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처드 워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처드 워커는 미국의 외교관이자 학자이다. 그는 1944년 드류 대학교를 졸업하고, 예일 대학교에서 석사 및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했으며,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 본부에서 중국어 번역을 담당했다. 예일 대학교 교수를 거쳐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교에서 국제학 연구소를 설립하고 소장으로 재직했다. 1981년부터 1986년까지 대한민국 주재 미국 대사로 활동하며 김대중의 석방에 기여했고, 레이건 대통령으로부터 표창을 받았다. 대사직 퇴임 후에는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교 명예교수로 활동하며 저술 활동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펜실베이니아주의 정치인 - 조 바이든
조 바이든은 1942년생으로, 델라웨어주 연방 상원의원, 버락 오바마 행정부 부통령을 거쳐 2020년 대선에서 당선되어 제46대 미국 대통령을 역임했다. - 펜실베이니아주의 정치인 - 제임스 뷰캐넌
제임스 뷰캐넌은 1791년에 태어나 1857년부터 1861년까지 제15대 미국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노예제 문제와 경제 공황을 겪었고 남부의 탈퇴 시도에 미온적으로 대처하여 비판을 받았다. - 대한민국 주재 미국 대사 - 리처드 스나이더
리처드 스나이더는 미국의 외교관이자 관료로, 국무부 외교관, NSC 수석보좌관, 주일 미국 대사관 수석 공사,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국무차관보 대리 등을 역임했으며 오키나와 반환 협상에 기여하고 주한 미국 대사로서 한미 관계에 관여했다. - 대한민국 주재 미국 대사 - 윌리엄 글라이스틴 주니어
윌리엄 글라이스틴 주니어는 미국의 외교관으로 국무부 동아태 부차관보와 주한 미국 대사를 지내며 한국 현대사의 격변기와 한미 관계의 주요 현안들을 다루었고 동아시아 문제 전문가로서 외교관계협의회 연구소장으로 활동했다. - 2003년 사망 - 윤석중
윤석중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아동문학가로서, 아동문학 운동을 이끌고 수많은 동요와 동시집을 발표하며 한국 아동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 2003년 사망 - 에드워드 텔러
헝가리 출신 이론 물리학자 에드워드 텔러는 수소폭탄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지만, 논쟁적인 활동으로 인해 과학 기술 발전과 윤리적 책임에 대한 논쟁을 야기한 인물이다.
리처드 워커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22년 4월 13일 |
출생지 | 벨폰트, 펜실베이니아주 |
사망일 | 2003년 7월 22일 |
사망지 | 컬럼비아, 사우스캐롤라이나주, 미국 |
안장 장소 | 베를린, 메릴랜드주 |
배우자 | 셀레노 켄리 |
자녀 | 3명 |
직책 | |
대사 | 미국 |
파견 국가 | 대한민국 |
임기 시작 | 1981년 8월 12일 |
임기 종료 | 1986년 10월 25일 |
이전 | 윌리엄 H. 글라이스틴 주니어 |
이후 | 제임스 R. 릴리 |
대통령 | 로널드 레이건 |
학력 | |
학사 | 드루 대학교 (문학 학사) |
석사 | 예일 대학교 (문학 석사, 박사) |
군 복무 | |
소속 | 미국 육군 |
복무 기간 | 1943년-1946년 |
참전 | 제2차 세계 대전 |
2. 생애
리처드 워커는 펜실베이니아주 벨레폰테 출신으로, 드류 대학교와 예일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육군에 복무하며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의 본부에서 중국어 번역을 담당했고, 한국전쟁에도 참전했다. 1981년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에 의해 주한 미국 대사로 임명되었다.[1] 45년 동안 첼레노 켄리 워커와 결혼하여 세 자녀를 두었다.[1]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리처드 워커는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벨레폰테에서 태어났다. 1944년 드류 대학교에서 문학사 학위를, 1947년 예일 대학교에서 문학 석사 학위를, 1950년에는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 1943년부터 1946년까지 제2차 세계 대전에 미국 육군에서 복무했으며,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의 태평양 전선 사령부에서 중국어 통역관으로 활동했다.[1] 이후 한국 전쟁에도 참전했다.[1]2. 2. 군 복무
1943년부터 1946년까지 제2차 세계 대전에 미국 육군으로 참전했으며, 집안의 선교사 배경과 군 복무 중의 집중적인 언어 훈련을 바탕으로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의 태평양 전선 사령부에서 중국어 통역관으로 활동했다.[1] 이후 한국 전쟁에도 참전했다.[1]3. 경력
군 복무 후, 워커는 예일 대학교 교수로 재직했으며,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교(USC)에서 국제학 프로그램을 이끌었다. 1981년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에 의해 대한민국 주재 대사로 임명되어 1986년까지 역임했다. 대사직에서 물러난 후,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교로 돌아와 은퇴할 때까지 학자로서 활동을 이어갔다.
워커는 동아시아 연구에 집중했으며, 일본, 대한민국, 타이완에서 거주한 경험이 있다. 미국 국무부와 미국 정보국에서 근무하며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국가를 자주 방문했다. 17권의 저서를 집필했으며, 70권 이상의 책에 기고했고, 수많은 논문과 서평을 썼다. 그의 연구는 국제 관계에서의 문화적 요인에 초점을 맞추었다. 1956년 저서 『공산주의 하의 중국: 첫 5년』에서 중화인민공화국 공산주의 정권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공산주의가 중국 문화와 양립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매카시즘 시대 동안 중립을 지키려 노력했으나, 반공산주의 중국 편향으로 인식되어 학계에서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국립 전쟁 대학교 워싱턴 D.C.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유럽, 아시아 및 호주 학술 센터에서 강연했다. 국무부와 국방부의 교육 프로그램에 기여한 공로로 상을 받았으며, 드루 대학교, 더 시타델 (군사대학), 서울대학교, USC에서 명예 학위를 받았다. 중화민국으로부터 대수령 광휘훈장을 받았고, 1995년부터 1997년까지 미국 중국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3. 1. 학자로서의 경력
군 복무 후, 워커는 1957년까지 예일 대학교 교수로 재직했다. 이후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교(USC)에서 국제학 신설 프로그램을 조직하고 1972년까지 이끌었다.[1] 1961년에는 국제 연구소를 설립하여 1981년까지 소장을 역임했다.[1] 워싱턴 대학교, 국립 타이완 대학교, 교토 대학교, 일본 교토 산업 대학교 등에서 객원 교수를 역임했다.[1]3. 2. 외교관으로서의 경력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은 1981년 리처드 워커를 대한민국 주재 대사로 임명했다. 워커는 미국 상원의 만장일치 의회 동의를 거쳐 1986년까지 대사직을 수행했으며, 이는 역대 미국 대사 중 최장 기간이다. 그는 사형 선고를 받고 투옥되었던 김대중 반체제 인사의 석방에 기여했으며, 김대중은 이후 대한민국 대통령이 되었다. 레이건 대통령은 이러한 노력과 기타 활동에 대해 워커에게 표창을 수여했으며, 미국 국방부는 그에게 최고 시민 훈장을 수여했다. 레이건은 워커에게 "당신은 조용한 외교를 훌륭한 예술로 승화시켰습니다"라고 편지를 썼다.3. 3. 은퇴 이후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교로 돌아와 제임스 F. 번스 국제학 명예교수 및 대사로 은퇴했다. 그는 사망할 때까지 학문적으로 활동적이었다.4. 저서
워커는 17권의 저서를 집필했으며, 70권 이상의 책에 기고했고, 수많은 논문과 서평을 썼다. 그의 연구와 저술은 특히 국제 관계에서의 문화적 요인에 초점을 맞추었다. 1956년 저서 『공산주의 하의 중국: 첫 5년』에서 워커는 중화인민공화국 공산주의 정권 하에서 발생하는 고통과 잔혹 행위를 일찍이 인지하고, 장기적으로 볼 때 공산주의는 중국 문화와 양립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4. 1. 주요 저서 목록
- Communist China: The First Five Years|공산주의 중국: 처음 5년영어
- China Under Communism: The First Five Years|공산주의하의 중국: 처음 5년영어
- The China Danger|중국의 위협영어
- Letters from the Communes|공동체로부터의 편지영어
5. 평가
워커는 학자이자 외교관으로서 국제 관계, 특히 동아시아 문제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기여했다. 그는 17권의 저서를 집필하고 70권 이상의 책에 기고했으며, 수많은 논문과 서평을 썼다. 그의 연구와 저술은 특히 국제 관계에서의 문화적 요인에 초점을 맞추었다. 1956년 저서 《공산주의 하의 중국: 첫 5년》에서 중화인민공화국 공산주의 정권 하에서 발생하는 고통과 잔혹 행위를 일찍이 인지하고, 장기적으로 볼 때 공산주의는 중국 문화와 양립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에 의해 대한민국 주재 대사로 임명된 그는, 사형 선고를 받고 투옥되었던 김대중 반체제 인사의 석방에 부분적으로 기여했으며, 김대중은 이후 대한민국 대통령이 되었다. 이러한 노력과 기타 활동에 대해 레이건 대통령으로부터 표창을 받았으며, 미국 국방부로부터 최고 시민 훈장을 수여받았다. 레이건은 그에게 "당신은 조용한 외교를 훌륭한 예술로 승화시켰습니다"라고 편지를 썼다.
1940년대 후반부터 1950년대 후반까지 미국에서 극심한 반공산주의적 의심을 조장했던 매카시즘 시대 동안, 워커는 어느 정도 경쟁하는 두 진영 사이에서 중립을 지키려 했다. 그러나 1998년 회고록에서 설명했듯이, 그는 여전히 반공산주의 중국 편향으로 인식되어 학문적으로 외면당했다.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교에서 재직하는 동안, 그는 최초의 기부 교수직을 역임했으며, 워싱턴 대학교, 국립 타이완 대학교, 교토 대학교 및 일본의 교토 산업 대학교를 포함한 다른 대학에서 여러 차례 객원 교수로 임명되었다. 국립 전쟁 대학교 워싱턴 D.C.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유럽, 아시아 및 호주 학술 센터에서 강연했다. 국무부와 국방부의 교육 프로그램에 기여한 공로로 상을 받았으며, 드루 대학교, 더 시타델 (군사대학), 서울대학교, USC에서 명예 학위를 받았다. 또한 타이완의 중화민국으로부터 대수령 광휘훈장을 받았다. 1995년부터 1997년까지 미국 중국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6. 수상 및 서훈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으로부터 김대중 석방 노력 및 기타 활동에 대한 표창을 받았다.[2] 미국 국방부 최고 시민 훈장을 수여받았다.[2] 중화민국으로부터 대수령 광휘훈장을 받았다. 드루 대학교, 더 시타델 (군사대학), 서울대학교,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교(USC)에서 명예 학위를 받았다.
7. 기타
워커는 1995년부터 1997년까지 미국 중국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그는 2003년에 사망했으며, 메릴랜드주 베를린에 묻혔다.
참조
[1]
논문
China Studies in McCarthy's Shadow: A Personal Memoir
https://digital.tcl.[...]
1998-Fall
[2]
뉴스
Richard L. Walker, 81; Ex-Ambassador to South Korea
https://www.latimes.[...]
Los Angeles Times
2020-04-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