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뒤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뒤쥐는 1788년 에리크 락스만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락스만 뒤쥐로 알려져 있다. 유라시아 북부의 타이가 지대에 널리 분포하며, 한국 제주도에서 발견되는 아종을 포함하여 여러 아종으로 분류된다. 몸무게는 3~11g이며, 꼬리는 몸통 길이의 절반 이상이다. 곤충, 거미 등을 먹고 살며, 주로 주행성을 띤다. 숲의 낙엽층에서 생활하며, 여름에 번식한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은 이 종의 보전 상태를 "관심 필요"로 평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88년 기재된 포유류 - 큰수달
    큰수달은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며 현존하는 수달 중 가장 긴 몸길이를 가진 족제비과 동물로, 무리 생활을 하는 사회적인 동물이었으나 남획과 서식지 파괴로 멸종 위기에 처해 현재는 보호 노력을 통해 개체 수 보존을 위해 힘쓰고 있다.
  • 1788년 기재된 포유류 - 아이아이
    아이아이는 마다가스카르에 서식하는 야행성 영장류로, 독특한 형태와 가늘고 긴 가운데 손가락을 이용한 먹이 습성을 가지며, 멸종 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한국의 포유류 - 다람쥐
    다람쥐는 등 쪽에 줄무늬가 있는 다람쥐속 설치류로, 홀로 생활하며 겨울잠을 자고 씨앗, 견과류, 곤충 등을 먹으며 맹금류 등의 먹이가 되고, 특히 한반도 서식 다람쥐는 새로운 종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으며, 유럽에서는 침입 외래종으로 지정되기도 하고 라임병을 옮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동물이다.
  • 한국의 포유류 - 바다사자
    한국바다사자는 과거 동해와 일본 열도에 서식했으나 무분별한 남획으로 20세기 중반 멸종된 암갈색 또는 회색 털색을 띈 멸종위기 바다사자 종으로, 독도가 주요 번식지였다.
  • 대한민국의 포획·채취 등의 금지 야생생물 - 계곡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는 대한민국 산간 계곡에 서식하며 흑색 반점이 있는 연한 갈색 또는 황갈색의 몸, 2월에서 4월 사이 둥근 알 덩어리 번식, 서식지 파괴 및 환경 오염으로 인한 개체수 감소, 야생 개체 포획 및 식용 금지 등의 특징을 가진다.
  • 대한민국의 포획·채취 등의 금지 야생생물 - 가마우지
    가마우지는 동아시아에 분포하며 녹색 광택이 나는 검은 깃털과 부리 기부 주변의 흰색, 노란색 피부가 특징인 바닷새로, 암초 해안에 서식하며 물고기를 잡아먹고, 일본에서는 우카이 어업에 이용되며 일부 지역에서 보호받고 있다.
뒤쥐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흰 발이 있는 표본 (붓 모양 꼬리는 표시되지 않음)
흰 발이 있는 표본 (붓 모양 꼬리는 표시되지 않음)
학명Sorex caecutiens
명명자Laxmann, 1788
멸종 위기 등급최소 관심 (LC)
락스만뒤쥐 분포 지역
락스만뒤쥐 분포 지역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하강진수하강
상목로라시아상목
진무맹장목
땃쥐과
뒤쥐속
일반 정보
한국어 이름바이카ルト가리네즈미
영어 이름Laxmann's shrew
영어 이름 (다른 표기)Masked shrew

2. 분류

뒤쥐의 아종은 지리적 분포와 유전적 차이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사할린과 러시아 대륙의 아종은 Bannikova & Lebedev(2012)[19], 중국의 아종은 Hoffman & Lunde(2008)를[20] 따른다.

아종명학명분포 지역
기본 아종Sorex caecutiens caecutiens Laxmann, 1788알타이 산맥 북동부, 투바 공화국, 바이칼호 지역, 제야강 유역[19] (모식 산지는 바이칼호 남서부[7])
알타이쿠스 아종Sorex caecutiens altaicus Ognev, 1922알타이 산맥, 신장 위구르 자치구[20]
코레니 아종Sorex caecutiens koreni G. Allen, 1914페초라강에서 츄코트 반도에 걸쳐 분포[19], 내몽골 자치구, 헤이룽장성[20]
마크로피그마에우스 아종Sorex caecutiens macropygmaeus Miller, 1901레나강에서 캄차카 반도, 아무르주, 연해주에 걸쳐 분포[19], 중국 동북부[20]
플레스케이 아종Sorex caecutiens pleskei Ognev, 1922유럽 러시아, 서 시베리아[19]
사에부스 아종Sorex caecutiens saevus Thomas, 1907사할린[19]



극동의 섬 지역에 서식하는 개체군 중 일부는 독립된 아종으로 분류된다. (Hutterer & Zaitsev (2004)·Ohdachi ''et al.'' (2005)[21][22])

아종명학명분포 지역
할라몬타누스 아종Sorex caecutiens hallamontanus Abe & Oh in Ohdachi, Abe, Oh & Han, 2005제주도 (모식 산지는 한라산[22])
쿠나시렌시스 아종Sorex caecutiens kunashirensis Hutterer & Zaitsev, 2004쿠나시르섬 (모식 산지)[21]
오호티나에 아종Sorex caecutiens okhotinae Hutterer & Zaitsev, 2004카라긴스키섬 (모식 산지)[21]
오리이 아종Sorex caecutiens orii Kuroda, 1933파라무시르섬, 시무시르섬[19] (모식 산지는 파라무시르섬[23])


2. 1. 학명 및 명명

이 뒤쥐는 1788년 핀란드계 스웨덴 탐험가이자 박물학자인 에리크 락스만이 처음 기술했으며, 그는 이 종을 ''Sorex caecutiens''라고 명명했다. 일반적으로 락스만 뒤쥐로 알려져 있다. 기준 산지는 러시아 바이칼호 남서부이다. 한국의 제주도에서 발견되는 ''S. c. hallamontanus''를 포함하여 여러 아종이 인정된다.[3]

이전에는 시토토가리쥐를 본 종에 포함시키는 설도 있었다.[12] Hutterer (2005)는 혼슈 이남의 개체군을 별종 ''S. shinto''로 하고, 시토토가리쥐의 홋카이도 아종으로 여겨졌던 에조토가리쥐 ''S. shinto saevus''를 본 종의 시노님으로 하고 있다.[7]

홋카이도의 개체군(에조토가리쥐)은 사할린과 제주도를 포함한 대륙의 개체군과는 유전적으로 다르다는 것이 나타났다. 반면, 과거에 사용된 아종명 ''S. s. saevus''의 모식 산지는 사할린이라는 점이 지적되어, 에조토가리쥐에 ''S. caecutiens saevus''의 아종명을 적용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설도 있다.[13][14] 후술하는 바와 같이 쿠나시르섬의 개체군이 아종으로 기재되어 있지만[21], 홋카이도 개체군과의 비교 검토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2024년 시점에서는 에조토가리쥐는 학명 미결정 아종(''S. caecutiens'' ssp.)으로 취급되고 있다.[13][14]

한반도 중남부의 개체군을 아종 ''S. c. annexus'' Thomas, 1906(모식 산지는 문경시[15])로 하는 설도 있지만, 중국 동북부나 극동 러시아에 분포한다고 여겨지는 아종 ''S. c. macropygmaeus''와는 유전적으로 구별할 수 없다는 연구도 있다.[16][17] 핀란드의 표본을 포함한 유라시아 전역을 대상으로 한 분자 계통 분석에서도 본 종은 사할린을 포함한 유라시아·제주도·홋카이도의 3계통으로 나뉜다는 결과가 얻어져, 대륙 개체군의 유전적 분화는 불분명하다는 점이 시사되고 있다.[18]

이하의 아종 분류는 사할린과 러시아 대륙산에 대해서는 Bannikova & Lebedev (2012)를[19], 중국산에 대해서는 Hoffman & Lunde (2008)를 따른다.[20]

극동의 도서 개체군의 일부를 독립된 아종으로 보는 설도 있다. 이하의 분류는 Hutterer & Zaitsev (2004)·Ohdachi ''et al.'' (2005)를 따른다.[21][22]

  • ''Sorex caecutiens hallamontanus'' Abe & Oh in Ohdachi, Abe, Oh & Han, 2005
  • : 제주도[22]。 모식 산지는 한라산[22]
  • ''Sorex caecutiens kunashirensis'' Hutterer & Zaitsev, 2004
  • : 모식 산지는 쿠나시르섬. ''S. c. longicaudatus'' Okhotina, 1993(Yoshikura, 1956의 호모님)의 대체명[21]
  • ''Sorex caecutiens okhotinae'' Hutterer & Zaitsev, 2004
  • : 모식 산지는 카라긴스키섬. ''S. c. insularis'' Okhotina, 1993(Cowan, 1944의 호모님)의 대체명[21]
  • ''Sorex caecutiens orii'' Kuroda, 1933
  • : 파라무시르섬, 시무시르섬[19]。 모식 산지는 파라무시르섬[23]

2. 2. 아종

뒤쥐는 1788년 핀란드계 스웨덴 탐험가이자 박물학자인 에리크 락스만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Sorex caecutiens''라는 종명으로 명명되었다. 락스만 뒤쥐라고도 불리며, 기준 산지는 러시아 바이칼호 남서부이다. 한국 제주도에서 발견되는 ''S. c. hallamontanus''를 포함하여 여러 아종이 인정된다.[3]

이전에는 시토토가리쥐를 본 종에 포함시키기도 했다.[12] 홋카이도 개체군(에조토가리쥐)은 사할린과 제주도를 포함한 대륙 개체군과 유전적으로 다르다. 과거 아종명 ''S. s. saevus''의 모식 산지가 사할린이라는 점 때문에 에조토가리쥐에 ''S. caecutiens saevus'' 아종명을 적용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설도 있다.[13][14] 2024년 현재 에조토가리쥐는 학명 미결정 아종(''S. caecutiens'' ssp.)으로 취급된다.[13][14]

한반도 중남부 개체군은 아종 ''S. c. annexus'' Thomas, 1906(모식 산지 문경시[15])으로 분류되기도 했으나, 중국 동북부나 극동 러시아에 분포하는 아종 ''S. c. macropygmaeus''와 유전적으로 구별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16][17]

아종 분류는 다음과 같다. (사할린 및 러시아 대륙: Bannikova & Lebedev (2012)[19], 중국: Hoffman & Lunde (2008)[20])

  • ''Sorex caecutiens caecutiens'' Laxmann, 1788: 기본 아종. 알타이 산맥 북동부, 투바 공화국, 바이칼호 지역, 제야강 유역 분포.[19] 모식 산지는 바이칼호 남서부.[7]
  • ''Sorex caecutiens altaicus'' Ognev, 1922: 알타이 산맥, 신장 위구르 자치구[20]
  • ''Sorex caecutiens koreni'' G. Allen, 1914: 페초라강~츄코트 반도 분포[19], 내몽골 자치구, 헤이룽장성[20]
  • ''Sorex caecutiens macropygmaeus'' Miller, 1901: 레나강~캄차카 반도, 아무르주, 연해주 분포[19], 중국 동북부[20]
  • ''Sorex caecutiens pleskei'' Ognev, 1922: 유럽 러시아, 서시베리아[19]
  • ''Sorex caecutiens saevus'' Thomas, 1907: 사할린[19]


극동 도서 개체군 일부는 독립된 아종으로 간주된다. (Hutterer & Zaitsev (2004)·Ohdachi ''et al.'' (2005)[21][22])

3. 형태

렉스만 뒤쥐 성체의 몸무게는 3g에서 11g 사이이며, 머리부터 몸통까지의 길이는 4.8cm에서 7.8cm 사이이고, 꼬리 길이는 3.9cm에서 5.2cm 사이이다.[4] 주둥이는 길고 좁으며 옆면에 옅은 색 줄무늬가 없다. 이빨은 붉은색을 띠며, 치열은 다른 유사 종과 구별된다. 털은 윤기가 나고, 털색은 두 가지 색이며, 발은 흰색이다. 꼬리는 항상 머리부터 몸통 길이의 절반보다 길며, 대개 65% 이상이다. 꼬리 끝에 털 뭉치를 제외하고 긴 털이 없다.[3][5]

외형과 털 색깔은 시로가시라뒤쥐와 비슷하며, 윗턱 제4 소구치의 형태로 시로가시라뒤쥐와 구별한다.[10][11]

4. 분포 및 서식지

락스만뒤쥐는 유럽과 아시아 북부의 타이가 지대에서 발견된다. 분포 지역은 노르웨이와 스웨덴에서 시베리아 북부를 거쳐 중국 북서부 및 북동부, 대한민국, 일본, 사할린 섬까지 뻗어 있다. 산림과 저지대 숲 모두에 널리 분포하며 인접한 툰드라에서도 발견된다. 이끼가 많고 덤불 숲, 작은 나무가 있는 습한 숲, 황무지의 개울가와 늪지 가장자리를 선호하며, 경작지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9]

발트해부터 동해까지, 홋카이도, 사할린, 한반도를 포함한 유라시아 대륙 북부에 분포한다.[9]

혼슈에는 분포하지 않지만, 아오모리현에서 산출된 중기 홍적세 후기의 위턱뼈 왼쪽 부분 화석이 본종으로 동정되었다.[9]

5. 생태

이 종은 주로 주행성이며 곤충(특히 딱정벌레), 거미, 지네, 지렁이와 같은 작은 무척추동물, 구과 식물 씨앗(이용 가능하다면)을 먹고 산다. 번식은 여름에 이루어지며, 2~11마리(보통 7~8마리)의 새끼를 최대 4번까지 지하 둥지에서 낳는다. 수명은 약 1년 정도이다.[3]

고산 지대의 삼림을 서식지로 선호하지만, 저지대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24] 활엽수림에 많이 서식하며, 숲 바닥의 낙엽층이나 부엽토층에서 생활한다. 개체마다 영역을 가지며, 밤낮을 가리지 않고 활동과 휴식을 짧은 시간 간격으로 반복하는 활동 주기를 갖는다. 곤충류나 거미류, 지네류 등을 먹는다. 주요 번식기는 봄이며, 일부는 가을에도 번식한다. 한 번에 4~8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암컷이 수컷보다 오래 사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장 수명은 약 17개월이다.[10]

6. 보전 상태

S. caecutiens는 매우 넓은 지역에 분포하며, 서식지 대부분에서 많이 발견된다. 목재 벌채 외에는 특별한 위협이 확인되지 않았으며, 전체 개체 수는 안정적인 것으로 보인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은 이 종의 보전 상태를 "관심 필요"로 평가했다.[2]

참조

[1] 간행물
[2] 간행물 Sorex caecutiens 2016
[3] 서적 Mammals of Korea https://books.googl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4] 서적 한국의 포유동물 (Hangugui poyudongmul, Mammals of Korea) Dongbang Media
[5] 서적 Mammals of China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6] 뉴스 Sorex caecutiens https://doi.org/10.2[...]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6
[7] 간행물 Order Soricomorpha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8] 간행물 日本産哺乳類の最近の分類体系 ―阿部(2005)とWilson and Reeder(2005)の比較―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9] 간행물 Reexamination of Fossil Shrews (Sorex spp.) from the Middle Pleistocene of Honshu Island, Japan https://doi.org/10.3[...] Mammalogical Society of Japan
[10] 서적 改訂2版 日本の哺乳類 東海大学出版会
[11] 간행물 Morphometric status of shrews of the Sorex caecutiens/shinto group in Japan https://doi.org/10.3[...] Mammalogical Society of Japan
[12] 간행물 日本産食虫類の種名の検討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13] 간행물 食虫類をめぐるブラキストン線に関する問題—主にトガリネズミ類を中心として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14] 간행물 トガリネズミの哺乳類学:分かっていないなら自分で調べよう!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15] 간행물 Historical Review and Notes on Small Mammals (Mammalia: Erinaceomorpha, Soricomorpha, Rodentia) in Korea https://doi.org/10.5[...] Korean Society of Systematic Zoology
[16] 간행물 Genetic Distinctness of Sorex caecutiens hallamontanus (Soricomorpha: Mammalia) from Jeju Island in Korea: Cytochrome Oxidase I and Cytochrome b Sequence Analyses https://doi.org/10.5[...] Korean Society of Systematic Zoology
[17] 간행물 Sorex caecutiens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18] 간행물 东北地区中鼩鼱遗传多样性与分子系统地理学 中国科学院西北高原生物研究所・中国动物学会兽类学分会
[19] 간행물 Order Eulipotyphla KMK Scientific Press
[20] 간행물 Order Soricomorpha Princeton University Press
[21] 간행물 Cases of homonymy in some Palaearctic and Nearctic taxa of the genus Sorex L. (Mammalia: Soricidae) https://doi.org/10.3[...] Mammalogical Society of Japan
[22] 간행물 Morphological relationships among populations in the Sorex caecutiens/shinto group (Eulipotyphla, Soricidae) in East Asia, with a description of a new subspecies from Cheju Island, Korea https://doi.org/10.1[...] Elsevier
[23] 간행물 千島列島における哺乳類の分布 日本生物地理学会
[24] 서적 한국의 포유동물 (Hangugui poyudongmul, Mammals of Korea) Dongbang Media
[25] 뉴스 Sorex caecutiens http://www.iucnredli[...]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6
[26] 간행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