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레드 바론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드 바론은 2008년에 개봉한 독일 영화로,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공군의 에이스 조종사 만프레트 폰 리히트호펜의 삶을 다룬 작품이다. 영화는 리히트호펜의 공중전, 간호사 케테 오터스도르프와의 로맨스, 전쟁의 참혹함에 대한 고뇌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1800만 유로의 제작비가 투입되었지만, 독일 내에서는 역사적 부정확성 논란과 함께 흥행에 실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6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세이빙 MR. 뱅크스
    영화 《세이빙 MR. 뱅크스》는 P. L. 트래버스의 소설 《메리 포핀스》의 영화화 과정을 배경으로, 월트 디즈니가 P. L. 트래버스를 설득하여 영화 판권을 얻는 과정과 트래버스의 어린 시절 경험이 작품에 미친 영향을 그린 2013년 미국의 드라마 영화이며, 에마 톰프슨과 톰 행크스가 주연을 맡았다.
  • 1906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피터팬: 전설의 시작
    2003년에 개봉한 영화 피터팬: 전설의 시작은 1906년 런던을 배경으로 고아 소년 피터가 네버랜드에서 제임스 훅 선장과 싸우며 잃어버린 소년들과 모험하는 판타지 이야기이다.
  • 군인 전기 영화 - 핵소 고지
    멜 깁슨 감독의 2016년 영화 《핵소 고지》는 제2차 세계 대전 오키나와 전투에서 무기 없이 75명의 부상병을 구한 위생병 데스몬드 도스의 실화를 바탕으로 개인의 신념과 용기, 헌신을 그린 영화로,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편집상과 음향 믹싱상을 수상했다.
  • 군인 전기 영화 - 언브로큰 (영화)
    안젤리나 졸리 감독의 영화 《언브로큰》은 루이스 잠페리니의 실화를 바탕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 포로가 된 올림픽 육상 선수의 고통과 불굴의 의지를 그린 전기 전쟁 드라마이며, 역사 왜곡 논란과 일본 우익 단체의 반발에 직면하기도 했다.
  • 제1차 세계 대전 영화 - 아프리카의 여왕
    존 휴스턴 감독의 영화 《아프리카의 여왕》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동아프리카를 배경으로 험프리 보가트와 캐서린 헵번이 독일 군함 공격을 위해 급류를 항해하며 사랑에 빠지는 모험 로맨스 영화로, 여러 어려움 속에서 제작되어 상업적 성공과 함께 고전 영화로 평가받는다.
  • 제1차 세계 대전 영화 - 영광의 길
    제1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를 배경으로 하는 영화 영광의 길은 전략적인 사령관, 자유로운 사고방식의 장교, 그리고 그들 사이의 삼각관계를 중심으로 인간의 욕망과 갈등을 심도 있게 다룬다.
레드 바론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제목레드 바론
원제데어 로테 바론 (Der rote Baron)
영어 제목더 레드 바론 (The Red Baron)
영화 포스터
극장 개봉 포스터
장르액션
모험
드라마
멜로/로맨스
전쟁
구글 지도 검색어제1차 세계 대전 서부 전선
제작
감독니콜라이 뮐러숀
제작자단 마그
토마스 라이저
롤란트 펠레그리노
각본가니콜라이 뮐러숀
음악슈테판 한센
디르크 라이히하르트
촬영 감독클라우스 메르켈
편집자크리스티안 론크
제작사니아마 필름
출연
주연마티아스 슈바이크회퍼
요제프 파인스
틸 슈바이거
레나 헤디
배급
배급사워너 브라더스 픽처스 (국제)
몬터레이 미디어 (미국)
개봉
개봉일2008년 4월 10일 (독일)
대한민국 개봉일2011년 5월 21일
상영 시간
길이123분
제작 국가
국가독일
영국
언어
사용 언어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제작비
예산1800만 유로

2. 줄거리

1916년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제국 공군의 젊은 에이스 조종사 만프레트 폰 리히트호펜 남작은 서부 전선에서 활약한다. 그는 자신이 격추한 연합군 조종사의 장례식에 경의를 표하는 등 기사도적인 면모를 보이기도 하지만, 공중전을 마치 스포츠처럼 즐기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전투 후 지상에서 만난 간호사 케테 오터스도르프에게 호감을 느끼지만, 전쟁에 대한 그의 태도 때문에 초기에는 갈등을 겪는다.

리히트호펜은 뛰어난 전공을 세우며 독일 최고의 영예인 푸르 르 메리트 훈장을 받고 제11전투기 중대의 지휘관으로 임명된다. 붉은색으로 칠한 그의 전투기는 연합군에게 공포의 대상이 되어 '붉은 남작(레드 바론)'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그는 독일군의 전쟁 영웅으로 선전된다. 그러나 전쟁이 계속되면서 동생 로타르 폰 리히트호펜과의 갈등, 절친한 친구이자 동료 조종사인 유대인 프리드리히 슈테른베르크와 베르너 포스의 전사 등을 겪으며 전쟁의 참혹한 현실과 영웅으로 미화되는 자신의 모습에 점차 회의를 느끼기 시작한다.

과거 자신이 격추했던 캐나다 조종사 아서 로이 브라운 대위와 무인지대에서 우연히 재회하여 적대감 없이 대화를 나누기도 하고, 전투 중 머리에 중상을 입고 케테의 간호를 받으면서 그녀와 깊은 관계를 맺게 된다. 케테를 통해 야전 병원의 참혹한 현실을 목격한 리히트호펜은 전쟁 영웅이라는 자신의 존재가 오히려 더 많은 젊은이들을 죽음으로 내몰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깊은 고뇌에 빠진다.

독일군 상층부는 '영웅' 리히트호펜을 보호하고 선전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 그에게 후방 근무를 제안한다. 그러나 리히트호펜은 자신이 빌헬름 2세 황제와 군 수뇌부에 의해 전쟁 선전 도구로 이용당하고 있음을 깨닫고, 전쟁의 무의미함을 지적하며 제안을 거절한다. 전장의 동료들을 저버릴 수 없다는 책임감과 전쟁 자체에 대한 깊은 혐오감 사이에서 갈등하던 그는 결국 다시 전투기를 타고 전선으로 돌아가는 길을 선택한다.

1918년 4월 21일, 독일의 봄 공세가 한창일 때 리히트호펜은 마지막 출격에 나선다. 케테와의 슬픈 작별 인사를 나눈 후, 그는 솜 강 상공에서 영국군 항공기를 저공으로 추격하던 중 격추되어 전사한다. 그의 유해는 연합군에 의해 정중히 수습되어 매장된다. 시간이 흐른 뒤, 케테는 로이 브라운 대위의 도움을 받아 리히트호펜의 무덤을 찾아가고, 그곳에서 브라운이 남긴 "친구이자 적에게"라는 문구가 적힌 화환을 발견한다. 이는 과거 리히트호펜이 적에게 보냈던 경의와 같은 표현이었다.

2. 1. 1916년, 서부 전선

1916년, 제1차 세계 대전서부 전선에서 만프레트 폰 리히트호펜은 독일 제국 공군의 전투기 조종사로 복무하고 있었다. 그는 자신이 격추한 연합군 조종사의 장례식에 경의를 표하며 "친구이자 적"이라고 적힌 추모 화환을 보내기도 했다.

어느 날, 동료 조종사 베르너 포스, 프리드리히 슈테른베르크와 함께 비행 중, 로열 플라잉 군단 소속 라노 하커 대위가 이끄는 비행대와 마주쳐 교전하게 된다. 이 전투 후 리히트호펜은 캐나다 조종사 아서 로이 브라운을 격추시키고, 전과 확인을 위해 지상에 착륙한다. 그곳에서 그는 종군 간호사 케테 오터스도르프를 만나게 된다. 리히트호펜은 브라운을 비행기 잔해에서 구출하고 케테가 그의 다리 부상을 처치하는 것을 돕는다. 리히트호펜은 케테에게 호감을 느끼지만, 공중전을 마치 스포츠처럼 여기며 자신이 브라운을 격추했다고 아무렇지 않게 말하는 태도 때문에 케테로부터 반감을 사게 된다.

2. 2. 푸르 르 메리트 훈장과 비행대 지휘관 임명

라노 하커 대위를 격추한 공로를 인정받아, 리히트호펜은 1917년 1월 독일 제국 최고의 영예인 푸르 르 메리트 훈장을 수여받는다. 또한 상층부는 전군 사기 진작을 위한 '영웅'의 필요성에 따라 리히트호펜을 제11전투기 중대 지휘관으로 임명한다. 그의 동생 로타르 폰 리히트호펜도 이 부대에 합류한다. 리히트호펜은 부하들에게 불필요하게 적 조종사를 사살하지 말 것을 명령하지만, 동생 로타르가 이미 착륙을 강요받은 영국 조종사를 고의로 기총소사하여 살해하자 크게 실망한다.

2. 3. 로이 브라운과의 재회와 슈테른베르크의 죽음

나중에 공중전에서 리히트호펜은 간호사 케테 오터스도르프의 간호를 받은 후 독일 포로 수용소에서 탈출한 브라운 대위와 다시 마주친다. 둘은 각자의 비행기가 무인지대에 불시착하게 되면서 땅에서 재회한다. 그곳에서 그들은 적대감 없이 술을 나누며 이야기를 나눈다. 브라운은 전쟁이 끝날 때까지 다시는 만나지 않기를 바라며 헤어지기 전, 케테가 리히트호펜에게 호감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넌지시 알려준다.

기지로 돌아가는 길에 리히트호펜은 그의 절친한 친구이자 유대인 동료 조종사인 프리드리히 슈테른베르크가 격추되어 사망했다는 비보를 듣고 큰 충격에 빠진다. 그는 며칠 동안 슬픔을 감추지 못하고 방에서 나오기를 거부한다. 이를 본 동생 로타르는 격분하며 형에게 "지도자는 슬퍼할 여유가 없다"고 일깨운다.

2. 4. 부상과 케테와의 사랑

1917년 7월, 리히트호펜은 공중전 중 머리에 총상을 입는 중상을 당하고 불시착한다. 그는 간호사 케테 오터스도르프의 정성스러운 간호를 받게 된다. 회복 기간 동안 두 사람은 함께 저녁 식사를 하고 춤을 추는 등 가까워지며 서로에게 호감을 느낀다. 리히트호펜은 케테에게서 이전에 보지 못했던 순수한 면모를 발견한다.

그러나 리히트호펜이 자신을 간호하게 된 계기가 된 부상을 "최고"라고 무심코 말하자, 케테는 크게 분노한다. 케테는 리히트호펜을 야전 병원으로 데려가 전쟁의 참혹한 현실을 직접 보여준다. 그곳에는 영웅을 동경하며 전쟁에 나섰다가 중상을 입고 죽음만을 기다리는 젊은이들이 가득했다. 이 끔찍한 광경을 목격한 리히트호펜은 자신이 전쟁 영웅으로 미화되면서 더 많은 젊은이들을 죽음으로 내몰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큰 충격을 받는다.

어느 날 밤, 리히트호펜과 케테가 함께 있으려 할 때 연합군의 폭격을 받는다. 리히트호펜은 부하들과 함께 요격에 나서지만, 폭격 중 머리의 상처가 다시 벌어져 혼란을 겪는다. 이 과정에서 그는 자신의 제자 쿠르트 볼프가 전사하는 것을 목격하고 큰 슬픔과 분노에 휩싸인다. 전쟁의 비극성과 자신의 역할에 대한 리히트호펜의 내적 갈등은 깊어만 간다.

2. 5. 고뇌와 갈등

절친한 친구이자 유대인 조종사였던 프리드리히 슈테른베르크의 전사 소식은 리히트호펜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그는 며칠간 깊은 슬픔에 잠겨 방에서 나오지 않았고, 동생 로타르 폰 리히트호펜은 "지도자는 슬퍼할 여유가 없다"며 그를 다그쳐야 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리히트호펜은 공중전에서 머리에 중상을 입고 간호사 케테 오터스도르프의 간호를 받게 되었다. 회복 기간 동안 두 사람은 가까워지며 낭만적인 시간을 보내기도 했다. 그러나 리히트호펜이 싸움에서 벗어나게 해준 부상을 다행으로 여기는 듯한 말을 하자, 케테는 그를 야전 병원으로 데려가 전쟁의 참혹한 현실을 직면하게 했다. 그는 영웅을 동경하다 부상당하고 죽어가는 젊은 병사들의 모습을 보며, 자신이 전쟁의 상징이 되어 더 많은 희생을 부추기고 있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았다. 게다가 야전 병원에서는 "단지 젊은이"들이 천진난만하게 영웅을 동경하여 전쟁에 나가 중상을 입고 죽음만을 기다리고 있었다. 지옥과 같은 광경을 목격한 리히트호펜은 자신이 상징이 되어 희생을 늘리고 있다는 것을 깨닫고 강렬한 충격을 받았다.

이후 리히트호펜의 기지가 연합군의 폭격을 당하고, 그는 부상을 무릅쓰고 요격에 나섰다. 전투 중 상처가 다시 벌어지고 혼란을 겪는 와중에 제자 쿠르트 볼프의 죽음까지 목격하며 깊은 절망과 분노에 휩싸였다. 싸움은 점점 더 비참해져 갔다.

독일군 상층부는 '영웅' 리히트호펜의 명예를 지키기 위해 공군 전체를 지휘하는 후방 근무를 제안했다. 케테는 기뻐했지만, 리히트호펜은 자신이 빌헬름 2세 황제와 그의 장군들에 의해 전쟁 선전 도구로 이용당하고 있음을 깨닫고 회의감을 느꼈다. 그는 황제에게 무익한 전쟁을 멈추라고 주장하기도 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설상가상으로 가장 친한 친구이자 뛰어난 조종사였던 베르너 포스마저 전사하면서, 그의 비행대에는 경험 많은 조종사가 거의 남지 않게 되었다. 리히트호펜은 전쟁의 무의미함을 절감했다.

독일의 봄 공세를 앞두고 리히트호펜은 힌덴부르크 원수에게 전쟁에서 승리할 수 없음을 직언하지만, 힌덴부르크는 그의 말을 무시하고 전선 복귀를 명령했다. 전쟁에 대한 깊은 혐오감과 부하들에 대한 책임감 사이에서 고뇌하던 리히트호펜은 결국 다시 전투기를 타기로 결심했다.

케테는 안전한 후방 근무를 거절하고 다시 전장으로 향하는 리히트호펜을 찾아 이유를 물었다. 그는 자신이 상층부가 원하는 '불멸의 영웅' 역할을 계속하면서 동료들을 죽음으로 내몰 수는 없다며, 그들과 함께 싸우는 길을 택했다고 답했다. 그는 케테에게 "당신은 나의 가장 큰 승리"라는 말을 남겼다. 케테는 결과적으로 자신의 행동이 "단지 젊은이"였던 리히트호펜을 죽음의 구렁텅이로 몰아넣었다는 것을 깨닫고 충격을 받으면서도, 그의 무사를 기원하며 출격하는 그를 배웅했다.

2. 6. 마지막 출격과 죽음

독일 제국 상층부는 "영웅" 리히트호펜의 명예를 지키기 위해 그에게 지상직을 제안하지만, 그는 독일 황제에게 무익한 전쟁을 멈추라고 주장하여 불쾌감을 산 뒤 다시 전투 임무로 돌아가게 된다. 전선에서 벗어날 기회가 있었음에도 다시 싸우기로 결심한 리히트호펜을 찾아온 케테는 그 이유를 묻는다. 리히트호펜은 자신이 "베를린이 나에게 원하는 불멸의 신"이 되어 전장에 있는 동료 군인들을 배신할 수 없다고 답하며, 케테에게 "당신은 나의 가장 큰 승리입니다."라고 말한다. 그는 자신을 영웅으로 믿는 이들을 죽음으로 몰아넣는 대신, 그들과 함께 싸우고 죽는 길을 선택한다. 케테는 그의 결정에 충격을 받으면서도 무사를 기원하며 출격하는 리히트호펜을 배웅한다.

1918년 4월 21일, 리히트호펜은 케테와 시간을 보낸 후 영국 부대가 전선에 접근한다는 보고를 받고 잠에서 깬다. 그는 동료 조종사들과 잠시 이야기를 나누고, 동생 로타르와 함께 새로 합류한 경험 없는 사촌 볼프람에게 불필요한 위험을 피하라고 조언한다. 조종석에 오르기 전, 리히트호펜은 케테와 슬픈 미소를 주고받는다.

이 출격에서 리히트호펜은 프랑스 솜 강 코르비 근처 상공에서 영국군 항공기를 저공으로 추격하던 중 격추되어 전사한다. 그의 유해는 연합군에 의해 수습되어 군인으로서 예를 갖춰 매장되었다.

시간이 흐른 후, 케테는 로이 브라운 대위의 도움을 받아 연합군 측 전선 너머로 가서 리히트호펜의 무덤을 찾는다. 그녀는 더 일찍 오지 못한 것을 사과하며 그를 얼마나 사랑했는지 미처 말하지 못한 것을 후회한다. 그의 무덤에는 브라운 대위가 남긴 화환이 놓여 있었고, 거기에는 "만프레트 폰 리히트호펜, 친구이자 적에게"라는 문구가 적혀 있었다. 이는 과거 리히트호펜이 자신이 격추한 적 조종사의 장례식에 보냈던 화환의 문구와 같은 것이었다.

3. 등장인물

영화의 중심에는 제1차 세계 대전의 전설적인 독일 제국 공군 에이스 조종사 만프레트 폰 리히트호펜이 있다. 그는 서부 전선에서 활약하며 푸르 르 메리트 훈장을 받는 등 전쟁 영웅으로 떠오르지만, 동료들의 죽음과 전쟁의 참상을 목격하며 점차 내적 갈등을 겪는다.

그의 곁에는 간호사 케테 오터스도르프가 있다. 리히트호펜이 부상으로 치료받는 과정에서 만나 로맨틱한 관계로 발전하며, 그에게 전쟁의 비인간적인 면모를 직시하게 만드는 중요한 인물이다.

리히트호펜의 동생인 로타르 폰 리히트호펜 역시 전투기 조종사로 등장한다. 그는 형과 달리 냉철하고 때로는 무자비한 모습으로 전쟁에 임하며, 형의 고뇌와 대조를 이룬다.

리히트호펜의 동료 조종사로는 절친한 친구이자 경쟁자였던 베르너 포스와 유대인 조종사 프리드리히 슈테른베르크, 그리고 그의 제자 쿠르트 볼프 등이 등장한다. 이들은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희생되는 젊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적군인 왕립 비행대 소속의 캐나다 조종사 로이 브라운 대위는 리히트호펜과 여러 차례 마주치며 격전을 벌이지만, 불시착 후에는 서로 술을 나누는 등 적대 관계를 넘어선 기묘한 존중과 인간적인 교감을 나누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이 외에도 리히트호펜을 전쟁 영웅으로 이용하려는 빌헬름 2세 황제나 파울 폰 힌덴부르크 원수와 같은 독일 제국의 수뇌부 인물들이 등장하여, 개인의 의지와 국가적 요구 사이에서 고뇌하는 리히트호펜의 상황을 부각시킨다.

3. 1. 주연


  • 마티아스 슈와이거퍼 - 기병대장 만프레트 자유남작 폰 리히트호펜 역
  • 레나 헤디 - 간호사 케테 오터스도르프 역
  • 틸 슈와이거 - 중위 베르너 포스 역
  • 볼커 브루흐 - 대위 로타르 자유남작 폰 리히트호펜 역
  • 막심 메메트 - 중위 프리드리히 슈테른베르크 역
  • 하노 코플러 - 중위 로만 역
  • 티노 메베스 - 대위 쿠르트 볼프 역
  • 슈테펜 슈뢰더 - 대위 카를 보덴샤츠 역
  • 악셀 프랄 - 기병대 장군 에른스트 폰 회프너 역
  • 조셉 파인즈 - 대위 로이 브라운 역
  • 토마스 코우트니크 - 어린 만프레트 폰 리히트호펜 역
  • 토마스 이블 - 어린 로타르 폰 리히트호펜 역
  • 알베르트 프랑크 - 어린 볼프람 자유남작 폰 리히트호펜 역
  • 리하르트 크라지코 - 소령 라노에 호커 VC RFC 역
  • 루카스 프시카즈키 - 대위 슈테판 키르마이어 역
  • 기타 슈와이거퍼 - 쿠니군데 폰 리히트호펜 역
  • 브라니슬라프 홀리체크 - 중위 볼프람 자유남작 폰 리히트호펜 역
  • 줄리 엥겔브레히트 - 일제 폰 리히트호펜 역
  • 얀 브라삭 - 소령 알브레히트 자유남작 폰 리히트호펜 역
  • 루이제 베어 - 소피 역
  • 이레나 마코바 - 클라라 역
  • 로베르트 네브젠스키 - 펠트베벨 라우버 역
  • 랄프 미스케 - 멘츠케 역
  • 요세프 빈클라르 - 원수 파울 폰 힌덴부르크
  • 라디슬라프 프레이 - 빌헬름 2세
  • 파트리크 플레징거 - 하우프트만 뵈링 역
  • 이지 라슈토프카 - 대위 에른스트 우데트
  • 로스티슬라프 노박 - 대위 에리히 뢰벤하르트 역
  • 즈데네크 페차 - 중위 베르너 슈타인하우저 역
  • 이지 코우트 - 중위 에버하르트 모니케 역
  • 카르스텐 카이에 - 안토니 포커

3. 2. 조연

배우배역
막심 메메트중위 프리드리히 슈테른베르크
한노 코플러중위 로만
티노 메베스대위 쿠르트 볼프
슈테펜 슈뢰더대위 카를 보덴샤츠
악셀 프랄기병대 장군 에른스트 폰 회프너
토마스 코우트니크어린 만프레트 폰 리히트호펜
토마스 이블어린 로타르 폰 리히트호펜
알베르트 프랑크어린 볼프람 자유남작 폰 리히트호펜
리하르트 크라지코소령 라노에 호커 VC RFC
루카스 프시카즈키대위 슈테판 키르마이어
기타 슈와이거퍼쿠니군데 폰 리히트호펜
브라니슬라프 홀리체크중위 볼프람 자유남작 폰 리히트호펜
줄리 엥겔브레히트일제 폰 리히트호펜
얀 브라삭소령 알브레히트 자유남작 폰 리히트호펜
루이제 베어소피
이레나 마코바클라라
로베르트 네브젠스키펠트베벨 라우버
랄프 미스케멘츠케
요세프 빈클라르원수 파울 폰 힌덴부르크
라디슬라프 프레이빌헬름 2세
파트리크 플레징거하우프트만 뵈링
이지 라슈토프카대위 에른스트 우데트
로스티슬라프 노박대위 에리히 뢰벤하르트
즈데네크 페차중위 베르너 슈타인하우저
이지 코우트중위 에버하르트 모니케
카르스텐 카이에안토니 포커


4. 제작


  • 공동제작: 필립 슐즈-데일
  • 라인프로듀서: 스테판 바스
  • 세트: 페트라 클리멕


2006년 7월 10일부터 10월 3일까지 촬영이 진행되었으며, 촬영 장소는 체코프라하와 주변 지역, 프랑스, 그리고 독일바덴뷔르템베르크주 등이었다. 후반 작업에서 CGI는 픽소몬도(PIXOMONDO)에서 담당했다.[2]

국제 시장에서의 성공을 목표로, 독일인을 소재로 한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영어로 촬영되었다. 1800만유로의 예산이 투입되어, 당시 독일 영화 역사상 가장 많은 제작비를 들인 영화 중 하나였으나, 흥행에는 크게 실패한 작품으로 기록되었다.[3] 영화 제작 자금은 바덴뷔르템베르크주에 거주하는 개인 투자자들로부터 전액 조달되었으며, 감독 니콜라이 뮐러숀이 토마스 라이서, 롤란드 펠레그리노, 단 마그와 함께 설립한 슈투트가르트 기반의 영화 제작사 니아마 필름을 통해 모금되었다.[4]

개봉 첫 주에는 10만 명 미만의 관객을 동원하는 데 그쳐 흥행 순위 3위 안에 들지 못했다. 개봉 2주차에는 10위로 하락했고, 3주차에는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5]

5. 평가

''레드 바론''은 2008년 3월 31일 베를린에서 초연되었으며, 일주일 후 독일 영화관에서 개봉되었다. 그러나 전쟁 영웅 숭배가 금기시되는 독일 사회 분위기 속에서 상당한 논란을 일으켰다.[6] 영화 공개 초기 평가는 대체로 부정적이었으며, 특히 역사적 사실과 다른 부분이 많다는 점이 비판받았다. 리히트호펜과 케테 오터스도르프 사이의 허구적인 사랑 이야기는 사실적 근거가 거의 없다는 지적을 받았다. 베를린 초연 당시 반응은 냉담했으며, 한 관객은 영화에서 묘사된 리히트호펜의 전쟁에 대한 환멸감이 설득력 없다고 평가했다.[7]

영화에 대해 만프레트 폰 리히트호펜 남작의 조카는 "놀라운 영화"라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는 "어떻게든 전쟁 영화가 되지 않았다. 삼촌의 인격, 특히 사려 깊음이 사실적으로 그려졌다"고 덧붙였다.[8] 반면, 리히트호펜 전기 작가인 요아힘 카스탄은 영화 속 리히트호펜과 오터스도르프의 관계를 "완전한 헛소리"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카스탄은 "역사 속 리히트호펜은 제1차 세계 대전제임스 딘과 같은 존재였고 당시 우상이었지만, 여자와 관계를 가진 적이 없다. 술도 마시지 않았고 매춘 업소도 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리히트호펜이 때때로 적 조종사에게 관용을 베풀기도 했지만(예: 총이 고장 난 적기를 강제로 착륙시킨 뒤 악수하고 돌려보낸 일화), 다른 한편으로는 "냉혈한" 면모를 지녔으며 "주로 자신의 격추 기록에 관심이 있었고, 사람을 죽이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는 사실을 숨기려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8]

배우 티노 뮈스는 최고의 젊은 조연 배우 부문에, 마티아스 슈바이크회퍼는 최고의 젊은 배우 부문에 각각 운디네 어워드 후보로 지명되었다.[9]

6. 기타


  • 공동제작: 필립 슐즈-데일
  • 라인프로듀서: 스테판 바스
  • 세트: 페트라 클리멕

참조

[1] 뉴스 German pic tracks career of flying ace; Warner flies with 'Baron'. https://www.variety.[...] Variety 2007-02-06
[2] 웹사이트 Der Rote Baron (2006). http://www.crew-unit[...] 2017-06-30
[3] 서적 Beck 2016, p. 166.
[4] 웹사이트 Trivia: 'The Red Baron'. https://www.imdb.com[...] 2017-06-30
[5] 웹사이트 The Red Baron. https://www.boxoffic[...] 2017-06-30
[6] 뉴스 Red Baron: Film breaks war hero taboos. http://www.dw-world.[...] dw-world 2017-06-30
[7] 뉴스 Film review: 'The Red Baron'. https://www.hollywoo[...] Hollywood Reporter 2017-06-30
[8] 간행물 (Don't) Curse You, Red Baron! http://content.time.[...] 2008-04-04
[9] 웹사이트 Awards: 'The Red Baron'. https://www.imdb.com[...] 2017-06-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