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도가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도가호는 러시아 북서부에 위치한 호수이다. 표면적은 약 17,891km²로, 유럽에서 가장 큰 호수이자 세계에서 14번째로 큰 호수이며, 네바강을 통해 핀란드만으로 배수된다. 볼호프강, 스비리강, 부옥사강 등이 유입되고, 라도가 운하와 볼가-발트 수로를 통해 발트해와 연결된다. 지질학적으로는 빙하기에 형성된 그라벤 구조이며, 생태적으로는 다양한 어종과 고유종인 라도가 바다표범이 서식한다. 역사적으로는 바랑기아인에서 동로마 제국으로 가는 무역로의 일부였으며, 스웨덴-노브고로드 전쟁, 핀란드와의 분쟁, 레닌그라드 포위전 등 다양한 역사적 사건의 무대가 되었다. 현재는 카렐리야 공화국과 레닌그라드주에 걸쳐 있으며,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중요한 수원으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닌그라드주의 호수 - 오네가호
오네가호는 러시아 카렐리야 공화국에 있는 유럽에서 두 번째로 큰 호수로서, 빙하 지형, 키지 섬, 그리고 발트해, 카스피해, 흑해를 잇는 수로이자 어업 및 관광의 중심지이다. - 카렐리야 공화국의 호수 - 오네가호
오네가호는 러시아 카렐리야 공화국에 있는 유럽에서 두 번째로 큰 호수로서, 빙하 지형, 키지 섬, 그리고 발트해, 카스피해, 흑해를 잇는 수로이자 어업 및 관광의 중심지이다. - 카렐리야 공화국의 호수 - 애글래호
- 카렐리야 공화국 - 스비리강
오네가 호에서 발원하여 라도가 호로 흘러드는 러시아의 스비리 강은 과거 수상 교역로의 일부였으나, 현재는 수력발전소 건설과 특정 구간의 좁은 강폭으로 인해 선박 통항에 어려움이 있으며, 람사르 협약 등록지인 삼각주와 역사적 장소를 포함하고 있는 격동의 역사를 지닌 강이다. - 카렐리야 공화국 -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소련이 핀란드 영토를 기반으로 카렐리야 지역에 수립한 공화국이며, 핀란드 공산주의자들이 설립 기반을 마련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핀란드에 점령당했다가 재점령되어 러시아 공화국에 편입되었다.
라도가호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라도가호 |
러시아어 이름 | Ладожское озеро (Ládozhskoye ózero) 또는 Ладога (Ládoga) |
핀란드어 이름 | Laatokka (이전에는 Nevajärvi) |
올로네츠 카렐리야어 이름 | Luadogu |
벱스어 이름 | Ladog(anjärv) |
위치 | 북서 연방관구, 레닌그라드 주 및 카렐리아 공화국 |
유입 | 스비리 강, 볼호프 강, 부오크시 강 |
유출 | 네바 강 |
유역 면적 | 276,000 km² |
유역 국가 | 러시아, 핀란드 (소량) |
길이 | 219 km |
폭 | 138 km |
면적 | 17,891 km² |
평균 깊이 | 47.3 m |
최대 깊이 | 230-260 m |
수량 | 837 km³ |
해안선 | 해당 정보 없음 |
표고 | 5 m |
섬 | 약 660개 ( 발라암 포함) |
도시 정보 | |
도시 | 목록 참조 |
2. 어원
12세기 네스토르의 기록에는 "거대한 네보"라고 불리는 호수가 언급되어 있는데, 이는 네바강과 명확하게 연결되며, 더 나아가 핀란드어의 'nevo'(바다) 또는 'neva'(늪, 수렁)와 연결될 수 있다.[1]
라도가호는 평균 표면적이 17,891 km2(섬 제외)로 쿠웨이트보다 약간 크다. 남북 길이는 219 km이고 평균 폭은 83 km이다. 평균 수심은 47 m이며, 북서부에서는 최대 230 m에 이른다.[6] 유역 면적은 276,000 km2, 부피는 837 km3이다.[6] 발라암 군도, 킬폴라, 코네베츠를 포함한 약 660개의 섬이 있으며, 총 면적은 약 435 km2이고, 대부분 호수의 북서쪽에 위치해있다. 라도가호는 평균 해수면보다 5 m 위에 있다.[7]
지질학적으로 라도가 호 분지는 원생대(선캄브리아 시대)에 형성된 그라벤과 함몰대 구조이다. "라도가-파샤 구조"는 요트니안 퇴적물을 포함하고 있다. 플라이스토세 빙하기 동안 분지는 빙하의 과잉 심화로 인해 퇴적암 채움재가 부분적으로 제거되었다.[8] 최후 빙기 동안, 약 17,000년 전에는 페노스칸디아 빙상의 얼음을 집중시켜 동쪽으로 더 나아가는 빙하류를 형성하는 채널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높다.[9]
납줄개, 붕어, 쏘가리, 유럽 농어, 둑중개, 고유종인 빙어, 두 종류의 ''Coregonus albula''(뱅어), 8종류의 ''Coregonus lavaretus'', 다수의 연어과 어류는 물론 멸종 위기에 처한 대서양 철갑상어(과거에는 유럽 철갑상어와 혼동) 등 48종의 어류가 이 호수에서 발견되었다. 상업적 어업은 한때 주요 산업이었지만 남획으로 인해 타격을 입었다. 전쟁 후인 1945년부터 1954년 사이에 연간 총 어획량은 증가하여 최대 4,900톤에 달했다. 그러나 불균형적인 어업으로 인해 1955~1963년 어획량이 급격히 감소하여 연간 1,600톤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트롤 어업은 1956년부터 라도가 호수에서 금지되었고, 일부 다른 규제도 시행되었다. 상황은 점차 회복되어 1971~1990년 어획량은 연간 4,900~6,900톤 사이를 유지했는데, 이는 1938년 총 어획량과 거의 같은 수준이다.[15] 양식장과 레크리에이션 어업이 발전하고 있다.[16]
중세 시대에 라도가 호수는 바랑기아인에서 동로마 제국으로 가는 무역로의 중요한 부분이었으며, 8세기부터 스타라야 라도가의 노르드 무역 중심지가 볼호프 강 어귀를 방어했다.[19] 스웨덴-노브고로드 전쟁 과정에서 노브고로드 공화국과 스웨덴 사이에 분쟁이 있었다. 14세기 초, 코렐라(Kexholm)와 오레셰크(Nöteborg) 요새가 호수 기슭에 건설되었다.
고대 노르드 사가와 한자동맹 조약 모두 고대 노르드어로 'Aldeigja' 또는 'Aldoga'라고 불리는 호수로 이루어진 도시를 언급한다.[2] 14세기 초부터 이 수문명은 일반적으로 '라도가'로 알려졌다. T. N. 잭슨에 따르면 "라도가라는 이름이 처음에는 강, 다음에는 도시, 마지막으로 호수를 가리킨다고 거의 확신할 수 있다"라고 한다. 따라서 그는 라도가의 주요 수문명이 볼호프강 하류로 유입되는 지류에서 유래되었으며, 이 지류의 초기 핀어 이름은 'Alodejoki' (현대 Alojen joki|알로옌 요키fi) '저지대의 강'에 해당한다고 본다.[1]
게르만 지명 ('Aldeigja' ~ 'Aldoga')은 곧 슬라브족에게 차용되어 고대 동슬라브어의 전위 'ald- → lad-'를 통해 Ладога|라도가orv로 변형되었다. 핀어와 고대 동슬라브어 단어 사이의 고대 노르드어 중간 단어는 고고학적으로 완전히 뒷받침되는데, 스칸디나비아인들이 750년대 초, 즉 슬라브족보다 수십 년 먼저 라도가에 처음 등장했기 때문이다.[3]
이 이름의 기원에 대한 다른 가설은 aalto|알토krl '파도'와 aaltokas|알토카스krl '물결치는', 또는 러시아 방언 단어 алодь (열린 호수, 광대한 물의 밭)에서 유래되었다고 본다.[4] 반면에 예브게니 헬림스키는 독일어에서 유래한 어원을 제시한다. 그의 견해에 따르면, 호수의 주요 이름은 *Aldauga|알다우가non '오래된 수원'으로, 열린 바다와 관련이 있으며, 네바강의 이름 (라도가호에서 흘러나옴)과는 대조적으로, 독일어로 '새로운'을 의미하는 표현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중간 형태 '*Aldaugja'를 통해 Aldeigja|알데이갸non가 생겨났고, 이는 라도가 도시를 가리켰다.[5]
3. 지리
카렐 지협에 의해 발트해와 분리되어 있으며, 네바강을 통해 핀란드만으로 배수된다.
라도가호는 항해가 가능하며, 발트해와 볼가강을 연결하는 볼가-발트 수로의 일부이다. 라도가 운하는 호수를 남쪽으로 우회하여 네바강을 스비르강과 연결한다.
라도가호 유역에는 약 50,000개의 호수와 길이가 10 km가 넘는 3,500개의 강이 있다. 유입수의 약 85%는 지류, 13%는 강수량에 의해, 2%는 지하수에 의해 발생한다.
4. 지질학적 역사
바이흐젤 빙기 이후의 해빙은 라도가 호 분지에서 12,500년에서 11,500년 방사성 탄소 연대 사이에 발생했다. 라도가 호는 처음에는 발트 빙호(현재 해수면보다 70–80m 높이)의 일부였으며, 이는 발트해의 역사적인 담수 단계였다. 라도가 호가 이후 욜디아 해 기수 단계(10,200–9,500 BP)의 퇴행 동안 발트 빙호에서 격리되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확실하지는 않다. 격리 임계점은 비보르크 동쪽의 헤인요키에 있어야 하는데, 이곳에서 발트해와 라도가 호는 네바 강의 형성, 어쩌면 훨씬 더 나아가 12세기경까지 해협이나 강 출구로 연결되어 있었다.[10][11]
9,500 BP에, 이전에 백해로 흘러들어가던 오네가 호가 스비르 강을 통해 라도가 호로 유입되기 시작했다. 9,500년에서 9,100년 BP 사이에, 안킬루스 호의 확장 동안, 발트해의 다음 담수 단계인 라도가 호는 이전에는 즉시 연결되지 않았더라도 분명히 그 일부가 되었다. 안킬루스 호의 후속 퇴행 동안, 약 8,800 BP에 라도가 호는 격리되었다.[12]
라도가 호는 북쪽의 발트 순상지의 융기로 인해 남쪽 부분에서 천천히 확장되었다. 발트해의 다음 기수 단계인 리토리아 해의 물이 7,000년에서 5,000년 BP 사이에 라도가 호를 가끔 침범했다는 가설이 있지만, 증명되지는 않았다. 약 5,000년 BP에 사이마 호의 물이 살파우셀캬를 관통하여 새로운 출구인 부옥시 강을 형성하여 라도가 호의 북서쪽 모서리로 유입되어 수위를 1–2m 높였다.[13]
네바 강은 라도가 호의 물이 마침내 4,000년에서 2,000년 BP 사이에 포로기에서 핀란드만의 지류였던 이조라 강의 하류 부분을 뚫고 지나가면서 시작되었다. 라도가 호 북서부의 일부 퇴적물에 대한 연대 측정 결과는 3,100 방사성 탄소 연대 BP(3,410–3,250 캘린더 연대 BP)에 발생했음을 시사한다.[14]
5. 생태
라도가 바다표범으로 알려진 고유종 고리무늬물범 아종이 서식한다.
1960년대 초부터 라도가는 상당히 부영양화되었다.[17]
니즈네스비르스키 자연 보호구역은 스비르 강 하구 바로 북쪽의 라도가 호수 해안을 따라 위치해 있다.
라도가에는 유전적으로 스웨덴 남부의 솜멘 호수와 베테른 호수의 북극 연어와 가까운 북극 연어가 서식한다.[18]
6. 역사
발라암 수도원은 라도가 호수에서 가장 큰 섬인 발라암 섬에 세워졌으며, 1611년에서 1715년 사이에 버려졌다가 18세기에 복원되었고, 1940년 겨울 전쟁 동안 핀란드로 대피했다. 1989년에 발라암에서 수도원 활동이 재개되었다. 그 외 코네베츠 섬에 위치한 코네베츠 수도원과 알렉산데르-스비르스키 수도원은 중세 모스크바 건축물의 표본을 보존하고 있다.
잉그리아 전쟁 동안 라도가 해안 일부가 스웨덴에 점령되었다. 1617년, 스톨보보 조약에 의해 북부 및 서부 해안은 러시아가 스웨덴에 할양했다. 1721년, 대북방 전쟁 이후, 니스타트 조약에 의해 러시아로 반환되었다. 18세기에, 강풍과 폭풍으로 수백 척의 화물선이 파괴되는 호수를 우회하기 위해 라도가 운하가 건설되었다.[20]
1812년경부터 1940년까지는 핀란드와 러시아가 라도가 호수를 공유했다. 1920년 타르투 평화 조약에 따라 호수의 군사화는 엄격히 제한되었으나, 소련과 핀란드 모두 라도가에 함대를 보유했다(핀란드 라도가 해군 부대 참조). 겨울 전쟁 (1939–40) 이후, 모스크바 평화 조약에 따라 라도가는 소련의 내부 수역이 되었다.
6. 1. 현대사
러시아 북서부 레닌그라드주와 카렐리야 공화국 경계에 있으며, 핀란드와 가깝다.
네바강이 상트페테르부르크를 거쳐 핀란드만(발트해의 일부)으로 흘러나간다. 오네가호에서 흘러드는 스비리강, 일멘호에서 흘러드는 볼호프강 등이 라도가호로 유입된다. 호수 안에는 바알람 섬 등 약 660여 개의 섬이 있으며, 500여 개는 북서부에 집중되어 있다. 큰 섬에는 사람이 거주하고 있다. 라도가호 바다사자가 서식하고 있다. 연안부는 12월부터 5월까지, 중앙부는 1월부터 3월까지 결빙된다.
라도가호로 흘러드는 스비리강의 삼각주는 1994년 람사르 조약 등록지가 되었다.[1]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중요한 수원으로, 하루 4710000m3의 수돗물 및 공업 용수를 공급한다.[1]
7. 유입 및 유출 강
7. 1. 유입 강
강 이름 | 발원지 | 유량(m³/s) |
---|---|---|
볼호프강 | 일멘호 | 580 |
스비르강 | 오네가호 | 790 |
부옥시강 (및 부르나야강) | 사이마호 (핀란드) | 540 |
샤스강 | 53 | |
올론카강 | 우토제로호 | |
투레마요키 강|Тулемайокиru | 투르모제로 호|Тулмозероru (콜라 강|Колаru) |
스비르강의 삼각주는 1994년 람사르 조약 등록지가 되었다.[1]
7. 2. 유출 강
네바강은 상트페테르부르크를 거쳐 핀란드만(발트해의 일부)으로 흘러나간다.[1]8. 호반 도시
9. 관련 항목
- 라도가 (소행성)
참조
[1]
서적
Geographical names of the world. Toponymic dictionary.
Astrel, Moscow
2001
[2]
간행물
Did you know?
Lenizdat, Leningrad
1974
[3]
웹사이트
Альдейгья. Археология и топонимика.
http://altladoga.nar[...]
Памятники средневековой культуры: Открытия и версии. Saint Petersburg
1994
[4]
웹사이트
Топонимика Приладожья
https://web.archive.[...]
[5]
논문
LADOGA AND PERM REVISITED
http://www.ejournals[...]
Cracow University
2020-05-05
[6]
논문
New morphometrical data of Lake Ladoga
[7]
서적
Река Нева
Гидрометеоиздат
1968
[8]
논문
Jotnian and Postjotnian: Sandstones and diabases in the surroundings of the Gulf of Finland
https://www.research[...]
Geological Survey of Finland
2015-07-27
[9]
논문
Deglaciation of Fennoscandia
2016
[10]
논문
Die geographische Entwicklung des Ladogasees in postglazialer Zeit
[11]
논문
Late- and postglacial history of lakes of the Karelian Isthmus
[12]
논문
Lateglacial of Lake Onega — Contribution to the history of the eastern Baltic basin
1995-01-01
[13]
서적
The Late Weichselian and Flandrian history of the Saimaa Lake complex.
Societas Scientiarium Fennicae. Commentationes Physico-Mathematicae
1970
[14]
논문
Shoreline displacement of Lake Ladoga – new data from Kilpolansaari
[15]
논문
Fishery of Lake Ladoga — past, present and future
[16]
웹사이트
Ladoga
http://ladoga.krc.ka[...]
2007-01-29
[17]
논문
The tropic state of Lake Ladoga as indicated by late summer phytoplankton
[18]
논문
Natural resilience in Arctic charr Salvelinus alpinus: life history, spatial and dietary alterations along gradients of interspecific interactions
2014
[19]
서적
Den oövervinnerlige: om den svenska stormaktstiden och en man i dess mitt
Atlantis
2000
[20]
서적
Река Нева.
Гидрометеоиздат
1973
[21]
웹사이트
ラドガ[湖]
2018-04-07
[22]
웹사이트
Svir Delta
https://rsis.ramsar.[...]
2023-04-04
[23]
간행물
用水と廃水
2011
[24]
웹사이트
(2574) Ladoga = 1949 XA = 1956 EM = 1968 UP = 1976 KT = 1976 ML = 1977 RG3 = 1977 TJ2
https://minorplanetc[...]
MPC
2021-09-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