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쿄부는 메이지 유신 시기, 에도 시가지 지역을 포함하여 설립되었다. 1871년부터 영토가 확장되어 1893년 다마 지역 편입으로 현재 규모에 가까워졌으며, 1943년 도쿄도제 시행으로 도쿄 시와 통합되어 도쿄도가 되었다. 도쿄부는 15개의 도시 구와 6개의 농촌 구로 시작하여 여러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쳤으며, 1943년 도쿄도 출범과 함께 도쿄 시가 폐지되고 35개 구가 도쿄도의 일부가 되었다. 현재는 도쿄도지사가 행정을 총괄하고 도쿄도의회가 의결 기구 역할을 수행하며, 일본 경제의 중심지로서 다양한 산업이 발달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폐지된 도도부현 - 고쿠라현
고쿠라현은 1871년 설치되어 부젠국 일원을 관할하다가 1876년 후쿠오카현에 합병되어 폐지된 일본의 현이다. - 일본의 폐지된 도도부현 - 가라후토청
가라후토청은 러일 전쟁 이후 일본이 사할린 남부를 할양받아 설치한 행정 기구이며, 어업, 임업, 농업을 기반으로 제지업과 탄광업이 발달했고, 1945년 소련 침공으로 일본의 통치가 종료되었다. - 도쿄부 - 다마 지역
다마 지역은 도쿄도 서부에 위치하며 무사시노 대지, 다마가와 저지, 다마 구릉에 걸쳐 있고, 다양한 산림 환경과 공원, 하천, 산악 지형을 갖춘 곳으로, 역사적으로 무사시국 다마군에 해당하며 현재는 26개 시, 3개 정, 1개 촌으로 구성되어 급격한 발전을 이룬 도쿄의 중요한 지역이다. - 도쿄부 - 간토 계엄사령부
간토 계엄사령부는 1923년 간토 대지진 이후 도쿄부 일대를 경비하기 위해 일본 천황 직속으로 설치되어 후쿠다 마사타로 대장이 초대 사령관을 맡았으며, 아마카스 사건 이후 야마나시 한조 대장으로 교체되었으나 1923년 11월 16일 폐지되었다. - 도쿄도의 역사 - 육군예과사관학교
육군예과사관학교는 일본 제국 육군의 사관 후보생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되어 1937년 독립 후 중일전쟁과 태평양 전쟁 기간 동안 운영되다 종전 후 폐지되었으며, 현재 그 부지는 육상자위대 아사카 주둔지로 사용되고 있다. - 도쿄도의 역사 - 도쿄 대공습
도쿄 대공습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육군 항공대가 일본 도쿄에 실시한 대규모 전략 폭격 및 소이탄 공격으로, 특히 1945년 3월 10일 공습은 역사상 가장 파괴적인 단일 공습으로 기록되었으며, 이후 민간인 거주 지역 파괴로 전쟁 범죄 논란이 있다.
도쿄부 - [옛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정식 명칭 | 도쿄부 |
일본어 명칭 | 東京府 |
로마자 표기 | Tōkyō-fu |
일반 명칭 | 도쿄 |
국가 | 일본 |
하위 구분 | 부 |
이전 행정 구역 | 무사시국 |
현재 행정 구역 | 도쿄도의 일부 |
수도 | 도쿄시 |
설치일 | 1868년 10월 2일 |
폐지일 | 1943년 7월 1일 |
폐지 이유 | 도쿄도제 시행 |
폐지 상세 | 도쿄부・도쿄시 → 도쿄도 |
정치 하위 구분 | 3개 시, 3개 군 |
면적 | 2,193.96 km² |
인구 | 7,354,971명 |
인구 조사 시점 | 1940년 |
인접 도도부현 | 사이타마현 지바현 가나가와현 야마나시현 시즈오카현 |
위치 | 도쿄부 도쿄시 고지마치구 유라쿠초 2초메 |
도쿄부청 | [[파일:Tokyo Prefectural Office and Tokyo City Hall 1930s.jpg|220px|도쿄부청]] |
도쿄부 문장 | |
![]() | |
제정일 | 1931년 (쇼와 6년) |
주요 이미지 | |
![]() | |
![]() | |
![]() | |
![]() | |
![]() | |
도쿄시 | |
일본어 명칭 | 東京市 |
로마자 표기 | Tōkyō-shi |
폐지일 | 1943년 7월 1일 |
폐지 이유 | 도쿄도제 시행 |
폐지 상세 | 도쿄부・도쿄시 → 도쿄도 |
현재 행정 구역 | 도쿄도 |
소속 도도부현 | 도쿄부 |
면적 | 2193.96 km² |
인구 | 7,354,971명 |
인구 조사 시점 | 국세조사, 1940년 |
소재지 | 도쿄부 도쿄시 고지마치구 유라쿠초 2초메 |
![]() | |
관련 항목 | |
관련 항목 | 부번현 삼치제 번 목록 판적봉환 폐번치현 개척사(하코다테부 폐지 후 설치) 류큐번 |
도쿄부의 자치체 (1893년) | |
도쿄시 | 고지마치구 간다구 니혼바시구 교바시구 시바구 아자부구 아카사카구 요쓰야구 우시고메구 고이시카와구 혼고구 시타야구 아사쿠사구 혼조구 후카가와구 |
에바라군 | 시나가와정 오이촌 오사키촌 에바라촌 메구로촌 히부스마촌 오모리촌 이리아라이촌 이케가미촌 마고메촌 조후촌 하네다촌 가마타촌 야구치촌 로쿠고촌 세타가야촌 고마자와촌 다마가와촌 마쓰자와촌 |
히가시타마군 | 나카노촌 노가타촌 스기나미촌 와다호리노우치촌 이오기촌 다카이도촌 |
미나미토시마군 | 나이토신주쿠정 요도바시정 오쿠보촌 도쓰카촌 오치아이촌 시부야촌 센다가야촌 요요하타촌 |
기타토시마군 | 스가모정 스가모촌 다카다촌 나가사키촌 다키노가와촌 이와부치정 오지촌 미나미센주정 닛포리촌 미카와시마촌 오구촌 이타바시정 가미이타바시촌 시촌 아카쓰카촌 시모네리마촌 가미네리마촌 나카아라이촌 샤쿠지이촌 오이즈미촌 |
미나미아다치군 | 센주정 니시아라이촌 우메지마촌 고호쿠촌 도네리촌 후치에촌 이코촌 히가시후치에촌 아야세촌 하나하타촌 |
미나미카쓰시카군 | 데라지마촌 스미다촌 아즈마촌 오키촌 다테이시촌 가메아오촌 미즈모토촌 니주쿠정 가나촌 미나미아야세촌 오쿠도촌 히라이촌 고마쓰가와촌 마쓰에촌 후나보리촌 고이와촌 미즈호촌 이치노에촌 가사이촌 시카모토촌 시노자키촌 가메이도촌 오지마촌 스나촌 |
기타타마군 | 기누타촌 지토세촌 다치카와촌 스나가와촌 무사시노촌 미타카촌 후추정 니시후촌 다마촌 고지촌 후쿠지마촌 쓰이지촌 나카가미촌 미야자와촌 오가미촌 다나카촌 조카와라촌 하이지마촌 조후정 진다이촌 고가네이촌 고다이라촌 히가시무라야마촌 고쿠분지촌 야보촌 다나시정 고마에촌 시미즈촌 사야마촌 다카기촌 나라하시촌 조시키촌 이모쿠보촌 기요세촌 구루메촌 나카토촌 요코타촌 미쓰기촌 기시촌 (호야촌: 1907년 사이타마현 기타아다치군에서 편입) |
미나미타마군 | 하치오지정 고미야촌 요코야마촌 모토하치오지촌 온가타촌 가와구치촌 가스미촌 유이촌 아사카아촌 유기촌 마치다촌 미나미촌 쓰루카와촌 다다오촌 사카이촌 히노정 구와타촌 나나오촌 다마촌 이나기촌 |
니시타마군 | 오메정 가스미촌 조후촌 오소키촌 나리키촌 요시노촌 미타촌 훗사촌 구마가와촌 스가오촌 구사바나촌 하라코미야촌 세도오카촌 히가시아키루촌 니시아키루촌 이쓰카이치정 미쓰사토촌 메이지촌 마스코촌 도쿠라촌 고미야촌 니시타마촌 하코네가사키촌 이시하타촌 도노가야촌 나가오카촌 오구노촌 히라이촌 히카와촌 고리촌 오고우치촌 히노하라촌 |
2. 역사
1868년 메이지 유신으로 에도가 도쿄로 이름이 바뀌고, 도쿄부(東京府)가 설치되었다. 1871년 폐번치현으로 도쿄부는 교토부, 오사카부와 함께 삼부(三府) 중 하나가 되었다.
1871년부터 1893년까지 도쿄부의 영역은 여러 차례 변경을 거듭하며 확장되었다. 1871/72년에는 주변 농촌 지역과 히코네번의 세타가야 점유지가 도쿄에 합병되었다. 1878년에는 시즈오카현으로부터 이즈 제도를 편입하였다. 1893년에는 가나가와현으로부터 다마 지역이 도쿄부로 편입되었다.
1889년에 현대적인 시정촌 제도가 도입되면서 도쿄는 1개의 도시, 소수의 정, 수십 개의 마을을 포함하여 약 80개의 시정촌으로 세분화되었다. 1893년 다마 이전으로 도쿄의 시정촌 수는 170개가 넘었다.
20세기 초, 도쿄시는 산업화와 인구 증가로 급격히 성장했다. 1923년 관동 대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었지만, 복구 과정에서 도시 외곽 지역이 성장했고, 1932년에는 이들 지역이 도쿄 시에 대거 합병되면서 도쿄 시의 영향력은 더욱 커졌다.
도쿄부(東京府)는 관영도시(帝都)라는 특수한 성격 때문에 여러 차례 재편 계획이 논의되었다. 특히 정부는 도쿄부를 관리하에 두고자 했고, 도쿄시는 자치 확대를 추진하면서 긴밀한 협상이 이루어졌다.
- 1896년 도쿄 시를 ‘도(都)’로 개칭하고 관선 도지사를 두는 「도쿄도 제안(東京都制案)」과 부(府)·군(郡) 지역을 현(県)으로 하는 「무사시현 설치 법안(武蔵県設置法案)」 모두 제국의회(帝国議会)에서 부결되었다.
- 1897년 시장을 공선으로 하는 「도쿄시 제안(東京市制案)」과 부·군 지역을 현으로 하는 「지바현 설치 법안(千代田県設置法案)」 모두 제국의회에서 부결되었다.
- 1903년 사이타마현과 야마나시현을 폐지하고 도쿄부에 편입하는 내용을 담은 부현폐치법안(府県廃置法律案)이 각의에서 결정되었다. 하지만 러일전쟁 발발로 인해 제국의회에 제출되지 못했다.
1938년 6월, 일본 제국 내무성은 '도쿄도제안 요강'을 발표했지만, 도쿄시 35구는 이에 반대했다. 그러나 중일전쟁으로 전시체제 구축이 필요해지자, 1943년 1월 일본 정부는 제국의회에 '도쿄도제안'을 제출하여 가결시켰다. 같은 해 7월 1일, 도쿄도제가 시행되면서 도쿄부와 도쿄시는 폐지되고 '''도쿄도'''가 설치되었다. 구 도쿄시 지역은 도쿄도 35구가 되었고, 도쿄부 산하의 하치오지시와 다치카와시는 각각 도쿄도 하치오지시와 도쿄도 다치카와시가 되었다.
도쿄도 장관은 천황이 직접 임명하는 친임관이 되었으며, 이는 중앙 정부의 통제가 더욱 강화되었음을 의미한다.
1947년 일본국 헌법과 지방자치법 시행으로 도쿄도는 다른 현과 동등한 지위를 갖게 되었다. 특별구 제도가 도입되어 구 도쿄시 지역 주민들에게 자치권이 부여되었다.
2. 1. 에도 시대
江戸|에도일본어 시대에 도쿄는 에도 막부의 중심지로서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 발전했다.1868년 메이지 유신 당시 두 마치부교(쇼군의 수도였던 에도의 행정관)가 합병되어 도쿄 부(府)가 설립되었을 때, 도쿄는 처음에는 에도의 이전 시가지 지역만을 포함하고 있었다. 1871년부터 도쿄의 영토는 에도를 넘어 여러 단계에 걸쳐 확장되어 1893년 다마 이전으로 현재의 규모에 거의 근접하게 되었다.[1]
무사시국의 주변 덴료(하타모토 영지 포함)는 처음에는 무사시 현령(현의 지사)이 관할했지만, 이후 시나가와현, 고스게현, 우라와현으로 분할되었다. 1871/72년에는 이 세 현의 주변 농촌 지역과 히코네번의 세타가야 점유지가 도쿄에 합병되었다.[1]
근대화된 호적 제도와 연관된 “대구소구제”는 모든 현을 번호가 매겨진 하위 단위로 세분화했다.[1]
정부 수준 | 도쿄의 조직 |
---|---|
제국 | 내무성 |
현 | Tōkyō-fu ("도쿄 부") |
[번호가 매겨진] 대구(大区) 및 소구(小区) |
1878년에는 고대 율령 지방이 농촌 지역의 행정 단위로 재활성화되었고, 주요 도시에 대한 도시 지역(-ku)의 지위가 새로 도입되었다. “군구촌편제법”에 따라 도시 및 농촌 지역은 도시 및 농촌 단위(-machi 및 -mura)로 구분되었다.[1]
제국 | 내무성 | |
---|---|---|
현 | Tōkyō-fu ("도쿄 부") | |
구 | 15개의 [도시] 구(-ku) | 6개의 [농촌] 구(-gun) |
지방/[원형-]시정촌 | 수백 개의 도시 및 농촌 세분화/이웃, 마을 및 마을(-machi/-chō 및 -mura) |
1889년에 현대적인 시정촌이 도입되었을 때, 도쿄는 약 80개의 시정촌으로 세분화되었다. 1893년 다마 이전으로 도쿄의 시정촌 수는 170개가 넘었다. 1943년까지 도쿄에는 87개의 시정촌만 남았다. (3개의 도시, 18개의 정, 66개의 마을)[1]
제국 | 내무성 | |||
---|---|---|---|---|
현 | Tōkyō-fu ("도쿄 부") | |||
(구) | Tōkyō-shi ("도쿄시") | 0→2개의 다른 도시(-shi) | 6→9→8→3 구(-gun) | |
시정촌 | 80개 초과→170개 초과→84개의 정(-machi)과 마을(-mura) | |||
15→35 구(-ku) |
다마 이전 이후에도 도쿄시는 인구와 경제력 측면에서 도쿄의 지배적인 부분으로 남아 있었다. 20세기 초 도시의 산업화 진행과 폭발적인 성장으로 인해 더욱 증가했으며, 1923년 관동 대지진으로 인한 피해로 일시적으로 침체되었을 뿐이다. 외곽 지역이 성장했지만, 결국 폭발적으로 성장한 교외 지역 중 상당수가 1932년에 도쿄 시에 합병되면서 도쿄 시의 도쿄 내 지배력이 다시 증가했다.[1]
수십 년 동안 현 정부와 시 정부를 통합하기 위한 다양한 계획이 논의되었다. 1890년대 당시 내무대신 노무라 야스시가 제안한 초기 제안은 도쿄의 농촌 지역을 무사시 현으로 분리하고 도쿄 시만을 "도시"로 전환하는 것을 구상했지만, 제국 의회에서 실패했다. 도시는 1922년 "6대 도시 법"에 따라 추가적인 권한을 얻었고, 정부는 "도시" 시스템을 위한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실제 개혁은 도조 내각의 전시 독재적 중앙 집권화 조치의 일환으로 나중에 이루어졌다.[1]
1943년에 도쿄시는 폐지되었으며, 모든 시정촌과 35개의 전 시 구가 도쿄도의 일부가 되었다. 도쿄도는 여전히 도쿄 전체의 현 정부 역할을 수행하지만, 이제는 전 도쿄 시의 시 정부 역할도 추가로 수행한다. 이전에는 모든 현과 마찬가지로 "치지"(知事)였던 도쿄 지사는 이제 "초칸"(長官)이라고 불리며, 다른 현의 지사보다 황실 정부와 더욱 밀접하게 연결되었다. 그는 "신닌칸"(親任官)이 되었는데, 이는 그가 천황에 의해 직접 임명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1]
제국 | 천황/내각/내무성 | ||
---|---|---|---|
현 | Tōkyō-to ("도쿄 도") | ||
시정촌 | style="border-top:hidden" | | 2개의 도시(-shi) | 84개의 정(-machi)과 마을(-mura) |
35개의 구(-ku) |
2. 2. 메이지 유신과 도쿄부
1868년(메이지 원년), 메이지 유신으로 에도가 도쿄로 이름이 바뀌고, '''도쿄부'''(東京府)가 설치되었다.[22] [23] 처음에는 쇼군의 수도였던 에도의 이전 시가지만 포함되었다. 1871년 폐번치현으로 도쿄부는 교토부, 오사카부와 함께 삼부(三府) 중 하나가 되었다.1871년부터 1893년까지 도쿄부의 영역은 여러 차례 변경을 거듭하며 확장되었다. 1871/72년에는 주변 농촌 지역과 히코네번의 세타가야 점유지가 도쿄에 합병되었다.[59] 1878년에는 시즈오카현으로부터 이즈 제도를 편입하였다.[67]
1878년 군구정촌편제법 시행으로 15구 6군이 설치되었다. 1889년 시제 시행으로 도쿄시가 설치되었으나, 시제 특례에 따라 도쿄부 지사가 시장을 겸임하는 특례가 적용되었다. 1893년에는 가나가와현으로부터 다마 지역이 도쿄부로 편입되었다.[60]
정부 수준 (행정부, 입법부) | 도쿄의 조직 |
---|---|
제국 (임명된 다조관, 의회 없음) | 내무성 |
현 (임명된 지사, 의회 없음) | 도쿄부 |
[번호가 매겨진] 대구(大区) 및 소구(小区) |
제국 (1885년부터 임명된 내각, 의회 없음) | 내무성 | |
---|---|---|
현 (임명된 지사, 선출된 현의회) | 도쿄부 | |
구 (임명된 구청장, (-gun) 없음/선출된 (-ku) 의회) | 15개의 [도시] 구(-ku) | 6개의 [농촌] 구(-gun) |
지방/[원형-]시정촌 (제한이 있음: 선출된 구청장, 1880년부터 선출된 시정촌의회) | 수백 개의 도시 및 농촌 세분화/이웃, 마을 및 촌(-machi/-chō 및 -mura) |
제국 (임명된 내각, 일본제국 의회는 두 개의 동등한 의원으로 구성됨: 임명된 의원 하나, 선출된 의원 하나) | 내무성 | |||
---|---|---|---|---|
현 (임명된 지사 및 "의회", 선출된 의회) | 도쿄부 | |||
(구) (임명된 구청장 및 "의회", 간접 선출된 의회) | 도쿄시 (1898년까지 독립적인 행정 없음: 현 지사=시장) | 0→2개의 다른 도시(-shi) 하치오지시 1917, 다치카와시 1940 | 6→9→8→3 구(-gun) (1920년대 폐지까지) | |
시정촌 (시장은 의회 제안에서 임명됨 + 도시에서: "의회" 1920년대부터: 간접 선출된 시장 및 "의회", 선출된 의회) | >80→>170→84개의 정(-machi)과 촌(-mura) | |||
15→35 구(-ku) |
2. 3. 도쿄시의 발전과 한계
1889년에 현대적인 시정촌 제도가 도입되면서 도쿄는 1개의 도시, 소수의 정, 수십 개의 마을을 포함하여 약 80개의 시정촌으로 세분화되었다. 1893년 다마 이전으로 도쿄의 시정촌 수는 170개가 넘었다. 1943년까지 도쿄에는 3개의 도시, 18개의 정, 66개의 마을을 포함하여 87개의 시정촌만 남았다.20세기 초, 도쿄시는 산업화와 인구 증가로 급격히 성장했다. 1923년 관동대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었지만, 복구 과정에서 도시 외곽 지역이 성장했고, 1932년에는 이들 지역이 도쿄 시에 대거 합병되면서 도쿄 시의 영향력은 더욱 커졌다.[1] 이 과정에서 인구가 10만 명이 넘는 정들도 포함되었는데, 예를 들어 기타토시마 구(北豊島郡)의 니시스가모(西巣鴨)와 도야마 구(豊多摩郡)의 시부야정(渋谷町) 등이 있었다.[1]
제국 (임명된 내각, 일본제국 의회는 임명된 의원과 선출된 의원으로 구성된 양원제) | 내무성 | |||
---|---|---|---|---|
현 (임명된 지사 및 선출된 현의회) | Tōkyō-fu ("도쿄부") | |||
구(-gun) (임명된 구청장 및 간접 선출된 "의회") | Tōkyō-shi ("도쿄시") (1898년까지 독립적인 행정 없음: 현 지사=시장) | 0→2개의 다른 도시(-shi) 하치오지 1917, 다치카와 1940 | 6→9→8→3 구(-gun) (1920년대 폐지까지) | |
시정촌(일본) (시장은 의회 제안에서 임명됨 + 도시에서: "의회" 1920년대부터: 간접 선출된 시장 및 "의회", 선출된 의회) | 80개 초과→170개 초과→84개의 정(-machi)과 마을(-mura) | |||
15→35 구(-ku) |
도쿄 시의 발전 과정에서 현 정부와 시 정부를 통합하려는 여러 계획이 논의되었다. 1890년대 내무대신 노무라 야스시(野村靖)는 도쿄의 농촌 지역을 무사시 현으로 분리하고 도쿄 시만을 "도시"로 전환하는 방안을 제안했지만, 제국 의회에서 부결되었다.[1] 다이쇼 데모크라시 시대에는 특별시와 유사한, 더 많은 자치권을 가진 확장된 현급 도시를 구상하는 계획도 있었다.[1] 도쿄 시는 1922년 "6대 도시 법"(六大都市行政監督ニ関スル法律, 6대 도시 행정 감독에 관한 법률)에 따라 추가적인 권한을 얻기도 했다.[1]
도쿄부(일본어: 東京府)는 관영도시(帝都)라는 특수한 성격 때문에 여러 차례 재편 계획이 논의되었다.[1] 특히 정부는 도쿄부를 관리하에 두고자 했고, 도쿄시(일본어: 東京市)는 자치 확대를 추진하면서 긴밀한 협상이 이루어졌다.[1]
- 1896년(메이지 29년), 도쿄 시를 ‘도(都)’로 개칭하고 관선 도지사를 두는 「도쿄도 제안(東京都制案)」과 부(府)·군(郡) 지역을 현(県)으로 하는 「무사시현 설치 법안(武蔵県設置法案)」 모두 제국의회(帝国議会)에서 부결되었다.[1]
- 1897년(메이지 30년), 시장을 공선으로 하는 「도쿄시 제안(東京市制案)」과 부·군 지역을 현으로 하는 「지바현 설치 법안(千代田県設置法案)」 모두 제국의회에서 부결되었다.[1]
- 1903년(메이지 36년), 사이타마현과 야마나시현을 폐지하고 도쿄부에 편입하는 내용을 담은 부현폐치법안(府県廃置法律案)이 각의에서 결정되었다.[1] 하지만 러일전쟁 발발로 인해 제국의회에 제출되지 못했다.[1]
2. 4. 도쿄도제 시행 (1943년)
1938년 6월, 일본 제국 내무성은 '도쿄도제안 요강'을 발표했지만, 도쿄시 35구는 이에 반대했다. 그러나 중일전쟁으로 전시체제 구축이 필요해지자, 1943년 1월 일본 정부는 제국의회에 '도쿄도제안'을 제출하여 가결시켰다. 같은 해 7월 1일, 도쿄도제가 시행되면서 도쿄부와 도쿄시는 폐지되고 '''도쿄도'''가 설치되었다.[1] 구 도쿄시 지역은 도쿄도 35구가 되었고, 도쿄부 산하의 하치오지시와 다치카와시는 각각 도쿄도 하치오지시와 도쿄도 다치카와시가 되었다.도쿄도 장관은 천황이 직접 임명하는 친임관이 되었으며,[1] 이는 중앙 정부의 통제가 더욱 강화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변화는 도조 히데키 내각의 전시 중앙집권화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2. 5. 전후 도쿄도
1947년 일본국 헌법과 지방자치법 시행으로 도쿄도는 다른 현과 동등한 지위를 갖게 되었다. 특별구 제도가 도입되어 구 도쿄시 지역 주민들에게 자치권이 부여되었다.[1] 1947년 4월에 열린 첫 도지사 선거는 첫 통일 선거의 일환으로 여전히 "Tōkyō-to chōkan senkyo"로 개최되었으며, 최초로 선출된 지사(1946년부터 1947년까지 마지막으로 임명된 지사이기도 함)는 처음에는 "초칸"으로 취임했지만 1947년 5월에 "치지"가 되었다.1923년(다이쇼 12년) 9월 1일, 관동 대지진 발생으로 도쿄시를 중심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9월 8일, 보치 신문은 "오사카에서 천도론이 끓는다"고 보도했다. 이러한 가운데, 9월 12일 다이쇼 천황은 칙서를 발표하여 오사카로의 천도(혹은 건도)를 명확히 부정했다.[69]
일본이 중일전쟁에 돌입하자 전시체제 구축을 위해 정부는 도쿄부 지역의 정치·경제 통제를 강화하고자 했다. 1938년(쇼와 13년) 6월, 내무성은 「도쿄도제안 요강」을 발표했지만 도쿄시 35구는 내무성 안에 반대를 결의했다. 그러나 1943년 1월, 정부가 제국의회에 제출한 「도쿄도제안」이 가결되어 같은 해 7월 1일, 도쿄도제에 의해 도쿄부·도쿄시가 폐지되고 「'''도쿄도'''」가 설치되었다. 구 도쿄시 지역은 도쿄도 35구가 되었다. 한편, 도쿄부하에서 시제를 시행하고 있던 도쿄부 하치오지시와 도쿄부 타치카와시는 각각 도쿄도 하치오지시와 도쿄도 타치카와시가 되었다.
3. 정치 및 행정
일본이 중일전쟁에 돌입하자 전시체제 구축을 위해 정부는 도쿄부 지역의 정치·경제 통제 강화를 요구하게 되었다. 1938년 6월, 내무성은 「도쿄도제안 요강」을 발표했지만 도쿄시 35구는 내무성 안에 반대를 결의했다. 그러나 1943년 1월, 정부가 제국의회에 제출한 「도쿄도제안」이 가결되어 같은 해 7월 1일, 도쿄도제에 의해 도쿄부와 도쿄시가 폐지되고 '''도쿄도'''가 설치되었다. 구 도쿄시 지역은 도쿄도 35구가 되었고, 도쿄부 하치오지시와 도쿄부 다치카와시는 각각 도쿄도 하치오지시와 도쿄도 다치카와시가 되었다.
3. 1. 도쿄도지사
도쿄도지사는 도쿄도를 대표하며, 행정 전반을 총괄한다. 주민 직선으로 선출되며, 임기는 4년이다.3. 2. 도쿄도의회
도쿄도의회는 도쿄도의 의결 기관으로, 조례 제정, 예산 심의 등의 권한을 갖는다. 의원들은 주민 직선으로 선출되며, 임기는 4년이다.3. 3. 특별구
이 부분은 주어진 소스에 특별구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 없으므로, 요약문의 내용 또한 섹션 제목과 맞지 않아 삭제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따라서 빈 문자열을 출력합니다.3. 4. 시정촌
도쿄도에는 26개의 시, 5개의 정, 8개의 촌이 있으며, 기초 자치 단체로서의 지위를 갖는다. 각 시정촌에는 시장/정장/촌장과 시/정/촌의회가 있다.4. 산업
도쿄도는 일본 경제의 중심지로서 다양한 산업이 발달해 있다. 도쿄부 시절에는 농업, 임업, 수산업 등 1차 산업도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현재는 서비스업, 금융업, 제조업 등이 주를 이룬다. 도쿄도 농림종합연구센터의 전신인 농사시험장과 종축장, 도쿄도립 산업기술연구센터의 전신인 도쿄 상공장려관과 염직시험장이 있었다.
4. 1. 농업 시험장 및 종축장
도쿄도 농림종합연구센터의 전신은 농사시험장과 종축장이다.- 도쿄부립 농사시험장
- * 에도가와 분장
- 도쿄부립 종축장
- * 아사카와 분장
- * 토구라 분장
- * 미야케 분장
4. 2. 도쿄 상공장려관 및 염직시험장
도쿄도립 산업기술연구센터의 전신에 해당하는 기관은 도쿄부립 상공장려관과 도쿄부립 염직시험장이다.[1]5. 교육
도쿄부에는 다양한 교육 기관이 있었다.
5. 1. 도쿄부립 학교
1949년 신제 도쿄도립대학에 통합된 학교는 다음과 같다.[70]- 부립고등학교
- 부립고등공업학교
- 부립화학고등공업학교
- 부립항공고등공업학교
- 부립여자전문학교
다음의 사범학교 등은 「사범교육령」(제2차 사범교육령)에 따른 관립 이관과 학제 개혁 등을 거쳐 1949년 신제 도쿄학예대학으로 이관되었다.
- 도쿄 제1사범학교(東京府青山師範学校)
- 도쿄 제2사범학교(東京府豊島師範学校)
- 도쿄 제3사범학교(東京府大泉師範学校)
- 도쿄 제1사범학교(東京府女子師範学校)
- 도쿄청년사범학교(東京府立青年学校教員養成所)
참조
[1]
웹사이트
東京都年表
http://www.metro.tok[...]
2018-09-19
[2]
웹사이트
東京都公文書館 東京府組織の変遷 明治元年~明治18年:1868-1885
https://www.soumu.me[...]
[3]
웹사이트
デジタル大辞泉「東京」(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4]
웹사이트
7.9 史跡・文化財
https://www.kankyo.m[...]
東京都環境局
2024-12-29
[5]
간행물
東京都職制沿革
東京都情報連絡室情報公開部都民情報課
[6]
기타
「横浜裁判所総督東久世通禧ニ命シ江戸開市事務総督ノ事ヲ兼摂セシ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7]
기타
「横浜裁判所副総督鍋島直大ニ命シ江戸開市事務副総督ノ事ヲ兼摂セシ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8]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9]
기타
「江戸府ヲ置キ木村重任等ヲ以テ判事ト為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0]
기타
「江戸府ヲ置ク」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1]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2]
기록보관소자료
「江戸鎮台ヲ置ク」
[13]
기록보관소자료
「江戸鎮台官員ヲ置ク」
[14]
기록보관소자료
「有栖川熾仁親王ヲ江戸鎮台ニ拝ス」
[15]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16]
기록보관소자료
「江戸鎮台府管轄国ヲ定ム」
[17]
기록보관소자료
「社寺裁判所民政裁判所及ヒ市政裁判所ヲ江戸ニ置ク」
[18]
서적
江戸の町奉行
明石書店
[19]
웹사이트
平成20年度第3回ロビー展示 東京文化財ウィーク2008参加企画事業 東京府の開庁 ~町奉行所・市政裁判所・東京府~ 展示資料解説
https://www.soumu.me[...]
東京都公文書館
2020-10
[20]
기록보관소자료
「市政裁判所ヲ置ク」
[21]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22]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23]
기타
「江戸ヲ東京ト称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4]
웹사이트
第三編 第二章 刑事関係制度の変遷 一 裁判所・検察庁
https://hakusyo1.moj[...]
2023-12-17
[25]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26]
기타
「鎮将府職制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7]
기타
「東京府職制ヲ定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8]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29]
기타
「有栖川熾仁親王ノ鎮台ヲ罷メ三条実美ヲ以テ鎮将ニ拝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0]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31]
라디오 방송
『話題のアンテナ 日本全国8時です』
TBSラジオ
2007-07-17
[32]
웹사이트
明治東京異聞~トウケイかトウキョウか~東京の読み方
https://www.soumu.me[...]
東京都公文書館
2020-04
[33]
기록
「市政裁判所ヲ廃シ東京府ヲ置ク」
国立公文書館
[34]
기록
「東京府開庁マテ市政裁判所ノ名目ヲ存ス」
国立公文書館
[35]
웹사이트
所蔵資料(アーカイブズ)を読む 第1回 教材
https://www.soumu.me[...]
東京都公文書館
2020-04
[36]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37]
기록
「会計局ト東京府トノ管理事務ヲ区定ス」
国立公文書館
[38]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39]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40]
기록
「万石以下ノ領地并寺社領ヲ傍近府県ニ管轄セシム」
国立公文書館
[41]
간행물
社寺裁判所ヲ廃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42]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43]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44]
간행물
駿河以東十三国社寺所轄府藩県ニテ難决事件ハ鎮将府ヘ上請并社寺裁判所被廃ニ付社家寺院願伺等同府ヘ進達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45]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46]
간행물
車駕東幸万機親裁ノ旨ニ基キ鎮将府ヲ廃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47]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48]
간행물
鎮将府ヲ廃シ同府官員一同従耒ノ職務ヲ解ク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49]
간행물
鎮将府廃止ニ付医学所ヲ東京府ノ所轄ト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50]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51]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52]
기록
万石以上以下諸屋敷東京府ニテ管掌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53]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54]
기록
東京府ヲシテ府下武家地ヲ管轄セシ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55]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56]
기록
戸籍調査及地方関係ノ事件東京府ニ直管セシ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57]
서적
東京都職制沿革
東京都情報連絡室情報公開部都民情報課
[58]
기타
[59]
법령
明治4年太政官布告第594号
内閣官報局
[60]
기록
東京府入間県管地ノ内ヲ神奈川県ニ分属
国立公文書館デジタルアーカイブ
[61]
서적
東京市史稿
東京都
[62]
서적
東京市史稿
[63]
서적
東京市史稿
[64]
서적
東京市史稿
[65]
서적
中野区民生活史
中野区
[66]
서적
東京市史稿
東京都
[67]
간행물
明治11年太政官布告第1号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内閣官報局
[68]
간행물
明治13年太政官布告第44号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内閣官報局
[69]
간행물
官報号外第12号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23-09-12
[70]
웹사이트 # 또는 다른 적절한 typ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