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는 1404년 제노바에서 태어난 이탈리아의 르네상스 시대의 건축가, 예술 이론가, 작가, 암호학자이다. 그는 회화, 조각, 건축에 대한 혁신적인 이론을 제시했으며, 저서 『회화론』과 『건축론』을 통해 르네상스 예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다중 알파벳 암호의 초기 형태인 알베르티 암호를 발명하는 등 과학 분야에서도 업적을 남겼다. 알베르티는 뛰어난 인문학적 소양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르네상스 시대를 대표하는 만능인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언어학자 - 마리아 아녜시
    마리아 가에타나 아녜시는 18세기 이탈리아의 수학자이자 철학자로, 미적분학 교과서를 출판하여 유럽에 영향을 미치고 "아녜시의 마녀" 곡선으로 알려졌으며, 아버지 사망 후에는 가난한 이들을 위해 헌신했다.
  • 이탈리아의 언어학자 - 주세페 페아노
    이탈리아의 수학자 주세페 페아노는 수리논리학, 집합론, 수학 기초론에 기여했으며, 페아노 공리, 페아노 곡선, 합집합/교집합 기호 도입, 《포뮬러리오 마테마티코》 편찬, "라틴어 변화 없음" 제안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
  • 15세기 조각가 - 안드레아 델 베로키오
    안드레아 델 베로키오는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의 조각가이자 화가이며 레오나르도 다 빈치를 포함한 거장들을 양성한 교육자로, 메디치 가문의 후원 아래 피렌체에서 활동하며 바르톨로메오 콜레오니 기마상과 《그리스도의 세례》 등의 대표작을 남겼다.
  • 15세기 조각가 - 레오나르도 다 빈치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의 다재다능한 천재로, 미술, 과학, 기술 등 여러 분야에서 혁신적인 업적을 남겼으며, 특히 《최후의 만찬》, 《모나리자》와 같은 걸작 회화로 유명하다.
  • 1404년 출생 - 야마나 소젠
    야마나 소젠은 1404년에 태어나 1473년에 사망한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으로, 야마나 씨의 가독을 상속받아 세력을 키우고 교토의 치안을 담당했으며, 호소카와 가쓰모토와 대립하여 오닌의 난을 일으킨 인물이다.
  • 1404년 출생 - 정선공주
    태종과 원경왕후의 막내딸인 정선공주는 의산군 남휘에게 시집가 1남 1녀를 두었으나 젊은 나이에 사망하였고, 손자인 남이는 세조의 총애를 받았지만 역모죄로 처형당했으며, 외손자인 신숙회는 영의정을 지내는 등 후손들이 조선 사회에 영향을 미쳤다.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알베르티의 자화상으로 추정
알베르티의 자화상으로 추정
원어 이름Leon Battista Alberti
로마자 표기Le'on Batt'ista Alb'erti
출생일1404년 2월 14일
출생지제노바, 제노바 공화국
사망일1472년 4월 25일
사망지로마, 교황령
국적이탈리아
분야건축학
언어학
사조이탈리아 르네상스
대표 작품템피오 말라테스티아노
팔라초 루첼라이
산타 마리아 노벨라 성당
산탄드레아 대성당
기타
참고 문헌Leeuw, Karl Maria Michael de; Bergstra, Jan (2007년 8월 28일). The History of Information Security: A Comprehensive Handbook. Elsevier. p. 283. ISBN 978-0-08-055058-9.
Holden, Joshua (2018년 10월 2일). The Mathematics of Secrets: Cryptography from Caesar Ciphers to Digital Encryp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56. ISBN 978-0-691-18331-2.
Williams, Kim (2010년 8월 27일). The Mathematical Works of Leon Battista Alberti. Birkhauser Verlag AG. p. 1. ISBN 978-3-0346-0473-4.
Norwich, John Julius (1990). Oxford Illustrated Encyclopedia Of The Arts. Oxford University Press. p. 11. ISBN 978-0198691372.

2. 생애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는 1404년 제노바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부유한 피렌체 사람이었으나, 고향에서 추방당했다가 1428년에 귀환 허가를 받았다. 알베르티는 파도바의 기숙학교를 거쳐 볼로냐에서 법학을 공부했고,[6][7] 1431년 로마로 가서 성직에 서임되어 교황청에 들어갔다.[8] 고대 로마 건축 유적을 연구하며 건축에 대한 관심을 키웠는데, 이는 훗날 그의 설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8]

알베르티 가문은 피렌체에서 은행업을 하는 유력한 상인 귀족이었으나, 교황파였기 때문에 황제파와의 항쟁으로 1387년 국외로 추방되었다.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는 망명지 제노바에서 태어나 1414년 베네치아로 이주했다. 파도바에서 고전학과 수학을 배우며 영재 교육을 받았고, 1421년 볼로냐 대학교에 진학하여 1428년 교회법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1432년 교황청 서기관이 될 때까지 유럽을 여행했다.

1428년 알베르티 가문에 대한 추방 명령이 해제되면서 피렌체를 방문했고, 1434년 에우제니오 4세와 함께 다시 방문하여 필리포 브루넬레스키, 도나텔로, 마사초와 친분을 맺었다.

1432년경 로마로 이주하여 교황청 기념물 감독관이 되었다. 에우제니오 4세는 베르나르도 로셀리노에게 알베르티의 자문을 구하도록 지시하였고, 1453년부터 아쿠아 베르지네 수로 복구와 트레비 분수 건설을 맡았다.

교황청에서 알베르티는 비트루비우스의 『건축론(De architectura)』에 주목하여 1451년까지 『건축론(De re aedificatoria)』을 완성했다.[27] 이 책은 1485년 피렌체에서 출판되었다.

1446년 피렌체의 루첼라이 궁전(Palazzo Rucellai) 정면 설계는 그의 첫 번째 주요 건축 의뢰였다. 1450년 시기스몬도 말라테스타(Sigismondo Malatesta)의 의뢰로 리미니(Rimini)의 산 프란체스코(San Francesco) 고딕 양식 교회를 말라테스타 성당(Tempio Malatestiano)으로 개조하는 작업을 맡았다.[8]

1459년 비오 2세를 따라 만토바를 방문했고, 1470년 다시 만토바를 방문하여 산 세바스티아노 성당과 산탄드레아 성당 설계를 맡았다.

1471년 만토바에 머물렀으나, 1472년 로마에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필리피노 리피(Filippino Lippi)가 그린 알베르티의 초상화. 브란카치 예배당(Brancacci Chapel)에 있으며, 마사치오(Masaccio)의 그림 ''테오필루스의 아들 부활과 옥좌에 앉은 성 베드로''의 완성작으로 여겨진다.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Leon Battista Alberti)는 1404년 제노바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비안카 피에스키(Bianca Fieschi)였고, 아버지 로렌초 디 베네데토 알베르티(Lorenzo di Benedetto Alberti)는 부유한 피렌체 사람이었으나, 고향에서 추방당했다가 1428년에 귀환 허가를 받았다. 알베르티는 파도바의 기숙학교를 거쳐 볼로냐에서 법학을 공부했다.[6][7] 1431년에는 로마로 가서 성직에 서임되었고 교황청에 들어갔다.[8] 그는 고대 로마 건축 유적을 연구하며 건축에 대한 관심을 키웠고, 이는 훗날 그의 설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8]

알베르티는 키가 크고 힘이 센 훌륭한 운동선수였으며, 가장 사나운 말도 다룰 줄 알았고 사람의 머리 위로 뛰어넘을 수도 있을 정도로 다재다능했다.[19] 어린 시절부터 작가로서 두각을 나타냈으며, 스무 살이 되기 전에 쓴 희곡은 고전 문학의 진품으로 인정받기도 했다.[7]

알베르티 가문은 피렌체에서 은행업을 하는 유력한 상인 귀족이었으나, 교황파(Guelf)에 속했기 때문에 황제파(Ghibelline)와의 항쟁으로 1387년에 국외로 추방되었다.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는 로렌초 알베르티(Lorenzo Alberti)의 서자(庶子)로서 망명지 제노바에서 태어나, 1414년에는 베네치아로 이주했다. 그는 파도바에서 고전학과 수학을 배우며 영재 교육을 받았고, 1421년 볼로냐 대학교에 진학하여 1428년에 교회법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1432년 교황청 서기관이 될 때까지 유럽을 여행했다.

1428년 알베르티 가문에 대한 추방 명령이 해제되면서 피렌체를 방문했고, 1434년에는 에우제니오 4세와 함께 다시 방문하여 필리포 브루넬레스키, 도나텔로, 마사초와 친분을 맺었다.

2. 2. 로마와 교황청

1432년경 로마로 이주하여, 절친한 친구였던 플라비오 비온도의 주선으로 교황청의 기념물 감독관이 되었다. 에우제니오 4세는 이미 건축 사업 고문이었던 베르나르도 로셀리노에게 알베르티의 자문을 구하도록 지시하였고, 1453년부터 단속적으로 아쿠아 베르지네 수로 복구와 트레비 분수 건설을 맡았다. 그러나 트레비 분수는 1732년부터 전면적으로 개수되었기 때문에, 그들의 작품을 볼 수는 없다.

교황청에서 알베르티는 키케로 등 고대 로마 시대의 인문학에 심취했다. 특히 그의 눈길을 사로잡은 것은 비트루비우스의 『건축론(De architectura)』이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알베르티는 그 책에 쓰여 있는 인체 비례와 건축 비례 이론에 주목하여, 이를 기반으로 1451년까지 저서 『건축론(De re aedificatoria)』을 완성했다.[27] 그는 이 논고를 죽을 때까지 수정하였고, 1485년 피렌체에서 출판되었다(원본과 초판 모두 라틴어이다. 이탈리아어 번역본은 1546년 베네치아에서 출판되었다).
''De re aedificatoria''


알베르티는 피렌체의 유력한 상인이었던 조반니 디 파올로 루첼라이와 친분이 있었고, 1446년에 착공된 루첼라이 궁전(Palazzo Rucellai)의 설계를 맡았다. 이것은 전면적으로 오더를 사용한 최초의 사례이며, 파사드는 분명히 로마의 콜로세움을 참고하고 있다.

이후 그는 루카 델라 로비아와 함께 리미니시지스몬도 판돌포 말라테스타 공작의 초청을 받아, 1446년 10월 31일에 산 프란체스코 성당(리미니)을 개조하여 템피오 말라테스티아노로 만드는 공사가 착공되었다(이는 시지스몬도 말라테스타 공작의 실각과 죽음으로 인해 미완으로 끝났다).

2. 3. 피렌체와 르네상스

1446년 피렌체의 루첼라이 궁전(Palazzo Rucellai) 정면 설계는 그의 첫 번째 주요 건축 의뢰였다. 1450년 시기스몬도 말라테스타(Sigismondo Malatesta)의 의뢰로 리미니(Rimini)에 있는 산 프란체스코(San Francesco) 고딕 양식 교회를 말라테스타 성당(Tempio Malatestiano)이라는 기념 예배당으로 개조하는 작업을 맡았다.[8] 피렌체에서 그는 산타 마리아 노벨라 도미니크 수도원 교회 정면 상부를 설계하여, 두 개의 화려하게 세공된 장식 스크롤로 신랑과 측랑을 연결하는 독창적인 해결책을 제시했는데, 이는 이후 400년 동안 교회 건축가들에게 모범이 되었다.[9]

루첼라이 궁전(Palazzo Rucellai)


1459년 비오 2세를 따라 만토바를 방문했고, 1470년 다시 만토바를 방문하여 산 세바스티아노 성당(만토바, 1459년~[29])과 산탄드레아 성당(만토바, 1472년~) 두 교회의 설계를 맡았다.

파올로 우첼로로부터 산타 마리아 노벨라 성당 정면 설계를 의뢰받고 피렌체로 돌아왔다. 알베르티는 정사각형의 조합과 단순한 비례 관계를 구축하여 전체가 대리석으로 된 파사드를 설계했지만, 이것이 완성된 것은 그의 사후인 1477년이다. 1460년 피렌체에서 미켈로초 디 바르톨로메오의 설계에 따른 산티시마 안눈치아타 성당 건축을 이어받아 후진 부분 설계에도 참여했다.

2. 4. 만토바와 후기 활동

알베르티는 만토바에 있는 두 개의 교회, 즉 완공되지 않아 그의 의도를 추측할 수밖에 없는 산 세바스티아노(San Sebastiano (Mantua)) 교회와 산탄드레아 성당을 설계하였다. 산탄드레아 성당 설계는 알베르티 사망 전 해인 1471년에 완성되었고, 건축은 그의 사후에 완료되었으며 그의 가장 중요한 작품으로 여겨진다.[9]

1471년에도 만토바에 머물렀으나, 로마로 돌아온 1472년에 사망했다. 그는 친절하고 예의 바르며 신사적이었기에 생애 내내 존경받았다.

3. 사상과 업적

알베르티는 여러 분야에 걸쳐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 그는 수학을 예술과 과학의 기초로 여겼으며, 브루넬레스키에게 헌정한 저서 『회화론(Della Pittura)』에서 "나의 설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나는 먼저 나의 주제와 관련된 것들을 수학자들에게서 빌려올 것이다."[11]라고 시작했다. 『회화론(Della Pittura)』은 고전적인 광학 연구에 의존하여 예술적 및 건축적 표현에서 원근법에 접근했으며, 알하젠의 『광학서』의 전통과 연결되어 있다.[12]

알베르티는 『회화론(Della Pittura)』과 『조각론(De statua)』에서 "모든 학습 단계는 자연에서 찾아야 한다"[13]고 강조했다. 그는 예술가가 자연을 객관적으로 모방하는 것을 넘어 아름다움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보았으며, "회화에서 아름다움은 즐겁고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13] 알베르티에게 아름다움은 "서로에 대한 모든 부분의 조화"였고, "이러한 조화는 조화가 요구하는 특정한 수, 비율 및 배열에서 실현된다"는 것이었다.

그는 사람, 동물, 건물의 집적이 서로 조화를 이루는 "히스토리아(historia)" 이론을 창시했으며, 『회화론(De pictura)』(1435년)에서 이를 설명했다. 이 책에는 원근법에 대한 최초의 과학적 연구가 담겨 있다.

알베르티는 건축에 관한 영향력 있는 저서 건축론la을 저술했는데, 이 책은 16세기까지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영어로 번역되었다.

산타 마리아 노벨라 성당(Santa Maria Novella)의 상층


산타 마리아 노벨라 성당의 거대한 두루마리 중 하나


그는 기이한 판타지 소설인 『폴리필리의 꿈』의 저자 또는 일러스트레이션 디자이너로 여겨지기도 한다.[22] 예술에 관한 논문 외에도 『필로독수스(Philodoxus)』, 『문학의 장점과 단점에 관하여(De commodis litterarum atque incommodis)』, 『인터코에날레스(Intercoenales)』, 『가족에 관하여(Della famiglia)』, 『성 포티투스의 생애(Vita S. Potiti)』, 『법에 관하여(De iure)』, 『테오게니우스(Theogenius)』, 『정신적 고통으로부터의 피난처(Profugorium ab aerumna)』, 『모무스(Momus)』, 『군주론(De Iciarchia)』을 저술했다.

알베르티는 알베르티 암호(Alberti cipher)로 알려진 최초의 다중알파벳 암호(polyalphabetic cipher)와 암호 원반을 사용한 기계 보조 암호화를 발명한 뛰어난 암호학자였다. 데이비드 카한은 그를 "서구 암호학의 아버지"라고 불렀다.

알베르티는 1450년경에 판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풍압을 측정하는 풍속계(swinging-plate anemometer)를 고안하여, 최초로 풍력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기구를 만들었다.[30] 또한 그는 가장 오래된 습도계도 만들었는데, 1452년에 「건축론(De re aedificatoria libri decem)」에 기록된 것으로, 해면(스폰지)이 젖으면 무게가 변하는 것을 이용했다.[30]

3. 1. 인문주의와 예술 이론

알베르티는 고대 작품에서 영감을 받아 이를 현대에 접목하고자 노력했다. 그는 조각의 궁극적인 목적이 자연을 닮는 것이라고 보았다. 조각가는 보편적 균형과 개별 사물의 균형에 대한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조각가와 모형제작자의 개념을 분리하여 재료를 첨가하거나 떼어내는 과정을 통한 창조 개념을 제시했는데, 이는 르네상스 시대 예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8]

그의 첫 주요 건축 의뢰는 1446년 피렌체의 루첼라이 궁전(Palazzo Rucellai) 정면 설계였다. 1450년에는 시기스몬도 말라테스타의 의뢰로 리미니의 산 프란체스코 고딕 양식 교회를 말라테스타 성당(Tempio Malatestiano)이라는 기념 예배당으로 개조했다.[8] 피렌체에서는 산타 마리아 노벨라 도미니크 수도원 교회 정면 상부를 설계하여, 두 개의 장식 스크롤로 신랑과 측랑을 연결하는 독창적인 해결책을 제시했고, 이는 이후 400년 동안 교회 건축가들에게 모범이 되었다.[9]

1452년에는 비트루비우스의 업적을 바탕으로 고대 로마 건축물의 영향을 받아 『건축론(De re aedificatoria)』을 완성했다. 이 책은 1485년에 출판되었다. 1464년에는 조각에 대한 논문인 『조각론(De statua)』을 저술했다.[8] 알베르티의 유일하게 알려진 조각 작품은 셀프 포트레이트 메달리온이다.

알베르티는 만토바에 있는 산 세바스티아노 교회와 산탄드레아 성당을 설계했다. 산탄드레아 성당 설계는 알베르티 사망 전 해인 1471년에 완성되었고, 건축은 그의 사후에 완료되었으며 그의 가장 중요한 작품으로 여겨진다.[9]

알베르티는 아리스토텔레스와 플로티누스를 연구한 인문주의자였다. 그는 귀족들의 후원을 받던 지식인 및 예술가 집단의 일원이었다. 귀족 가문 출신이자 로마 쿠리아의 일원으로서 알베르티는 특별한 지위를 누렸다. 그는 페라라의 에스테 가문 궁정의 손님이었으며, 우르비노의 군주 페데리코 3세 다 몬테펠트로와도 시간을 보냈다. 알베르티는 건축에 관한 자신의 논문을 페데리코 3세 다 몬테펠트로에게 헌정할 계획이었다.[19]

알베르티는 암호화에 관한 에세이인 『암호 작성법(De componendis cifris)』과 최초의 이탈리아어 문법을 연구했다. 그는 피렌체의 지리학자 파올로 토스카넬리와 함께 천문학 연구에 협력했다. 그는 또한 로마 도시에 관한 라틴어 저술인 『로마 도시의 전경(Descriptio urbis Romae)』을 저술했다. 알베르티는 사망하기 몇 년 전에 메디치 가문 통치 시대의 피렌체를 배경으로 한 대화 형식의 저서 『가정 통치에 관하여(De iciarchia)』를 완성했다.

알베르티는 성직에 들어갔고 결혼하지 않았다. 그는 동물을 사랑했고 잡종견을 애완견으로 키웠으며, 이에 관해 찬사를 담은 글(『개(Canis)』)을 쓰기도 했다.[19] 조르조 바사리는 알베르티를 "훌륭한 시민이자 교양 있는 사람... 재능 있는 사람들의 친구이며, 모든 사람에게 열린 마음과 예의 바른 태도를 가진 사람. 그는 항상 명예롭게, 신사다운 삶을 살았다"라고 묘사했다.[10]

알베르티는 수학을 예술과 과학의 기초로 여겼다. 그는 브루넬레스키에게 헌정한 그의 저서 『회화론(Della Pittura)』에서 "나의 설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나는 먼저 나의 주제와 관련된 것들을 수학자들에게서 빌려올 것이다."[11]라고 시작했다.

『회화론(Della Pittura)』은 고전적인 광학 연구에 의존하여 예술적 및 건축적 표현에서 원근법에 접근했다. 알베르티는 당대 과학에 정통했다. 그의 광학에 대한 지식은 아랍의 알하젠의 『광학서』의 전통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로저 베이컨, 존 펙험, 비텔로와 같은 학자들의 『원근법』(Perspectivae) 전통을 통해 전해졌다.[12]

자코모 레오니가 번역한 알베르티의 『건축론』(De Re Aedificatoria, 1452) 초판의 영어 제목 페이지


알베르티는 『회화론(Della Pittura)』과 『조각론(De statua)』에서 "모든 학습 단계는 자연에서 찾아야 한다"[13]고 강조했다. 예술가의 궁극적인 목표는 자연을 모방하는 것이다. 화가와 조각가는 "서로 다른 기술을 통해, 즉 그들이 착수한 작품이 관찰자에게 자연의 실제 사물과 최대한 유사하게 보이도록 하는 동일한 목표를 위해 노력한다."[13] 그러나 알베르티는 예술가가 있는 그대로 객관적으로 자연을 모방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 것이 아니라, 예술가는 특히 아름다움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왜냐하면 "회화에서 아름다움은 즐겁고 필요하기 때문"이다.[13] 알베르티에 따르면 예술 작품은 전체의 아름다움을 손상시키지 않고 그 어떤 것도 제거하거나 추가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알베르티에게 아름다움은 "서로에 대한 모든 부분의 조화"였고, 그 결과 "이러한 조화는 조화가 요구하는 특정한 수, 비율 및 배열에서 실현된다".

로마에서 알베르티는 고대 유적, 유적지 및 예술을 연구하는 데 상당한 시간을 보냈다. 그의 상세한 관찰은 건축론la(1452)[14]에 포함되어 있으며, 비트루비우스가 쓴 논문 『건축론』(De architectura)에서 영감을 받았다. 알베르티의 저서는 르네상스 최초의 건축 논문이었다. 역사에서 도시 계획, 공학에서 미학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주제를 다루었다. 건축론la은 크고 비싼 책이었으며 1485년까지 출판되지 않았는데, 그 후 건축가들에게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되었다.[15] 그러나 알베르티의 말처럼 이 책은 "장인뿐만 아니라 고귀한 예술에 관심 있는 모든 사람을 위해" 쓰였다.[14]

알베르티는 교육, 결혼, 가정 관리 및 돈에 대해 논의한 『가정의 책』(I Libri della famiglia)을 토스카나 방언으로 썼다. 이 작품은 1843년까지 인쇄되지 않았다. 에라스무스처럼 알베르티는 교육 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아주 어린 아이들을 돌보는 것은 유모 또는 어머니의 일이며", 가능한 한 어린 나이에 아이들에게 알파벳을 가르쳐야 한다고 지적했다.[13]

1443년과 1450년 사이에 쓰여진 『모무스』(Momus)는 올림푸스 신들에 관한 희극이었다. 이것은 열쇠소설로 여겨져 왔는데, 주피터는 일부 자료에서 교황 에우제니우스 4세와 교황 니콜라스 5세로 확인되었다. 알베르티는 루키아누스의 많은 등장인물을 빌려왔다. 그의 영웅 모무스의 이름은 비난이나 비판을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다.

조르조 바사리는 예술의 역사적 발전이 미켈란젤로에서 정점에 달했다고 주장하면서, 알베르티의 예술적 재능이 아닌 학문적 업적을 강조했다. "그는 세상에 대해 알아내고 고대 유물의 비례를 연구하는 데 시간을 보냈습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그의 타고난 천재성을 따라 그는 응용 작업보다는 글쓰기에 집중했습니다."[10] 《회화론》에서 알베르티는 "우리 화가들"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지만, 화가나 조각가로서 그는 아마추어였다. 바사리는 "알베르티는 회화에서 어떤 중요하거나 아름다운 것도 이루지 못했습니다"라고 썼다.[10] 야코프 부르크하르트는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문화》에서 알베르티를 진정한 만능 천재로 묘사했다.[19]

알베르티는 루도비코 곤차가의 귀에 속삭이는 어두운 붉은색 옷을 입은 나이 든 남자로 스포자의 방(Camera degli Sposi)에 있는 만테냐의 프레스코화에 등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0] 알베르티의 자화상인 큰 플라케트에서 그는 로마인으로 옷을 입고 있다. 그의 옆모습 왼쪽에는 날개 달린 눈이 있다. 뒷면에는 베르길리우스의 《목가》에서 가져온 질문인 "그럼 뭐 어때?"(Quid tum?)가 적혀 있다.[21]

말테스티아노 성당(Tempio Malatestiano) 정면의 세부 묘사


알베르티는 여러 분야에 걸쳐 다양한 공헌을 했다.

  • 알베르티는 "히스토리아(historia)"라는 이론을 창시했다. 그의 저서 『회화론』(1435년)에서 그는 사람, 동물, 건물의 집적이 서로 조화를 이루는 이론을 설명한다. 『회화론』에는 투시도법에 대한 최초의 과학적 연구가 담겨 있다.
  • 알베르티는 그의 예술 논문을 통해 새로운 인문주의적 예술 이론을 제시했다. 그는 브루넬레스키, 도나텔로, 기베르티와 같은 초기 콰트로첸토 시대 예술가들과의 교류를 바탕으로 르네상스 예술가들을 위한 실용적인 안내서를 제공했다.
  • 알베르티는 건축에 관한 영향력 있는 저서인 건축론la을 저술했는데, 이 책은 16세기까지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영어로 번역되었다. 영어 번역본은 18세기 초 자코모 레오니(Giacomo Leoni)에 의해 출판되었다.
  • 알베르티의 회화와 건축에 관한 논문은 새로운 형태의 예술의 기초가 되는 텍스트로 찬사를 받았지만, 그의 생애 동안 실제로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는 알 수 없다. 그의 양식적 이상은 만테냐,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Piero della Francesca), 프라 안젤리코(Fra Angelico)의 작품에서 실현되었다.
  • 그는 숙련된 라틴어 시인이었다. 그가 20세에 쓴 희극인 『필로독시우스(Philodoxius)』는 나중에 알두스 마누티우스(Aldus Manutius)를 속여 '레피두스 코미쿠스(Lepidus Comicus)'의 진짜 작품으로 편집하고 출판하게 했다.

  • 그는 기이한 판타지 소설인 『폴리필리의 꿈』의 저자 또는 일러스트레이션 디자이너로 여겨진다.[22]
  • 예술에 관한 논문 외에도 알베르티는 『필로독수스(Philodoxus)』, 『문학의 장점과 단점에 관하여(De commodis litterarum atque incommodis)』, 『인터코에날레스(Intercoenales)』, 『가족에 관하여(Della famiglia)』, 『성 포티투스의 생애(Vita S. Potiti)』, 『법에 관하여(De iure)』, 『테오게니우스(Theogenius)』, 『정신적 고통으로부터의 피난처(Profugorium ab aerumna)』, 『모무스(Momus)』, 『군주론(De Iciarchia)』을 저술했다.
  • 알베르티는 당시 기준으로 뛰어난 암호학자였으며, 알베르티 암호(Alberti cipher)로 알려진 최초의 다중알파벳 암호(polyalphabetic cipher)와 그의 암호 원반을 사용한 기계 보조 암호화를 발명했다. 데이비드 카한은 그를 "서구 암호학의 아버지"라고 불렀다.
  • 알베르티는 라틴어로 1438년경에 쓴 짧은 자서전에서 "두 발을 모으고 사람의 머리 위로 뛰어넘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 알베르티는 그의 "자서전"에서 뛰어난 음악가이자 오르가니스트라고 주장했지만, 이를 뒷받침할 확실한 증거는 없다. 그는 피렌체의 대성당인 교회의 대성당장을 역임했다.
  • 그는 지도 제작에 관심이 있었고 파올로 토스카넬리(Paolo Toscanelli)와 함께 일했다.
  • 미학 분야에서 알베르티는 자연의 모방으로서 예술을 정의한 것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그것은 자연에서 가장 아름다운 부분을 선택하는 것과 같습니다.[23]

3. 2. 회화론과 원근법

알베르티는 브루넬레스키에게 헌정한 저서 『회화론』(Della Pittura, On Painting)에서 "이 회화에 관한 간략한 논평을 서술함에 있어 나의 설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나는 먼저 나의 주제와 관련된 것들을 수학자들에게서 빌려올 것이다."[11]라고 시작하며, 수학을 예술과 과학의 기초로 여겼다.

『회화론』(라틴어로는 『회화에 관하여』(De Pictura)로도 알려짐)은 고전적인 광학 연구에 의존하여 예술적 및 건축적 표현에서 원근법에 접근했다. 알베르티는 당대 과학에 정통했으며, 그의 광학에 대한 지식은 아랍의 박학다식한 인물 알하젠(이븐 알하이삼)의 『광학서』(Kitab al-manazir, The Optics; De aspectibus)의 전통과 연결되어 있다.[12] 이는 13세기 프란체스코회 광학 작업장의 로저 베이컨, 존 펙험, 비텔로와 같은 학자들의 『원근법』(Perspectivae) 전통을 통해 전해졌으며, 로렌초 기베르티의 세 번째 논평 『세 번째 논평』(Commentario terzo)에서도 유사한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12]

알베르티는 『회화론』(1435년)에서 사람, 동물, 건물의 집적이 서로 조화를 이루고 "교양 있는 관람객과 교양 없는 관람객 모두의 시선을 오랫동안 즐거움과 감동으로 사로잡는" 이론인 "히스토리아(historia)"를 설명한다. 또한 이 책에는 원근법에 대한 최초의 과학적 연구가 담겨 있다. 『회화론』의 이탈리아어 번역본(『Della pittura』)은 원본 라틴어판이 출판된 지 1년 후인 1436년에 출판되었으며, 서문에서 필리포 브루넬레스키에게 바쳐졌다.

3. 3. 건축론과 조화

알베르티는 건축에 관한 영향력 있는 저서 건축론la을 저술했는데, 이 책은 16세기까지 이탈리아어(코시모 바르톨리(Cosimo Bartoli) 번역), 프랑스어, 스페인어, 영어로 번역되었다.[19] 영어 번역본은 18세기 초 자코모 레오니(Giacomo Leoni)에 의해 출판되었다.[19] 현재는 새로운 번역본들이 출판되고 있다.

알베르티의 회화와 건축에 관한 논문은 고딕 양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형태의 예술의 기초가 되는 텍스트로 찬사를 받았지만, 그의 생애 동안 실제로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는 알 수 없다.[19] 그의 양식적 이상은 만테냐,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Piero della Francesca), 프라 안젤리코(Fra Angelico)의 작품에서 실현되었다.[19] 그러나 알베르티가 이러한 혁신에 얼마나 기여했는지, 아니면 단지 그가 실제 경험으로 친숙해진 예술 운동의 경향을 설명했을 뿐인지는 알 수 없다.[19]

보르시는 알베르티의 건축에 관한 저술이 현대 건축에 계속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한다.[24] "라이트의 유기체주의와 자연 숭배, 반 데어 미스의 깔끔한 고전주의, 르 코르뷔지에의 규제적 윤곽과 인간 중심적이고 조화롭고 모듈식 시스템, 그리고 칸의 '고대' 부활은 모두 알베르티의 영향을 현대 건축에서 추적하려는 시도를 유혹하는 요소이다."[24]

알베르티는 고대 로마 시대의 인문학, 특히 비트루비우스(Vitruvius)의 『건축론(De architectura)』에 쓰여 있는 인체 비례와 건축 비례 이론에 주목하여, 이를 기반으로 1451년까지 저서 『건축론(De re aedificatoria)』을 완성했다.[27] 그는 이 논고를 죽을 때까지 수정하였고, 1485년 피렌체에서 출판되었다(원본과 초판 모두 라틴어이며, 이탈리아어 번역본은 1546년 베네치아에서 출판되었다).[27]

3. 4. 암호학과 과학

알베르티는 수학을 예술과 과학의 기초로 여겼다. 그는 브루넬레스키에게 헌정한 저서 『회화론』(Della Pittura)에서 "이 회화에 관한 간략한 논평을 서술함에 있어 나의 설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나는 먼저 나의 주제와 관련된 것들을 수학자들에게서 빌려올 것이다."[11]라고 시작했다. 『회화론』은 고전적인 광학 연구에 의존하여 예술적 및 건축적 표현에서 원근법에 접근했다. 알베르티는 당대 과학에 정통했으며, 광학에 대한 그의 지식은 아랍의 박학다식한 인물 알하젠(이븐 알하이삼)의 『광학서』의 전통과 연결되어 있다.[12]

알베르티는 『회화론』과 『조각론』(De statua) 모두에서 "모든 학습 단계는 자연에서 찾아야 한다"[13]고 강조했다. 그는 예술가가 자연을 객관적으로 모방하는 것을 넘어 아름다움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보았으며, "회화에서 아름다움은 즐겁고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13] 알베르티에게 아름다움은 "서로에 대한 모든 부분의 조화"였고, "이러한 조화는 조화가 요구하는 특정한 수, 비율 및 배열에서 실현된다"는 것이었다.

그는 기이한 판타지 소설인 『폴리필리의 꿈』의 저자 또는 일러스트레이션 디자이너로 여겨지기도 한다.[22]

알베르티는 당시 기준으로 뛰어난 암호학자였으며, 현재 알베르티 암호(Alberti cipher)로 알려진 최초의 다중알파벳 암호(polyalphabetic cipher)와 그의 암호 원반을 사용한 기계 보조 암호화를 발명했다. 암호학 역사가 데이비드 카한은 그를 "서구 암호학의 아버지"라고 부르며, "가장 초기의 서구 암호 해독 설명, 다중알파벳 대치법의 발명, 그리고 암호화된 코드의 발명"을 알베르티의 업적으로 꼽았다.

알베르티는 1450년경에 판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풍압을 측정하는 풍속계(swinging-plate anemometer)를 고안하여, 최초로 풍력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기구를 만든 사람으로 여겨진다.[30] 또한 그는 가장 오래된 습도계도 만들었다고 여겨지는데, 1452년에 「건축론(De re aedificatoria libri decem)」에 기록된 것으로, 해면(스폰지)이 젖으면 무게가 변하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30]

4. 주요 작품


  • 1435년 집필 『회화론』(De pictura)[11]
  • 1443년~1451년 집필 『건축론』(De re aedificatoria)』(초판 1485년)
  • 『무게·지렛대·견인법(Trattato sui pondi, leve e tirari)』
  • 『수학적 오락(Ludi matematici)』
  • 『가족론(Della famiglia)』
  • 『시민 생활론(Teogenio)』

만토바의 산탄드레아 성당(Basilica di Sant'Andrea)


알베르티는 회화, 건축, 암호학 등 여러 분야에 걸쳐 다양한 저술을 남겼다. 주요 저서로는 『회화론』, 『건축론』, 『가족론(Della famiglia)』 등이 있다.

그의 예술 논문은 새로운 인문주의적 예술 이론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는 필리포 브루넬레스키(Filippo Brunelleschi), 도나텔로, 기베르티와 같은 초기 콰트로첸토 시대 예술가들과의 교류를 바탕으로 르네상스 예술가들을 위한 실용적인 안내서를 제공했다.[22]

알베르티는 암호학에도 기여하여, 알베르티 암호(Alberti cipher)로 알려진 최초의 다중알파벳 암호(polyalphabetic cipher)와 암호 원반을 사용한 기계 보조 암호화를 발명했다. 암호학 역사가 데이비드 카한은 그를 "서구 암호학의 아버지"라고 칭하기도 했다.

알베르티의 주요 작품 목록
종류제목집필/완공 연도비고
회화회화론(Della Pittura)1435년원근법에 대한 최초의 과학적 연구를 담고 있으며, 필리포 브루넬레스키에게 헌정되었다. 영어로는 On Painting, 라틴어로는 De Pictura이다.
건축건축론(De re aedificatoria)1452년
(1485년 초판)
비트루비우스의 『건축론』(De architectura)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르네상스 최초의 건축 논문이다. 역사, 도시 계획, 공학, 미학 등 광범위한 주제를 다루었다. 16세기까지 이탈리아어(코시모 바르톨리 번역), 프랑스어, 스페인어, 영어로 번역되었다.
건축루첼라이 궁전(Palazzo Rucellai)1451년피렌체에 위치, 1446년 착공
건축말라테스타 성당(Tempio Malatestiano) 파사드1468년리미니에 위치, 1446년 착공, 미완성
건축산타 마리아 노벨라 성당 파사드1470년피렌체에 위치, 1456년 착공
건축산 세바스티아노 성당(Chiesa di San Sebastiano)1460년경만토바에 위치, 설계
건축산탄드레아 성당(Basilica di Sant'Andrea)1494년만토바에 위치, 1472년 착공
기타『무게·지렛대·견인법(Trattato sui pondi, leve e tirari)』
기타『수학적 오락(Ludi matematici)』
기타『가족론(Della famiglia)』
기타『시민 생활론(Teogenio)』
기타『암호론』1467년암호에 관한 논문.


4. 1. 건축

알베르티는 공학에 관심이 없었고, 그의 주요 프로젝트 중 극히 일부만 완공되었다. 디자이너이자 비트루비우스와 고대 로마 건축을 연구한 학자로서 그는 구조적인 관점보다는 시각적인 관점에서 기둥과 인방을 기반으로 한 건축을 연구했다. 그는 자유로운 해석으로 고전 기둥과 필라스터를 사용한 동시대 인물인 브루넬레스키와 달리 고전 양식을 올바르게 사용했다.[9] 알베르티는 건축의 사회적 효과를 반영했고, 도시 경관에 주의를 기울였다.[9] 이는 루첼라이 궁전에 지하실 높이에 앉을 수 있는 연속적인 벤치를 포함시킨 것으로 입증된다. 알베르티는 넓은 중앙 거리가 보조 거리와 연결되고 건물 높이가 같은 가로등급의 원리를 예상했다.[16]

로마에서는 교황 니콜라오 5세의 고용으로 아쿠아 베르지네의 로마 수도교 복원 작업을 맡았는데, 이 수도교는 알베르티가 설계한 단순한 분수대에 흘러들어갔고, 나중에 바로크 양식의 트레비 분수로 대체되었다.

일부 연구자들은[17] 피에솔레의 메디치 빌라가 미켈로초가 아닌 알베르티가 설계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코시모 일 베키오의 둘째 아들인 조반니 데 메디치가 의뢰한 이 언덕 위 저택은 도시를 내려다보는 전망을 가지고 있으며, 르네상스 빌라의 첫 번째 사례로 간주되기도 한다. 이 건물은 알베르티가 쓴 "빌라 수브르바나"라는 시골 주택에 대한 글을 반영한다. 이 건물은 15세기 말 이후 수많은 유사한 프로젝트 건물에 영감을 주었다.

말라테스타 성당(Tempio Malatestiano)은 리미니(Rimini)에 있는 1447년부터 1453년에서 1460년 사이에 재건된 고딕 양식의 교회이다.[18] 역동적인 형태의 조화를 보여주는 파사드는 미완성으로 남았다.[9]

루첼라이 가(家)가 의뢰한 여러 건축물 중 하나인 루첼라이 궁전(1446~1451)의 정면 디자인은 소박한 석조물에 고전 양식의 얕은 피라스타와 코니스가 그물처럼 겹쳐진 것이 특징이며, 무거운 코니스로 마무리된다.[18] 안뜰에는 코린트식 기둥이 있다. 이 궁전은 피렌체 시민 건물에 고전적인 건축 요소를 사용하는 것을 도입하여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 공사는 베르나르도 로셀리노가 시행했다.[9]

피렌체의 산타 마리아 노벨라에서 1448년부터 1470년 사이에[18] 알베르티의 설계에 따라 상부 파사드가 건설되었다. 하부에는 이미 세 개의 출입구와 여섯 개의 고딕 양식 니치가 있었고, 그 안에는 묘비가 안치되어 있었으며, 산 미니아토 알 몬테와 피렌체 세례당과 같은 피렌체 교회의 전형적인 다색 대리석을 사용했기 때문에 이는 어려운 과제였다. 이 설계에는 이미 설치되어 있던 원형 창도 포함되어 있다. 알베르티는 현관 주위에 클래식한 특징을 도입하고, 필라스터, 코니스, 고전 양식의 박공과 같은 클래식한 비율과 요소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전체 파사드에 다색을 확산시켰으며, 조각 대신 테세라로 된 태양 광선으로 장식했다. 이 전형적인 측랑이 있는 교회의 가장 잘 알려진 특징은 알베르티가 중앙 신랑과 훨씬 낮은 측랑의 다른 높이를 시각적으로 연결하는 문제를 해결한 방식이다. 그는 두 개의 큰 스크롤을 사용했는데, 이것은 후기 르네상스, 바로크, 클래식 리바이벌 건물의 교회 파사드의 표준 기능이 되었다.[9]

피엔차의 피오 2세 광장, 피콜로미니 궁전 방향


알베르티는 피엔차(Pienza)의 피오 2세 광장(Piazza Pio II) 설계 자문을 맡았다고 여겨진다. 이전에 코르시냐노(Corsignano)라 불렸던 마을은 1459년경부터 재설계되었다.[18] 이곳은 피우스 2세로 추대된 에네아 실비오 피콜로미니(Aeneas Silvius Piccolomini)의 출생지였으며, 알베르티는 피우스 2세를 위해 일했다. 피우스 2세는 이 마을을 휴양지로 사용하고자 했지만, 자신의 지위에 걸맞는 위엄을 반영해야 했다.

이 광장은 네 개의 건물로 둘러싸인 사다리꼴 모양이며, 피엔차 대성당(Pienza Cathedral)을 중심으로 양쪽 통로가 열려 풍경이 보인다. 주요 건물인 ''피콜로미니 궁전(Palazzo Piccolomini)''은 서쪽에 위치한다. 이 궁전은 3층 건물로, 필라스터와 엔타블러처 코스로 구분되며, 각 베이 안에 쌍창(twin-lighted cross window)이 설치되어 있다. 이 구조는 피렌체의 알베르티의 루첼라이 궁전(Palazzo Rucellai)과 다른 후기 궁전들과 유사하다. 궁전의 내부 중정 또한 주목할 만하다. 남쪽에 있는 궁전의 뒷면은 3층 모두에 있는 로지아(loggia)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탈리아 르네상스 정원(Italian Renaissance garden) ''지아르디노 알리탈리아나(Giardino all'italiana)'' 양식으로 개조되었고, 발도르차(Val d'Orcia)의 먼 풍경과 피우스 2세가 사랑했던 아미아타 산(Mount Amiata) 너머의 장관을 볼 수 있다. 이 정원 아래에는 100마리의 말을 위한 마구간이 있는 둥근 천장의 외양간이 있다. 마을 중심부를 급진적으로 변화시킨 이 설계에는 교황을 위한 궁전, 교회, 시청, 그리고 교황의 여행에 동행하는 주교들을 위한 건물이 포함되어 있다. 피엔차는 르네상스 도시 계획의 초기 사례로 여겨진다.

만토바의 산탄드레아 대성당(Basilica di Sant'Andrea di Mantova)은 알베르티가 죽기 직전 해인 1471년에 착공되었다.[18] 이 성당은 완공되었으며, 알베르티의 가장 중요한 작품으로, 정면과 내부 모두에 개선문 모티프를 사용하여 이후 많은 작품들에 영향을 미쳤다. 알베르티는 건축가의 역할을 설계자로 인식했다. 브루넬레스키와 달리 그는 건축 자체에는 관심이 없었고, 실제 건설은 건축업자들에게, 감독은 다른 사람들에게 맡겼다.

그의 건축물은 다음과 같다.

완공 연도이름위치비고
1451년루첼라이 궁전(Palazzo Rucellai)피렌체1446년 착공
1468년말라테스타 성당(Tempio Malatestiano) 파사드리미니1446년 착공, 미완성
1470년산타 마리아 노벨라 성당 파사드피렌체1456년 착공
1494년산탄드레아 성당(Basilica di Sant'Andrea)만토바1472년 착공
1460년경산 세바스티아노 성당(Chiesa di San Sebastiano)만토바설계



피렌체로 돌아온 그는 파올로 우첼라이로부터 산타 마리아 노벨라 성당 정면 설계를 의뢰받았다. 알베르티는 정사각형의 조합과 단순한 비례 관계를 구축하여 전체가 대리석으로 된 파사드를 설계했지만, 이것이 완성된 것은 그의 사후인 1477년이다. 피렌체에서는 1460년, 미켈로초 디 바르톨로메오의 설계에 따른 산티시마 안눈치아타 대성당(피렌체) 건축을 이어받아 후진 부분 설계에도 참여했다.

1459년, 비오 2세를 따라 만토바를 방문한 알베르티는 1470년에 다시 이곳을 방문하여 산 세바스티아노 성당(만토바, 1459년~[29])과 산탄드레아 성당(만토바, 1472년~) 두 교회의 설계를 맡았다. 전자의 설계는 1460년에 구상되었고, 1470년에 수정되어 착공되었다. 후자는 1470년에 구상된 그의 가장 영향력 있는 건축물이다. 라틴 십자형 평면을 가진 이 교회당에는 고대 로마 신전과 개선문의 디자인을 적용했으며, 내부는 브루넬레스키가 디자인한 토스카나 로마네스크식 바실리카형과는 다른, 당당한 터널형 볼트를 사용했다.

4. 2. 저서

제목집필 연도내용 및 기타 사항
회화론(Della Pittura)1435년원근법에 대한 최초의 과학적 연구를 담고 있으며, 필리포 브루넬레스키에게 헌정되었다.[11] 영어로는 On Painting, 라틴어로는 De Pictura이다.
건축론(De re aedificatoria)1452년
(1485년 초판)
비트루비우스의 『건축론』(De architectura)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르네상스 최초의 건축 논문이다. 역사, 도시 계획, 공학, 미학 등 광범위한 주제를 다루었다.[14][15] 16세기까지 이탈리아어(코시모 바르톨리 번역), 프랑스어, 스페인어, 영어로 번역되었다.
Descriptio Urbis Roma로마 서술
Della farmiglia가족에 관하여. 교육, 결혼, 가정 관리 및 돈에 대해 논의. 토스카나 방언으로 쓰였다.
『모무스』(Momus)1443년~1450년올림푸스 신들에 관한 희극.
『필로독수스(Philodoxus)』1424년"영광을 사랑하는 자"라는 뜻.
『문학의 장점과 단점에 관하여(De commodis litterarum atque incommodis)』1429년"문학 연구의 장점과 단점"이라는 뜻.
『인터코에날레스(Intercoenales)』1429년경"만찬의 조각들"이라는 뜻.
『성 포티투스의 생애(Vita S. Potiti)』1433년"성 포티투스의 생애"라는 뜻.
『법에 관하여(De iure)』1437년"법에 관하여"라는 뜻.
『테오게니우스(Theogenius)』1440년경"신의 기원"이라는 뜻.
『정신적 고통으로부터의 피난처(Profugorium ab aerumna)』
『군주론(De Iciarchia)』1468년"군주에 관하여"라는 뜻.
『암호론』1467년암호에 관한 논문.
『무게·지렛대·견인법(Trattato sui pondi, leve e tirari)』
『수학적 오락(Ludi matematici)』
『시민 생활론(Teogenio)』


참조

[1] 서적 The History of Information Security: A Comprehensive Handbook https://books.google[...] Elsevier 2022-02-20
[2] 서적 The Mathematics of Secrets: Cryptography from Caesar Ciphers to Digital Encryption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2-02-20
[3] 간행물 Leon Battista Alberti and the 'Night Sky' at San Lorenzo 1989
[4] 서적 The Mathematical Works of Leon Battista Alberti Birkhauser Verlag AG 2010-08-27
[5] 서적 Oxford Illustrated Encyclopedia Of The Arts Oxford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Leon Battista Alberti https://www.treccani[...]
[7] 웹사이트 Leon Battsta Alberti http://historymedren[...]
[8] 서적 The Renaissance: a Illustrated Encyclopedia Octopus 1979
[9] 간행물 Leon Baptiste Alberti
[10] 서적 The Lives of the Artists
[11] 서적 On Painting 1956
[12] 간행물 A Philosophical Perspective on Alhazen’s Op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13] 웹사이트 Leon Battista Alberti http://www.kirjasto.[...] Kuusankoski Public Library
[14] 서적 On the Art of Building in Ten Books The MIT Press 1988
[15] 웹사이트 Palladio's Literary Predecessors http://www.palladian[...]
[16] 서적 Encyclopedia of the City Routledge
[17] 서적 Villa Medici a Fiesole. Leon Battista Alberti e il prototipo di villa rinascimentale Centro Di 2004
[18] 서적 Leon Battista Alberti Harper & Row 1977
[19] 서적 The Civilization of the Renaissance Italy 1860
[20] 학술지 A Portrait of Leon Battista Alberti in the Camera degli Sposi? 1975
[21] 서적 Bucolica
[22] 서적 Leon Battista Alberti's Hypnerotomachia Poliphili MIT Press 1997
[23] 서적 De Pictura, book III
[24] 서적
[25] 서적 I libri della famiglia https://books.google[...]
[26] 웹사이트 The Age of the Medici (1973) https://www.criterio[...]
[27] 서적 西洋美術史入門 実践編 筑摩書房
[28] 서적 新装版 図説 西洋建築の歴史 河出書房新社
[29] 서적 新装版 図説 西洋建築の歴史 河出書房新社
[30] 서적 気象学と気象予報の発達史 気象測定器などの発展 https://www.maruzen-[...] 丸善出版 2018
[31] 웹사이트 初めての風力計 https://korechi1.blo[...] 2020-09-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