gallienne's Symphony No. 1
http://www.amcoz.com[...]
[3]
웹사이트
ABC Classic FM: Knowing the Score
http://www.abc.net.a[...]
[4]
웹사이트
University of Melbourne, Faculty of Music
http://www.music.uni[...]
[5]
웹사이트
Australian Music Centre: Helen Gifford
http://www.amcoz.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