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라무시르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라무시르섬은 쿠릴 열도에서 두 번째로 큰 섬으로, 23개의 화산이 연결된 지형을 이루며, 활화산이 다수 존재한다. 가장 높은 봉우리는 치쿠라치키 산이며, 푸스 산, 로모노소프 화산군, 카르핀스키 화산군, 에베코 산 등이 주요 산이다. 역사적으로 아이누족이 거주했으며, 17세기부터 일본의 다이묘 영지로 여겨졌다. 1855년 러일 화친 조약으로 러시아령이 되었고, 1875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으로 일본령이 되었다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에 점령되어 현재는 러시아 사할린주의 일부이다. 기후는 아한대 기후이며, 다양한 해양 생물과 산림이 분포한다. 캄차카 반도에서 배나 헬리콥터를 통해 접근할 수 있으며, 비행장 건설 계획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라무시르섬 - 세베로쿠릴스크
    세베로쿠릴스크는 쿠릴 열도의 파라무시르 섬에 위치한 도시로, 쿠릴 아이누족이 거주했으며, 러시아 제국, 일본 제국을 거쳐 소련군이 점령한 후 세베로쿠릴스크로 개칭되었고, 1952년 쓰나미 피해를 입었으며, 현재는 어업이 주요 산업이다.
  • 러시아의 칼데라 화산 - 케토이섬
    케토이섬은 쿠릴 열도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면적은 71.25km²이며, 케토이산과 팔라스산을 포함하고, 칼데라, 용암류 등 다양한 지형을 가지며, 1843년부터 1960년까지 화산 폭발이 있었고, 현재는 러시아 연방이 실효 지배하고 있다.
  • 러시아의 칼데라 화산 - 초르니예브라티야섬
    초르니예브라티야섬은 러시아 사할린주에 속하며, 부분적으로 침수된 화산 칼데라의 잔해로 이루어진 치르포이섬과 브라트치르포예프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활화산이 존재하고 1982년에 분화한 기록이 있다.
  • 쿠릴 열도의 섬 - 케토이섬
    케토이섬은 쿠릴 열도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면적은 71.25km²이며, 케토이산과 팔라스산을 포함하고, 칼데라, 용암류 등 다양한 지형을 가지며, 1843년부터 1960년까지 화산 폭발이 있었고, 현재는 러시아 연방이 실효 지배하고 있다.
  • 쿠릴 열도의 섬 - 라이코케섬
    라이코케섬은 쿠릴 열도 중부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라이코케 산을 이루며, 바다사자와 풀머 괭이갈매기의 주요 번식지이고, 현무암 성층 화산으로 여러 차례 분화했으며, 현재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고 일본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분쟁 지역이다.
파라무시르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일반 정보
파라무시르 섬 지도
위치태평양
군도쿠릴 열도
면적2053km2
길이100km
너비20km
최고봉치쿠라치키산
해발고도1816m
국가러시아
사할린주
세베로쿠릴스키
최대 도시세베로쿠릴스크 (柏原)
최대 도시 인구2592명
지리
해역오호츠크해

2. 지형

파라무시르섬은 대략 직사각형 모양이며 면적은 2053km2쿠릴 열도에서 이투루프섬 다음으로 큰 섬이다.[1]

지질학적으로 파라무시르섬은 23개의 화산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형태를 띤다. 이 중 최소 5개는 활화산이며, 해발고도가 1000m을 넘는다. 섬의 최고봉은 치쿠라치키 산으로, 해발 1816m이다.

해안의 좁은 평지를 제외하면 높이 1,000미터를 넘는 가파른 이 솟아 있으며, 그 대부분이 화산이다. 일부는 현재도 매우 활발한 활화산 활동을 보이고 있다.

주요 하천으로는 토도이 강 (총 길이 약 20km, 파라무시르 섬에서 가장 큰 하천), 쿠마 강 (총 길이 약 20km), 마스 강, 하야게 강이 태평양 쪽으로 흘러들고, 오호츠크해 쪽으로는 시게요리 강, 니시 강, 카쿠마베츠 강 등이 있다.

중심지는 세베로쿠릴스크(Северо-Курильск|세베로쿠릴스크ru, 의미는 "북쿠릴의 마을", 일본명 가시와바라)이다.

2. 1. 주요 산


  • 치쿠라치키 산(влк.Чикурачкиru, 千倉岳일본어)은 해발 1816m로 파라무시르섬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이자 쿠릴 열도에서 세 번째로 높은 봉우리이다.[1] 1690년 전후 10년, 1853년, 1859년, 1933년에 분화했으며, 1957년-2008년 사이에도 수년간 분화했다.[2] 산기슭에는 물앵두나무가 밀생하고 있지만, 중턱에서는 노란 산철쭉이 군생하고 있다.
  • 푸스 산(влк.Фуссаru, 後鏃岳일본어)은 해발 1772m의 원뿔형 성층 화산이다.[12] 1742년, 1854년에 분화했지만, 1933년에는 분화가 있었는지 확실하지 않다.

시리야지리 산

  • 로모노소프 화산군(влк.Ломоносоваru, 冠岳일본어)은 해발 1681m로 치쿠라치키 산군에 속한다.[13]
  • 카르핀스키 화산군(влк.Карпинскогоru, 白煙山일본어)은 해발 1345m이며 1957년에 분화했다.[14]
  • 에베코 산(влк.Эбекоru, 千島硫黄山일본어)은 해발 1156m이며 여러 차례 분화했으며, 가장 최근에는 1990년에 분화했다.[15] 일본령이었을 때 유황 채굴장이 있었다. 8개의 분기공에서 화산 가스가 분출하고 있다. 에베코 산의 중앙 분화구는 깊이 약 20m의 칼데라 호수로 채워져 있다. 선사 시대부터 분화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현재까지 확인된 바에 따르면 1793년부터 2009년까지 수십 년에서 수년 간격으로 분화하고 있다. 1990년의 분화로 분화구 근처에 있던 온천 호수가 묻혔다. 2024년 8월 18일 캄차카 반도 해역에서 발생한 지진 직후 분화했다.

에베코 화산의 화구

2. 2. 해협

북동쪽은 제2쿠릴해협을 사이에 두고 슘슈섬과, 남서쪽은 루지나 해협(пр.Лужина|루지나 해협ru)을 사이에 두고 안치페로바섬과, 남쪽은 제4쿠릴해협을 사이에 두고 오네코탄섬과 마주한다.[1]

3. 역사

치쿠라치키 화산 폭발, 2003년 (MODIS 이미지)


이 내린 후 파라무시르섬 남쪽 끝


파라무시르섬은 선사 시대부터 아이누족이 거주하던 곳으로, 1644년 에도 시대 일본 마쓰마에 번의 영토를 보여주는 공식 지도에 나타난다.

17세기 이후 러시아 제국일본 제국 사이 영토 분쟁이 있었다. 1875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으로 일본령이 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에 점령되었다.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으로 일본은 이 섬에 대한 영유권을 포기했다.

3. 1. 러시아 통치 시대

1711년 러시아 모피 상인 다닐라 야코블레비치 안치페로프(Данила Яковлевич Анцыферовru)와 이반 페트로비치 코지레프스키(Иван Петрович Козыревскиru)가 이 섬에 상륙하여 모피 헌납을 요구했으나 거절당했다. 1713년 코지레프스키가 다시 파라무시르섬에 상륙하여 모피를 징수했다. 1747년에는 러시아 정교회 수도 사제 이오아사프가 슘슈섬과 파라무시르섬의 아이누족에게 포교 활동을 시도했다.[16]

1804년(분카 원년) 7월 18일, 계우에몬 등 경상환의 표류민 6명이 동포에 표착했다.

1855년(안세이 원년) 러일 화친 조약에 의해 러시아령이 되었다.

3. 2. 일본 통치 시대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으로 일본령이 되었다. 섬의 주요 항구이자 상업 어업 중심지인 가시와바라(현재의 세베로쿠릴스크)가 아이누족 마을 부지에 건설되었으며, 홋카이도 네무로 지청의 시무슈 군의 일부로 행정 처리되었다.[16][17]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일본 제국 육군일본 제국 해군이 이 섬에 강력한 주둔군을 배치했다. 가시와바라에는 북부 쿠릴 열도 방어를 담당하는 IJA 제91보병사단의 사령부가 설치되었고, 섬 주변에는 수많은 해안 포병 진지와 요새화된 벙커가 건설되었다. 또한, 일본 제국 육군은 4개의 비행장을 건설했다.

비행장 이름위치활주로 길이배치 기종
가시와바라 비행장동북부Ki-43 오스카
가쿠마베츠 비행장남서 해안약 1158.24mKi-44 토조
키타노다이 비행장북동 해안약 1219.20m
수리바치 비행장남쪽 해안 중앙보조 기지



일본 제국 해군은 섬 남서쪽 끝에 무사시 비행장을 가지고 있었으며, 다양한 항공기와 레이더 기지를 운용했다.

비행장 이름활주로 1활주로 2
무사시 비행장약 1219.20m약 1310.64m



이 기지들은 1943년부터 일본 항복까지 알류샨 열도에 주둔한 미 육군 항공대와 미 해군의 일본 공습을 받았다.[18]

소련군은 쿠릴 열도 상륙 작전 동안 1945년 8월 18일 파라무시르섬에 상륙했고, 전투는 8월 23일까지 계속되어 일본 수비대의 항복으로 끝났다. 소련군은 일본 민간인 거주자들을 강제 추방하고 포로를 굴라그 노동 수용소로 보냈다. 가시와바라는 세베로쿠릴스크로 이름이 바뀌었고 1946년 소련에 합병되었다. 일본은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에 따라 이 섬에 대한 주권을 공식적으로 포기했다.[19]

3. 3. 소련/러시아 통치 시대

1945년 소련군쿠릴 열도 상륙 작전을 통해 8월 18일 파라무시르섬에 상륙했고, 8월 23일까지 전투 끝에 일본 수비대가 항복했다. 소련군은 일본 민간인들을 강제 추방하고 포로들을 굴라그 노동 수용소로 보냈다. 1946년 소련은 가시와바라를 세베로쿠릴스크로 개칭하고 이 섬을 자국에 합병했다.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으로 일본은 이 섬에 대한 영유권을 포기했다. 1952년 11월 1952년 세베로쿠릴스크 해일로 세베로쿠릴스크가 파괴되어 다른 위치에 재건되었다.

1991년 소련의 해체 이후, 이 섬은 러시아 연방 사할린주의 일부가 되었다. 소련 해체 후 인구 감소와 경제적 어려움, 청어 어업 붕괴, 1952년 세베로쿠릴스크 해일 등으로 인해 한때 번성했던 마을들은 유령 마을이 되었다.

3. 3. 1. 영토 문제

1875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에 의해 일본령이 되어 홋카이도 슈무슈 군(占守郡)에 속하였다. 그러나 1945년 일본이 항복하면서 소련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1951년 일본은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으로 이 섬에 대한 영유권을 포기했다. 현재는 러시아사할린주 북쿠릴 군에 속해 있다.

4. 기후 및 생태

Остров Парамуширru는 북태평양 오야시오 해류의 영향으로 아한대 기후를 보인다. 섬의 식생은 주로 빽빽하고 왜소한 시베리아 난쟁이 소나무와 관목성 오리나무로 이루어져 있다.[3] 고산 툰드라 지형이 펼쳐져 있으며, 월귤, 북극 산딸기, 월귤, 까마귀밥나무와 같은 식용 베리류와 버섯이 풍부하다.[3]

붉은 여우, 북극 토끼, 담비 등이 많이 서식하며, 주민들이 사냥을 하기도 한다.[3] 캄차카 불곰도 서식하며, 봄에는 긴부리 바다오리가 섬에서 둥지를 튼다.[3]

파라무시르섬과 슘슈섬 사이의 해협은 해달이 많이 서식하는 곳으로 유명하며, 참물범도 흔하게 발견된다.[4] 가장 희귀하고 멸종 위기에 처한 고래 종 중 하나인 북태평양 참고래가 주변 해역에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5][6][7][8]

섬에서 가장 긴 강인 투카르카 강(약 20km)을 비롯한 여러 강에는 다양한 종의 송어와 태평양 연어가 산란한다.

5. 교통

캄차카반도의 페트로파블로프스크-캄차츠키에서 "기파니스"라는 배편이나 헬리콥터 편을 이용해야 한다.

다만, 불규칙 운행으로 신뢰하기 어렵고, 짙은 안개로 운항이 중단되는 경우가 빈번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구 일본군 비행장 터를 활용한 비행장이 건설 중이며, 유즈노사할린스크 공항에서 DHC-6 등의 항공기를 이용한 직항편 계획도 있다.

6. 문화

TEAM NACS의 연극 "파라무시르 ~믿음을 지킨 사혼의 깃발을 세우고~"의 배경이 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International Kuril Island Project(IKIP) http://www.washingto[...] University of Washington Fish Collection or the respective authors 2010-05-29
[2] 뉴스 The ashes of the volcano in the Kuril Islands Chikurachki lasted a long train and ended up in city water http://www.newsru.co[...] 2008-08-07
[3] 논문 The breeding seabirds of the Russian Far East http://publications.[...] 2000
[4] 웹사이트 undefined http://www.instapu.c[...] 2017-09-26
[5] 웹사이트 Diving with Northern Pacific Right Whale http://www.instapu.c[...] 2017-09-26
[6] 웹사이트 Охотоморский исполин http://www.nat-geo.r[...] 2017-09-26
[7] 웹사이트 19 июня — пятнадцатый день круиза Алаид, бухта Шелихова, Птичьи острова http://greenbag.ru/c[...] 2017-10-03
[8] 웹사이트 Экспедиция Дальневосточного Проекта по Косатке 2013 года http://russianorca.c[...] 2017-10-03
[9] 웹사이트 International Kuril Island Project(IKIP、国際千島調査、英文) http://www.washingto[...] University of Washington Fish Collection or the respective authors 2009-07-24
[10] 서적 千島縦断 北海道新聞社 1994
[11] 웹사이트 Global Volcanism Program http://www.volcano.s[...] 미国立자연사박물관 2009-07-27
[12] 웹사이트 Global Volcanism Program http://www.volcano.s[...] 미国立자연사박물관 2009-07-27
[13] 웹사이트 Global Volcanism Program http://www.volcano.s[...] 미国立자연사박물관 2009-07-27
[14] 웹사이트 Global Volcanism Program http://www.volcano.s[...] 미国立자연사박물관 2009-07-27
[15] 웹사이트 Global Volcanism Program http://www.volcano.s[...] 미国立자연사박물관 2009-07-27
[16] 문서 무선국 면허상의 읽기는 「호로머셔」이다
[17] 간행물 大正8年 逓信省告示第1146号 1919-09-12
[18] 논문 帝国日本における気象観測ネットワークの構築 日本地理学会 2017
[19] 서적 北千島の自然誌 丸善 1995
[20] 뉴스 2021年にサハリン地域に新たな3つの飛行場が建設される https://tass.ru/v-st[...] タス通信 2020-09-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