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마 점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마 점령은 이탈리아 통일 과정에서 1870년 이탈리아 왕국이 로마를 점령한 사건이다. 1861년 이탈리아 왕국 선포 이후 로마는 교황령으로 남아 있었으나,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으로 프랑스 군대가 철수하면서 이탈리아가 로마를 점령할 기회를 얻었다. 이탈리아는 교황 비오 9세에게 로마 평화적 진입을 제안했지만 거부당했고, 군사 작전을 통해 로마를 점령했다. 로마 점령 이후 이탈리아는 국민투표를 통해 로마 합병을 확정하고, 교황에게 레오니네 시와 외교적 특권을 보장했지만 교황은 이를 거부하며 '로마 문제'가 발생했다. 이 문제는 1929년 라테라노 조약 체결로 바티칸 시국의 독립을 통해 해결되었으며, 로마 점령은 이탈리아 통일의 완성을 의미하지만, 종교와 정치의 관계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로마 점령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정보
분쟁이탈리아 통일의 일부
카를로 아데몰로의 <포르타 피아의 틈새> (1880년)
카를로 아데몰로의 <포르타 피아의 틈새> (1880년)
날짜1870년 9월 20일
장소로마
결과이탈리아 왕국의 승리
교황령 멸망
이탈리아의 이탈리아 반도 통일 완료
로마가 이탈리아의 수도가 됨
로마와 라치오 일대가 이탈리아 왕국에 합병됨
영토로마와 라치오의 이탈리아 왕국 합병
교전 세력
교전국 2교황령
지휘관
이탈리아 왕국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라파엘레 카도르나
교황령교황 비오 9세
헤르만 칸츨러
병력 규모
이탈리아 왕국50,000명
교황령13,157명
사상자
이탈리아 왕국전사 49명, 부상 132명
교황령전사 19명, 부상 68명

2. 역사적 배경

1870년 초 이탈리아 왕국 (하늘색)과 교황령 (보라색)


1859년 제2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으로 교황령 대부분이 사르데냐 왕국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에게 정복되었다. 1860년 주세페 가리발디의 천인 원정으로 사르데냐 왕국이 양시칠리아 왕국을 합병했고, 1861년 3월 17일 이탈리아 왕국이 선포되었다.[15] 로마와 라치오 일대는 교황령으로, 베네토 지방은 오스트리아 제국왕국 형태로 통치하여 이탈리아 왕국에 포함되지 않았다. 베네토는 제3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 직후인 1866년에 합병되었다.[15]

이탈리아 왕국 초대 총리 카밀로 벤소 카보우르 백작은 이탈리아 통일 선언 직후 사망하여, 후임 총리들은 베네치아와 로마 확보 문제를 떠안게 되었다.[16] 카보우르는 로마를 수도로 삼아야 이탈리아 통일이 완수된다고 믿었고,[16] 교황청과의 관계에 대해 "자유 국가 안의 자유 교회"라는 원칙을 제시했다. 즉, 교황청은 종교 문제에 자유롭되 정치 문제는 이탈리아 왕국에 맡겨야 한다는 것이었다.[16] 제2대 총리 베티노 리카솔리도 로마행이 "단순한 권리가 아니라 가차없는 필연"이라 강조했다.

1861년 3월 27일 이탈리아 왕국 의회토리노에서 로마를 이탈리아 수도로 선언했다.[15] 그러나 교황 비오 9세는 세속 권력 이양을 거부했고, 프랑스 나폴레옹 3세는 교황 지원을 위해 로마에 프랑스 수비군을 주둔시켜 이탈리아 정부는 로마를 영토로 확보할 수 없었다.[15]

2. 1. 이탈리아 통일 운동과 교황령

제2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1859년) 이후 교황령의 대부분이 사르데냐 왕국에 의해 정복되었다. 1860년 주세페 가리발디의 천인 원정으로 양시칠리아 왕국이 합병되었고, 1861년 3월 17일 이탈리아 왕국이 선포되었다.[15] 그러나 로마와 라치오, 베네토 지역은 이탈리아 왕국에 포함되지 않았다. 베네토는 제3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 직후인 1866년에 합병되었다.[15]

이탈리아 통일 선언 직후, 초대 총리였던 카밀로 벤소 카보우르 백작은 "자유 국가 안의 자유 교회"라는 원칙을 제시했다.[16] 이는 교황청이 종교적 자유는 보장받되, 정치 권력은 이탈리아 왕국에 귀속되어야 한다는 의미였다.[16] 카보우르는 로마가 수도가 되어야 이탈리아 통일이 완수된다고 믿었다.[16] 그의 후임자인 베티노 리카솔리 역시 로마로 가는 것이 "단순한 권리가 아니라 가차없는 필연"임을 강조하였다.

1861년 3월 27일 이탈리아 왕국 의회토리노에서 로마를 이탈리아의 수도로 선언하였다.[15] 그러나 교황 비오 9세는 세속 권력을 포기하지 않았고, 프랑스나폴레옹 3세는 교황을 지원하기 위해 로마에 프랑스 수비군을 주둔시켜 이탈리아 정부는 로마를 영토로 확보하지 못했다.[15]

2. 2. 프랑스-프로이센 전쟁과 로마

1870년 7월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이 발발하자 나폴레옹 3세는 8월 초 로마에 주둔하던 프랑스군을 철수시켰다.[1] 이는 프랑스 본토 방어를 위한 병력 필요와, 이탈리아가 로마 주둔 프랑스군을 구실로 프랑스에 대항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당시 이탈리아 여론은 프로이센을 지지하는 상황이었다.[2] 프랑스군 철수는 이탈리아의 중립 유지와 양국 간 긴장 완화에 기여했다.

스당 전투(1870년 9월 2일)에서 나폴레옹 3세가 항복하고 프랑스군이 대패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나폴레옹 3세는 폐위되었고, 프랑스군은 파리로 진격하는 프로이센군을 막아야 했다. 새로 수립된 프랑스 제3공화국은 이탈리아에 군사적으로 대응할 여력이 없었고, 교황청에 대한 우호적인 입장도 아니었다.[1]

이러한 정세 속에서도 1870년 7월 제1차 바티칸 공의회교황 무류성 교리를 확정했다.[1]

3. 로마 점령 과정

비오 9세가 1870년 4월 25일 성 베드로 광장에서 마지막으로 자신의 군대에 축복을 내리고 있다.


1870년 9월,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는 구스타보 폰차 디 산 마르티노 백작을 비오 9세에게 특사로 보내 교황 보호를 명분으로 이탈리아군의 로마 평화 입성을 제안하는 서한과 조반니 란차 총리의 10개 조항을 전달했다.[17]

그러나 비오 9세는 이 제안을 격렬히 거부했고, 결국 이탈리아군은 무력으로 로마를 점령하기로 했다. 9월 11일, 라파엘레 카도르나 장군이 이끄는 이탈리아군이 교황령에 진입, 9월 16일 치비타베키아를 점령했다.[19] 오르비에토, 비테르보, 알라트리, 프로시노네 등 라치오 지역 요새의 교황령 수비대도 후퇴했다.[19]

이탈리아 정부는 무력 점령을 피하고자 카도르나 장군을 통해 평화로운 항복을 재차 요청했지만, 교황군 사령관 헤르만 칸츨러 장군은 이를 거부했다.[19]

3. 1. 이탈리아의 제안과 교황의 거부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는 구스타보 폰차 디 산 마르티노 백작을 통해 교황 비오 9세에게 평화로운 로마 진입을 제안했다.[17] 이탈리아는 교황의 주권, 특권, 레오니네 시에 대한 완전한 관할권, 외교적 면책 특권, 재정 지원 등을 보장하겠다고 제안했다.[18]

이 제안에 따르면 교황은 주권 불가침성과 특권을 유지하며, 레오니네 시는 "교황청의 완전한 관할권과 주권 하에" 두도록 하였다.[18] 이탈리아 왕국은 교황이 세계 가톨릭계와 소통할 수 있는 자유를 보장하고, 교황청 대사와 대외 사절, 교황청 주재 외교관 모두에게 외교관 면책특권을 보장하도록 하였다.[18] 또한, 이탈리아 정부는 교황과 추기경에게 현재 교황령의 국가 예산으로 책정된 금액과 동일한 연간 예산을 영구히 지급하고, 모든 교황령 측 공무원과 군인들을 국가 급여에 포함시켜 연금 전액을 지급하도록 하였다.[18]

하지만 비오 9세는 이 제안을 격렬하게 거부하며 "결코 로마에 들어가지 못할 것"이라고 강경한 입장을 표명했다.[17] 교황은 산 마르티노 백작에게 "충성심 한번 대단하구나! 그대들은 전부 독사 무리요, 회칠한 무덤이요, 믿음이 없는 자들이다"라고 말했다.[17] 폰차 백작은 조반니 란차 총리에게 교황이 최후통첩을 거부했다고 알렸다.[18]

3. 2. 군사 작전

1870년 9월 18일, 이탈리아 전쟁장관 체사레 리코티마냐니는 라파엘레 카도르나 장군에게 로마 공격을 명령하면서도 교황의 영토인 레오니네 시는 제외할 것을 지시했다.[20] 작전 계획은 카도르나 장군에게 일임되었으며, 이탈리아군은 고대 로마 성벽인 아우렐리아누스 성벽으로 진격했다.[20]

당시 교황군은 칸츨러 장군 지휘 하에 스위스 근위대, 팔라티노 근위대, 교황 조아브병 등 총 13,157명으로 구성되었으나, 이탈리아군은 약 50,000명으로 병력 격차가 컸다.[20] 로마 시민들은 교황의 참전 요청에 거의 응하지 않아, 메이틀랜드 암스트롱 미국 영사는 시민들의 참전 의지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증언했다.[20]

이탈리아 포병대의 사격으로 뚫린 아우렐리아누스 성벽 (오른쪽)과 포르타 피아 (왼쪽)


9월 19일, 이탈리아군은 아우렐리아누스 성벽에 도착하여 로마를 포위했다. 비오 9세는 이탈리아의 로마 점령이 강압에 의한 것임을 명확히 하기 위해 교황군에게 저항 후 항복을 결정했다.[20] 9월 20일 오전 5시, 이탈리아 포병대가 포격을 시작했고,[20] 몇 시간 후 포르타 피아 인근 성벽이 돌파되면서 이탈리아군이 로마 시내로 진입했다.[20] 이 과정에서 니노 빅시오 장군이 이끄는 부대가 교황군의 주의를 분산시키는 임무를 맡았다.[20]

미켈레 캄마라노의 <포르타 피아를 점령하는 베르살리에리> (1871년)


포르타 피아 전투에서 이탈리아군과 교황군 양측에서 사상자가 발생했다. 전투에서 이탈리아군 49명과 교황군 19명이 사망했다는 기록이 있으나,[21] 2009년 바티칸 연구에서는 교황군 12명 전사, 47명 부상, 이탈리아군 32명 전사, 145명 부상으로 집계되었다.[21]

오전 6시, 각국 외교사절이 사도궁에서 교황을 만났고,[20] 오전 9시경 빌라 알바니에서 칸츨러 장군이 항복 문서에 서명하면서 레오니네 시를 제외한 로마 전역이 이탈리아 왕립군에 점령되었다.[20] 성 베드로 대성전 돔에는 백기가 게양되었고,[20] 패배한 교황군은 성 베드로 광장으로 호송되었다.[20]

도시 함락 당시 포르타 피아 상공에 게양되었던 깃발


도시 함락 당시 포르타 피아 상공에 게양되었던 깃발은 검은 귀족 가문인 루스폴리 공작 가문이 보존했으며, 특히 크리스티나 공주가 처음으로 소장했다. 이 귀족 가문은 141년 가까이 이 깃발을 보존하다가, 2011년 교황청 국무원의 타르치시오 베르토네 추기경에게 바티칸 시국 헌병대의 수호성인인 미카엘 대천사 기념일에 스포르차 루스폴리 공작이 깃발을 반환했다.[7]

4. 로마 합병과 그 이후

1871년 팔라초 세나토리오 밖에서 열린 로마의 1870년 10월 2일 국민투표 기념 행사. 로마의 이탈리아 합병을 확인했다.


항복 조건에 따라 교황군은 해체되었고, 외국 군인들은 즉시 본국으로 송환되었다. 그러나 교황은 스위스 근위대, 귀족 근위대, 팔라티노 근위대를 유지할 수 있었다. 교황군 대다수가 해산된 가운데, 9월 21일 레오니네 시에서 비오 9세를 규탄하는 시위가 벌어지기도 하였다.[10]

이탈리아 정부는 비오 9세에게 레오니네 시에 대한 주권을 약속하고 그의 불가침성을 보장했지만, 교황은 여전히 더 넓은 영토에 대한 주장을 포기하는 데 동의하지 않았으며, 소수의 경비대만으로는 작은 지역에서조차 공공 질서를 보장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10]

4. 1. 국민투표와 합병

항복 조건에 따라 교황군은 해체되었고, 외국인 병사들은 본국으로 송환되었다. 다만 교황은 스위스 근위대, 귀족근위대, 팔라티노 근위대를 유지할 수 있었다. 1870년 9월 21일에는 레오니네시에서 교황 비오 9세를 규탄하는 시위가 벌어지기도 하였다.

란차 총리는 로마 합병의 정당성을 묻는 국민투표를 계획하였고, 1870년 10월 2일 로마 시 전역에서 투표가 실시되었다. 총 투표수 167,548표 가운데 찬성 133,681표, 반대 1,507표로, 로마 시민들은 이탈리아와의 통합에 압도적인 지지를 보였다. 같은 해 10월 9일, 로마와 라치오 지방을 이탈리아 왕국에 편입한다는 내용의 왕실령이 선포되었다. 비오 9세는 국민투표 결과를 확보하기 위해 선거 폭력이 동원되었다고 비난하였다. 1870년 11월 1일, 비오 9세 교황은 회칙 <레스피치엔테스>(Respicientes)를 발표하고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국왕을 비롯한 침략자들에게 대대적인 파문을 선언하였다.

4. 2. 로마 문제와 라테라노 조약

이탈리아 정부는 비오 9세에게 레오니네 시에 대한 주권을 약속하고 불가침 원칙을 보장한다는 입장을 밝혔다.[10] 1871년 5월 13일, 이탈리아 의회는 교황의 외교권 독립과 이탈리아 정부의 연간 보조금을 비롯한 특권을 부여한다는 내용의 보증법을 제정하였다.[10] 이러한 조치는 가톨릭 국가를 비롯한 국제 사회로부터 환영받았으나, 비오 9세는 자신이 '바티칸의 포로'라며 이탈리아 측의 특권을 받아들이지 않았다.[10][11]

그 후 약 60년 동안 교황청과 이탈리아 정부의 관계는 적대적이었으며, 교황의 지위는 "로마 문제"로 알려지게 되었다.

로마 문제 해결을 위한 협상은 1926년 파시스트 이탈리아 정부와 교황청 사이에서 시작되었으며, 라테라노 조약으로 절정에 달했다. 이 조약은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국왕을 대신하여 베니토 무솔리니 총리 겸 정부 수반과 교황 비오 11세를 대신하여 피에트로 가스파리 추기경 국무장관이 1929년 2월 11일에 서명했다.[10] 이 합의는 이름을 따온 라테란 궁전에서 서명되었다. 조약 제1조에서 이탈리아는 1848년 이탈리아 왕국 헌법에 확립된 원칙을 재확인했는데, "가톨릭, 사도적, 로마 종교는 국가의 유일한 종교이다."[11] 무솔리니는 협상의 성공적인 결론을 기념하기 위해 화해의 길을 위임했는데, 이는 바티칸 시국과 로마의 심장을 상징적으로 연결할 것이었다.

1948년에 채택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이탈리아 공화국 헌법은 국가와 가톨릭 교회의 관계가 "라테란 조약에 의해 규제된다"고 명시하고 있다.[12] 1984년, 조약은 상당히 개정되었다. 양측은 "원래 라테란 조약에서 언급된 가톨릭 종교를 이탈리아 국가의 유일한 종교로 하는 원칙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한다"고 선언했다.[13] 또한 교회에 대한 국가의 독점적인 재정 지원도 종료되었고, 다른 종교 단체, 기독교 및 비기독교도 접근할 수 있는 ''오토 페르 밀레''이라고 하는 전용 개인 소득세를 통한 자금 지원으로 대체되었다.

5. 유산

로마 점령은 이탈리아 역사와 국제 관계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쳤다. 로마 점령 이후 거의 60년 동안 교황청과 이탈리아 정부는 적대적인 관계를 유지했으며, 교황의 세속적 지위에 대한 문제는 '로마 문제'로 불리게 되었다.

포르타 피아 인근의 방벽 파괴 현장에 세워진 로마 점령 기념상과 원주

5. 1. 이탈리아 통일의 완성

로마 점령 이후 거의 60년 동안 교황청과 이탈리아 정부는 적대적인 관계를 유지했으며, 교황의 세속적 지위에 대한 문제는 '로마 문제'로 불리게 되었다.[23]

1926년 파시스트 이탈리아 정부와 교황청 사이에 로마 문제 해결을 위한 협상이 시작되어, 1929년 2월 11일 라테라노 조약이 체결되면서 마무리되었다. 이 조약은 이탈리아 국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를 대리한 베니토 무솔리니 총리와 교황 비오 11세를 대리한 국무원장 추기경 피에트로 가스파리가 서명하였다.[23] 조약 체결 장소인 라테라노궁의 이름을 따서 조약의 이름이 붙여졌다. 라테라노 조약 제1조에서 이탈리아는 1848년 이탈리아 왕국 헌법에 명시된 "교황의 로마 가톨릭교가 국가의 유일 종교"라는 원칙을 재확인하였다.[24] 성공적인 협상 타결을 기념하여 무솔리니는 바티칸 시국과 로마 중심부를 잇는 '화해의 길'을 건설하도록 지시하였고, 이는 오늘날까지 남아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8년 제정된 이탈리아 공화국 헌법은 국가와 가톨릭 교회 사이의 관계가 "라테라노 조약을 기반으로 한다"고 명시하였다.[25] 1984년 양국은 라테라노 조약을 대대적으로 개정하여 "기존 라테라노 조약에서 언급된, 가톨릭교를 이탈리아국의 유일 종교로 둔다는 원칙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한다"고 선언하였다.[26] 교황청에 대한 국가 차원의 독자 예산 지원도 중단하고, 기독교인뿐만 아니라 다른 종교인도 납부할 수 있는 독자 개인소득세(오토 페르 밀레)를 통한 예산 지원으로 대체하였다.

5. 2. 현대 이탈리아와 교황청의 관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8년에 제정된 이탈리아 공화국 헌법은 국가와 가톨릭 교회 사이의 관계가 라테라노 조약을 기반으로 한다고 명시하였다.[25] 1984년 양국은 라테라노 조약을 대대적으로 개정하고, "기존 라테라노 조약에서 언급된, 가톨릭교를 이탈리아국의 유일 종교로 둔다는 원칙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한다"고 선언하였다.[26]

이에 따라 교황청에 대한 국가 차원의 독자적인 예산 지원도 중단되었고, 기독교인은 물론 다른 종교인도 납부할 수 있는 개인소득세의 일종인 '오토 페르 밀레'(otto per mille)를 통한 예산 지원으로 대체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Cirkevné dejiny / Pred 150 rokmi sa skončila svetská moc pápežov https://svetkrestans[...]
[2] 서적 Modern and Contemporary European History (1815–1921) Houghton Mifflin Company, The Riverside Press Cambridge 1921
[3] 서적 Modern and Contemporary European History (1815–1921) Houghton Mifflin Company, The Riverside Press Cambridge 1921
[4] 성경 Book of Amos 7:14
[5] 문서 1909
[6] 문서 Enciclopedia di Roma
[7] 웹사이트 Vaticano, la bandiera di Porta Pia ritorna dopo 141 anni https://www.lastampa[...] 2011-09-29
[8] 문서 1909
[9] 서적 The Pope's Soldiers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11-05-09
[10] 웹사이트 Vatican City turns 91 https://www.vaticann[...] 2020-02-11
[11] 웹사이트 Patti lateranensi, 11 febbraio 1929 – Segreteria di Stato, card. Pietro Gasparri https://www.vatican.[...]
[12] 법률 Constitution of Italy, article 7
[13] 웹사이트 Agreement between the Italian Republic and the Holy See (English translation) http://home.lu.lv/~r[...] The American Society of International Law
[14] 웹인용 Cirkevné dejiny / Pred 150 rokmi sa skončila svetská moc pápežov https://svetkrestans[...]
[15] 서적 Modern and Contemporary European History (1815–1921) Houghton Mifflin Company, The Riverside Press Cambridge 1921
[16] 서적 Modern and Contemporary European History (1815–1921) Houghton Mifflin Company, The Riverside Press Cambridge 1921
[17] 성경 아모스서 7장 14절
[18] 문서 1909
[19] 문서 Enciclopedia di Roma
[20] 문서 1909
[21] 서적 The Pope's Soldiers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11-05-09
[22] 웹인용 Vaticano, la bandiera di Porta Pia ritorna dopo 141 anni https://www.lastampa[...] 2011-09-29
[23] 웹인용 Vatican City turns 91 https://www.vaticann[...] 2020-02-11
[24] 웹인용 Patti lateranensi, 11 febbraio 1929 – Segreteria di Stato, card. Pietro Gasparri https://www.vatican.[...]
[25] 법률 Constitution of Italy, article 7
[26] 웹인용 Agreement between the Italian Republic and the Holy See (English translation) http://home.lu.lv/~r[...] The American Society of International La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