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쿠가와 이에쓰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쿠가와 이에쓰나는 에도 막부의 4대 쇼군으로, 1641년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1651년 아버지의 사망으로 11세의 어린 나이에 쇼군에 취임했으며, 섭정들의 보좌를 받으며 통치했다. 그의 치세 기간에는 게이안의 변과 같은 혼란이 있었으나, 숙부인 호시나 마사유키 등 여러 명신들의 도움으로 안정을 찾았다. 그는 문치 정치를 지향하며 농정, 경제 정책을 펼쳤고, 쇄국 정책을 유지했다. 이에쓰나는 후사를 얻지 못하고 1680년 동생 도쿠가와 쓰나요시에게 쇼군 자리를 물려주고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쿠가와 이에쓰나 - 미사와노쓰보네
미사와노쓰보네는 17세기 에도 시대에 고보리 마사카즈의 측실이자 도쿠가와 이에쓰나의 유모로서, 이에쓰나를 보좌하고 오오쿠에서 권세를 잡았으며 막부 여성 정치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 도쿠가와 이에쓰나 - 아키코 여왕 (1640년)
아키코 여왕은 1640년 후시미노미야 사다키요 친왕의 딸로 태어나 1655년 도쿠가와 이에쓰나와 혼인 후 에도성 오오쿠에 들어가 미다이도코로가 되었으나 1676년 유방암으로 사망한 뒤 종1위에 추증되었으며 드라마에 등장하기도 했다. -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자녀 - 도쿠가와 쓰나시게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아들이자 고후 번주였던 도쿠가와 쓰나시게는 영지 확장과 치수 사업에 기여했으나 젊은 나이에 사망했고, 그의 아들 도쿠가와 이에노부는 6대 쇼군이 되었으며, 쓰나시게는 능력과 균형 감각을 지닌 인물로 평가받는다. -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자녀 - 도쿠가와 쓰나요시
도쿠가와 쓰나요시는 에도 막부의 5대 쇼군으로, 초기에는 권위 강화와 개혁을 추진했으나 후기에는 생류련비령으로 '악정'이라는 평가와 '이누쿠보'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겐로쿠 시대와 아코 사건 등 중요한 사건들을 겪었고, 후계자는 도쿠가와 이에노부였다. - 에도 막부의 정이대장군 - 도쿠가와 히데타다
도쿠가와 히데타다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셋째 아들이자 1605년부터 1623년까지 에도 막부의 제2대 쇼군으로 재임하며 오사카 전투에서 도요토미 가문을 멸망시키는 데 기여하고 막부의 통치 기반을 강화했으며, 쇄국정책을 추진하고 강력한 반기독교 정책을 시행했다. - 에도 막부의 정이대장군 - 도쿠가와 이에야스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센고쿠 시대 말기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이자 에도 막부 초대 쇼군으로, 탁월한 정치력과 군사적 재능으로 혼란기를 극복하고 에도 막부를 건설하여 일본 역사에 중요한 전환점을 만들었다.
도쿠가와 이에쓰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도쿠가와 이에쓰나 |
일본어 이름 | 徳川 家綱 |
로마자 표기 | Tokugawa Ietsuna |
이명 | 이와후네 지장의 아들, 사요세이 님 (혼명) |
시호 | 겐유인 |
계명 | 겐유인덴 증정일위 상국공 |
묘소 | 간에이지 |
관위 | |
초기 관위 | 종3위, 권대납언 |
최종 관위 | 정2위, 우근위대장, 내대신, 정이대장군, 우대신, 증 정1위, 태정대신 |
생애 | |
출생 | 간에이 18년 8월 3일 (1641년 9월 7일) |
사망 | 엔포 8년 5월 8일 (1680년 6월 4일) |
가족 | |
아버지 | 도쿠가와 이에미쓰 |
어머니 | 호주인 (시치사와 라쿠코) |
형제 | 센히메, 도쿠가와 이에쓰나, 가메마쓰, 쓰나시게, 쓰나요시, 쓰루마쓰 |
정실 | 아사노미야 아키코 |
측실 | 요시다 가네오키의 딸, 요슈인, 사와키 야스키요의 딸, 엔메이인 |
자녀 | 실자: 1자 (사산), 딸 (유산), 양자: 쓰나요시, 도쿠가와 미쓰토모의 딸 |
경력 | |
막부 | 에도 막부 제4대 정이대장군 |
재임 기간 | 게이안 4년 (1651년) - 엔포 8년 (1680년) |
2. 생애
1641년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장남으로 에도 성 혼마루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는 호주인(오라쿠노 가타)이다.[1] 1644년 아명인 '''다케치요'''(竹千代)에서 '''이에쓰나'''(家綱)로 개명하고, 1645년 관례를 치렀다.[10] 1650년 거처를 니시노마루로 옮겼다. 도쿠가와 이에쓰나는 허약한 아이였으며, 성인이 되어서도 이러한 점은 이어졌다.[1]
慶安|게이안일본어 4년(1651년), 아버지 이에미쓰가 사망하면서 11세의 나이로 쇼군직을 계승받았다.[2] 쇼군 선하를 받고 제4대 정이대장군에 취임하여 나이다이진(内大臣)에 임명되었다. 어린 나이에 쇼군직에 취임함으로써 쇼군 세습제가 확고하다는 것을 전국에 알렸다. 이후 쇼군들은 교토가 아닌 에도에서 쇼군 선지를 받게 되었다.
유이 쇼세쓰, 마루바시 주야 등이 주도한 게이안의 변이 일어나는 등 즉위 초기의 정국은 혼란스러웠으나, 이에쓰나의 숙부인 호시나 마사유키를 비롯하여 다이로인 사카이 다다카쓰, 로주인 마쓰다이라 노부쓰나, 아베 다다아키, 사카이 다다키요 등 여러 명신들의 보좌에 힘입어 혼란은 수습되었다.[1] 이후 정치 기구가 한층 더 정비되는 등 29년의 치세 동안 안정된 정권이 유지되었다. 또한 도자마 다이묘들에게도 말기 양자를 들이는 것을 금지하는 법령을 보다 완화해 주었고 순사금지령을 더욱 엄격하게 시행하여[1] 과거의 무단정치(武断政治)에서 문치정치(文治政治)로의 정책 변환을 꾀하였다.
1666년 사카이 다다키요(酒井忠清)가 다이로(大老)에 취임한 이후, 로주(老中)들의 합의와 이에쓰나 자신과의 상의를 통해 막부가 운영되었다. 이에미쓰 시대의 간에이 대기근 경험을 바탕으로 농정(農政)을 중심으로 한 전국적인 유통, 경제 정책을 전개하였다. 『본조통감(本朝通鑑)』 편찬 등 문화 사업도 활발히 진행되었다. 막부 내부의 직제가 정비되었고, 조정과의 관계도 안정되었다.[1]
1663년(간분 3년), 막부는 충절을 이유로 한 자살(준시)을 금지했다.[1] 1669년(간분 9년)에는 홋카이도(北海道)에서 아이누족의 반란이 일어났다.[1] 1671년에는 센다이의 다테 가문이 상속 분쟁에 연루되었으나, 막부가 개입하여 오닌의 난과 같은 상황은 발생하지 않았다.[1] 이 시기에는 다테 소동(伊達騒動)이나 에치고 소동(越後騒動) 등 다이묘(大名) 가문의 오이에 소동(御家騒動)도 발생했다. 대외적으로는 에조치(蝦夷地)에서의 샤쿠샤인 봉기, 잉글랜드 선박 리턴 호의 통상 재개 요구, 정씨 정권의 원병 요청 등이 있었지만, 이에미쓰 시대부터의 쇄국 정책이 유지되었다.[11]
1680년 병으로 위독해진 이에쓰나는 홋타 마사토시(堀田正俊)의 권유로 동생 마쓰다이라 쓰나요시를 양자로 맞아 쇼군 직위를 물려준 뒤 사망했다. 1680년 6월 4일(엔포 8년 5월 8일)의 일이었다.[5] 후시미노미야 사다키요 친왕(伏見宮貞清親王)의 3녀인 아키코 여왕(顕子女王)을 미다이도코로(御台所)로 맞아들였으나 후사를 얻지 못했고, 측실 소생도 모두 사산하거나 유산하였다. 30대 중반이 되도록 아들이 없어 장군 후계자 문제가 우려되었으나, 결국 동생 쓰나요시를 양자로 삼아 후사를 이었다. 사인은 미상이나, 급성 질환 (심장 발작 등)으로 추정된다.[11] 이에쓰나의 죽음으로 도쿠가와 쇼군가의 직계 자손이 쇼군직을 세습하는 형태는 무너졌다. 묘소는 도쿄 다이토구(台東区)의 간에이지(寛永寺)에 있다.[6]
2. 1. 유년기 (1641년 ~ 1651년)
1641년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장남으로 에도 성 혼마루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는 호주인(오라쿠노 가타)이다.[1] 유모는 야지마노쓰보네이다. 1644년 아명인 '''다케치요'''(竹千代)에서 '''이에쓰나'''(家綱)로 개명하고, 1645년 관례를 치렀다.[10] 1650년 거처를 니시노마루로 옮겼다.도쿠가와 이에쓰나는 허약한 아이였으며, 성인이 되어서도 이러한 점은 이어졌다.[1] 아버지 이에미쓰는 이에쓰나를 자신의 후계자로 결정했는데, 이는 이에미쓰와 동생 다다나가 사이에 후계자 다툼이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고, 간신히 태어난 아들이었기 때문이라고도 한다.
2. 2. 쇼군 취임 (1651년)
慶安|게이안일본어 4년(1651년), 아버지 이에미쓰가 사망하면서 11세의 나이로 쇼군직을 계승받았다.[2] 쇼군 선하를 받고 제4대 정이대장군에 취임하여 나이다이진(内大臣)에 임명되었다. 어린 나이에 쇼군직에 취임함으로써 쇼군 세습제가 확고하다는 것을 전국에 알렸다. 이후 쇼군들은 교토가 아닌 에도에서 쇼군 선지를 받게 되었다.2. 3. 치세 전반 (1651년 ~ 1663년)
유이 쇼세쓰, 마루바시 주야 등이 주도한 게이안의 변이 일어나는 등 즉위 초기의 정국은 혼란스러웠다.[3] 그러나 이에쓰나의 숙부인 호시나 마사유키를 비롯하여 다이로인 사카이 다다카쓰, 로주인 마쓰다이라 노부쓰나, 아베 다다아키, 사카이 다다키요 등 여러 명신들의 보좌에 힘입어 혼란은 수습되었다.[1] 이후 정치 기구가 한층 더 정비되는 등 29년의 치세 동안 안정된 정권이 유지되었다. 또한 도자마 다이묘들에게도 말기 양자를 들이는 것을 금지하는 법령을 보다 완화해 주었고 순사금지령을 더욱 엄격하게 시행하여[1] 과거의 무단정치(武断政治)에서 문치정치(文治政治)로의 정책 변환을 꾀하였다.2. 4. 치세 후반 (1663년 ~ 1680년)
1666년 사카이 다다키요(酒井忠清)가 다이로(大老)에 취임한 이후, 로주(老中)들의 합의와 이에쓰나 자신과의 상의를 통해 막부가 운영되었다. 이에미쓰 시대의 간에이 대기근 경험을 바탕으로 농정(農政)을 중심으로 한 전국적인 유통, 경제 정책을 전개하였다. 『본조통감(本朝通鑑)』 편찬 등 문화 사업도 활발히 진행되었다. 막부 내부의 직제가 정비되었고, 조정과의 관계도 안정되었다.[1]1663년(간분 3년), 막부는 충절을 이유로 한 자살(준시)을 금지했다.[1] 1669년(간분 9년)에는 홋카이도(北海道)에서 아이누족의 반란이 일어났다.[1] 1671년에는 센다이의 다테 가문이 상속 분쟁에 연루되었으나, 막부가 개입하여 오닌의 난과 같은 상황은 발생하지 않았다.[1]
이 시기에는 다테 소동(伊達騒動)이나 에치고 소동(越後騒動) 등 다이묘(大名) 가문의 오이에 소동(御家騒動)도 발생했다. 대외적으로는 에조치(蝦夷地)에서의 샤쿠샤인 봉기, 잉글랜드 선박 리턴 호의 통상 재개 요구, 정씨 정권의 원병 요청 등이 있었지만, 이에미쓰 시대부터의 쇄국 정책이 유지되었다.[11]
후시미노미야 사다키요 친왕(伏見宮貞清親王)의 3녀인 아키코 여왕(顕子女王)을 미다이도코로(御台所)로 맞이했으나 후사를 얻지 못했다. 측실인 오후리(お振)와 오마쓰루(お満流) 또한 임신했으나 모두 사산하거나 유산했다.[11]
1680년 병으로 위독해진 이에쓰나는 홋타 마사토시(堀田正俊)의 권유로 동생 마쓰다이라 쓰나요시를 양자로 맞아 쇼군 직위를 물려준 뒤 사망했다. 1680년 6월 4일(엔포 8년 5월 8일)의 일이었다.[5] 그의 죽음으로 도쿠가와 쇼군가의 직계 자손이 쇼군직을 세습하는 형태는 무너졌다.[11]
2. 5. 후사 문제와 사망 (1680년)
1680년 도쿠가와 이에쓰나는 병으로 쓰러져 위독한 상태에 빠졌다. 이에 중신 홋타 마사토시(堀田正俊)의 권유를 받아 다테바야시 번주로 있던 동생 마쓰다이라 쓰나요시를 양자로 맞아들여 쇼군 직위를 물려주었다.[5]이에쓰나는 후시미노미야 사다키요 친왕(伏見宮貞清親王)의 3녀인 아키코 여왕(顕子女王)을 미다이도코로로 맞아들였으나 후사를 얻지 못했다. 측실인 오후리와 오마쓰루 또한 회임했으나 모두 사산하거나 유산하였다. 30대 중반이 되도록 아들이 없어 장군 후계자 문제가 우려되었다.
결국 이에쓰나는 홋타 마사토시의 권유를 받아 막내 동생인 다테바야시 번주 마쓰다이라 쓰나요시를 양자로 삼아 장군 후사로 정했다. 그 직후인 5월 8일에 사망했으며, 향년 40세 (만 38세)였다. 사인은 미상이나, 급성 질환 (심장 발작 등)으로 추정된다.[11] 이에쓰나의 죽음으로 도쿠가와 쇼군가의 직계 자손이 쇼군직을 세습하는 형태는 무너졌다.
묘소는 도쿄 다이토구(台東区)의 간에이지(寛永寺)에 있다.[6]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아버지 | 도쿠가와 이에미쓰 | 1604년 8월 12일 | 1651년 6월 8일 | |
어머니 | 호주인 | 1621년 | 1653년 | |
양어머니 | 에이코인 | 1624년 | 1711년 | |
정실 | 아키코 여왕 | 1640년 | 1676년 | 코게인 |
측실 | 오후리노가타 | 1649년 | 1667년 | 요슌인, 아들(1667년 출산 중 사망) |
측실 | 오마루노가타 | 1660년 | 1690년 | 엔묘인, 딸(1678년 출산 중 사망) |
측실 | 요시노노 카타 | ? | 1680년 | 아들(1680년 출산 중 사망) |
측실 | 오요노 카타 | ? | 1657년 | |
측실 | 오시마노 카타 | ? | 1660년 | |
측실 | 오나쓰노 카타 | ? | 1680년 | 혼주인 |
측실 | 오키쿠노 카타 | ? | ? | |
측실 | 오후지노 카타 | ? | ? | 죠코인 |
측실 | 오코토노 카타 | ? | ? | 줌묘인 |
측실 | 오란노 카타 | ? | ? | |
측실 | 오미노노 카타 | ? | 1679년 | |
측실 | 오스미노 카타 | ? | ? | |
양녀 | 나오히메 | ? | ? | 도쿠가와 미쓰토모의 딸 |
4. 평가 및 일화
도쿠가와 이에쓰나는 온화한 성격으로 알려져 있으며, 회화나 낚시를 즐겼다고 한다. 정무는 사카이 다다키요를 비롯한 로주들에게 일임하고 결재가 올라오면 대부분 "그리 하여라(左様せい)"라고만 응대하여 '사요세이 님(左様せい様)'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는 일화가 전해진다.[11] 그러나 이러한 일화는 이에쓰나가 쇼군으로서 리더십을 발휘하지 못했다는 평가와는 달리, 당시 막부의 의사 결정 방식에서 쇼군 상의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그의 치세 기간인 1655년에는 우키타 히데이에가 83세로 세상을 떠났으며, 이로써 세키가하라 전투 관련자들은 모두 사라지게 되었다. 혈액형은 O형으로 보고되고 있다.[15]
이에쓰나는 원복하기 전까지 호시나 마사유키 등 도쿠가와 이에미쓰 시대의 유능한 인재들의 도움을 받아 안정된 시대를 구축할 수 있었다. 『도쿠가와 명군 명신 언행록(徳川名君名臣言行録)』에는 "나는, 어린 나이임에도, 선업을 이어받아, 대위에 있다"라고 적혀 있다. 아라이 하쿠세키의 저서 『백석수간(白石手簡)』에서는 이에쓰나가 중국 당나라 시대의 정치서인 『정관정요』를 좋아하여 막부 운영의 참고로 했다고 한다.
유배된 죄인에 관한 이야기를 듣고 "그들은 무엇을 먹고 있는 것일까"라고 측근에게 물었지만 아무도 대답하지 못했다. 이에 "목숨을 살려 유배했는데 어째서 식량을 주지 않는가"라고 말했고, 아버지 이에미쓰는 기뻐하며 이를 이에쓰나의 첫 처벌로 삼아 유배자에게 식량을 주도록 명했다.
이에쓰나에게서 이름 한 글자를 받은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인물 | 비고 |
---|---|
니조 쓰나히라 | 공가 |
도쿠가와 쓰나시게 | 친동생 |
도쿠가와 쓰나요시 | 친동생, 제5대 쇼군 |
도쿠가와 이에노부 | 조카(쓰나시게의 아들), 이후 제6대 쇼군 |
도쿠가와 쓰나노리 | 오와리가, 처음 이름은 쓰나요시, 이에쓰나의 조카 |
도쿠가와 쓰나노리 | 기이가, 쓰나요시의 사위, 제8대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의 큰 형 |
도쿠가와 쓰나카타 | 다카마쓰 마쓰다이라가 출신, 도쿠가와 미쓰쿠니 양자 |
도쿠가와 쓰나토모 | 쓰나카타의 친동생, 미쓰쿠니의 양자 |
마쓰다이라 쓰나카타 | |
마쓰다이라 쓰나쿠니 | 쓰나카타의 사촌 |
마쓰다이라 쓰나마사 | |
마쓰다이라 쓰나타카 | |
마쓰다이라 쓰나치카 | 쓰나타카의 아들, 처음 이름은 쓰나아, 별명: 쓰나도오리 |
마에다 쓰나노리 | 처음 이름은 쓰나토시, 아버지 마에다 미쓰타카와 이에쓰나가 사촌 관계 |
다테 쓰나무네 | |
다테 쓰나무라 | 쓰나무네의 아들, 처음 이름은 쓰나모토 |
우에스기 쓰나카쓰 | |
우에스기 쓰나노리 | 쓰나카쓰의 양자, 기라 요시나카의 아들 |
이케다 쓰나마사 | |
이케다 쓰나키요 | |
아사노 쓰나아키라 | |
아사노 쓰나가 | 쓰나아키라의 아들 |
하치스카 쓰나미치 | |
하치스카 쓰나노리 | 쓰나미치의 사촌 |
모리 쓰나히로 | |
모리 쓰나모토 | |
나베시마 쓰나시게 | |
구로다 쓰나요시 | |
구로다 쓰나마사 | 쓰나요시의 동생 |
호소카와 쓰나토시 | |
시마즈 쓰나히사 | |
시마즈 쓰나타카 | 쓰나히사의 아들 |
4. 1. 긍정적 평가
도쿠가와 이에쓰나는 온화한 성품으로 백성을 위한 정치를 펼치려 노력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문치주의 정책을 통해 막부 통치의 안정화에 기여했으며, 농업, 유통, 경제 정책을 통해 민생 안정을 도모하였다. 또한 문화 사업을 장려하고 학문 발전을 지원했다.[16]4. 2. 부정적 평가
도쿠가와 이에쓰나는 병약하여 정무를 주도적으로 이끌지 못하고, 로주(老中)들에게 의존하는 통치를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문무태평기(文武太平記)』에 따르면, 회의에서 결재가 올라오면 대부분 "그리 하여라(左様せい)"라고만 응대하여 '사요세이 님(左様せい様)'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고 한다.[11] 이는 그가 쇼군으로서 리더십을 발휘하지 못하고, 당시 오로(大老)였던 사카이 다다키요의 전횡을 허용했다는 부정적 평가로 이어진다.또한, 생후 4개월에 뇌막염을 앓았던 병력이 있어 뇌에 문제가 있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11]
4. 3. 기타 일화
- 『무야촉담(武野燭談)』에 따르면, 이에쓰나는 쇼군에 즉위한 뒤 얼마 되지 않아 에도성 천수각에 올랐다. 이때 시종이 망원경을 바쳤지만, 어린 이에쓰나는 "나는 어리지만 쇼군이다. 만일 쇼군이 천수각에서 망원경으로 사방을 내려다보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 많은 사람들이 불쾌감을 느낄 것이다."라고 말하며 망원경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한다.[11]
- 한번은 식사 도중 이에쓰나의 국 그릇에서 머리카락이 나왔다. 이에쓰나는 태연하게 젓가락으로 머리카락을 건져냈으나, 이를 본 시종은 몹시 놀라 국을 새것으로 교환하고자 하였다. 이에 이에쓰나는 담당자가 처벌받는 것을 막기 위해 국을 바꾸는 대신 다 먹고 한 그릇 더 먹는 것처럼 보이게 하기 위해 시종에게 도중에 국을 버려 그릇을 비우도록 명하였다.[12]
- 메이레키 대화재로 피해를 입은 에도 시내의 무가 저택, 신사, 불각 등에 자금을 지원하여 복구를 도왔다. 메이레키 대화재를 교훈 삼아 료고쿠 다리를 가설했다. 또한 료고쿠 다리 옆에 방화지를 설치했는데, 다리 옆에는 건물을 짓는 것이 금지되었지만 곧 철거할 수 있다는 조건으로 일부 건설을 허가했다. "곧 부술 수 있다"라는 조건으로 성대하게 씨름판이 만들어졌고, 이는 료고쿠가 스모 거리로 알려지게 된 계기가 되었다.[14]
5. 연호(年号)
이에쓰나의 재위 기간 동안 사용된 연호는 다음과 같다.[7]
연호(年号) | 기간 |
---|---|
케이안 (慶安) | 1648년 ~ 1652년 |
조오 (承応) | 1652년 ~ 1655년 |
메이레키 (明暦) | 1655년 ~ 1658년 |
만지 (万治) | 1658년 ~ 1661년 |
간분 (寛文) | 1661년 ~ 1673년 |
엠포 (延宝) | 1673년 ~ 1681년 |
참조
[1]
서적
Tokugawa, Ietsuna
https://archive.toda[...]
2005
[2]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3]
서적
Secret Memoirs of the Shoguns: Isaac Titsingh and Japan, 1779–1822
2006
[4]
서적
[5]
서적
[6]
서적
Kaempfer's Japan: Tokugawa Culture Observed
[7]
서적
[8]
웹사이트
Genealogy
https://reichsarchiv[...]
2010-05-06
[9]
백과사전
徳川家綱
[10]
서적
論集大奥人物研究
東京堂出版
[11]
서적
徳川将軍家十五代のカルテ
新潮新書
2005-05
[12]
문서
[13]
서적
酒井忠清
吉川弘文館
2000
[14]
뉴스
将軍の肖像画、下絵はリアル 徳川宗家に伝来、研究進む
https://archive.is/P[...]
朝日新聞
2012-08-08
[15]
블로그
鶴は千年、亀は萬年。
http://blog.goo.ne.j[...]
2012-08-08
[16]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