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얼 그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얼 그룹은 1984년 스톡홀름 왕립 음악대학 재학생들이 결성한 스웨덴의 아카펠라 그룹이다. 2,000회 이상의 공연을 펼쳤으며, 1993년에는 아바의 "댄싱 퀸"을 아카펠라로 편곡하여 스웨덴 실비아 여왕의 50번째 생일 기념 공연에서 아니-프리드 린그스타드와 함께 공연했다. 2001년 첫 내한 공연을 시작으로, 2002년 한일 월드컵 개막식, 2003년 영화 해적, 디스코왕 되다 OST 참여 등 한국과도 인연을 맺었다. 여러 차례 멤버 변화를 겪었으며, 1995년부터 2004년까지 현대 아카펠라 레코딩 어워드(CARAs)에서 여러 차례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 카펠라 음악 그룹 - 레이디스미스 블랙 맘바조
    레이디스미스 블랙 맘바조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의 아카펠라 그룹으로, 줄루족 전통 음악인 이시카타미야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폴 사이먼과의 협업을 통해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고 아파르트헤이트 시대 문화적 대사 역할을 수행하며 그래미상을 수상하는 등 음악성과 사회적 영향력을 인정받았다.
  • 아 카펠라 음악 그룹 - 보카 피플
    2006년 이탈리아에서 결성된 보카 피플은 사람 목소리로만 음악을 만드는 아카펠라 그룹으로, 유튜브를 통해 알려진 후 외계인 컨셉과 아카펠라, 비트박스를 결합한 공연으로 세계적인 인기를 얻어 뉴욕 오프 브로드웨이 롱런 공연과 "보카 피플 코스믹 투어"를 진행하고 있다.
  • 1984년 결성된 음악 그룹 - 사운드가든
    사운드가든은 1984년 시애틀에서 결성되어 그런지 음악의 선구자 역할을 한 미국의 얼터너티브 메탈 밴드였으나, 1997년 해체 후 2010년 재결합했으나 크리스 코넬의 사망으로 활동이 중단되었으며, 사운드가든이라는 이름으로의 활동 재개는 불투명하다.
  • 1984년 결성된 음악 그룹 - 소녀대
    소녀대는 1983년 결성되어 1989년 해체된 일본의 여성 아이돌 그룹으로, 아시아 시장 공략과 서울 올림픽 이미지송 발표 등을 통해 활동했으며, 해체 후 재결성되기도 했다.
리얼 그룹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더 리얼 그룹
원어 이름The Real Group
국적스웨덴
결성 시기1984년
활동 시기1984년–현재
장르아카펠라
보컬 재즈
웹사이트더 리얼 그룹 공식 웹사이트
현재 구성원
소프라노클라라 포르난데르
알토조안네 파스토르 누가스
테너요하네스 뤼케르트 베커
바리톤악셀 베른트손
베이스다니엘 디스
이전 구성원
이전 구성원마르가레타 벵츤
요한나 나이스트룀
페데르 칼손
안데르스 얄케우스
안데르스 에덴로스
카타리나 헨리손
모르텐 빈터 쇠렌센
이미지
(왼쪽부터) 안데르스 에덴로스, 엠마 닐스도터, 리사 외스터그렌, 모르텐 빈터 쇠렌센, 야니스 스트라즈딘슈

2. 역사

리얼 그룹은 전 세계적으로 2,000회가 넘는 공연을 펼쳤다.[3] 1993년 스웨덴 실비아 여왕의 50번째 생일을 기념하여 전 ABBA 멤버 아니-프리드 린그스타드의 댄싱 퀸(Dancing Queen) 공연에서 아카펠라 편곡으로 백업을 맡았다.

재즈 계열의 곡이 중심이지만, 발라드부터 업템포 곡, 코믹한 곡까지 다양한 스타일의 곡을 연주하며, 루프 스테이션을 활용하기도 한다. 마이클 잭슨의 "Bad"나 싸이의 "강남스타일"을 커버한 "Reindeer Rodeo"와 같은 커버곡도 많다.

해외에서는 핀란드 프로 아카펠라 그룹 라야톤(Rajaton)과, 일본에서는 재즈 보이스 퍼커셔니스트 북村嘉一郎와 교류가 깊으며, 때때로 합동 공연을 펼치기도 한다. 라야톤과는 "LEVELELEVEN"이라는 유닛으로 공연하기도 한다.

2016년 독일 프라이부르크(Freiburg)의 젤트 음악 축제(Zelt-Musik-Festival)에서 언두조(Unduzo)와 함께한 리얼 그룹

2. 1. 결성 및 초기 활동 (1984년 ~ 1990년대)

리얼 그룹은 1984년 멤버들이 스톡홀름의 왕립 음악대학에 재학 중일 때 결성되었다. 모든 멤버는 아돌프 프레드릭 음악학교(Adolf Fredrik's Music School)를 다녔다.[4] 초창기에는 마가레타 벵트손(Margareta Bengtson)이 소프라노를 맡았지만, 2006년 솔로 앨범 작업을 위해 팀을 떠났다. 요하나 뉘스트룀(Johanna Nyström)이 한동안 그 자리를 채웠고, 2008년 에마 닐스도터(Emma Nilsdotter)가 크렘린 궁전(Kremlin Palace)에서 첫 공연을 가진 후 그녀를 대체했다.[5] 요하나 뉘스트룀은 마가레타 벵트손과 카타리나 헨리손(Katarina Henryson)이 출산 휴가 또는 기타 사유로 자리를 비울 때도 대신하기도 했다.

2010년 페데르 칼르손(Peder Karlsson)이 리얼 아카데미(The Real Academy) 개발에 집중하기 위해 팀을 떠나자, 모르텐 빈테르쇠렌센(Morten Vinther Sørensen)이 그를 대신하여 합류했다. 2015년에는 안데르스 얄케우스(Anders Jalkéus)가 건강상의 이유로 은퇴하면서 야니스 스트라즈딘슈(Jānis Strazdiņš)가 베이스로 합류했다.

2016년 1월 19일, 리얼 그룹은 리사 외스테르그렌(Lisa Östergren)이 카타리나 헨리손을 대체할 것이라고 발표했다.[6]

1984년 스웨덴 왕립음악원(Kungliga Musikhögskolan)에서 만난 5명의 멤버로 결성되었다. 1987년 앨범 《Debut》로 CD 데뷔하였고, 1995년에는 미국 현대 아카펠라 협회(CASA)로부터 "The World's Best Vocal Group" 상을 수상했다. 2000년에는 앨범 《Commonly Unique》가 스웨덴 그래미상(Grammis) 오픈 카테고리 부문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2. 2. 한국과의 인연 (2000년대 ~ 현재)

2001년 9월 11일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첫 내한 공연을 가졌는데, 이례적인 환호에 "여러분은 생애 최고의 청중"이라며 화답했다.[10] 2002년 FIFA 월드컵 개막식에서 6만 명의 관객 앞에서 공연했다.[3] 2003년 앨범 《The Real Thing》에는 대한민국 영화 해적, 디스코왕 되다의 OST로 만든 곡 "Song from the Snow"를 넣었다. 2005년에 발표한 앨범 《In the Middle of Life》는 대한민국에서 발매된 앨범에만 있는 곡이 두 곡 있다. 2011년 9월 내한공연을 하고 그에 관련된 영상 'Arirang'을 유튜브에 올렸다.[10]

2. 3. 멤버 변화

리얼 그룹 멤버 변화
이름파트활동 기간비고
마르가레타 벵츤(Margareta Bengtson)소프라노1984년 ~ 2006년2006년 솔로 활동[4]
요한나 나이스트롬(Johanna Nyström)소프라노마르가레타 벵츤과 카타리나 헨리슨의 출산 휴가 등으로 인한 공백 기간 동안 활동[5], 2006년 마르가레타 탈퇴 후 2008년까지 활동
엠마 닐스도터(Emma Nilsdotter)소프라노2008년 ~ 2020년2008년 요한나 대신 합류[5]
클라라 포르난더(Clara Fornander)소프라노2020년 ~
카타리나 헨리슨(Katarina Henryson)알토1984년 ~ 2016년
리사 외스테르그렌(Lisa Östergren)알토2016년 ~ 2020년2016년 카타리나 헨리슨 대체[6]
요안네 누가스(Joanné Nugas)알토2020년 ~
앤더스 에덴로스(Anders Edenroth)카운터테너/테너1984년 ~ 2021년
요하네스 뤼케르트 베커(Johannes Rückert Becker)테너2021년 ~
페더 칼슨(Peder Karlsson)테너/바리톤1984년 ~ 2010년2010년 교육 및 인재 양성을 위해 The Real Academy로 이전[5]
모튼 빈터 쇠렌센(Morten Vinther Sørensen)테너/바리톤2010년 ~ 2020년2010년 페더 칼슨 대체[5]
악셀 베른트손(Axel Berntzon)바리톤2021년 ~
안톤 포스베리(Anton Forsberg)바리톤2020년 ~ 2021년
앤더스 얄케우스(Anders Jalkéus)베이스1984년 ~ 2015년2015년 건강상의 이유로 은퇴[5]
야니스 스트라즈딘슈(Jānis Strazdiņš)베이스2015년 ~ 2021년2015년 앤더스 얄케우스 대체[5]
다니엘레 디스(Daniele Dees)베이스2021년 ~
카스틴 뤼히드 룬딘(Kastin Ryhid Lundin)소프라노2010년~2012년, 에마의 출산휴가 기간 동안 활동


2. 4. 타임라인

연도파트이름
1984년소프라노마가레타 벵트손
알토카타리나 헨리손
테너안데르스 에덴로트
바리톤페데르 칼손
베이스안데르스 야르케우스
1993년소프라노장네트 컨(Jeanette Köhn)
1994년소프라노마가레타 벵트손
1996년소프라노, 알토요한나 뉘스트룀
2000년소프라노마가레타 벵트손
2001년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첫 내한 공연[10]
2002년2002년 FIFA 월드컵 오프닝 행사에서 공연[10]
2003년앨범 The Real Thing에 대한민국 영화 해적, 디스코왕 되다의 OST로 만든 곡 Song from the Snow 수록[10]
2005년앨범 In the Middle of Life 대한민국 발매 앨범에만 있는 곡 두 곡 수록[10]
2006년마가레타 벵트손 솔로 앨범 작업 위해 팀 탈퇴
2008년소프라노엠마 닐스도테르
2010년소프라노케르스틴 리헤드 룬딘
바리톤모르텐 빈테르
2011년9월 내한공연, Arirang 유튜브 영상 게시[10]
2011년소프라노엠마 닐스도테르
2012년소프라노케르스틴 리헤드 룬딘
2013년소프라노엠마 닐스도테르
2015년베이스야니스 스트라즈딘슈
2016년알토리사 외스테르그렌
2020년바리톤안톤 포스베리
2021년소프라노클라라 포르난데르
알토카타리나 헨리손
2021년 8월
바리톤다니엘레 디스
베이스악셀 베른트손
2022년알토조앤느 누가스(Joanné Nugas)
테너요하네스 뤼케르트 베커



3. 음반 목록

wikitext

발매일제목비고
1987년데뷔 (Debut)13곡 수록. 스웨덴어sv 3곡, 영어영어 10곡. 두 개의 마이크로 2트랙 테이프에 녹음되었으며, 가수들은 마이크와의 거리를 조절하여 밸런스를 맞췄다.[7][8] (Caprice)
1989년낫띵 벗 더 리얼 그룹 (Nothing But the Real Group)12곡 수록, 모두 영어영어 (Caprice)
1991년뢰스테르 (Röster)12곡 수록, 모두 스웨덴어sv (Caprice)
1994년바르포르 포르 만 인테 바라 솜 만 에르? (Varför får man inte bara vara som man är?)14곡 수록. 대부분 스웨덴어sv이며, 아바의 "댄싱 퀸"을 아니-프리드 륀그스타드와 함께 커버한 곡도 포함되어 있다. (Gazell)
1994년언리얼! (Unreal!)(Town Crier)
1996년오리지널 (Ori:ginal)12곡 수록, 모두 스웨덴어sv
1996년겟:리얼 (Get:real)
1996년 3월 19일라이브 인 스톡홀름 (Live in Stockholm)스웨덴sv에서는 재즈:라이브 (jazz:live)라는 제목으로 발매되었다. 영어영어 10곡, 스웨덴어sv 1곡, 가사 없는 곡 1곡 수록. 모든 곡은 콘서트 실황이다. (Town Crier)
1997년엔 리크티그 율 (En riktig jul)제목 번역: 진짜 크리스마스. 13곡 수록, 모두 스웨덴어sv
1998년원 포 올 (One for All)16곡 수록. 스웨덴어sv 1곡 포함. 투츠 틸레망스가 하모니카 연주로 참여했다.
2000년커먼리 유니크 (Commonly Unique)13곡 수록, 모두 영어영어
2001년알트 데트 베스타 (Allt Det Bästa)제목 번역: 최고의 것들. 20곡 수록, 스웨덴어sv와 영어영어 혼합
2002년스템닝 (Stämning)22곡 수록, 모두 스웨덴어sv. 스웨덴sv 민요로, 모든 곡이 합창 스타일이다. 오버더빙 없이 녹음되었으며, 에릭 에릭손이 지휘했다. (EMI)
2003년율렌 에르 헤르 (Julen er her)노르웨이어no 제목 번역: 크리스마스가 왔다. 15곡 수록: 영어영어 3곡, 스웨덴어sv 9곡, 노르웨이어no 2곡, 가사 없는 곡 1곡. 4곡은 콘서트 실황이다. 디즈니 단편 애니메이션 사운드트랙을 아카펠라로 편곡한 "정글의 광대 (Clown of the Jungle)"의 라이브 공연 영상이 포함되어 있다.[9]
2003년 6월 12일더 리얼 씽 (The Real Thing)13곡 수록: 스웨덴어sv 5곡, 나머지는 영어영어. "댄싱 퀸"의 재녹음 버전과 한국 영화를 위해 만들어진 "눈의 노래 (Song from the Snow)" 등 이전에 발매되지 않은 2곡이 포함되어 있다. (Dreambeat)
2005년인 더 미들 오브 라이프 (In the Middle of Life)13곡 수록: 영어영어 12곡, 가사 없는 곡 1곡. 한국 시장 버전에는 영어영어 곡 2곡이 추가로 포함되어 있다. (FMC)
2008년 6월 25일홀 무시켄 이 꽁 (Håll musiken i gång)9곡 수록, 모두 스웨덴어sv, 3곡은 이전에 발매된 곡. 스웨덴sv 연예인 포벨 라멜에게 바치는 헌정 앨범이다. 리얼 그룹과 포벨 라멜은 서로 팬이었다. 리얼 그룹은 2002년 라멜이 기금을 조성한 카라멜로딕트스티펜디에트(Karamelodiktstipendiet) 장학금을 받았다. 마지막 곡인 "콘도토리 포르게트미게이 (Konditori Forgätmigej)"는 안데르스 에덴로스가 포벨의 스타일로 작곡했다. 마가레타 벵트손이 이 앨범 녹음에 스튜디오 세션 멤버로 참여했다. (EMI)
2009년 9월 16일더 리얼 앨범 (The Real Album)12곡 수록: 영어영어 10곡, 가사 없는 곡 2곡 (Lionheart)
2012년더 월드 포 크리스마스 (The World for Christmas)13곡 수록: 영어영어 7곡, 스웨덴어sv 4곡, 가사 없는 곡 2곡. 안데르스 에덴로스가 작곡 및 편곡한 "더 월드 포 크리스마스 (The World for Christmas)"가 수록되어 있다. (Universal)
2013년라이브 인 재팬 (Live in Japan)15곡 수록: 영어영어 10곡, 가사 없는 곡 5곡. 2013년 4월 오사카의 빌보드 재즈 클럽과 도쿄에서 라이브로 녹음되었다. "캐칭 더 빅 피시 (Catching the Big Fish)"와 "럭키 루크 (Lucky Luke)" 두 곡은 모르텐 빈테르 쇠렌센이 작곡했다.
2017년 12월 1일엘리먼츠 (Elements)16곡 수록: 영어영어 13곡, 스웨덴어sv 2곡, 라트비아어lv 1곡.
2018년 9월 4일프렌드십 (Friendship)11곡 수록; 헤센 주립 청소년 오케스트라인 킥스 앤 스틱스(Kicks & Sticks)와 공동 제작.


4. 수상 및 영예

연도상 이름곡/앨범비고
1995최고 현대 커버Varför får man inte bara vara som man är 수록곡 "Dancing Queen"
1995최고 재즈곡Varför får man inte bara vara som man är 수록곡 "Flight of the Foo-Birds"
1996최고 여성 보컬리스트마가레타 벵트손(Margareta Bengtson)
1997올해의 라이브 앨범Live in Stockholm
1997최고 오리지널 팝송"Jag Vill Va Med Dig"
1997최고 재즈곡"Waltz for Debby"
1997최고 여성 보컬리스트마가레타 벵트손(Margareta Bengtson)
1998최고 홀리데이 앨범En riktig jul
2003최고 클래식 앨범Stämning
2003최고 클래식곡 2위Stämning 수록곡 "En vänlig grönskas rika dräkt"
2004최고 홀리데이 앨범Julen er her
2004최고 홀리데이송Julen er her 수록곡 "Hark, the Herald Angels Sing"
2002카라멜로딕트 스티펜디에포벨 라멜(Povel Ramel)이 수여



1995년 미국 현대 아카펠라 협회(CASA)로부터 "The World's Best Vocal Group" 상을 받았다. 2000년에는 앨범 《Commonly Unique》가 스웨덴 그래미상(Grammis) 오픈 카테고리 부문에서 최우수상을 받았다.

5. 음악 스타일 및 특징

1984년 스웨덴 왕립음악원(Kungliga Musikhögskolan)에서 만난 5명의 멤버로 결성되었다. 재즈 계열의 곡이 중심이지만, 발라드부터 업템포 곡, 코믹한 곡까지 다양한 스타일의 곡을 연주한다. 때로는 다중 녹음 기기의 일종인 루프 스테이션을 활용하기도 한다. 마이클 잭슨의 "Bad"나, 대한민국의 싸이의 "강남스타일"을 커버한 "Reindeer Rodeo"와 같은 커버곡도 많다.

해외에서는 핀란드 프로 아카펠라 그룹 라야톤(Rajaton)과, 일본에서는 재즈 보이스 퍼커셔니스트 북村嘉一郎와 교류가 깊어, 때때로 합동 공연을 펼치기도 한다. 라야톤과는 최근에는 "LEVELELEVEN"이라는 유닛으로서의 공연도 볼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Real Group https://www.allmusic[...] 2018-10-03
[2] 웹사이트 The Real Group Questions & Answers http://www.realgroup[...] 2006-08-15
[3] 웹사이트 The Real Group Questions & Answers http://www.realgroup[...] 2006-08-11
[4] 웹사이트 The Real Group http://musikverket.s[...] Musikverket (Swedish music web site 2014-12-06
[5] 웹사이트 The Real Group performs in Kremlin Palace, Russia http://www.therealgr[...]
[6] 웹사이트 YouTube Announcement of Katarina's retirement https://www.youtube.[...] TheRealGroupDotSE 2016-01-19
[7] 웹사이트 A history of TRG recordings http://www.realgroup[...] 2017-04-18
[8] 웹사이트 Comments on Debut http://www.singers.c[...] 2017-04-18
[9] 문서 Clown of the Jungle
[10] Youtube https://www.youtub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