랴오둥반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랴오둥반도는 황해 북쪽 해안에 위치한 반도로, 역사적으로 고조선, 고구려 등의 지배를 받았으며, 이후 중국 왕조와 열강의 각축장이 되었다. 청일 전쟁, 러일 전쟁 등 주요 전쟁의 무대가 되었고, 시모노세키 조약, 포츠머스 조약 등을 통해 일본, 러시아의 영향력 아래 놓이기도 했다. 현재는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의 일부로, 다롄 등 주요 도시를 포함하며 농업, 어업, 중공업 등이 발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반도 - 산둥반도
산둥반도는 중국 최대의 반도로 보하이 해와 황해에 접하며 칭다오, 옌타이, 웨이하이 등의 주요 도시를 포함하고, 약 2700만 년 전 한반도와 분리되어 형성되었으며 한국과 경제·문화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 중국의 반도 - 레이저우반도
레이저우반도는 중국 광둥성 잔장시 남서쪽에 위치한 면적 약 8,500km²의 반도로, 과거 해적 활동 무대였고 프랑스 조차지였던 광저우완이 위치했으며, 현무암 대지를 기반으로 열대 몬순 기후와 다양한 해양 생물이 특징이다. - 랴오닝성의 지리 - 보하이 해협
보하이 해협은 랴오둥반도와 산둥반도 사이에 있는 해협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은 자국 영토로 간주하며 해저 터널 건설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 랴오닝성의 지리 - 랴오시
랴오시는 몽골계통의 동호와 산융의 영역이었으며, 여러 왕조와 민족의 지배를 거쳐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랴오닝 성의 일부가 되었다. - 중국의 지리 - 구주 (중국)
구주는 중국을 아홉 개의 주로 나눈 고대 지리 개념으로, 시대와 문헌에 따라 범위와 명칭이 다르며, 중국 전체를 아우르는 표현으로도 사용되었다. - 중국의 지리 - 간도
간도는 고구려, 발해 등의 영토였으며 여진족 거주지였고, 압록강과 두만강 유역을 중심으로 조선 농민들이 이주하여 거주했으나 현재는 중국 영토로 편입되었으며, 영유권 분쟁은 중조변계조약으로 종식되었지만 두만강 위치와 '토문' 명칭 해석 차이로 한국 내 논쟁의 여지가 있다.
랴오둥반도 | |
---|---|
지도 | |
개요 | |
위치 | 중국 랴오닝성 남부 |
면적 | 약 29,000 제곱킬로미터 |
주요 도시 | 다롄시 안산시 잉커우시 단둥시 |
지리 | |
해안선 길이 | 약 2,200 킬로미터 |
주요 만 | 보하이해 황해 랴오둥만 |
지형 | 구릉성 산지와 평야 지대 |
주요 강 | 랴오허강 다랴오허강 |
기후 | 온대 계절풍 기후 |
역사 | |
주요 사건 | 청일 전쟁 러일 전쟁 뤼순 학살 사건 |
과거 행정 구역 | 요동성 |
경제 | |
주요 산업 | 중공업 석유화학 산업 농업 어업 관광업 |
주요 항구 | 다롄항 잉커우항 단둥항 |
교통 | |
주요 철도 | 하대여객전용선 심대철로 |
주요 고속도로 | G15 선양-하얼빈 고속공로 G1501 랴오닝 환선 고속공로 |
주요 공항 | 다롄 저우수이쯔 국제공항 |
문화 | |
민속 | 민간신앙 |
음식 | 해산물 |
2. 역사
랴오둥 반도는 고조선, 고구려 광개토대왕과 발해 무왕 때 완전히 차지했었다. 고려 시대에는 요동을 차지하기도 했지만 완전히 장악하지는 못했고, 우왕 때 요동 정벌을 시도했다. 조선 시대에도 요동 정벌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이후 요나라, 금나라, 몽골 제국, 원나라, 명나라, 청나라가 차례로 이 지역을 지배했다.
1895년 시모노세키 조약에 따라 일본이 랴오둥 반도를 차지했으나, 러시아, 독일 제국, 프랑스의 삼국 간섭(1895년 4월 23일)으로 인해 청나라에 다시 반환되었다. 1914년 일본은 다시 이 지역을 강점하였고, 1932년 건국한 일본의 괴뢰국 만주국은 랴오둥에 중심을 잡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중화민국의 영토가 되었으며,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국공 내전을 마친 뒤 랴오닝성을 설치하여 현재에 이른다.[4]
2. 1. 고대
랴오둥 지역은 선사 시대부터 신석기 시대의 신락 문화 등 여러 문화권의 사람들이 정착하였다. 이후 북부 한반도와 랴오허 강 남동쪽 지역을 포괄하는 고조선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기원전 4세기 말, 팽창하던 중국의 연나라는 이 지역을 고조선으로부터 정복하고[1] 요동군을 설치했다.춘추 시대부터 그 존재가 확인되었고, 연의 영토였다. 후한 말에는 공손씨가 지배했다. 삼국 시대에는 공손연이 오와 통하여 위로부터 독립했지만, 사마의에 의해 멸망했다. 사마의는 더 나아가 요동에 사는 15세 이상의 남자를 수천 명 살해하기도 했다. 이 요동 공손씨 정권의 멸망이 왜의 히미코에 의한 위나라 사신 파견으로 이어졌다는 설이 있다.
2. 2. 중세 ~ 근세
698년 천문령 전투에서 무주가 패배하면서, 발해가 새롭게 건국되어 이후 2세기 동안 랴오둥 반도를 지배했다.[2] 이후 요나라(거란족) , 금나라, 원나라, 명나라, 청나라가 차례로 이 지역을 지배했다.랴오둥은 1876-1879년 화북 기근으로 인해 산둥성과 허베이성에서 온 난민들의 주요 정착지였다. 이전의 청나라가 만주로의 이민을 금지했던 것이 공식적으로 완화되면서 좡관둥이 시작되었다. 1876년, 중국 관리들은 잉커우 세관에 60만 명이 랴오둥 반도에 도착했다고 알렸다. 청나라 정부는 만주족의 중심지를 한족의 정착으로부터 보호하려 했기 때문에 난민들은 랴오둥에 집중되었다.[3]
2. 3. 근현대
청일 전쟁 (1894–1895)에서 청나라가 패배하면서, 1895년 시모노세키 조약에 따라 랴오둥 반도는 타이완, 펑후와 함께 일본 제국에 넘어갔다. 그러나 러시아, 프랑스, 독일 제국의 삼국 간섭 (1895년 4월 23일)으로 인해 랴오둥 반도는 다시 청나라에 반환되었다.[4] 이 과정에서 청나라는 일본에 3000만위안의 배상금을 지불했다.
같은 해, 러시아와 프랑스는 청나라의 대일 배상금에 대한 차관 제공을 제안했다. 1896년 청나라 흠차대신 이홍장은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황제 니콜라이 2세의 대관식에 참석, 러시아 외무 대신 및 재무 대신과 회담하여 50만 루블의 뇌물을 받고 러청 밀약을 맺었다.
1898년에는 러시아와 청나라 사이에 "여순 대련 조차에 관한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로 인해 러시아는 랴오둥 반도 남단의 뤼순, 다롄의 25년간 조차권과 동청 철도와 다롄을 잇는 철도 부설권을 얻었다. 1900년 의화단 운동 이후 러시아군은 랴오둥 반도 전역을 점령하고 뤼순에 요새를 구축했다.
랴오둥 반도는 러일 전쟁 (1904–1905)의 주요 격전지 중 하나였으며, 뤼순 항구 포위전이 벌어지기도 했다. 1905년 포츠머스 조약 결과, 양측은 만주에서 철수하여 중국에 반환하기로 합의했지만, 랴오둥 반도 조차지는 관동주로 일본에 양도되었다.[4] 일본은 관동도독부 (후에 관동청)를 뤼순에, 남만주 철도 본사를 다롄에 두었다. 1919년 관동도독부는 폐지되었다.
1932년 만주국 건국 후, 조차권은 일본이 만주국으로부터 받는 형식으로 바뀌었다. 1937년에는 만철 부속지 행정권이 만주국에 반환되었다.
1945년 소련 대일 참전으로 소련군이 랴오둥 반도를 점령한 후, 중소 우호 동맹 조약에 따라 소련이 뤼순과 다롄의 조차권을 얻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국공 내전에서 중국 공산당 정부를 지원한 소련이 중화인민공화국에 "반환"하여 현재는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통치하고 있다.
3. 지리
랴오둥반도는 황해 북쪽 해안에 위치하며, 서쪽으로는 랴오둥만, 동쪽으로는 한국만을 끼고 있다. 랴오둥반도에는 16개의 행정 구역이 있는데, 7개의 지급시(다롄, 잉커우, 단둥, 랴오양 등)와 9개의 현급시(다스자오, 하이청, 푸청 등)가 있다.
3. 1. 지형 및 자연 환경
랴오둥반도는 황해 북쪽 해안에 위치하며, 서쪽으로는 랴오둥만(보하이해의 세 만 중 가장 큼)을, 동쪽으로는 한국만을 끼고 있다. 이 반도는 북쪽으로 창바이산맥까지 이어지는 산맥의 남쪽 부분을 형성한다. 반도에 있는 산맥은 안산시의 첸산 국가공원에서 이름을 따온 첸산 산맥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롄시의 다헤이산을 포함한다. 한반도 북서쪽에 위치하며, 만주 남부에서 바다를 사이에 두고 산둥반도를 향해 남서쪽으로 뻗어 있다. 반도의 기저부는 압록강과 요하에 끼여 있으며, 서쪽으로 발해, 남쪽으로 황해, 남동쪽으로 서조선만에 둘러싸여 있다. 북동쪽에서 천산 산맥이 뻗어 있어 전체적으로 산이 많고 평야는 적다. 천산 산맥은 장기간의 침식 작용으로 완만한 구릉이 되었다.[10]랴오둥반도 끝의 곶은 다롄 시뤼순커우 구에 있으며, 절벽 해안 공원이다. 그곳에는 라오톄산 등대가 있으며, 날에 따라 노란 바다와 푸른 바다의 경계가 보이는 "황발해 분계선"이기도 하다.[11] 곶 근처 톄산 가도 인자촌에는 중국에서 드문 노천탕을 갖춘 라오톄산 온천이 있다.[12] 매년 가을에는 동북 지역에서 남쪽으로 이동하는 새들, 특히 매 종류가 상공으로 날아올라 바람을 타고 산둥성으로 건너가는 것을 볼 수 있다.
3. 2. 주요 도시
랴오둥반도에는 15개의 도시가 있다.구분 | 도시 |
---|---|
지급시 | 다롄 시, 잉커우 시, 안산 시, 단둥 시, 판진 시, 랴오양 시, 번시 시 |
현급시 | 와팡뎬 시, 좡허 시, 하이청 시, 가이저우 시, 다스차오 시, 덩타 시, 펑청 시, 둥강 시 |
현재 랴오둥반도의 선단부에 있는 다롄은 둥베이 지방의 문호를 이루는 주요 무역항이고,[13] 뤼순에는 해군기지가 있다.
3. 3. 산업
랴오둥반도 선단부의 다롄은 둥베이 지방의 주요 무역항이며, 뤼순에는 해군 기지가 있다.[13] 옥수수, 땅콩, 목화, 사과, 채소 등 농업과 어업, 천일제염업이 발달했으며, 다롄은 중국의 주요 중공업 도시 중 하나이다.옥수수와 쌀 등 곡물 생산이 활발하며 사과 생산 및 참깨 (작잠) 사육으로도 알려져 있다. 연안에는 섬이 많아 수산업 및 제염업도 발달하였다.[10]
참조
[1]
서적
A New History of Korea
Harvard University Press
[2]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https://archive.org/[...]
Rutgers University Press
[3]
서적
Swallows and settlers: the great migration from North China to Manchuria
Center for Chinese Studies, The University of Michigan
2000-01-01 # 날짜 정보가 불완전하여 01-01로 설정
[4]
문서
Article Five
[5]
웹사이트
リヤオトンはんとう【〈遼東〉半島】
https://kids.gakken.[...]
2021-06-04
[6]
웹사이트
19 下関条約
https://gakusyu.shiz[...]
2021-06-04
[7]
웹사이트
海域地震後のリャオトン半島断層の応力場の研究
https://jglobal.jst.[...]
2021-06-04
[8]
웹사이트
大連
https://weather.jal.[...]
2021-06-04
[9]
웹사이트
民风民俗
https://www.yantai.g[...]
2024-11-04 # access-date를 date로 변경
[10]
서적
大百科事典
平凡社
[11]
웹사이트
遼東半島の先端老鉄山灯台
http://www.shashosha[...]
[12]
웹사이트
老鉄山温泉
http://www.ltswq.com[...]
[13]
뉴스
中 랴오둥반도 항구 잇달아 개방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20-11-25 # 확인날짜를 date로 변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