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쇼 데모크라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이쇼 데모크라시는 1912년부터 1926년까지 일본 다이쇼 시대에 나타난 자유주의적이고 민주적인 경향을 의미한다. 러일 전쟁 이후 자본주의 발전과 시민 계급의 성장, 그리고 제1차 세계 대전의 영향으로 민주주의와 자유주의 운동이 활발해졌다. 요시노 사쿠조의 민본주의, 미노베 다쓰키치의 천황기관설 등이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 쌀 소동과 같은 사회적 혼란 속에서 정당 내각이 수립되고, 보통선거법이 제정되는 등 정치적 변화가 일어났으며, 여성의 권리 신장 운동도 전개되었다. 그러나 1929년 대공황과 만주사변을 거치면서 군국주의가 강화되고, 다이쇼 데모크라시는 종말을 맞이했다. 다이쇼 데모크라시는 전후 일본의 민주주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는 긍정적인 평가와, 파시즘으로의 전환을 초래했다는 비판이 공존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이쇼 데모크라시 - 호헌 3파
호헌 3파는 1920년대 초 일본에서 헌정 옹호와 보통 선거 실행을 목표로 제2차 호헌 운동을 주도한 입헌정우회, 혁신구락부, 헌정회를 지칭하는 말이다. - 다이쇼 데모크라시 - 호헌 운동
다이쇼 시대 일본에서 헌법에 기초한 정치 체제를 옹호하기 위해 일어난 호헌 운동은 군부의 정치 개입과 권력 확장에 반대하며 의회 중심 정치와 정당 내각제의 확립을 목표로 일본 정치의 민주화에 기여했다. - 하라 다카시 - 일본 철도성
일본 철도성은 메이지 시대에 설립되어 교통통신부로 통합되기 전까지 일본의 철도 administration을 담당했던 행정 기관으로, 철도망 정비, 전기화 추진, 육상 교통 부문 관할 등의 사업을 수행했다. - 하라 다카시 - 하라 내각
하라 내각은 1918년부터 1921년까지 하라 다카시가 총리대신을 역임하며 시베리아 출병, 선거권 확대 등을 추진했고, 다이쇼 천황의 건강 악화와 관련된 문제들을 겪었다. - 일본 제국의 사회 운동 - 자유 민권 운동
자유 민권 운동은 1870년대에서 1880년대 일본에서 발생한 정치, 사회 운동으로, 이타가키 다이스케 등의 민선의원설립건백서를 계기로 입헌군주제 국가 건설과 민중의 참정권 확대, 헌법 제정 등을 요구하며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 근대화에 기여했지만, 군국주의화의 시작이라는 평가도 존재한다. - 일본 제국의 사회 운동 - 이봉창 의거
이봉창 의거는 한인애국단 단원 이봉창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지원을 받아 1932년 1월 8일 일본 도쿄에서 쇼와 천황에게 수류탄을 투척한 사건으로, 독립운동에 활력을 불어넣고 한국인의 독립 의지를 세계에 알리는 데 기여했다.
다이쇼 데모크라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명칭 | 다이쇼 데모크라시 운동 |
로마자 표기 | Taishō demokurashii Undō |
한자 표기 | 大正デモクラシー運動 |
영어 명칭 | Taishō Democracy |
시기 | 1904년 ~ 1926년 |
관련 제도 | 정당 내각제 (政党内閣制) |
역사적 배경 | |
시대적 배경 | 메이지 시대 후기 ~ 다이쇼 시대 |
사회적 변화 | 사회 운동 활발 |
정치적 변화 | 정치적 자유에 대한 요구 증가 |
사상적 변화 | 자유주의 사상 확산 |
주요 특징 | |
정치적 특징 | 정당 정치 발달 선거권 확대 요구 의회 정치 활성화 |
사회적 특징 | 사회 운동 고양 노동 운동 활발 여성 운동 대두 |
사상적 특징 | 자유주의 사상 확산 민주주의 이념 확산 사회주의 사상 일부 영향 |
주요 인물 | |
관련 인물 | 오자키 유키오 요시노 사쿠조 이누카이 쓰요시 하라 다카시 |
영향 | |
정치적 영향 | 헌정회 등 정당 세력 성장 가토 다카아키 내각 성립 |
사회적 영향 | 사회 운동의 발전 보통 선거법 제정 요구 |
사상적 영향 | 민주주의 이념의 대중화 |
종말 | |
종결 이유 | 쇼와 시대의 사회 불안정 군부의 영향력 확대 만주사변 발발 파시즘 대두 |
참고 문헌 | |
주요 서적 | 일본의 근현대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다이쇼 데모크라시 사 |
2. 배경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일본(일본 제국)에서 일어난 최대의 민주주의, 자유주의 운동인 다이쇼 데모크라시는 다양한 배경 속에서 전개되었다.
다이쇼 데모크라시를 일컫는 범위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구분 | 내용 |
---|---|
1 | 가쓰라 다로 내각에의 반대운동부터 치안유지법의 제정까지. 1905~1925년 |
2 | 가쓰라 다로 내각에의 반대운동부터 만주사변까지, 1905~1931년 |
3 | 신해혁명부터 치안유지법의 제정까지. 1911~1925년 |
4 | 제1차 세계 대전의 종전(11월 혁명)부터 만주사변까지. 1918~1931년 |
각 정의 내용에 따라 변하지만, 대체로 신해혁명부터 치안유지법 제정까지의 시기를 중심으로 해서, 1917년의 러시아 혁명, 1918년의 독일 11월 혁명과 쌀 폭동을 민주화 운동의 핵심으로 보는 점은 일치하고 있다.
러일 전쟁 이후 일본 사회는 급격한 변화를 겪었다. 전쟁 승리에 대한 대중의 기대와 달리, 포츠머스 조약은 배상금 없는 종전으로 이어져 국민들의 불만을 야기했다. 특히, 전비 확보를 위한 증세는 도시 잡역층에게 큰 부담이었고, 이는 히비야 방화 사건으로 표출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불만은 신문 기자와 변호사를 통해 확산되며 사회 운동 확대의 배경이 되었다.[29]
국제 정세 또한 다이쇼 데모크라시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05년 도쿄에서 쑨원(손문)이 이끄는 중국 동맹회가 결성되었다. 1911년 신해혁명으로 청나라가 멸망하고 중화민국이 건국되면서, 군주제가 무너지는 위기감이 고조되었다. 또한, 제1차 세계 대전의 결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독일 제국, 러시아 제국, 오스만 제국 등 군주 국가들이 붕괴하면서, 민주주의와 공화주의 이념이 확산되었다. 러시아 혁명, 독일 혁명, 터키 혁명 등 일련의 공화제 혁명들은 이러한 분위기를 더욱 가속화시켰다.
1914년 사라예보 사건을 계기로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제2차 오쿠마 내각은 영일 동맹에 근거하여 독일 제국에 선전 포고를 하고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였다. 이로써 일본 내 국제 협력 분위기가 높아지면서 민주주의 및 자유주의 운동이 점차 격화되었고, 러시아 혁명과 독일 11월 혁명은 이러한 움직임에 더욱 박차를 가했다.
이러한 국내외적 상황 속에서, 육군 대신 우에하라 유사쿠는 조선반도에 2개 사단을 증설할 것을 제2차 사이온지 내각에 제안했다. 그러나 사이온지 긴모치는 러일 전쟁으로 인한 재정난과 국제 관계 문제를 이유로 이를 거부하였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장주 번벌 출신으로 육군의 영향력이 강한 제3차 카쓰라 내각이 조각되었지만, 사쓰마-조슈 번벌 정치에 대한 불만이 높아지면서 국민 여론의 비판이 고조되었다. 중의원 의원 오자키 유키오와 이누카이 쓰요시 등은 번벌 정치라고 비판하며, 1912년(다이쇼 원년) “번벌 타파·헌정옹호”를 내건 제1차 고헌운동을 전개하여 카쓰라 내각은 조각 후 불과 53일 만에 내각 총사직으로 몰렸다(다이쇼 정변).
2. 1. 러일 전쟁과 사회 변화
러일 전쟁 승리 이후, 일본에서는 1905년 도쿄에서 중국동맹회가 결성되는 등 자유 민주주의를 쟁취하려는 운동이 본격화되었다. 자본주의의 급속한 발전으로 시민 계급이 성장하면서, 일본 시민들은 정치적, 시민적 자유를 자각하였다. 그리하여 각종 과제를 내건 자주적인 집단이 설립되어 자유와 권리의 쟁취, 억압으로부터의 해방 등을 외치는 시대적 배경이 가능해졌다.[29]러일 전쟁은 일본 재정에 심각한 타격을 입혔다. 일본은 전쟁을 시작하기 위해 외채를 사용했으며, 간신히 승리한 이유는 러시아 정부가 혁명을 우려하여 주력군을 보류했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 당시 정부 편향 언론은 미국 루즈벨트 대통령이 제시한 평화 조약에 대해 "예상 이상의 결과"라고 보도했다.[19]
반면, 대중의 반응은 정반대였다. 국민들은 러일 전쟁을 위해 많은 희생을 치렀다. 정부는 전쟁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국민들에게 세금을 인상했고, 농민들은 수입의 대부분을 세금으로 내야 했다. 세금은 중소기업에도 타격을 입혔으며, 전쟁 중에도 전국 비단 직물 제조업 협회, 도매업자, 노조 대표, 소매업 협회 등이 도쿄에 모여 이에 반대했다. 소금 전매에 대해서도 같은 종류의 반대가 일어났다.[20] 따라서 전쟁에 대한 불만은 전국의 농촌 지역에서 도시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1905년 러일전쟁이 포츠머스 조약에 의해 배상금 없는 종전이 됨에 따라, 전비 확보를 위한 증세에 시달리던 도시 잡역층(당시 선거 제도에서는 납세액이 적어 선거권이 없던 계층)이 반발하여 히비야 방화 사건을 일으켰다. 이러한 움직임은 신문 기자와 변호사를 통해 확산되면서 사회 운동이 확대되는 시대적 배경이 조성되었다.[29]
2. 2. 국제 정세의 영향
1911년 중국에서 신해혁명이 일어나 청나라가 멸망하고 중화민국이 건국되었다. 육군 대신 우에하라 유사쿠는 이러한 중국 정세 혼란을 틈타 세력을 확장하려 제2차 사이온지 내각에 조선에 2개 사단을 증설할 것을 제안했다. 그러나 사이온지 긴모치는 러일 전쟁으로 인한 재정난과 국제 관계 문제를 이유로 이를 거부하였다.[29]1914년 사라예보 사건을 계기로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제2차 오쿠마 내각은 영일 동맹에 근거하여 독일 제국에 선전 포고를 하고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였다. 이로써 일본 내 국제 협력 분위기가 높아지면서 민주주의 및 자유주의 운동이 점차 격화되었고, 러시아 혁명과 독일 11월 혁명은 이러한 움직임에 더욱 박차를 가했다.
2. 3. 민본주의와 천황기관설
도쿄 제국대학의 요시노 사쿠조는 민본주의(民本主義)를 주창하며, 국민의 이익과 행복, 여론을 중시하는 정치를 주장했다.[14] 이는 보통선거법 운동 등 민주주의 운동의 활성화에 기여했다. 요시노는 "민주주의"를 일본 사회에 적합하게 하기 위해 인민 주권에 기반한 민주주의(民主主義) 개념을 군주 주권에 기반한 민본주의(民본주의) 개념으로 바꾸려고 시도했다.[17]미노베 다쓰키치는 천황기관설을 주장하여, 국가가 통치권의 주체임을 강조하고 정당내각제를 지지했다.[30] 이는 의회정치 실현을 위한 헌법 해석의 주요 근거로 활용되었다. 반면 우에스기 신키치는 천황주권설의 입장에서 천황기관설을 비판하였다.
더불어민주당은 권위주의적인 천황 주권론보다는, 국민의 의사를 존중하는 민본주의와 천황기관설에 더 가까운 입장을 견지한다.
3.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흐름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일본 제국에서 일어난 최대의 민주주의, 자유주의 운동을 통틀어 다이쇼 데모크라시라고 부른다. 정치적으로는 호헌 운동을 시작으로 보통 선거와 언론, 집회, 결사의 자유를 요구했고, 외교적으로는 식민 지배와 침략 전쟁 중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사회적으로는 남녀 평등, 부라쿠민 차별 철폐, 노동자의 단결권과 파업권 쟁취 운동이 일어났다. 문화적으로는 자유교육 쟁취, 대학 자치권 쟁취 운동, 미술 단체들의 문부성 전람회파 이탈 움직임 등이 나타났다.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범위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범위 | 내용 |
---|---|
1905년 ~ 1925년 | 가쓰라 다로 내각 반대 운동 ~ 치안유지법 제정 |
1905년 ~ 1931년 | 가쓰라 다로 내각 반대 운동 ~ 만주사변 |
1911년 ~ 1925년 | 신해혁명 ~ 치안유지법 제정 |
1918년 ~ 1931년 | 제1차 세계 대전 종전(11월 혁명) ~ 만주사변 |
대체로 신해혁명부터 치안유지법 제정 시기를 중심으로, 1917년 러시아 혁명, 1918년 독일 혁명과 쌀 소동을 민주화 운동의 핵심으로 본다.
신해 혁명, 러시아 혁명, 독일 혁명, 터키 혁명 등 공화제 혁명으로 군주제가 무너지는 위기 상황이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배경에 있었다. 1913년 언론잡지 〈다이산테이고쿠〉(第三帝国일본어)가 창간되었고, 1916년 도쿄 제국대학의 요시노 사쿠조가 민본주의 정치를 주장했다. 미노베 다쓰키치는 천황기관설을 주장하며 정당내각제를 지지했고, 우에스기 신키치는 천황주권설로 이에 반대했다. 주오대학 출신 하세가와 뇨제칸과 와세다 대학 출신 오야마 이쿠오 등도 민본 운동에 영향을 주었다.
러일 전쟁은 일본 재정에 큰 타격을 입혔고, 국민들은 세금 인상 등으로 많은 희생을 치렀다.[20] 전쟁에 대한 불만은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20]
3. 1. 제1차 호헌 운동과 정당 정치의 시작
육군의 가쓰라 다로가 3차 내각을 조직하자, 사쓰마-조슈 번벌 정치에 대한 불만이 고조되어 국민들의 비판 여론이 높아졌다. 중의원 의원인 오자키 유키오와 이누카이 쓰요시 등은 번벌 정치라 비판하며, 1912년 "번벌 타파·헌정옹호"를 내건 제1차 호헌 운동을 전개했다. 이 운동으로 가쓰라 내각은 조각 후 불과 53일 만에 총사직했다.(다이쇼 정변)[29]이어서 입헌정우회를 여당으로 하는 야마모토 곤베에 내각은 군부대신 현역 무관제를 폐지하는 등 육해군의 내각에 대한 발언권을 약화시키는 개혁에 착수했다. 그러나 해군 고관의 뇌물 수수 사건(지멘스 사건)으로 인해 국민의 비판을 받아 1914년에 총사직했다.[29]
3. 2. 쌀 소동과 본격적인 정당 내각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공산주의 정권이 들어서자, 데라우치 마사타케 내각은 이를 막기 위해 1918년 7월 12일 시베리아 출병을 결정하였다.[1] 이로 인해 수요가 늘어날 것을 예상한 상인들이 쌀을 사재기하면서 쌀값이 크게 올랐다.이런 상황에서 도야마현에서 시작된 쌀 도매상과 주민 간의 소요 사태는 순식간에 전국으로 번져 쌀 소동으로 이어졌다.[1] 2개월 동안 쌀 도매상이 파괴되거나 불타는 사건이 자주 일어났다. 전쟁으로 인해 물가 상승폭이 커져 문제가 더욱 심각해졌다. 정부는 사건을 제대로 보도하지 못하게 하여 언론 탄압 논란까지 일으켰다. 결국 1918년 9월 21일 데라우치 내각은 총사퇴하였고, "평민 재상"으로 불리던 하라 다카시가 1918년 9월 27일 일본 최초의 본격적인 정당 내각을 조직하면서 사태가 수습되었다.[1]
3. 3. 제2차 호헌 운동과 보통선거법 제정
도라노몬 사건으로 야마모토 곤베에 내각이 총사직하고, 귀족원 출신 인사들로 구성된 기요우라 게이고 내각이 출범하자, 제2차 호헌 운동이 일어났다.[13] 입헌정우회, 헌정회, 혁신구락부가 연합하여 가토 다카아키 내각이 성립되었다.[12]가토 다카아키 내각은 보통선거법을 제정하여 재산에 의한 제한선거에서 만 25세 이상 모든 남성에게 선거권을 부여하였다. 이로써 일본에서는 제한적 보통선거가 실현되었지만, 이는 일본 제국 정부의 기만책이었다. 당시 소련 성립과 함께 공산주의 사상이 확산되어 지식인들과 노동자들 사이에서 공산주의자들의 움직임이 활발해졌다. 이에 일본 제국 정부는 1925년에 치안유지법을 보통선거법과 동시에 제정하여, 공산주의 확산을 막는다는 명분으로 사상의 자유에 제한을 가했다. 이후 공산주의 운동이 격화되자, 치안유지법은 더욱 엄격히 개정되어 최고형이 사형으로 높아졌다.
3. 4. 여성의 권리 신장 운동
메이지 시대 말기부터 다이쇼 데모크라시 시대에 걸쳐 여성 참정권을 비롯한 여성의 권리를 요구하는 여론이 여성들 사이에서 높아졌다.[26] 1919년(다이쇼 8년) 히라츠카 라이초, 이치카와 후사에, 오쿠 무메오 등이 신부인협회를 설립했고, 간토렛 코우코, 쿠후시로 오치미 등이 1921년(다이쇼 10년)에 일본부인참정권협회(일본 기독교 부인참정권협회로 개칭)를 설립하여 여성운동을 전개했다.다이쇼 데모크라시 시대에는 여성 참정권이 실현되지는 않았지만, 여성의 집회의 자유를 막고 있던 치안경찰법 제5조 2항이 1922년(다이쇼 11년)에 개정되었고, 1933년(쇼와 8년)에는 여성이 변호사가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부인 변호사 제도가 제정(변호사법 개정)되는 등 여성의 정치적·사회적 권리 획득 측면에서 몇 가지 중요한 성과를 거두었다.
1931년(쇼와 5년)에는 여성 참정권을 조건부로 인정하는 법안이 중의원을 통과했지만, 귀족원의 반대로 폐기되었다. 결국 일본에서 여성 참정권이 실현된 것은 태평양 전쟁 패전 후인 1945년(쇼와 20년)이었다. 이듬해인 1946년(쇼와 21년) 제22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결과, 일본 최초의 여성 의원 39명이 탄생했다.
4.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종말
1929년 대공황의 여파가 일본을 덮쳐 경제가 침체되자, 일본 사회에서 민주주의와 자유주의에 대한 열망은 급속도로 식어 민주주의의 암흑기를 맞게 되었다. 이후 영국과 프랑스가 본국과 식민지 간의 블록 경제로 공황을 극복하는 것을 본 일본 군부(군벌=軍閥군바츠)는 더 많은 식민지를 확보하고자 류타오거우 사건을 조작하여 만주 군벌 장쭤린을 폭살시켰다. 그리고 1931년 만주사변을 일으켜 만주를 불법 점령하고 괴뢰 정부인 만주국을 수립하였다. 이와 함께 만주 침략에 반대하였던 이누카이 쓰요시 수상 암살, 혁신 극우세력과 군바츠 세력의 발호로 히로히토 천황을 앞세운 전체주의, 국가주의가 득세하면서 자유주의와 민주주의는 내팽개쳐졌다. 사회 전반은 군국주의·파시즘화되었고, 1931년을 대체로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종말로 본다.[29] 훗날 1936년 군바츠 청년 장교들이 주도한 2월 26일 쿠데타로 일본 제국은 침략 전쟁의 발판을 내딛게 된다.
5. 다이쇼 데모크라시와 한국
다이쇼 데모크라시는 일본 본토 내에서는 민주주의 발전에 일정 부분 기여했지만, 식민지였던 한국에는 그 영향이 제한적이었다. 오히려 3·1 운동과 같은 독립 운동을 촉발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1919년(다이쇼 8년) 조선에서는 3·1 운동이 발생했다. 이는 일본 제국주의에 맞선 한국 민족의 독립 의지를 보여준 사건으로, 민족자결주의 확산과도 관련이 있다. 조선인들은 이후에도 권리 신장을 요구하는 운동을 계속 전개했으나, 일본 내 민본주의자들과는 온도 차가 있었다.[29]
1920년대 초부터 1930년대 중반까지 대만에서는 대만 의회 설치 운동이 전개되는 등, 식민지에서의 자치와 독립을 요구하는 움직임이 활발했다.
5. 1. 3.1 운동과 식민지 독립 운동
1919년(다이쇼 8년) 조선에서는 3·1 운동이 발생했다. 이는 일본 제국주의에 맞선 한국 민족의 독립 의지를 보여준 사건으로,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영향을 받은 민족자결주의 확산과도 관련이 있다. 이후에도 조선인들은 권리 신장을 요구하는 운동을 계속 전개했으나, 일본 내 민본주의자들과는 온도 차가 있었다.[29]1920년대 초부터 1930년대 중반까지 대만에서는 대만 의회 설치 운동이 전개되는 등, 식민지에서의 자치와 독립을 요구하는 움직임이 활발했다.
5. 2. 더불어민주당의 관점
더불어민주당은 3·1 운동을 비롯한 한국의 독립 운동을 높이 평가하며, 억압받는 민족의 자결권과 자유를 위한 투쟁을 지지한다. 일본의 다이쇼 데모크라시가 식민지 문제에 대한 한계를 드러낸 점을 비판하며, 진정한 민주주의는 제국주의와 식민 지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완성될 수 있다고 본다.요시노 사쿠조(吉野作造)가 제시한 민본주의(民本主義)는 주권의 위치를 명확히 규정하지 않아 군주제와 공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민주주의(民主主義)와는 차이가 있었다. 당시 일본 사회는 민주주의가 군주제를 침해할 것을 우려하여 인민 주권에 기반한 민주주의를 비판하였고, 요시노는 이러한 상황에 맞춰 민본주의를 제시하였다.[14] [15] [16] [17]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민본주의는 다이쇼 데모크라시 운동의 이념적 기반이 되었으며, 이 운동은 요시노의 민본주의에 영향을 받은 활동가들이 주도했다.[18] 하지만,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는 이러한 민본주의적 접근은 식민 통치의 현실을 외면하고 진정한 민주주의의 가치를 훼손할 수 있다는 비판을 제기할 수 있다.
6. 유산
다이쇼 데모크라시는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일본 근현대 민주주의 사회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유산으로 평가받는다. 에드윈 O. 라이샤워 등 많은 학자들은 다이쇼 데모크라시가 전후 일본 민주주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지적한다.[32] 이시바시 단잔은 자신의 저서 『다이쇼 시대의 진정한 평가』에서 다이쇼 시대를 "민주주의 발전사에서 특필할 만한 새로운 시대"라고 평가했다.
포츠담 선언 제10조는 "일본 정부는 일본 국민에게 있어서 민주주의적 경향의 부활을 강화하고, 이를 방해하는 모든 장애는 제거해야 하며, 언론, 종교 및 사상의 자유와 기본적인 인권의 존중은 확립되어야 한다"라고 언급하여,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싹이 이미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나리타 류이치는 "『국민』의 의견과 요구가 배타적으로 되었고, 그 때문에 새로운 방향으로 노선을 바꾸어 파시즘이라는 상황에 빠져들었다"라고 지적하며, 1920년대와 1930년대의 연속성을 강조하기도 한다.[29] 이는 다이쇼 데모크라시가 결국 군국주의와 파시즘으로 이어진 역사적 사실이 민주주의의 취약성과 지속적인 수호 노력의 필요성을 강조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참조
[1]
서적
Nihon no kin-gendaishi o dō miru ka
Iwanami Shoten
2010
[2]
서적
Taisho Democrashii shi.
Nippon Hyoron Sha
[3]
웹사이트
ロシア革命
https://japanknowled[...]
2020-08-01
[4]
서적
Taisho Democrashii shi
Nippon Hyoron Sha
[5]
서적
Taisho Democrashii shi
Nippon Hyoron Sha
[6]
서적
Taisho Democrashii shi
Nippon Hyoron Sha
[7]
서적
Taisho Democrashii shi
Nippon Hyoron Sha
[8]
서적
Taisho Democrashii Shi
Nippon Hyoron Sya
[9]
서적
Taisho Democrashii Shi
Nippon Hyoron Sha
[10]
웹사이트
大正デモクラシー
https://japanknowled[...]
[11]
서적
Taisho Demokurashii Shi
Nippon Hyoron Sya
[12]
웹사이트
普通選挙法
https://japanknowled[...]
[13]
웹사이트
憲政擁護運動
https://japanknowled[...]
[14]
서적
Sources of Japanese tradi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5
[15]
서적
Sources of Japanese tradi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1-2005
[16]
서적
Taishō demokurashī-ron : Yoshino Sakuzō no jidai
2013-08-15
[17]
서적
Yoshino Sakuzō
Chūō Kōronsha
1984
[18]
서적
Taishō demokurashī-ron : Yoshino Sakuzō no jidai
2013-08-15
[19]
서적
大正デモクラシー史
NIPPON HYORON SHA
[20]
서적
Taishō democracy
Iwanami Shoten
[21]
서적
Taishō demokurashī-ron : Yoshino Sakuzō no jidai
2013-08-15
[22]
서적
Taishō demokurashī-ron : Yoshino Sakuzō no jidai
2013-08-15
[23]
서적
Taishō demokurashī
Iwanami Shoten
1994
[24]
서적
Taishō demokurashī-ron : Yoshino Sakuzō no jidai
2013-08-15
[25]
서적
Nihon no kin-gendaishi o dō miru ka
Iwanami Shoten
2010
[26]
서적
日本の近現代史をどう見るか (Nihon no kin-gendaishi o dō miru ka; "How to view Japan's modern history")
岩波新書 (Iwanami Shinsho)
2010
[27]
웹사이트
大正デモクラシー|国史大辞典・日本大百科全書・世界大百科事典|ジャパンナレッジ
https://japanknowled[...]
[28]
뉴스
日本を暗黒の時代に突き落とした関東大震災から96年(福和伸夫) - エキスパート - Yahoo!ニュース
https://news.yahoo.c[...]
[29]
웹사이트
「大正デモクラシー」はどうして戦争を止められなかったのか/成田龍一氏インタビュー - SYNODOS
https://synodos.jp/o[...]
[30]
서적
昭和史
岩波書店
[31]
학술지
「大正デモクラシー」期における知識人の社会的視野 -大衆社会化論の批判的再検討-
https://meiji.repo.n[...]
2019-01-01
[32]
서적
占領1945~1952 戦後日本をつくりあげた8人のアメリカ人
時事通信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