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롯데글로벌로지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롯데글로벌로지스는 1988년 아세아상선 주식회사로 설립되어 현대물류, 현대택배를 거쳐 2016년 롯데글로벌로지스로 사명을 변경한 물류 기업이다. 택배, 국내 물류, 해운/항공, TPL 서비스 등 다양한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며, 해외 직구 배송 대행 서비스 '아이딜리버'를 운영하고 있다. 미국, 독일, 영국, 베트남, 인도 등지에 해외 법인을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2019년 롯데로지스틱스를 흡수 합병하여 통합 물류 법인으로 출범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8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서일본 JR 버스
    서일본 JR 버스는 1988년 설립되어 JR 서일본으로부터 버스 사업을 인계받아 고속버스와 일반버스 노선을 운영하는 일본의 버스 회사로, IC 카드 도입, 노선 구조조정, 관광 사업 등 변화를 시도하며 오사카를 중심으로 여러 지역에 영업소를 두고 있다.
  • 1988년 설립된 교통 기업 - JR 도카이 버스
    JR 도카이 버스는 1987년 일본국유철도 분할 민영화로 설립된 도카이 여객철도의 자회사로, 현재는 야간 고속버스와 전세버스 사업을 중심으로 운영하며 승객 편의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과거 안전 관리 문제가 제기되기도 했다.
  • 대한민국의 물류 회사 - 현대글로비스
    현대글로비스는 고객 화물 운송, 보관, 하역을 담당하는 종합물류 회사이며, 해상, 항공, 내륙 운송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고 현대자동차그룹의 자회사로서 안정적인 매출 구조를 갖추고 있다.
  • 대한민국의 물류 회사 - CJ대한통운
    CJ대한통운은 1930년 설립되어 동아그룹, 금호아시아나그룹을 거쳐 2011년 CJ그룹에 인수된 대한민국의 종합 물류 기업으로, 계약물류, 택배, 포워딩, 항만하역을 주력 사업으로 하며 2013년 CJ GLS와 합병하여 국내 택배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2017년 CJ Logistics로 영문 사명을 변경, 해외 사업 확장을 추진하고 있다.
  • 1988년 설립된 기업 - 월드 챔피언십 레슬링
    월드 챔피언십 레슬링(WCW)은 미국의 프로레슬링 단체로, 조지아 챔피언십 레슬링의 TV 프로그램에서 시작하여 짐 크로켓 프로모션을 거쳐 테드 터너에게 매각되어 독립 프로모션으로 성장했으나, 경영 악화로 2001년 WWE에 인수 합병되었다.
  • 1988년 설립된 기업 - 앤티앤스
    앤티앤스는 1988년 미국에서 시작하여 세계적으로 1,000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하는 프레첼 체인점이며, 프랜차이즈 사업과 사회 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롯데글로벌로지스 - [회사]에 관한 문서
회사 정보
이름롯데글로벌로지스(주)
원어LOTTE GLOBAL LOGISTICS CO., LTD.
형태주식회사
창립1988년 6월 13일
이전 상호아세아상선㈜ (1988 ~ 1993)
시장 정보비상장
상장일해당 없음
장소서울특별시 중구 통일로 10 (세브란스병원빌딩)
인물강병구
산업운수업
서비스화물운송 중개, 대리 및 관련서비스업
대표 제품롯데택배
자본금170,860,025,000원 (2022년)
매출액3,998,308,692,556원 (2022년)
영업이익62,603,504,490원 (2022년)
순이익26,902,109,078원 (2022년)
자산 총액2,653,967,952,728원 (2022년)
주주롯데지주(계열회사) 15.22%
모기업롯데지주
종업원2,313명 (2023.9)
웹사이트롯데글로벌로지스

2. 역사

1988년 6월 13일 아세아상선 주식회사로 설립되었다. 1993년 12월 현대물류 주식회사, 1999년 12월 현대택배 주식회사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2010년 4월에는 현대로지엠 주식회사, 2012년 4월에는 현대로지스틱스 주식회사로 다시 사명을 변경하였다. 현대로지스틱스는 현대그룹의 핵심 기업인 현대엘리베이터의 대주주였다.

2014년 7월, 현대로지스틱스는 일본의 사모펀드인 오릭스에 인수되었다. 당시 현대로지스틱스는 동종 업계에 비해 부채가 많은 편이었는데, 사모펀드는 기업의 외형적 성장보다 내실을 중시하므로 이러한 부채 문제가 해결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택배 업계는 레드오션으로, 대형 업체 간 치킨 게임이 심했으나, 2위 업체인 현대로지스틱스가 점유율 경쟁 대신 부채 해소 등 내실 강화에 주력하면서 경쟁이 다소 완화될 것으로 전망되었다.[2]

2. 1. 1980년대

1988년 6월 13일에 '''아세아상선 주식회사'''로 설립되었다.[2]

내용
6월아세아상선㈜ 설립[2]
8월복합 운송업 면허 취득[2]
12월FIATA 회원 가입[2]


2. 2. 1990년대

1993년 12월 현대물류 주식회사로 사명을 변경하였다.[2]


2. 3. 2000년대

연도내용
2000년
2001년
2002년9월: 천안터미널 개장, 서울남부터미널 개장[2]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 4. 2010년대

1999년 12월 '''현대택배 주식회사'''에서 2010년 4월 '''현대로지엠 주식회사'''로, 2012년 4월 '''현대로지스틱스 주식회사'''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현대로지스틱스는 현대그룹의 핵심 기업인 현대엘리베이터의 대주주였다.

현대로지스틱스는 2014년 7월 일본의 사모펀드인 오릭스에 인수되었다. 현대로지스틱스는 부채가 동종업계의 타 회사에 비해 비교적 많은 편인데, 사모펀드는 기업의 외형적 성장보다는 내실 다지기를 중시하는 성향을 보이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이 해결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택배 업계는 대표적인 레드오션으로 치열한 단가 인하 등 대형 업체들의 치킨 게임이 심한 분야인데, 2위 업체인 현대로지스틱스가 점유율 경쟁보다는 부채 해소 등 내실 강화에 주력함으로써 택배 업계의 경쟁은 다소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2]

} 박스)

|-

| 2014년

| 7월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도매시장 시설 현대화산업

|-

| 2016년

|

  • 12월 현대로지스틱스(주) 인수
  • 12월 롯데글로벌로지스(주)로 사명 변경

|-

| 2019년

| 3월 롯데로지스틱스(주) 흡수 합병, 통합 물류 법인인 (신)롯데글로벌로지스(주)로 출범

|}

2. 5. 2020년대

연도내용
2010년3월 현대그룹 빌딩으로 사옥 이전, 현대로지엠(주)로 사명 변경
2012년
2013년
내용
2월도심-공항 당일 짐 배송 공동사업 MOU 체결 (아시아나IDT, 굿럭컴퍼니)[2]
4월환경부 주관 전기화물차 보급 확대 MOU 체결 (롯데글로벌로지스, CJ대한통운, 현대기아자동차 등)[2]
6월품질경영시스템 우수기업 2회 연속 최초 선정 (2020년 경영시스템 우수기업 시상)[2]
7월2020년 서비스 분야 안전보건 활동 최고 사업장 선정 (고용노동부, 안전보건공단 주관)[2]
2020년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고용노동부 주관)[2]
11월중부권 메가허브터미널 상량식[2]
제58주년 소방의 날 행정안전부장관 표창 수상[2]
준법 경영 시스템(ISO 19600) & 부패방지 경영 시스템(ISO 37001) 국제표준 동시 획득[2]
2020년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Best HRD) 선정 (고용노동부, 교육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4개 정부 부처 공동 인증)[2]
12월국내 최초 친환경 콜드체인(Cold Chain) 전기화물차 정식 운영[2]


3. 사업

택배업은 온라인 쇼핑의 증가로 시장 전망이 밝다.[2] 2012년 현대로지스틱스는 미국에 해외직송 물류센터를 설립하고 "아이딜리버"라는 해외특송 서비스를 런칭하여 해외직구 시장에 뛰어들었다. 이는 한진택배에서 운영하는 이하넥스와 같은 배송대행 서비스이다. 대한민국해외직구의 급증으로 관련 사업의 전망은 좋은 편이다.[3]

현대로지스틱스는 2012년부터 해외 직구 대행사이트 '아이딜리버'를 운영하고 있다. 아이딜리버는 미국 뉴저지, 델라웨어, 오리건에 배송대행 센터를 운영 중이다.

3. 1. 택배 서비스

롯데글로벌로지스는 개인 및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택배 서비스를 제공하며, 첨단 택배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3. 2. 국내물류 서비스

컨테이너 운송, 벌크, 대북 물자 운송 등 국내 물류 시스템 전반을 다룬다.

3. 3. 해운/항공 서비스

롯데글로벌로지스는 해운 운송, 항공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이로직스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3. 4. TPL 서비스

롯데글로벌로지스는 TPL 서비스와 TPL 시스템을 제공한다.[1]

4. 해외 사업

롯데글로벌로지스는 2012년부터 해외 직구 대행 사이트 '아이딜리버'를 운영하며 해외 직구 물류량 확대를 꾀하고 있다.[3] 아이딜리버는 미국 뉴저지, 델라웨어, 오리건에 배송대행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3] 아이딜리버는 미국 델라웨어와 LA 등에 물류센터를 구축하고 있으며, 2013년 블랙프라이데이 기간 동안 의류, 신발, 비타민, 화장품 등을 주요 품목으로 전년 대비 약 180% 증가한 물량을 처리했다.

롯데글로벌로지스(당시 현대로지스틱스)는 해외 법인 설립을 통해 글로벌 물류 네트워크를 확장해왔다.

연도국가법인명
2012년독일Hyundai Logistics GMBH
2013년인도Hyundai Logistics India Private Limited.
2014년영국Hyundai Logistics UK.
2014년베트남Hyundai-Vinatrans Logistics



2012년 11월에는 중국 시노트랜스와 전략적 제휴를 맺었다.[2]

5. 사회적 책임 및 ESG 경영

롯데글로벌로지스는 환경 보호, 사회적 책임, 투명하고 윤리적인 경영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2020년 4월, 롯데글로벌로지스는 환경부 주관 전기화물차 보급 확대 MOU를 체결했다. 이 협약에는 CJ대한통운, 현대기아자동차 등 여러 기업이 참여했다.[1] 12월에는 국내 최초로 친환경 콜드체인(Cold Chain) 전기화물차를 정식 운영하기 시작했다.[2]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한 노력으로는 고용 창출 및 안전보건 활동 등이 있다. 2020년 7월, 롯데글로벌로지스는 고용노동부와 안전보건공단이 주관하는 2020년 서비스 분야 '안전보건 활동 최고 사업장'으로 선정되었다.[3] 같은 해, 고용노동부 주관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으로도 선정되었다. 또한, 11월에는 고용노동부, 교육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4개 정부 부처가 공동 인증하는 2020년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Best HRD)으로 선정되었다.

투명하고 윤리적인 경영을 위한 노력으로는 준법 경영 시스템 및 부패방지 경영 시스템 구축 등이 있다. 2020년 11월,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준법 경영 시스템(ISO 19600)과 부패방지 경영 시스템(ISO 37001) 국제표준 인증을 동시에 획득했다.

참조

[1] 웹사이트 Lotte Group Merges Lotte Global Logistics and Lotte Logistics http://www.businessk[...] 2018-11-28
[2] 뉴스 치킨게임 종료…활짝 갠 택배 시장, 현대로지스틱스 사모 펀드에 인수돼, 업계 1위 CJ대한통운 ‘강추’ 한국경제 2014-08-12
[3] 간행물 훨씬 싸니까 해외직구한다 2, 더 낮아지는 해외직구 장벽 월간마이더스 2014-0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