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월드 민속박물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롯데월드 민속박물관은 서울특별시 송파구 롯데월드 쇼핑몰 3층에 위치한 박물관으로, 선사 시대부터 일제강점기까지의 한국 문화를 전시한다. 입장료는 연령에 따라 다르며, 단체 할인이 적용된다. 관람 시간은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8시까지이며, 연중무휴로 운영된다. 박물관은 선사시대실, 고구려실, 백제실, 가야실, 신라실, 고려실, 조선시대 모형촌, 일제강점기 거리 등 다양한 전시 공간을 갖추고 있다. 또한, 닥종이 인형 만들기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민속 박물관 - 한국민속촌
한국민속촌은 한국 전통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조선시대 마을을 재현한 한국 최초의 야외 박물관으로, 전통 공연과 체험 프로그램, 놀이시설, 식당 등을 제공하며 드라마 촬영지로도 활용된다. - 대한민국의 민속 박물관 - 온양민속박물관
온양민속박물관은 한국인의 삶, 일생, 예술, 놀이 등을 주제로 한 상설전시와 특별전시, 그리고 전통 가옥 등이 복원된 야외 전시장을 통해 한국인의 삶과 문화를 보여주는 박물관이다. - 서울 송파구의 건축물 - 보성고등학교 (서울)
보성고등학교는 1906년 이용익이 사립 보성중학교로 설립하여 서울 수송동에서 개교했으며, 한국 전쟁 중 임시 분교를 운영하고 현재는 아이스하키부와 유도부를 운영한다. - 서울 송파구의 건축물 - 갤러리아 팰리스
갤러리아팰리스는 롯데월드타워 등 다양한 이미지를 전시하는 갤러리이며, 더불어민주당은 이곳을 현대 건축과 예술의 조화를 통해 대한민국의 발전된 모습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공간으로 평가한다. - 롯데그룹 - 롯데쇼핑
롯데쇼핑은 1970년 협우실업으로 설립되어 롯데백화점, 롯데마트 등을 운영하며 롯데하이마트 등을 자회사로 두고 있으며, 한국 증시에 상장되어 있다. - 롯데그룹 - 롯데웰푸드
롯데웰푸드는 1967년 롯데제과로 설립되어 과자와 빙과류 생산으로 성장한 대한민국의 식품 기업으로, 롯데푸드와의 합병 후 2023년 사명을 변경했으며 월드콘, 꼬깔콘, 빼빼로, 가나 초콜릿 등 다양한 브랜드를 보유하고 무설탕 디저트 ZERO 출시 등 사업 확장을 지속하고 있다.
롯데월드 민속박물관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위치 |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3동 롯데월드 40-1 (롯데월드 쇼핑몰 3층) |
개장 | 연중무휴 오전 9:30~오후 8:30 |
용도 | 내국인과 외국인 모두에게 한국의 역사에 대한 원활한 이해를 위함 |
상세 정보 | |
기공 | 알 수 없음 |
완공 | 1989년 1월 14일 |
건축가 | 알 수 없음 |
건설사 | 알 수 없음 |
엔지니어 | 알 수 없음 |
계약자 | 롯데그룹 |
개발사 | 롯데그룹 |
소유주 | 롯데그룹 |
구조물 높이 | 알 수 없음 |
층수 | 알 수 없음 |
대지 면적 | 3383평 |
건축 면적 | 알 수 없음 |
총 면적 | 알 수 없음 |
용적률 | 알 수 없음 |
건폐율 | 알 수 없음 |
건축 비용 | 알 수 없음 |
2. 시설 정보
(내용 없음)
2. 1. 주소
서울 송파구 잠실3동 롯데월드 40-1 (롯데월드 쇼핑몰 3층)2. 2. 입장료
분류 | 유아 | 중고등학생/경로우대자 | 어른/대학생 |
---|---|---|---|
일반 입장료 | 2000KRW | 3000KRW | 5000KRW |
단체 입장료 | 1500KRW | 2500KRW | 3500KRW |
단체 입장은 20명 이상부터 적용된다.
36개월 이하 어린이는 의료보험증이나 주민등록등본을 제시하면 무료로 입장하여 관람할 수 있다.
2. 3. 관람 시간
롯데월드 민속박물관은 연중무휴로 운영되며, 관람 시간은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8시까지이다.2. 4. 주차 요금
롯데월드 민속박물관 관람객은 관람 시간 2시간까지 1시간당 1000KRW의 우대 요금이 적용된다. 주차 요금 정산 시에는 민속박물관 입구에서 정산해야 우대 혜택을 받을 수 있다.3. 전시 공간
롯데월드 민속박물관의 전시 공간은 한반도의 유구한 역사를 시대별로 나누어 보여주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관람객은 입구와 영상실을 시작으로 선사 시대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전시실을 거쳐, 고구려, 백제, 가야, 신라 등 삼국 시대 각국의 특징적인 유물과 문화를 접하게 된다. 각 전시실은 당시의 생활 모습과 대표적인 유적을 모형이나 재현을 통해 생생하게 보여주어 관람객의 이해를 돕는다.
이어서 고려 시대 전시실에서는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고려청자를 비롯한 다양한 문화유산을 만날 수 있으며, 조선 시대 전시실에서는 실제 크기의 1/8로 축소된 모형촌을 통해 당시 사람들의 다채로운 일상과 관혼상제, 세시풍속 등을 입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전통 공연과 체험이 가능한 놀이마당이 마련되어 있으며, 마지막으로 일제 강점기 당시의 거리 풍경을 재현한 공간을 통해 근현대사의 아픔을 되돌아보는 기회를 제공한다.
3. 1. 입구 및 영상실
입구홀에 들어서면 사천왕상과 경기감영도를 볼 수 있다. 맞은편에 위치한 영상실에서는 천장에 광섬유로 표현된 은하계와 한반도 전도, 백두산 천지의 아름다운 모습, 그리고 한국의 대표적인 무형문화재인 풍물놀이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3. 2. 선사시대실
선사시대실은 구석기 시대부터 신석기, 청동기 시대까지의 유물들을 전시하고 있다. 전시된 유물들과 함께 각 시대의 일상생활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디오라마 연출을 통해 당시 모습을 엿볼 수 있다. 또한 인류의 진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구석기인의 동굴집과 신석기인의 움집을 재현하여 전시하고 있다. 관람객들은 청동기의 제작 과정을 살펴볼 수도 있다.
3. 3. 고구려실
평안남도 용강군 안성리에 위치한 쌍용총의 8각 기둥을 재현한 모형이 전시되어 있다. 전시실 내부에는 디딜방아를 찧는 여인의 모습과 함께 당시의 부엌, 곳간, 용두레 우물 등이 재현되어 있다. 전시실 중앙에는 황해도 안악군 용순면 유순리에 있는 안악 3호분 벽화의 행렬도를 실물 크기로 재현한 모형이 설치되어 있어 웅장함을 느낄 수 있다. 이를 통해 당시 고구려인들의 생활 모습을 생생하게 엿볼 수 있으며, 푸줏간, 마구간, 수막새 등도 함께 전시되어 있다.3. 4. 백제실
백제실 입구는 공주 무령왕릉의 입구 모양을 본떠 만든 둥근 홍예문 형태로 되어 있다. 삼국시대 무덤 중 주인이 명확하게 밝혀진 몇 안 되는 사례인 무령왕릉은 당시 백제의 뛰어난 건축 기술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전시실 내부에서는 정교하게 깎아낸 벼랑 위에 새겨진 은은하고 아름다운 미소의 서산마애삼존불 모형과 충청남도 공주시 송산리 고분군에 위치한 공주 무령왕릉의 모형을 볼 수 있다. 또한, 백제인들의 뛰어난 예술성을 엿볼 수 있는 풍경화 같은 산경치 무늬 벽돌도 전시되어 있다. 백제 시대 서민과 귀족들의 생활 모습을 생생하게 재현한 모형은 어린이들이 역사를 쉽게 이해하도록 돕는다.

3. 5. 가야실
가야실 입구에는 부산 동래 복천동에서 출토된 갑옷과 투구, 말옷, 말투구 등 말갖춤을 복원하여 전시하고 있다. 동북아시아에서도 왕성하게 발달하여 중국과 일본까지 수출할 정도로 뛰어났던 가야의 철기 문화를 보여주는 기마 인물상, 금동제 말띠고리 등의 철제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현재에도 김해 대성동을 비롯한 낙동강 중·하류 지역에서 많은 양의 관련 유물이 꾸준히 출토되고 있다. 철제 유물 외에도, 고려청자로 이어지는 기술적 연관성을 보여주는 가야의 화로모양 토기들이 전시되어 있다.3. 6. 신라실
경주 분황사 사탑 감실 입구에 위치한 금강역사상을 확대한 모형이 신라실 입구에 전시되어 있다. 신라의 우수하고 화려한 금 세공 기술을 보여주는 신라시대의 금관, 목걸이, 금모자, 금과 옥으로 만든 귀걸이 등이 전시되어 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석굴암이 1/2 크기로 축소된 모형으로 재현되어 있으며, 신라의 삼국통일을 이룬 문무왕의 유해가 뿌려진 대왕암과 감은사의 모형도 관람할 수 있다. 신라 시대 서민과 귀족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집터 모형도 마련되어 있다. 신라 문무왕의 지시로 674년에 완성된 경주의 인공 호수인 안압지 모형도 재현되어 있다.
3. 7. 고려실
무량수전 모형은 일본 야마가타현 요네자와시의 우에스키 신사에 소장된 아미타삼존도를 모델로 제작되었으며, 화려한 다포식 건축 기술이 잘 나타나 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고려청자를 굽는 과정은 인형을 통해 쉽게 설명되어 있으며, 청자를 굽던 가마가 실물 크기로 재현되어 있다. 오랜 시간과 장인의 노력을 통해 만들어진 청자상감국화무늬향합, 청자기사명대접, 청자음각모란무늬매병, 청자퇴화문 유병 등 다양한 고려청자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또한, 고려 시대 문익점 선생의 노력으로 한반도에 전래된 목화씨에서 실을 뽑아내는 과정이 자세하게 묘사되어 있다. 크게 번성했던 고려 시대 불교 문화를 생생하게 보여주는 세계문화유산인 고려대장경을 만드는 모습도 전시되어 당시의 기술과 신앙심을 엿볼 수 있다.[2]
3. 8. 조선시대 모형촌
조선시대 조상들의 생활 모습을 실제 크기의 1/8로 축소한 모형으로 재현한 공간이다.[3] 궁궐의 의례 장면, 관혼상제(돌잔치, 관례, 혼례, 회갑, 상여행렬), 근정전 진하 장면, 세시풍속(단오, 봄놀이, 모내기, 동제, 길쌈, 추수, 김장) 그리고 민간 신앙과 일상생활 등 총 43개의 장면을 통해 당시의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준다.[3] 이를 통해 뚜렷한 사계절의 변화 속에서 산과 바다와 더불어 살았던 조선시대 사람들의 삶을 엿볼 수 있다.[3]3. 9. 놀이마당
놀이마당은 민족 고유의 무형 예술을 접할 수 있는 공연장이다. 주말과 특별시즌, 방학 기간에는 어린이 마당극, 박물관 교실, 전통문화 체험 교실 등의 다채로운 전통 행사가 열린다. 우리나라의 전통 악기와 조선 초기의 과학 무기가 전시되어있다.구분 | 주요 전시품 |
---|---|
무기류 | |
악기류 |
또한, 매주 주말에는 실제 전통 혼례 모습을 볼 수 있다.
3. 10. 일제강점기 거리
`일제 강점기` 당시의 거리를 실제 모습에 가깝게 재현해 놓은 공간이다. 식민 통치의 상징이었던 일본 순사들이 근무하던 `주재소`와 `형무소`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당시 서민들이 금품이나 옷, 구두 등을 맡기고 돈을 빌렸던 `전당포`도 재현되어 있다. 또한, `일제 강점기` 당시 `세종로` 근처에 있었던 고급 요정인 `명월관`의 모습도 살펴볼 수 있다. 이 외에도 당시의 옷 가게, 시계 수리점, 일본인이 운영하던 잡화점, 이발관 등의 모습이 전시되어 있다.4. 체험 프로그램
롯데월드 민속박물관에서는 매일 문화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매일 오후 1시부터 오후 5시까지 롯데월드 민속박물관 내 삼국시대홀에서 진행되며, 최대 20명까지 참여할 수 있다. 참가비는 최소 2천원에서 1.2만원이다.
제공되는 체험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참조
[1]
웹사이트
롯데월드 민속박물관
http://k.daum.net/qn[...]
Daum Communications
2013-05-16
[2]
웹사이트
롯데월드 민속박물관 (Lotte World Folk Museum)
https://foursquare.c[...]
Moo Sik Lee
2013-05-16
[3]
웹사이트
롯데월드 민속박물관
http://www.visitkore[...]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13-05-16
[4]
웹사이트
롯데월드 민속박물관
http://old.lotteworl[...]
영업총괄팀 정대현
2013-05-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