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쿄 급행 전철 7000계 전동차 (1962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쿄 급행 전철 7000계 전동차(1962년)는 일본 최초의 올 스테인리스 차량으로, 미국 버드사와의 기술 제휴를 통해 제작되었다. 차체는 버드사가 제조한 필라델피아 지하철 M3 차량을 모델로 했으며, 차체 구조, 제어 방식, 주행 장치 모두를 재검토하여 초기 투자 및 유지보수 비용 절감을 목표로 설계되었다. 도요코 선을 비롯한 여러 노선에서 운용되었으며, 일부 차량은 다른 철도 사업자에게 양도되어 사용되기도 했다. 현재는 도큐 차량 제조에 보존되어 있으며, 산업 유산으로도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큐 전철의 철도 차량 - 도쿄 급행 전철 8500계 전동차
    1975년부터 도쿄 급행 전철 도요코선, 신-타마가와선, 덴엔토시선에서 운행을 시작한 8500계 전동차는 로렐상 수상 및 한조몬선 직결 운행을 위한 사양 변경을 거쳤으나, 2002년부터 퇴역이 시작되어 2023년 1월 정기 운행을 종료하고 마지막 편성인 8637편성은 관광 열차로 동태 보존될 예정이다.
  • 도큐 전철의 철도 차량 - 도쿄 급행 전철 5000계 전동차 (2002년 도입)
    도쿄 급행 전철 5000계 전동차(2002년 도입)는 노후화된 8000계 및 8500계를 대체하기 위해 2002년부터 도입된 통근형 전동차로, E231계를 기반으로 20m급 4도어 경량 스테인리스 차체를 채용하여 덴엔토시선 등 다양한 노선에서 운용되며 5050계, 5080계, Y500계 등의 파생 차종이 있다.
  • 일본의 철도 차량 - 산요 신칸센
    산요 신칸센은 신오사카역에서 하카타역까지를 잇는 JR 서일본의 신칸센 노선으로, 1972년 개통되어 1987년 JR 서일본에 계승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차량과 여러 등급의 열차가 운행된다.
  • 일본의 철도 차량 - 아키타 신칸센
    아키타 신칸센은 도쿄와 아키타를 잇는 미니 신칸센 노선으로, E6계 전동차 '코마치'호가 운행되며 도호쿠 신칸센과 직결 운행되지만, 모리오카-아키타 구간은 지형적 제약으로 감속 운행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노선이다.
도쿄 급행 전철 7000계 전동차 (1962년)
차량 정보
차량 이름도쿄 급행 전철 7000계 전동차
배경색#ee0011
도요코선에서 급행 운용에 투입되는 7000계 (1980년 3월)
운영자도쿄 급행 전철
제작 회사도쿄 차량제조
제작 년도1962년 - 1966년
제작 수량134량
운행 시작1962년 2월 1일
운행 종료1991년 9월 21일 (메구로선)
1999년 8월 (고도모노쿠니선 정기 운행, 이후 예비차)
편성2량, 4량, 6량, 8량
궤간1,067 mm
전기 방식직류 1,500V (가공 전차선 방식)
최고 운전 속도90 km/h
설계 최고 속도110 km/h
기동 가속도4.0 km/h/s (3차차 이후)
(3.0 km/h/s라는 자료도 있음)
감속도4.0 km/h/s
(4.5 km/h/s라는 자료도 있음)
차량 정원선두차 140명 (좌석 52명)
중간차 150명 (좌석 60명)
자중27.32t (M1)
27.18t (M2)
28.15t (M1c)
28.02t (M2c)
전장18,000 mm
전폭2,800 mm
전고3,790 - 4,000 mm
바닥 높이1,125 mm
차체스테인리스강
대차PIII-701형
주전동기TDK826-A (도요차)
HS-830-Arb (히타치차)
직류 복권 전동기
주전동기 출력60 kW, 단자 전압 187.5V (도요차)
70 kW, 단자 전압 375V (히타치차)
구동 방식중공축 평행 카르단 구동 방식 (탄성판 이음매 방식) KD-102A
기어비85:13 (6.54)
정격 속도35.0 km/h (히타치차)
제어 방식저항 제어
제어 장치ACRF-H860-754A (도요차)
MMC-HTR-10A (히타치차)
제동 장치회생 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브레이크
보안 장치도큐형 ATS
영단 WS-ATC (도요차 일부)
기타 정보
비고1957년 7월 31일부터 1961년까지 진행된 "2호선 직통 차량 규격 소위원회"에서 영단, 도큐, 도부 3사가 정하고, 1957년 9월 24일에 각서가 교환됨.

2. 올 스테인리스 차량 탄생까지의 경위

도쿄 급행 전철 7000계 전동차(1962년)미국의 버드사와의 기술 제휴를 통해 제작된 일본 최초의 올 스테인리스 차량이다. 1962년부터 1966년까지 134량이 제작되었으며, 이는 당시 도큐의 단일 계열 중 최대 규모였다.

도요코선히비야선직결 운행을 전제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차체 규격은 상호 운행 협정에 준거했지만, 실제 상호 운행에 필요한 기기가 탑재된 차량은 일부에 불과했다. 초기 차량에는 6000계와 동일한 제어 장치 등 전장품이 많이 채용되었지만, 차체와 대차에는 버드사의 특허 기술이 적용되었다.

도쿄 급행 전철은 7000계 전동차 제작을 통해 기술력을 크게 발전시켰다고 평가하며, "1960년대의 에포크 메이커"로 불리기도 한다.

초기에는 도요코선에 배치되어 1964년부터 히비야선 상호 운행을 시작했으며, 1966년부터는 덴엔토시선에서도 운용되었다. 이후 이케가미선을 제외한[3] 도큐의 철도 노선에서 널리 운용되었다.

134량 모두 개조, 양도 등을 거쳐 재사용되었으며, 1987년부터 1991년까지 56량이 7700계로 개조되었고, 76량은 1988년부터 1991년까지 5개 철도 사업자에게 양도되었다. 2012년 기준으로 84량이 5개 철도 사업자에서 여객 영업에 사용되고 있다[4].

7000계는 미국의 기술을 도입한 일본 최초의 올 스테인리스 차량으로, 도입 경위는 차량 구조, 부품, 그리고 이후 차량에 큰 영향을 주었다.

2. 1. 버드사와의 기술 제휴까지

1950년대, 도큐 요코하마 제작소(현 도큐 차량 제조)는 기술력 향상을 위해 해외 메이커와의 기술 제휴를 모색했다. 요시지 토시지 사장은 남미 시장 시찰 중 브라질에서 버드사의 올 스테인리스 차량을 접하고 그 장점을 인식했다. 도큐 차량은 독자적으로 스테인리스 차량 개발을 진행했지만, 버드사의 기술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기술 제휴를 추진했다.

1956년 해외 시찰에서 돌아온 요시지는 올 스테인리스 차량 제조를 결의하고, 사내 기술자들을 모아 기술 개발 및 설계에 착수했다. 1958년에는 독자 설계한 도큐 5200계를, 1960년에는 도큐 6000계를 제조했지만, 이들은 모두 세미 스테인리스 구조였다.[5] 이 구조는 완전한 부식 방지가 어려웠고, 차체 내구성과 경량화 측면에서 만족스럽지 못했다.

1958년 8월, 도큐 차량은 버드사와 기술 제휴에 합의했다. 일본 정부의 인가를 거쳐 1959년 12월 15일에 정식 계약을 체결했다. 1960년 2월, 도큐 차량 내에 임시 기술 개발부가 설치되었고, 기술자들은 버드사에서 기술 연수를 받았다.

버드사와의 기술 제휴를 통해 "샷 용접"과 "반전 장착" 등 여러 신기술이 도입되었다. 샷 용접은 스폿 용접 시 전류 및 시간 조건 관리를 통해 스테인리스강 용접의 품질을 높이는 공법이었다. 반전 장착은 차량 하부 배선 및 기기 장착 시 대차를 뒤집어 작업하는 방식으로, 작업 부담을 줄이고 효율을 높였다.

강철 차량과의 강재 두께 비교
강철 차량스테인리스강 차량감소율
지붕판1.6mm0.4mm75%
측판2.3mm0.8mm65%
대차4.5mm 이상5.0mm 이하-
측면 골조3.2mm1.5mm53%
서까래2.3mm1.0mm57%



올 스테인리스 차량 전용 공장이 신설되었고, 1961년 9월에 완성되었다. 용접 기계 등 특수 기계는 미국에서 수입되었으며, 도큐 차량의 설비 투자액 중 약 4분의 1이 수입분에 해당했다.

버드사와의 계약에는 버드사 라이선스 하에 제조되었음을 나타내는 명판을 "도큐 차량" 명판과 함께 설치하는 것이 포함되었다.

2. 2. 기술 제휴로 도입된 기술

미국의 버드사와의 기술 제휴를 통해 여러 획기적인 신기술이 도입되었다 .

강철 차량과의 강재 두께 비교
 강철 차량스테인리스강 차량감소율
지붕판1.6mm0.4mm75%
측판2.3mm0.8mm65%
대차4.5mm 이상5.0mm 이하-
측면 골조3.2mm1.5mm53%
서까래2.3mm1.0mm57%



기존 스테인리스강보다 강도를 높인 고강도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하여 차체 경량화와 강도 향상을 동시에 달성했다 . 두께 0.4mm - 5.0mm의 강재를 채용했으며, 지붕판에는 두께 0.4mm의 부품이 사용되었다 .

스테인리스강 용접에는 샷 용접이라는 새로운 공법이 채용되었다 . 이 공법은 버드사가 스폿 용접 시의 전류·시간 등의 조건 관리를 통해 개발한 것으로 , 자동 전류 조절 장치와 자동 용접 조건 기록 장치가 준비되었다

차량 하부 배선 및 기기 부착에는 "반전 장착" 방식이 채용되었다 . 대차가 완성된 시점에서 뒤집어서 장착하는 방식으로, 작업자의 부담을 줄이고 효율을 향상시켰다 .

올 스테인리스 차량 전용 공장을 신설하여 생산 라인을 분리하고, 품질 관리를 강화했다 . 버드사의 요구에 따라 보통강 차량의 생산 라인에서 생긴 쇳가루가 스테인리스강 표면에 박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올 스테인리스 차량의 생산 라인을 강철 차량의 것과 분리하였다 .

3. 차체 형상・성능

도큐와 도큐 차량은 초대 5000계, 초대 6000계, 데하 200형 등 여러 시도를 통해 업계에서 주목받는 존재였다. 도요코 선의 주력 차량이자 히비야 선 직통 운행을 겸해야 했고, 대량 증차도 예상되었기 때문에, 7000계에서는 차체 구조, 제어 방식, 주행 장치 등을 모두 재검토하여 초기 투자 비용은 물론 운행 및 유지보수 비용을 대폭 절감하는 설계 방침을 채택했다. 한편으로는 충분한 성능과 높은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기, 구동 계통은 당시 이미 표준이 된 기술을 채용했다. 차체 설계는 데하 150형에도 계승되어 세계적으로도 드문 버드 컴퍼니 스타일의 전동차가 되었다.

200px

  • 차체 치수 및 창 배치: 히비야 선 직통 차량 규격에 맞춰 길이 17500mm(연결면 간 18000mm), 폭 2800mm로 설계되었고, 바닥 높이는 1125mm이다. 창 배치는 히비야 선 규격에 따라 dD3D3D1(선두차 기준)이다.
  • 전면: 3면 절곡형으로 관통문을 설치하고, 도큐 차량 최초로 전면에 행선 표시기를 설치했다. 전조등과 미등은 좌우 창 밑부분에 스테인리스강제(데하 7040 이전) 또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제(데하 7041 이후) 라이트 케이스로 통합하여 1쌍씩 설치했다. 급행등은 데하 7011 이후에 장착되었고, 이후 제조 시에 없었던 차량에도 장착되었다.
  • 지붕: 측면에 통풍구가 있는 버드 특유의 형상으로, 동계에는 개구부에 뚜껑이 닫혔다. 차내 측은 1982년~1984년경에 팬데리어를 선풍기로 교체했다.
  • 대차: 버드의 특허에 의한 파이오니아 III형(TS-701형)을 채용했다. 대차 프레임 바깥쪽에 디스크 브레이크를 가지고, 코일 스프링 등의 금속제 축 스프링은 없으며, 베어링을 환상으로 둘러싼 형태의 방진고무로 대체한 구조가 특징이다. 구성이 간결하고 용수철 하중량도 적지만, 진동 흡수 성능이 떨어지고 궤도에 미치는 영향도 있어, 이후 축 스프링 방식의 대차로 교체된 차량도 있다.
  • 제동 방식: 회생 브레이크 병용 전자 직통 공기 제동(HSC-R)을 채용했다.
  • 주전동기 및 구동 장치: 복권식 주전동기는 도요 전기제(TDK826-A)[28], 히타치 제작소제(HS-830Arb)[29]가 사용되었으며, 구동 장치는 중공축 평행 카르단 방식이다. 히타치제는 도요코 선 내 급행 운용을 고려하여 출력이 더 높다.
  • 주회로 제어 방식: 저항식으로, 히타치제 제어장치 탑재 차량은 직병렬 제어, 도요 전기제 제어장치 탑재 차량은 영구 직렬 제어를 채택했다. 히타치제 제어기는 MMC-HTR-10A(직렬 10단, 이동 1단, 병렬 8단, 약한 계자 5단), 도요제 제어기는 6000계에서 사용된 제어기의 개량형인 ACRF-H860-757A(영구 직렬 14단, 약한 계자 4단)이다. 히타치제 제어기의 약한 계자는 전동 캠축식이었지만, 도요제 제어기의 약한 계자는 서보모터로 구동하는 계자조정기(정류자형 가변 저항기)를 사용했다.
  • 매스 단수 및 제어: 전차 4단으로 통일되었지만, 제3단의 기능이 달랐다. 히타치제 차량은 제3단에서 병렬 제어를, 도요제 차량은 직렬 제어와 약한 계자 제어(2단만 사용)를 했다. 제4단에서는 히타치제 차량이 병렬 제어와 약한 계자 제어(5단 모두 사용), 도요제 차량은 직렬 제어와 약한 계자 제어(4단 모두 사용)를 했다. 도요제 차량의 전계 자정격 속도가 낮았기 때문에 제3단의 기능에 차이가 있었다. 히타치차는 제3단 이상, 도요차는 제2단 이상에서 약한 계자 제어의 넛치 반환이 가능했다.
  • 가감속도 및 성능: 기동 가속도와 감속도는 모두 4.0km/h/s로 높았지만, 정격 속도가 낮아 최대 가속도를 발휘하는 속도 영역은 좁았다. 히타치차는 급행 운용을 위해 고속 성능도 확보했다. 설계 최고 속도는 110km/h였지만, 당시 도요코 선 급행의 최고 속도는 90km/h였다. 톱니바퀴비는 전 차량이 85:13(6.54)로 비교적 저속 전용이지만, 약한 계자 제어로 중속역까지의 성능을 확보하고 있다.
  • ATC: 도요 전기제 차량 중 일부는 히비야 선 직통용으로 ATC를 탑재했다.

3. 1. 차체

모델이 된 SEPTA의 지하철 'M-3형'(왼쪽, 보존차)


도쿄 급행 전철 7000계 전동차(1962년)의 차체는 미국 필라델피아의 지하철(SEPTA) M3 차량을 모델로 한, 일본 최초의 올 스테인리스 차량이다. 차체 치수는 히비야선 직통 차량 규격에 맞춰 길이 17500mm(연결기간 18000mm), 폭 2800mm로 설계되었다. 바닥 높이는 1125mm이다.

전면은 3면 접이식으로 관통문을 설치하고, 도큐 차량 최초로 전면에 행선 표시기를 설치했다. 좌우 창 아래에 설치된 케이스에는 전조등과 미등이 수납되어 있으며, 이 케이스는 데하 7040 이전에는 스테인리스강제, 데하 7041 이후에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제이다. 초기에는 각역정차만 운용할 예정이었기 때문에 통과 표지등이 없었으나, 1964년에 설치되어 급행 열차에도 운용되기 시작했다.

차량 번호는 선두차의 오른쪽 위와 각 차량 측면 차량 단부 쪽에 남색 문자로 표시되었다. 초기 제조 차량의 선두부 차량 번호는 작았지만, 데하 7007 이후에는 더 큰 것으로 변경되었다.[8]

3. 2. 대차

대차는 미국 버드사의 특허 기술인 파이오니아 III형(TS-701형)을 채용했다. 이 대차는 TS-701형 또는 PⅢ-701형으로도 불린다. 대차 프레임 바깥쪽에 디스크 브레이크를 배치하여 안정된 제동력을 확보하고, 제륜자 교환을 용이하게 하여 보수성을 향상시켰다.

파이오니아 III형 대차는 베개 스프링을 공기 스프링으로 한 1자유도계 대차이다. 차축 스프링, 차축 빔, 하부 요동 베개 등의 부품이 생략되어 구조가 단순하고, 대차 중량이 4.2t으로 경량화에 기여했다.

하지만, 1자유도계 대차는 베개 스프링과 차축 스프링을 모두 갖춘 2자유도계 대차에 비해 승차감이 떨어지고, 궤도에 주는 진동이 커서 궤도에 미치는 영향 측면에서도 한계가 있었다.

3. 3. 전장품

주전동기는 복권식으로, 도요 전기제(TDK826-A)[28]와 히타치 제작소제(HS-830Arb)[29] 두 종류가 사용되었다. 구동 장치는 중공축 평행 카르단 방식이다. 히타치제 주전동기는 도요코 선 내 급행 운용을 고려하여 출력이 더 높게 설정되었다.[28][29]

주회로 제어 방식은 저항식으로, 히타치제 제어장치 탑재 차량은 직병렬 제어, 도요 전기제 제어장치 탑재 차량은 영구 직렬 제어를 채택했다.[1] 히타치제 제어기는 MMC-HTR-10A(직렬 10단, 이동 1단, 병렬 8단, 약한 계자 5단), 도요제 제어기는 6000계에서 사용된 제어기의 개량형인 ACRF-H860-757A(영구 직렬 14단, 약한 계자 4단)이다. 히타치제 제어기의 약한 계자는 전동 캠축식이었으나, 도요제 제어기의 약한 계자는 서보모터로 구동하는 계자조정기(정류자형 가변 저항기)를 사용했다.

매스 단수는 전차 4단으로 통일되었지만, 제3단의 기능이 달랐다. 히타치제 차량은 제3단에서 병렬 제어를, 도요제 차량은 직렬 제어와 약한 계자 제어(2단만 사용)를 했다. 제4단에서는 히타치제 차량이 병렬 제어와 약한 계자 제어(5단 모두 사용), 도요제 차량은 직렬 제어와 약한 계자 제어(4단 모두 사용)를 했다. 도요제 차량의 전계 자정격 속도가 낮았기 때문에 제3단의 기능에 차이가 있었다. 히타치차는 제3단 이상, 도요차는 제2단 이상에서 약한 계자 제어의 넛치 반환이 가능했다.

기동 가속도와 감속도는 모두 4.0km/h/s로 높았지만, 정격 속도가 낮아 최대 가속도를 발휘하는 속도 영역은 좁았다. 히타치차는 급행 운용을 위해 고속 성능도 확보했다. 설계 최고 속도는 110km/h였지만, 당시 도요코 선 급행의 최고 속도는 90km/h였다. 톱니바퀴비는 모든 차량이 85:13(6.54)로 저속 전용이었지만, 약한 계자 제어로 중속역까지의 성능을 확보했다.

제동 방식은 회생 브레이크 병용 전자 직통 공기 제동(HSC-R)을 채용했다.

도요 전기제 차량 중 일부는 히비야 선 직통용으로 ATC를 탑재했다.

4. 운용

도요코 선에 처음 투입되었을 때, 전기 장치가 도요제인 편성은 히비야 선 직통 운행에, 히타치제인 편성은 급행 운행에 주로 사용되었다. 신차는 대부분 도요코 선용이었지만, 후기 일부 차량은 덴엔토시 선 개통용으로 투입되었다. 그 후, 덴엔토시 선(오이마치 선 포함)과 짧은 기간 동안 메구로 선에서도 운용되었다. 도요코 선에서 급행 운행에 사용되었을 때는 7200계, 구 6000계, 8000계와 같이 '급행' 종별판을, 덴엔토시 선에서 쾌속 운행에 사용되었을 때는 8000계처럼 원형 '쾌속' 종별판을 장착했다.

1980년대 후반에는 도요코 선의 히비야 선 직통용 8량 편성과 오이마치 선용 6량 편성으로 운용되었다. 이후 오이마치 선용은 1987년부터 56량(4량 편성 14개)이 7700계로 개조되었다. 도요코 선용은 1988년부터 1000계 투입에 따라 지방 사철로 양도가 시작되었다. 1989년 3월에는 도요코 선과 메구로 선의 4량 편성이 되었고, 이 시기에 메구로 선은 7700계와 7000계 4량 편성으로 통일되었다.

1991년 6월, 7000계는 도요코 선과 히비야 선에서 완전히 철수하고 메구로 선으로 이동했다. 같은 해 8월 25일에는 7061 편성을 사용한 스탬프 랠리호로 고별 운행이 시부야~사쿠라기초 간 2왕복으로 실시되었다. 선두차에는 '스탬프 랠리호 7000계 고마워요'라는 헤드 마크가 게시되었다.[24][25]

1989년부터 1999년까지 고도모노쿠니 선 전용으로 2량 편성이 운용되었으며, 이는 도큐의 마지막 비냉방 차량이었다(세타가야 선 제외).

고도모노쿠니 선 전용 편성(1998년 촬영)

5. 다른 철도 사업자로의 양도

도쿄 급행 전철(도큐)은 회사 상층부의 "단 1량도 해체하지 말라"는 지시에 따라[30] 7000계를 폐차하는 대신 다른 철도 사업자에게 양도했다. 7000계는 지치부 철도를 제외한 다른 사업자에게는 2~3량 편성으로 양도되어 선두차가 부족했기 때문에, 중간차에 운전대를 설치하는 개조[31]가 이루어졌다. 양도된 차량들은 냉방 장치 설치 및 가선 전압 대응 공사를 받았다. 각 회사에서는 회생 제동을 사용하지 않도록 조치되었다.


  • 고난 철도 7000계 전차: 1988년부터 1990년까지 총 24량이 양도되었다. 고난 철도 오와니선에는 히타치제 전기 부품 차량, 고난 철도 고난선에는 도요제 전기 부품 차량이 배치되었다. 고난선에는 선두차 개조 차량도 있었다. 1997년 고난선 사고로 2량이 1999년에 폐차되었다.
  • 호쿠리쿠 철도 7000계 전차: 1990년 7월에 히타치제 전기 부품 차량 10량이 양도되었다. 전기 부품과 대차는 JR, 세이부 철도, 영단 지하철, 게이한 전기 철도의 폐차 부품을 활용하여 교체되었고, 600V 강압 개조가 이루어졌다. 양도된 7000계 중 유일하게 대차를 교체했다. 원래 선두차와 운전대 신설 차량 두 종류가 있으며, 양도 후 냉방 개조된 차량도 있다.
  • 미즈마 철도 7000계 전차→1000형: 1990년 8월에 도요제 전기 부품 차량 10량이 양도되었다. 4량은 선두차 개조 차량, 4량은 양도 시 냉방화되었다. 1500V 승압과 함께 기존 차량을 모두 대체했다. 2006년부터 2007년까지 8량이 리뉴얼 공사를 받고 1000형으로 변경되었다. 리뉴얼 대상에서 제외된 2량은 미즈마 관음역 차고에 유치되어 있다.
  • 후쿠시마 교통 7000계 전차: 1991년 6월, 750V에서 1500V로 승압되기 전, 2량 편성 5개와 3량 편성 2개, 총 16량의 도요제 전기 부품 차량이 양도되었다. 선두차는 모두 데하 7100형을 개조한 것이다. 일부 차량에는 냉방 장치가 설치되었고, 기존 차량을 모두 대체했다. 2001년 후쿠시마역 사고로 2량이 폐차되었다. 2017년에 1000계(구 도큐 1000계)가 도입되면서[27] 1개 편성을 제외하고 폐차되었다.
  • 지치부 철도 2000계 전차: 1991년 11월과 12월에 도요제 전기 부품 차량 16량이 양도되었다. 메구로선에서 운용되던 4량 편성이 거의 그대로 양도되었고, 전면 띠 색깔이 파란색으로 변경된 것 외에는 큰 외관 변화가 없었다. 비냉방 차량은 시대에 뒤떨어진다는 이유로 냉방화되지 않은 채, 1999년부터 2000년에 걸쳐 5000계로 대체되었고, 2000년 2월에 모두 폐차 및 해체되었다. 사고로 인한 폐차를 제외하면 구 도큐 7000계 중 최초의 폐차였다.
  • 도큐 차량 제조 (종합 차량 제작소): 어린이 나라 선에서 운용되던 데하 7057과 데하 7052, 2량이 2000년 6월에 도큐 차량 제조에 양도되어, 입환차로 사용되었다. 이후, 회사는 자체 발전에 기여한 제품을 "도큐 차량 산업 유산"으로 보존하는 사업을 추진했고, 데하 7052는 2009년 8월에 회사 부지 내에 개설된 "요코하마 제작소 역사 기념관" 옆에 보존되었다. 데하 7052는 데하 5201과 마주보는 형태로 보존되어 있다. 지상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차내등과 신호등을 켤 수 있다. 도큐 차량은 이 2량과 기념관을 일반에 공개하지 않았지만, 2012년 2월에 한 번 "도큐 차량 산업 유산"이 일반에 공개되었다. 이 2량은 2010년 5월 15일에 산업 고고학회(JIAS)에서 추천 산업 유산으로 인정받았고, 2012년 8월 7일에는 일본 기계 학회로부터 기계 유산 제51호로 인정받았다.

6. 보존

고도모노쿠니 선 전용차였던 데하 7057~데하 7052는 2000년 6월 폐차 후 도큐 차량 제조에 양도되어, 구내 교체 작업 등에 사용되고 있다. 데하 7052는 2009년 8월 도큐 차량 부지 내에 개설된 "요코하마 제작소 역사 기념관" 옆에 보존되었다.

7. 평가

7000계는 미국의 버드사와 기술 제휴로 만들어진 일본 최초의 올 스테인리스 차량으로, 경량화, 내구성, 유지보수 측면에서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왔다는 평가를 받는다. 도큐 차량은 7000계 제조를 통해 "동업 타사와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의 기술 발전"을 이루었다고 평가했으며, "1960년대의 에포크 메이커"로 평가받기도 한다.

7000계는 도요코선히비야선 직결 운행을 전제로 설계되었으며, 초기에는 도요코선에 배치되었다. 1964년부터 히비야선 상호 운행을 시작했고, 1966년부터는 덴엔토시선에서도 운용되었다. 이케가미선[3], 신타마가와 선을 제외한 도큐의 철도 노선에서 널리 운용되었다.

도쿄 급행 전철은 올 스테인리스 차량을 해체하지 않는다는 방침에 따라, 134량 모두 개조, 양도 등을 통해 재활용하였다. 1987년부터 1991년까지 56량이 7700계로 개조되었고, 76량은 1988년부터 1991년까지 5개 철도 사업자에게 양도되었다. 2012년 4월 1일 기준으로 84량이 5개 철도 사업자에서 여객 영업에 사용되고 있었다.[4]

진보 진영에서는 7000계가 한국 철도 기술 발전에 기여한 점을 높이 평가하며, 특히 스테인리스 차체 기술 도입은 이후 한국 철도 차량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

참조

[1] 간행물 東洋電機技報 第20号 東洋電機製造 1974-07
[2] PDF 東京急行電鉄株式会社納7000形電車用停車用電力回生ブレーキ付電気品 https://www.hitachih[...] 日立製作所 1965-05
[3] 문서
[4] 문서
[5] 문서
[6] 서적 東京の地下鉄相互直通ガイド 創元社 2018-09-25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웹사이트 養老鉄道7700系が営業運転開始 https://railf.jp/new[...] 2020-04-20
[14] 웹사이트 養老鉄道7700系TQ14編成が営業運転を開始 https://railf.jp/new[...] 2020-04-20
[15] 웹사이트 養老鉄道7700系TQ06編成が営業運転を開始 https://railf.jp/new[...] 2020-04-20
[16] 웹사이트 養老鉄道7700系TQ05編成が営業運転を開始 https://railf.jp/new[...] 2020-04-20
[17] 웹사이트 養老鉄道7700系TQ01編成が営業運転を開始 https://railf.jp/new[...] 2020-04-20
[18] 웹사이트 【東急】7700系7906F 恩田工場へ|RMニュース|鉄道ホビダス http://rail.hobidas.[...] 2020-04-13
[19] 서적 日本の私鉄 (8) 東急 保育社
[20] 학술지 【特集】東急7000系(初代)の記録 株式会社電気車研究会 2020-06-01
[21] 잡지기사 東急の話題 ネコ・パブリッシング 1991-09
[22] 잡지기사 東急の話題 ネコ・パブリッシング 1989-06
[23] 잡지기사 東急電鉄の話題 ネコ・パブリッシング 1991-12
[24] 잡지기사 東急7000系お別れ運転 交友社 1991-11
[25] 잡지기사 東急電鉄の話題 ネコ・パブリッシング 1991-11
[26] 문서
[27] PDF 「いい電」が変わります。福島交通飯坂線に新車両が導入されます。 http://www.fukushima[...] 福島交通
[28] 문서
[29] 문서
[30] 학술지 철저히 사용하는 도큐의 사상・사려・문화사-도큐의 차량 양도를 돌아보다 2006-09-01
[31]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