둔스타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둔스타누스는 909년에 태어난 캔터베리 대주교이자 잉글랜드의 주요 성인 중 한 명이다. 그는 어린 시절 글래스턴베리 수도원에서 공부하며 학문과 예술적 재능을 키웠고, 국왕 에드먼드 1세와 에드레드 왕을 보좌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했다. 둔스타누스는 수도원 개혁, 교회 개혁, 문화 예술 후원에 기여했으며, 에드거 왕 시대에는 잉글랜드 교회 개혁을 주도했다. 둔스타누스는 금속 세공과 음악에도 능했으며, 악마와 관련된 전설로도 유명하다. 988년에 사망했으며, 1029년에 시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런던 주교 - 멜리투스
7세기 초 잉글랜드에서 활동한 멜리투스는 런던의 첫 번째 주교이자 캔터베리의 세 번째 대주교로, 교황 그레고리오 1세에 의해 파견되어 기독교 선교 활동을 펼쳤으며, 화재를 진화시킨 기적으로 성인으로 추앙받는다. - 909년 출생 - 아린자야
아린자야는 10세기 중엽 촐라 왕조의 왕족으로, 간다라디티야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는지 논란이 있지만, 동부 찰루키아 왕조 공주와의 혼인으로 순다라 촐라를 낳아 촐라 왕위 계승에 기여했으며 손자인 라자라자 1세에 의해 기려졌다. - 909년 출생 - 다풀라 4세
- 988년 사망 - 전홍숙
오대십국 시대 오월의 마지막 왕인 전홍숙은 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으나 송나라의 압박에 영토를 헌납하여 오월을 종결시키고 회해국왕에 봉해졌으며, 그의 행적은 전쟁 피해를 줄였다는 긍정적 평가와 나라를 지키지 못했다는 부정적 평가를 동시에 받는다. - 988년 사망 - 후지와라노 야스스케
후지와라노 야스스케는 헤이안 시대에 여러 관직을 지냈지만 동시에 범죄를 저지르며 악명을 떨친 인물로, 체포 후 할복을 시도하여 옥중에서 사망했으며 후대에는 전설적인 도적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둔스타누스 | |
---|---|
기본 정보 | |
![]() | |
존경 | 로마 가톨릭 교회 동방 정교회 성공회 |
축일 | 5월 19일 |
시성일 | 1029년 |
상징 | 대장장이 집게를 든 남자 그 근처를 맴도는 비둘기 그의 앞에 있는 천사 무리 |
수호 | 대장장이 금세공인 자물쇠 제조공 음악가 은세공인 종을 치는 사람 캐나다 샬럿타운 스텝니 |
수도회 | 베네딕도회 |
출생 | 기원전 909년경 |
출생지 | 발톤스버러, 웨식스 |
사망일 | 988년 5월 19일 (약 79세) |
사망지 | 캔터베리, 잉글랜드 |
매장지 | 캔터베리 대성당 |
직책 | |
착좌 | 959년 |
퇴임 | 988년 |
선임자 | 벌름 |
후임자 | 에델가르 |
2. 생애
둔스타누스는 글래스턴베리 작은 마을의 교회 근처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헤올스탄은 부유했고, 친척 중에는 3명의 주교가 있는 유력한 가문이었다. 어린 시절 둔스타누스는 글래스턴베리 수도원의 폐허에 머물던 아일랜드 수도승 밑에서 공부했다. 그는 학문에 대한 헌신과 다양한 예술적 기술을 익힌 것으로 유명했다. 부모의 동의를 얻어 삭발례를 받고 사제 서품을 받아 성 마리아 고대 교회에서 봉사했다.
애설스턴 왕의 궁정에서 마법을 행한 혐의로 쫓겨나 글래스턴베리 수도원에 들어갔다.[18] 940년부터 946년까지 글래스턴베리 수도원장으로 임명되었으며,[18] 베네딕토회의 엄격한 계율과 금욕주의를 도입했다.[18] 그는 글래스턴베리에서 은세공인과 필사실에서 일하며, 음악가, 세밀화가, 금속 세공인으로 명성을 얻었다.[2]
에드먼드 1세 왕의 총애를 받았으나, 다른 궁정 사람들의 질투를 사 모함을 받았다. 그러나 에드먼드 왕이 사냥 중 벼랑에서 떨어질 뻔했을 때 둔스타누스를 가혹하게 대했던 일을 기억하고 용서를 구하며 목숨을 구해준다면 보상하겠다고 약속했고, 기적처럼 말이 멈춰 목숨을 구했다. 왕은 둔스타누스를 글래스턴베리 수도원장으로 임명하고 지원을 약속했다.[2]
잉글랜드의 에드레드가 왕위를 계승한 후, 둔스타누스는 에드레드 왕의 고문으로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18]
에드위 왕의 즉위식 날, 둔스타누스는 에드위가 연회장을 빠져나가 왕비 엘기버에게 가 있는 것을 보고 격분하여 왕을 연회장으로 끌고 갔다. 이에 모욕감을 느낀 에드위는 둔스타누스에게 횡령 죄목을 씌워 벨기에로 추방시켰다.[18] 둔스타누스는 데인족 친구 오도와 공모해 에드위의 동생 에드거를 왕으로 추대했다.[18]
에드거는 둔스타누스와 오도에 의해 다루기 쉬운 인물로 평가받아 왕위에 올랐다. 둔스타누스는 캔터베리 대주교 자리에 올랐으며, 다시 정권을 잡고 북부 지방을 진정시킴으로써 지배하에 있던 데인족을 국민의 일부로 삼고, 교회와 국가의 높은 지위에 앉혔다. 상업에 관심을 가지고 화폐 제정 및 도량형을 장려했으며, 알프레드 대왕의 정신을 이어받아 교육을 진흥하고 번역 사업을 재개했다. 또한 골의 가장 저명한 학자 아보를 플뢰리에서 초빙했으며, 법의 권위를 높이고 지주에게 십일조 지불을 강요했다.[18]
에드워드가 계모 엘프리다에게 암살되자, 둔스타누스는 애설레드 2세를 왕위에 올리고 '준비 안 된 왕(the unready)'이라는 별칭을 붙였다. 978년, 에드워드 왕이 암살되자 둔스타누스는 캔터베리로 은퇴하여 대성당 학교에서 가르쳤다.
988년 애설레드 재위 10년에 둔스타누스는 사망했다. 잉글랜드 사람들은 그를 곧 성인으로 받아들였다. 1029년에 공식적으로 시성되었다.[18]
2. 1. 어린 시절
909년에 둔스타누스가 태어났다. 그는 어릴 적 열병을 앓았는데, 어느 날 밤 침대에서 일어나 글래스턴베리 수도원 주변을 서성거렸다. 당시 수도원에서는 보수 공사가 한창이어서 주변에 설치된 비계(높은 곳에서 공사할 수 있도록 임시로 설치한 가설물)에 걸려 목이 부러질 수도 있었지만, 그는 놀랍게도 털끝 하나 다치지 않았다. 그는 저절로 음악이 연주되는 하프도 만들었는데, 사람들은 그 하프가 신화에 나오는 에올리언 하프와 비슷하다고 생각했다.둔스타누스의 부모는 헤르스탄과 키네트리드였으며 글래스턴베리 근처에 살았다. 그는 윈체스터 주교인 엘페아 더 볼드와 리치필드 주교인 키네시게와 친척 관계였다. 아델라르 오브 겐트에 따르면, 그는 캔터베리 대주교인 아텔름의 조카였다.
어린 시절 둔스타누스는 당시 글래스턴베리 수도원의 폐허에 머물던 아일랜드 수도승 밑에서 공부했다. 그는 젊은 시절 낙천주의와 수도원 재건에 대한 비전을 가졌다고 한다. 소년 시절 둔스타누스는 치명적인 병에 걸렸지만 기적적으로 회복했다. 어린 시절부터 그는 학문에 대한 헌신과 다양한 종류의 예술적 기술을 익힌 것으로 유명했다. 부모의 동의를 얻어 삭발례를 받고 사제 서품을 받아 성 마리아 고대 교회에서 봉사했다. 그는 학문에 대한 헌신으로 유명해져서 아텔름에 의해 그의 시종으로 소환되었다고 한다.[1] 그는 나중에 에텔스탄 왕의 궁정에 임명되었다.[1]
2. 2. 애설스탠 왕 시대
던스타누스는 애설스탠 왕의 총애를 받았지만, 궁정의 다른 사람들은 이를 질투하였다. 그를 모함하려는 음모가 꾸며졌고, 던스타누스는 마법과 흑마술에 연루되었다는 혐의를 받았다. 왕은 그에게 궁정을 떠나라고 명령했고, 던스타누스가 궁을 떠나자 그의 적들은 그를 폭행하고 심하게 구타한 후 묶어 하수구에 던졌다. 그는 겨우 기어 나와 친구의 집으로 갔다. 거기에서 그는 윈체스터로 가서 그의 친척 엘프헤아 윈체스터 주교의 시종이 되었다.[1]어린 시절 던스타누스는 당시 글래스톤베리 수도원의 폐허에 머물던 아일랜드 수도승 밑에서 공부했다. 기록에 따르면 그는 젊은 시절 낙천주의와 수도원 재건에 대한 비전을 가졌다고 한다. 소년 시절 던스타누스는 치명적인 병에 걸렸지만 기적적인 회복을 보였다. 어린 시절부터 그는 학문에 대한 헌신과 다양한 종류의 예술적 기술을 익힌 것으로 유명했다. 부모의 동의를 얻어 삭발례를 받고 사제 서품을 받아 성 마리아 고대 교회에서 봉사했다. 그는 학문에 대한 헌신으로 유명해져 아텔름에 의해 그의 시종으로 소환되었고, 나중에 에텔스탄 왕의 궁정에 임명되었다.[1]
2. 3. 수도원 생활과 글래스턴베리 수도원장
둔스타누스는 마술 혐의로 잉글랜드 왕 애설스턴의 궁정에서 쫓겨난 후 글래스턴베리 수도원에 들어갔다.[18] 그는 글래스턴베리에서 은세공인과 필사실에서 일하며, 음악가, 세밀화가, 금속 세공인으로 명성을 얻었다.[2] 에텔스탄 왕의 조카 에텔플래드 부인은 둔스타누스를 신뢰하여 상당한 재산을 남겼고, 아버지 허스탄의 재산까지 상속받아 막대한 영향력을 가지게 되었다.[2]940년 에텔스탄 왕이 죽자, 에드먼드 왕은 둔스타누스를 체다르 궁정으로 불러 장관으로 임명했다. 그러나 왕의 총애는 다른 궁정 사람들의 질투를 샀고, 둔스타누스의 적들은 음모를 꾸며 왕이 그를 내쫓게 만들었다.[2]
에드먼드 왕은 사냥 중 벼랑 끝에서 떨어질 뻔했으나, 둔스타누스를 가혹하게 대했던 일을 기억하고 용서를 빌자 말이 기적적으로 멈춰 목숨을 구했다. 왕은 둔스타누스를 글래스턴베리 수도원장으로 임명하고, 수도원 복원을 약속했다.[2] 둔스타누스는 940년부터 946년까지 글래스턴베리 수도원장으로 재임하며, 베네딕토회의 엄격한 계율과 금욕주의를 도입했다.[18]
2. 4. 에드먼드 1세, 에드레드 왕 시대
던스턴은 글래스턴베리에서 생활하며 은세공인으로 일했으며 필사실에서 작업했다. 그는 음악가, 세밀화가, 금속 세공인으로 명성을 얻었다.[2] 에설스탄 왕의 조카 에텔플래드 부인은 던스턴을 신뢰하는 조언자로 삼았으며, 그녀와 아버지 허스탄의 사망으로 던스턴은 상당한 재산을 상속받았다.[2] 던스턴은 막대한 영향력을 갖게 되었고, 940년 에설스탄 왕이 죽자 에드먼드 1세는 그를 체다르 궁정으로 불러 장관으로 임명했다.에드먼드 1세의 총애는 다른 궁정 사람들의 질투를 불러일으켰고, 던스턴의 적들은 음모에 성공하여 왕이 던스턴을 내쫓도록 하였다.[2] 그러나 왕이 사냥 중 벼랑에서 떨어질 뻔했을 때 던스턴을 가혹하게 대했던 일을 기억하고 용서를 구하며 목숨을 구해준다면 보상하겠다고 약속했고, 기적처럼 말이 멈춰 목숨을 구했다. 왕은 즉시 궁으로 돌아가 던스턴을 글래스턴베리 수도원의 수도원장으로 임명하고 지원을 약속했다.[2]
던스턴은 글래스턴베리 수도원에서 베네딕토회 수도회를 설립하고 수도원 생활을 재창조하며 수도원을 재건했다.[2] 수도원의 세속적인 업무는 그의 형제 울프릭에게 맡겼으며, 지역 청소년을 위한 학교를 설립하여 잉글랜드에서 가장 유명한 학교로 만들었다.[2] 또한 주변 서머싯 레벨스의 관개 시스템을 대폭 확장하는 작업도 완료했다.
946년, 에드먼드 왕이 암살당하고 잉글랜드의 에드레드가 왕위를 계승했다. 던스턴은 에드레드 왕의 고문으로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18] 새 정부는 왕대비 켄트의 애드기푸, 캔터베리 대주교 오다, 엘더맨 에설스탄 "하프 킹"의 지원을 받았다.[4] 이들의 목표는 왕실 권위 확립, 가톨릭 준수 확산, 교회 재건, 성직자와 평신도의 도덕적 개혁, 그리고 데인족의 종교를 종식시키는 것이었다. 이러한 정책은 던스턴을 잉글랜드 북부에서는 인기 있게 만들었지만, 남부에서는 인기가 없게 만들었다.[3] 9년 동안 던스턴의 영향력이 우세했는데, 그 기간 동안 그는 두 번이나 주교직을 거절하며 왕 곁을 떠나지 않겠다고 확언했다.
2. 5. 에드위 왕 시대
에드위가 즉위식을 치르던 날, 글래스턴배리 수도원의 수도원장이었던 둔스타누스는 에드위가 연회장을 빠져나가 왕비 엘기버에게 가 있는 것을 보고 격분하여 왕을 연회장으로 끌고 갔다.[18] 둔스타누스는 실연을 당한 뒤 사랑과 관련된 모든 것을 증오했는데, 이에 모욕감을 느낀 에드위는 둔스타누스에게 선왕의 재물을 횡령했다는 죄목을 씌워 벨기에로 추방시켰다.[18]이에 둔스타누스는 데인족 친구 오도와 공모해 에드위의 동생 에드거를 왕으로 추대했다.[18] 엘기버 왕비는 납치되어 아일랜드에 노예로 팔렸으나, 아일랜드인들이 불쌍히 여겨 돌려보냈다.[18] 하지만 왕비는 글로스터로 가던 중 둔스타누스와 오도에 의해 암살당했고, 이 소식을 들은 에드위는 충격을 받아 숨을 거두었다.[18]
957년 말, 머시아와 노섬브리아는 반란을 일으켜 에드위그를 몰아내고, 그의 동생인 잉글랜드의 에드거를 템스 강 이북의 왕으로 선택했다.[4] 에드거의 고문들은 즉시 던스탄을 소환했다.[4]
2. 6. 에드거 왕 시대
둔스타누스는 결혼한 성직자들을 모두 쫓아내고 그 자리를 자기처럼 독신인 사람들로 채웠다. 그리고 자기 스스로 캔터베리 대주교 자리에 올랐다.[18]에드거는 둔스타누스와 오도에 의해 다루기 쉬운 인물로 평가받아 왕위에 올랐지만, 낭비벽이 심하고 음탕하며 포악한 인물이었다. 그는 젊은 여인을 강제로 납치한 일도 있었다. 둔스타누스는 에드거에게 앞으로 7년간 왕관을 쓰지 말 것을 지시했는데, 이는 무거운 처벌은 아니었지만 에드거의 자존심을 건드리고 그의 마음에 앙금을 남겼다.
957년 말 이전에, 머시아와 노섬브리아는 에드위그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고, 에드거를 템스강 이북의 왕으로 선택했다.[4] 에드거는 즉시 둔스타누스를 소환했다. 둔스타누스는 오다 대주교에 의해 주교로 서임되었고, 957년 말 우스터 교구의 코엔왈드가 사망하자 그 자리에 임명되었다.
그 다음 해에 런던 교구가 공석이 되자 둔스타누스는 우스터 교구와 동시에 런던 교구 주교직을 겸임하게 되었다. 959년 10월, 에드위그가 사망하고 에드거가 웨섹스의 통치자로 쉽게 받아들여졌다. 에드위그는 사망 직전, 958년 6월 2일에 사망한 오다 대주교의 후임자를 임명했다. 윈체스터의 앨프시지가 후보로 선택되었지만, 성좌에서 팔리움을 받기 위해 로마로 가는 길에 알프스에서 추위로 사망했다. 에드위그는 자신의 지지자 중 한 명인 웰스의 주교 버트헬름을 지명했지만, 에드거는 버트헬름이 자신의 첫 번째 교구조차 제대로 통치할 수 없었다는 이유로 이 임명을 번복했다.[4] 그리고 대주교직은 둔스탄에게 수여되었다.
둔스타누스는 다시 정권을 잡고 북부 지방을 진정시킴으로써 지배하에 있던 데인족을 국민의 일부로 삼고, 교회와 국가의 높은 지위에 앉혔다. 상업에 관심을 가지고 화폐 제정 및 도량형을 장려했으며, 알프레드 대왕의 정신을 이어받아 교육을 진흥하고 번역 사업을 재개했다. 또한 골의 가장 저명한 학자 아보를 플뢰리에서 초빙했으며, 법의 권위를 높이고 지주에게 십일조 지불을 강요했다.[18]
엘프리다를 왕비로 맞아들인지 7년 정도가 지나 에드거는 사망했고, 둔스타누스가 공들여 가꾼 글러스턴배리 수도원에 안장되었다.
2. 7. 순교왕 에드워드, 애설레드 2세 시대
에드거 왕 사후, 엘프리다는 자신의 아들 애설레드를 왕위에 올리고자 했으나, 둔스타누스는 애설레드의 이복형인 에드워드를 왕위에 올렸다.[18] 에드워드가 계모 엘프리다에게 암살되자, 둔스타누스는 에드거가 윌턴 수녀원에서 납치한 여인에게서 얻은 딸 에디스를 여왕으로 세우려 했다. 그러나 에디스는 수녀원을 떠나려 하지 않았고, 둔스타누스는 어쩔 수 없이 애설레드를 왕위에 올리고 '준비 안 된 왕(the unready)'이라는 별칭을 붙였다.978년 3월, 에드워드 왕은 코르프 성에서 암살되었는데, 아마도 계모의 사주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 애설레드 2세가 왕위에 올랐고, 윌리엄 오브 말름즈베리에 따르면, 어린 왕이 잘 통치하겠다는 서약을 하자 둔스타누스는 왕이 된 폭력적인 행위를 비판하고 왕국에 곧 닥칠 불행을 예언했다. 둔스타누스의 궁정 내 영향력은 끝나고, 캔터베리로 은퇴하여 대성당 학교에서 가르쳤다.
이후 둔스타누스의 세 가지 공적 행위가 알려져 있다. 980년, 둔스타누스는 머시아의 앨프히어와 함께 곧 성인으로 여겨질 에드워드 왕의 유해를 웨어햄 묘지에서 샤프츠베리 수도원의 성지로 옮기는 엄숙한 유해 이장을 했다. 984년, 그는 애설레드 왕에게 앨페지를 에설월드의 뒤를 이어 윈체스터 주교로 임명하도록 설득했다.[8] 986년, 둔스타누스는 약 45.36kg의 은을 기증하여 왕이 로체스터 교구에 대한 박해를 중단하도록 유도했다.
2. 8. 사망
988년 애설레드 재위 10년에 둔스타누스는 사망했다. 그가 죽자 수도사들은 그를 성인으로 추대해서 '성 둔스타누스'라고 불렀다.[18] 잉글랜드 사람들은 그를 곧 성인으로 받아들였다. 1029년에 공식적으로 시성되었다. 그 해 윈체스터 종교회의에서 성 둔스타누스의 축일을 잉글랜드 전역에서 엄숙하게 지키도록 명령했다.[18]예수 승천 대축일 988년에 둔스타누스는 미사를 드리고 백성들에게 말씀 전례, 축복, 하느님의 어린 양 후에 세 번 설교하면서 자신의 임박한 죽음을 발표하고 회중의 안녕을 빌었다.[3] 그날 오후 그는 자신의 무덤 자리를 정한 다음 침대에 갔다. 그의 기력은 급격히 쇠퇴했고, 5월 19일 토요일 아침, 그는 성직자들을 소집했다. 그의 앞에서 미사가 거행되었고, 그는 종부성사와 사제성체를 받고 숨을 거두었다. 둔스타누스의 마지막 말은 "그는 자비롭고 은혜로운 주님으로서 자신의 놀라운 업적을 기억하게 하셨다. 그분은 그분을 두려워하는 자들에게 음식을 주셨다"였다고 전해진다.[18]
3. 성격
둔스타누스는 영리한 사제였으나, 약간 광기가 있었고, 자존심이 무척 강했으며, 성품이 잔인했다고 기록되어 있다.[16] 역사학자 G.M. 트레벨리언은 둔스타누스를 "서머싯의 세인(영주)의 아들인 그는 켈트족의 종교적 기질과 격정을 지녔지만, 그것은 냉정하고 공정한 정치가로서의 판단력과 특징적으로 혼합되어 있었다. 그는 오랫동안 왕의 고문으로 가장 유력한 인물이었다. 궁정에서의 그의 권력은 로마 교회의 부활의 징표이기도 하다."라고 묘사했다.
둔스타누스는 어린 시절에 익힌 이교 시대의 노래와 전설에 마음을 빼앗겼고, 여행 중에는 하프를 휴대하는 등 음악에 대한 열정이 평생 변치 않았다. 성경뿐만 아니라 세속적인 책 연구에도 몰두하여 한때 병이 나기도 했다. 학문적 명성은 높았지만, 건축, 수예 등 다재다능함 때문에 무학한 왕족이나 조정 신하들의 불신을 사기도 했다. 북부 지방에서 데인족의 오래된 권리를 존중하여 "그들이 선택한 최고의 법과 함께" 유지하게 한 것은 그가 관대한 인간이었음을 증명한다.[16]
둔스타누스가 교회에 기증한 금속 세공에 새겨진 명문으로 보아 뛰어난 금속 세공사였을 것으로 추측되지만, 그의 예술적 재능을 보여주는 증거는 거의 남아 있지 않다. 교회의 종이나 파이프 오르간 제작에 참여한 것으로부터 금속 세공사의 수호 성인이 되었다.[16][18]
4. 업적
둔스타누스는 토머스 베켓 이전까지 영국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성인이었다. 캔터베리 대성당에 묻혔으며, 1174년 화재 이후 1180년에 유해가 고제단 남쪽으로 옮겨졌다.[9] 글래스턴베리 수도승들은 데인족의 약탈을 피해 둔스타누스의 시신을 옮겼다고 주장했으나, 1508년 윌리엄 워햄 대주교에 의해 거짓으로 밝혀졌다. 그의 성지는 영국 종교 개혁 동안 파괴되었다.
둔스타누스는 금세공인과 은세공인의 수호 성인이다. 동방 정교회와 로마 가톨릭교회는 5월 19일을 그의 축일로 기념하며, 잉글랜드 성공회와 성공회에서도 그를 존경한다.[10][11] 2023년에는 클리프턴 로마 가톨릭 교구의 사목 구역이 둔스타누스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12]
역사가 G.M. 트레벨리언은 둔스타누스를 "켈트족의 종교적 기질과 격정을 지녔지만, 냉정하고 공정한 정치가로서의 판단력과 혼합되어 있었다"고 평가했다. 그는 오랫동안 왕의 고문으로 가장 유력한 인물이었으며, 그의 궁정 권력은 로마 교회의 부활을 상징했다. 둔스타누스는 어린 시절부터 음악에 대한 열정이 컸으며, 성경과 세속적인 책 연구에도 몰두했다. 학문적 명성이 높았지만, 건축과 수예 등 다재다능함 때문에 불신을 사기도 했다. 데인족의 권리를 존중한 것은 그가 관대한 인간이었음을 보여준다.
둔스타누스는 뛰어난 금속 세공사였을 것으로 추측되지만, 그의 예술적 재능을 보여주는 증거는 거의 남아 있지 않다. 그는 교회의 종이나 파이프 오르간 제작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져 금속 세공사의 수호 성인이 되었다.[16][18]
4. 1. 수도원 개혁
둔스타누스는 글래스턴베리 수도원장이 되어 즉시 수도원 개혁에 착수했다.[2] 그는 수도원 생활을 재창조하고 수도원을 재건해야 했다. 그는 글래스턴베리에 베네딕토회 수도회를 설립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수도원 설립에 관한 에드거의 기록'(960년대 또는 970년대에 작성됨)의 저자와 글래스턴베리 공동체의 일원이었던 둔스타누스의 첫 번째 전기 작가에 따르면, 성 베네딕토의 규칙이 그의 복원의 기초였다. 그들의 진술은 또한 그의 첫 번째 조치의 성격, 그의 첫 번째 건물의 중요성, 그리고 그의 가장 저명한 제자들의 베네딕토회 경향과 일치한다.글래스턴베리에 있는 둔스타누스 공동체의 모든 구성원이 베네딕토 규칙을 따르는 수도승은 아니었다. 둔스타누스의 첫 번째 전기 작가 'B.'는 글래스턴베리를 떠난 후 리에주의 수도원 참사회원 공동체에 합류한 성직자였다.
둔스타누스의 첫 번째 관심사는 성 베드로 교회를 재건하고, 회랑을 재건하고, 수도원 구역을 재설립하는 것이었다.[2] 수도원의 세속적인 업무는 그의 형제 울프릭에게 맡겨져 "그 자신이나 어떤 서원한 수도승도 구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했다. 지역 청소년을 위한 학교가 설립되었고 곧 잉글랜드에서 당시 가장 유명한 학교가 되었다. 주변 서머싯 레벨스의 관개 시스템을 대폭 확장하는 작업도 완료되었다.
946년 둔스타누스가 임명된 지 2년 후, 에드먼드 왕이 암살당했다. 그의 후계자는 잉글랜드의 에드레드였다. 새로운 정부의 정책은 왕대비 켄트의 애드기푸, 캔터베리 대주교 오다, 그리고 엘더맨 에설스탄 "하프 킹"을 수장으로 하는 동 앵글리아 귀족들의 지원을 받았다.[4] 그 목표는 왕실 권위의 확고한 확립이었다. 종교 문제에서 그것은 가톨릭 준수의 확산, 교회의 재건, 성직자와 평신도의 도덕적 개혁, 그리고 잉글랜드에서 데인족의 종교를 종식시키는 것이었다. 이러한 정책은 던스턴을 잉글랜드 북부에서 인기가 있게 했지만, 남부에서는 인기가 없게 했다.[3] 이러한 모든 개혁에 반대하는 것은 웨섹스 귀족들이었고, 그들 중에는 던스턴의 친척 대부분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이들은 기성 관습을 유지하는 데 관심이 있었다. 9년 동안 던스턴의 영향력이 우세했는데, 그 기간 동안 그는 두 번이나 주교직 (951년의 윈체스터와 953년의 크레디턴)을 거절하며, 왕이 살아있고 그를 필요로 하는 한 왕 곁을 떠나지 않겠다고 확언했다.
둔스타누스는 글래스턴베리 수도원에 베네딕토회의 엄격한 계율과 금욕주의를 도입했다.[18] 국왕 에드레드의 고문으로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18]
4. 2. 교회 개혁
둔스타누스는 결혼한 성직자들을 모두 쫓아내고 그 자리를 자기처럼 독신인 사람들로 채웠으며, 스스로 캔터배리 대주교 자리에 올랐다.[18] 그는 글래스턴베리 수도원장이 되자 즉시 수도원 생활을 재창조하고 수도원을 재건하는 개혁에 착수했다. 베네딕토회 수도회를 글래스턴베리에 설립하는 것으로 시작했으며, 성 베네딕토의 규칙이 그의 복원 기초였다.[2]글래스턴베리에 있는 던스턴 공동체의 모든 구성원이 베네딕토 규칙을 따르는 수도승은 아니었다. 던스턴의 첫 번째 전기 작가 'B.'는 글래스턴베리를 떠난 후 리에주의 수도원 참사회원 공동체에 합류한 성직자였다.
둔스턴의 첫 번째 관심사는 성 베드로 교회를 재건하고, 회랑을 재건하며, 수도원 구역을 재설립하는 것이었다. 수도원의 세속적인 업무는 그의 형제 울프릭에게 맡겨졌다. 지역 청소년을 위한 학교가 설립되었고 곧 잉글랜드에서 당시 가장 유명한 학교가 되었다. 서머싯 레벨스의 관개 시스템을 대폭 확장하는 작업도 완료되었다.
946년에 에드먼드 왕이 암살당한 후, 잉글랜드의 에드레드가 왕위를 계승했다. 새 정부의 정책은 왕대비 켄트의 애드기푸, 캔터베리 대주교 오다, 엘더맨 에설스탄 "하프 킹"을 수장으로 하는 동 앵글리아 귀족들의 지원을 받았다. 그 목표는 왕실 권위의 확고한 확립이었다. 종교 문제에서 가톨릭 준수의 확산, 교회의 재건, 성직자와 평신도의 도덕적 개혁, 잉글랜드에서 데인족의 종교를 종식시키는 것을 선호했다. 이러한 정책은 던스턴을 잉글랜드 북부에서는 인기가 있게 했지만, 남부에서는 인기가 없게 했다.
957년 말 우스터 교구의 코엔왈드가 사망하자 둔스타누스는 우스터 주교에 임명되었고, 이듬해 런던 교구가 공석이 되자 둔스타누스는 우스터 교구와 동시에 런던 주교 자리를 유지했다. 959년 10월, 에드위그가 사망하고 그의 형제 에드거가 웨섹스의 통치자로 쉽게 받아들여졌다. 에드거가 왕이 되자 둔스탄에게 대주교직이 수여되었다.
둔스탄은 960년에 로마로 가서 교황 요한 12세로부터 팔리움을 받았다. 로마에서 돌아온 둔스탄은 왕국의 사실상 총리 자리를 되찾았다. 그의 조언에 따라 앨프스탄은 런던 주교로, 오스왈드는 우스터 주교로 임명되었다. 963년에는 앨설월드가 애빙던의 수도원장으로 윈체스터 교구에 임명되었다. 둔스탄은 그들의 도움과 에드거 왕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아 잉글랜드 교회 개혁을 추진했다. 수도사들은 자기 희생 정신으로 살도록 가르침을 받았고, 둔스탄은 가능한 한 사제의 독신 서약을 적극적으로 시행했다. 그는 성직매매 관행을 금지하고 성직자가 관할 구역 내에서 친척을 임명하는 관습을 종식시켰다. 수도원이 세워졌고, 일부 대성당에서는 수도사들이 세속적인 캐논 자리를 대신했다. 나머지에서는 캐논들이 규칙에 따라 생활해야 했다. 교구 사제들은 그들의 직위에 적합하도록 강요받았고, 교구민들에게 기독교 신앙의 진실뿐만 아니라 그들의 지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도 가르치도록 촉구받았다. 국가 역시 개혁을 통해 전역에서 질서가 유지되었고 법을 존중했다. 훈련된 부대는 북쪽을 순찰했고 해군은 바이킹의 습격으로부터 해안을 지켰다.
975년, 에드거는 맏아들 에드워드 "순교자"에게 왕위를 계승했다. 둔스탄의 영향으로 에드워드가 선택되어 윈체스터에서 대관식을 치렀다. 에드거의 죽음은 반동 귀족들을 격려했고, 즉시 개혁의 주역인 수도사들에 대한 결정적인 공격이 있었다. 머시아 전역에서 그들은 박해를 받고 소유물을 빼앗겼다. 그러나 그들의 대의는 앨설와인, 이스트 앵글리아의 앨더만이 지원했으며, 왕국은 내전의 심각한 위험에 처했다.
4. 3. 정치적 영향력
둔스타누스는 잉글랜드 왕국의 사실상 총리로서 왕실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로마에서 돌아온 즉시 왕국의 총리 자리를 되찾았고, 그의 조언에 따라 앨프스탄과 오스왈드가 각각 런던 주교와 우스터 주교로 임명되었다.[5] 963년에는 앨설월드가 윈체스터 교구에 임명되었다.[5] 둔스타누스는 이들의 도움과 에드거 왕의 지원을 받아 잉글랜드 교회 개혁을 추진했다.[5] 그는 성직매매를 금지하고 성직자가 친척을 임명하는 관습을 종식시켰다.[5] 수도원을 세우고, 일부 대성당에서는 수도사들이 세속적인 캐논 자리를 대신하게 했다.[5]973년, 둔스타누스의 정치력은 에드거 왕의 대관식에서 최고조에 달했다. 둔스타누스는 에드거 왕의 대관식을 직접 고안했으며, 이 의식은 현재의 영국 대관식의 기초를 형성한다.[6] 이후 두 번째 대관식에서는 스코틀랜드 왕과 스트래스클라이드 왕을 포함한 6명의 왕이 에드거에게 충성을 맹세했다.[6]
에드거의 통치 기간 동안 둔스타누스는 왕과 암묵적인 통치 파트너십을 맺었으며, 이 시기는 초기 연대기 저술가와 역사가들로부터 황금 시대로 찬사를 받았다.[6] 둔스타누스는 국가 개혁에도 힘써 전역에서 질서가 유지되고 법을 존중하게 했다.[5] 훈련된 부대가 북쪽을 순찰하고 해군은 바이킹의 습격으로부터 해안을 지켰다.[5]
975년 에드거가 사망하고 맏아들 에드워드가 왕위를 계승할 때, 둔스타누스의 영향력으로 에드워드가 선택되어 윈체스터에서 대관식을 치렀다.[7] 그러나 에드거의 죽음은 귀족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수도사들은 박해를 받고 소유물을 빼앗겼다.[7] 왕국은 내전 위기에 처했지만, 위탄의 세 차례 회의를 통해 분쟁을 해결하려 했다.[7]
둔스타누스는 알프레드 대왕의 정신을 이어받아 교육을 진흥하고 번역 사업을 재개했으며, 골의 학자 아보를 초빙하기도 했다.[18] 그는 법의 권위를 높이고 지주에게 십일조 지불을 강요했다.[18]
4. 4. 문화 예술 후원
둔스타누스는 어린 시절 이교 시대의 노래와 전설에 심취했으며, 여행 중에는 하프를 휴대할 정도로 음악에 대한 열정이 평생 변치 않았다. 그는 성경뿐만 아니라 세속적인 책 연구에도 몰두하여 병을 얻기도 했다. 학문적 명성이 높았지만, 건축과 수예 등 다재다능함으로 인해 학식이 부족한 왕족과 조정 신하들의 불신을 사기도 했다.[16]교회에 기증한 금속 세공에 새겨진 명문으로 보아 둔스타누스가 뛰어난 금속 세공사였을 것으로 추측되지만, 그의 예술적 재능을 보여주는 증거는 거의 남아 있지 않다. 그는 교회의 종이나 파이프 오르간 제작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져 금속 세공사의 수호 성인이 되었다.[16][18]
5. 전설
둔스타누스는 찰스 디킨스의 ''크리스마스 캐럴'' 등 영국 문학 작품에 여러 번 등장하며, 민요에도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해진다.
> 둔스탄 성인은, 이야기에 따르면,
>
> 한 번 악마의 코를 잡아당겼다
>
> 뜨겁게 달군 족집게로, 그가 포효하게 만들었다.
>
> 그 소리가 삼 마일 이상 들렸다.
이 민속 이야기는 12세기 2/4분기의 캔터베리 ''Passionale''에 있는 ''둔스탄의 생애'' 이니셜에도 나타난다.
다니엘 앤레자크는 둔스타누스가 시의 스타일, 단어 선택, 텍스트에 사용된 아일랜드-라틴어를 인용하며, ''솔로몬과 사투르누스''의 중세 작가였을 가능성이 있다고 잠정적으로 제안했다. 그러나 클라이브 톨리는 언어학적 관점에서 이 주장을 검토하고 앤레자크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
둔스탄과 악마에 관한 또 다른 전설은 그의 축일 무렵에 발생하는 늦은 서리인 프랭클린의 밤 현상을 설명한다. 이 이야기에 따르면 둔스탄은 훌륭한 양조업자였고, 악마가 지역 사과나무의 꽃을 서리로 날려 사이다 사과 작물을 손상시켜 둔스탄 자신의 맥주가 더 잘 팔리도록 하는 데 동의했다.[13]
5. 1. 악마와의 대결
둔스타누스는 수도실의 대장간에서 일했는데, 하루는 악마가 작은 창으로 들여다보면서 게으름도 피우면서 사는 게 어떻냐고 유혹했다. 둔스타누스는 불집게로 악마의 코를 꽉 잡았고, 악마는 크게 비명을 질렀다고 한다. 이 이야기는 11세기 후반의 전설에 기록되어 있다.또 다른 이야기에서는 둔스탄이 악마의 굽을 다시 신겨달라는 요청을 받았을 때 악마의 발에 말굽을 박았다고 한다. 이로 인해 악마는 큰 고통을 겪었고, 둔스탄은 말굽이 문 위에 있는 곳에는 절대 들어가지 않겠다는 약속을 받은 후에야 신발을 제거하고 악마를 풀어주기로 동의했다. 이것이 행운의 말굽의 기원이라고 주장된다.[13]
thumb의 삽화]]
이러한 전설들 때문에 둔스타누스는 대장장이의 수호성인으로 여겨진다. 둔스타누스를 유혹하려 미녀로 변한 악마가 나타났지만, 둔스타누스가 달궈진 쇠집게로 악마의 코를 잡아 물리쳤다는 전설은 민요나 찰스 디킨스의 『크리스마스 캐럴』 등에서도 언급된다.
5. 2. 카른의 기적
977년 윈체스터 북서쪽에 있는 카른에서 종교 회의가 소집되었다. 에드거 평화왕 사후, 수도원 세력에 의해 억제되어 온 제후 등 세속 세력은 스스로를 재속 성직자라고 칭하며 왕위 계승에 관한 혼란을 일으켜 세력 만회를 꾀했다.[19] 이들은 회의에서 둔스타누스를 추궁하고 비난했다. 그러자 갑자기 회의장이었던 2층 홀 바닥 전체가 무너져 둔스타누스를 반대하던 사람들은 모두 추락하여 죽거나 다쳤다. 그러나 둔스타누스가 서 있던 들보만은 남아 둔스타누스는 무사했다. 이 사건은 "카른의 기적"이라고 불리며, 수도원 세력의 정당성을 보여주는 징표로 여겨졌다.[19]5. 3. 행운의 말굽
찰스 디킨스의 크리스마스 캐럴에는 둔스타누스에 대한 언급이 나온다.[13] The cold within him froze his old features, nipped his pointed nose, shrivelled his cheek, stiffened his gait; made|그 안의 추위는 그의 늙은 이목구비를 얼렸고, 뾰족한 코를 꼬집었고, 뺨을 오그라뜨렸고, 걸음걸이를 뻣뻣하게 만들었다.영어둔스타누스는 숙련된 대장장이였다. 어느 날 악마가 둔스타누스에게 자신의 발굽에 말굽을 달아달라고 부탁했다. 둔스타누스는 작업 중에 악마를 괴롭혔다. 악마가 그만두게 해달라고 간청하자, 둔스타누스는 말굽이 걸린 곳에는 들어가지 않겠다는 조건을 걸고 악마를 풀어주었다. 10세기에 이 전설이 생겨난 후, 사람들은 악마가 이 약속을 지킨다고 믿었고, 문에 말굽을 걸어두면 악마를 막을 수 있다고 여겼다.[20][21]
이 민속 이야기는 이미 12세기 2/4분기의 캔터베리 ''Passionale''에 있는 ''둔스탄의 생애'' 이니셜에 나타난다.
둔스탄과 악마에 관한 또 다른 전설은 그의 축일 무렵에 발생하는 늦은 서리인 프랭클린의 밤 현상을 설명한다. 이 이야기에 따르면 둔스탄은 훌륭한 양조업자였고, 악마가 지역 사과나무의 꽃을 서리로 날려 사이다 사과 작물을 망쳐 둔스탄 자신의 맥주가 더 잘 팔리도록 하는 데 동의했다.[13]
6. 평가
역사학자 G.M. 트레벨리언은 둔스타누스에 대해 "서머싯의 세인(영주)의 아들인 그는 켈트족의 종교적 기질과 격정을 지녔지만, 그것은 냉정하고 공정한 정치가로서의 판단력과 특징적으로 혼합되어 있었다. 그는 오랫동안 왕의 고문으로 가장 유력한 인물이었다. 궁정에서의 그의 권력은 로마 교회의 부활의 징표이기도 하다."라고 평가했다.[16] 그는 어린 시절에 익힌 이교 시대의 노래와 전설에 심취했고, 여행 중에는 반드시 하프를 휴대할 정도로 음악에 대한 열정이 깊었다. 둔스타누스는 성경뿐만 아니라 세속적인 책 연구에도 몰두하여 한때 병을 얻기도 했다. 학문적 명성이 높았지만, 건축과 수예 등 다재다능함 때문에 학식이 부족한 왕족이나 조정 신하들의 불신을 사기도 했다. 북부 지방 데인족의 오랜 권리를 존중하여 "그들이 선택한 최고의 법과 함께" 유지하게 한 것은, 그가 관대한 인물이었음을 보여준다.
둔스타누스가 교회에 기증한 금속 세공에 새겨진 명문으로 보아 뛰어난 금속 세공사였을 것으로 추측되지만, 그의 예술적 재능을 보여주는 증거는 거의 남아 있지 않다. 교회의 종이나 파이프 오르간 제작에 참여한 것으로부터 금속 세공사의 수호 성인이 되었다.[16][18]
참조
[1]
웹사이트
Saint Dunstan of Canterbury
https://www.britanni[...]
Britannica, The Editors of Encyclopaedia
2024-02-28
[2]
웹사이트
Saint Dunstan
https://www.historic[...]
Brain, Jessica
2023-05-25
[3]
웹사이트
Dunstan of Canterbury
http://justus.anglic[...]
Kiefer, James E.
[4]
서적
Anglo-Saxon England
Oxford University Press
[5]
백과사전
Edgar (called Edgar Pacificus) (943/4–975)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Early sources on Edgar and Dunstan
http://www.dot-domes[...]
[7]
서적
Kingship and Consent in Anglo-Saxon England, 871–978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서적
Handbook of British Chron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9]
서적
Portrait of Canterbury Cathedral
Phoenix House
[10]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3-27
[11]
서적
Lesser Feasts and Fasts 2018
https://books.google[...]
Church Publishing, Inc.
2019-12-17
[12]
웹사이트
Parishes
https://cliftondioce[...]
2024-02-10
[13]
웹사이트
Franklin's Nights
https://www.legendar[...]
2016-04-17
[14]
문서
"Medieval London Suburbs"
[15]
문서
The Metropolitan Borough of Stepney Official Guide
Ed J Burrow and Co Ltd
[16]
웹사이트
ダンスタンとは
https://kotobank.jp/[...]
2022-08-26
[17]
간행물
ディケンズの『クリスマス・キャロル』を読む
https://hdl.handle.n[...]
関西大学外国語学部
2020-03
[18]
Citation
Dunstan
http://www.oxfordart[...]
Oxford University Press
2022-08-26
[19]
서적
崩壊について
中央公論美術出版
[20]
서적
The Magic of the Horse-shoe With Other Folk-Lore Notes
Houghton, Mifflin and Company
[21]
서적
はじまりコレクションⅠ
日本実業出版
1989-03-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