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덕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덕역은 서울특별시 마포구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1996년 서울 지하철 5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5호선, 6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등 4개 노선이 지나가는 환승역이며, 주변에는 부도심이 형성되어 있고 아현뉴타운 재개발이 진행 중이다. 5호선은 섬식 승강장, 나머지 노선은 상대식 승강장이며,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국제공항철도의 역 - 홍대입구역
홍대입구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환승하는 역으로 홍익대학교 인근 홍대 지역의 중심에 위치하며 다양한 시설이 밀집되어 있고 긴 환승 통로와 9개의 출구를 갖추고 있다. - 인천국제공항철도의 역 - 영종역
영종역은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에 위치한 인천국제공항철도 역으로,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일반열차와 직통열차가 운행되며, 2016년 3월 26일에 여객 영업을 시작했다. - 서울 마포구의 전철역 - 합정역
합정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과 6호선이 환승되는 역으로, 각 노선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총 10개의 출구를 통해 접근 가능하다. - 서울 마포구의 전철역 - 아현역
아현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 역으로, 1984년 개통 이후 서울 마포구와 서대문구 경계에 위치하며, 아현고가도로 영향으로 분리된 폐쇄식 승강장과 다양한 주변 시설을 갖추고, 과거 지명인 "클레반타리"의 흔적을 일부 간직한 채 2만 명대의 일평균 승하차 인원을 기록하고 있다. -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공덕역 | |
---|---|
위치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공덕역 |
로마자 표기 | Gongdeongnyeok |
한자 표기 | 孔德驛 |
주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공덕동 423 |
운영 기관 | 서울교통공사 공항철도 한국철도공사 |
노선 | 서울 지하철 5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 AREX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승강장 수 | 5 |
선로 수 | 6 |
구조 | 지하 |
개업 정보 | |
5호선 개업일 | 1996년 12월 30일 |
6호선 개업일 | 2000년 12월 15일 |
AREX 개업일 | 2011년 11월 30일 |
경의선 개업일 | 2012년 12월 15일 |
역 정보 (서울교통공사) | |
5호선 역 번호 | 529 |
6호선 역 번호 | 626 |
5호선 단말기 | 2530 |
6호선 단말기 | 2627 |
5호선 승강장 | 1면 2선 (섬식 승강장) |
6호선 승강장 |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 |
5호선 소재지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지하100 |
6호선 소재지 | 서울특별시 마포구 백범로 지하200 |
5호선 영업 거리 | 방화 기점 20.4 km |
5호선 전역 | 528 마포 |
5호선 전역 거리 | 0.8 |
5호선 후역 | 530 애오개 |
5호선 후역 거리 | 1.1 |
6호선 영업 거리 | 응암 기점 16.5 km |
6호선 전역 | 625 대흥 |
6호선 전역 거리 | 0.9 |
6호선 후역 | 627 효창공원앞 |
6호선 후역 거리 | 0.9 |
역 정보 (공항철도) | |
역 번호 | A02 |
소재지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지하92 |
승강장 |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 |
영업 거리 | 서울 기점 3.3 km |
전역 | A01 서울 |
전역 거리 | 3.3 |
후역 | A03 홍대입구 |
후역 거리 | 2.8 |
역 정보 (한국철도공사) | |
역 번호 | K312 |
소재지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지하92 |
관할 |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용산관리역 |
개업일 (용산선) | 2012년 12월 15일 |
개업일 (경의·중앙선) | 2014년 12월 27일 |
승강장 |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 |
종별 | 배치간이역 |
영업 거리 | 용산 기점 2.5 km |
전역 | K313 서강대 |
전역 거리 | 1.9 |
후역 | K311 효창공원앞 |
후역 거리 | 1.0 |
인접 역 정보 | |
5호선 인접역 | 왼쪽: 마포역 오른쪽: 애오개역 오른쪽 종착역: 하남검단산 또는 마천 |
6호선 인접역 | 왼쪽: 대흥역 오른쪽: 효창공원앞역 |
AREX 인접역 | 왼쪽: 서울역 오른쪽: 홍대입구역 |
경의선 인접역 | 왼쪽: 서강대역 오른쪽: 효창공원앞역 |
경의선 급행 인접역 (용문 방향) | 왼쪽: 홍대입구역 오른쪽: 용산역 오른쪽 종착역: 용문 |
기타 정보 | |
다국어 표기 | 한국어: 공덕 영어: Gongdeok 한자: 孔德 중국어: 孔德 일본어: 孔徳(コンドク) |
2. 역사
- 1996년 12월 30일: 서울 지하철 5호선 여의도 - 왕십리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3]
- 2000년 12월 15일: 서울 지하철 6호선 봉화산 - 응암순환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됨[3]
- 2011년 11월 30일: 인천국제공항철도 개통과 함께 3개 노선 환승역이 됨[3]
- 2012년 12월 15일: 수도권 전철 경의선 공덕 ~ 디지털미디어시티 구간 개통과 함께 4개 노선 환승역이 됨[3]
- 2014년 12월 27일: 수도권 전철 경의선 공덕 ~ 용산 구간 개통, 문산역 ~ 용문역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직결 운행 시작으로 중간역이 됨
- 2017년 5월 31일: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와 서울메트로가 통합되어 5호선·6호선은 서울교통공사의 역이 됨
2. 1. 개요
1996년 12월 30일 서울 지하철 5호선 여의도 - 왕십리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다.[3] 2000년 12월 15일 서울 지하철 6호선 봉화산 - 응암순환 구간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3] 2011년 11월 30일 인천국제공항철도가 개통하면서 3개 노선 환승역이 되었고,[3] 2012년 12월 15일 수도권 전철 경의선 공덕 - 디지털미디어시티 구간 개통으로 4개 노선 환승역이 되었다.[3] 2014년 12월 27일 수도권 전철 경의선 공덕 - 용산 구간이 개통되면서 문산역 - 용문역 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직결 운행이 시작되어 중간역이 되었다.현재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는 5호선·6호선, 공항철도가 운영하는 인천국제공항철도,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경의·중앙선이 지나며, 상호 간 환승이 가능하다. 수도권 전철에는 역 번호가 도입되어, 5호선은 '''529''', 6호선은 '''626''', 인천국제공항철도는 '''A02''', 경의·중앙선은 '''K312'''가 부여되어 있다. 한국철도공사의 역에 들어오는 노선은 선로 명칭상으로는 용산선이지만, 이 역에는 경의·중앙선 전철이 정차하며, 여객 안내에서는 "용산선"이라고 안내하지 않는다.
2. 2. 상세
1996년 12월 30일 서울 지하철 5호선 여의도 - 왕십리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다. 2000년 12월 15일 서울 지하철 6호선 봉화산 - 응암순환 구간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2011년 11월 30일 인천국제공항철도 개통으로 3개 노선 환승역이 되었으며, 2012년 12월 15일 수도권 전철 경의선 공덕 - 디지털미디어시티 구간 개통으로 4개 노선 환승역이 되었다. 2014년 12월 27일 수도권 전철 경의선 공덕 - 용산 구간이 개통되면서 문산역 - 용문역 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직결 운행이 시작되어 중간역이 되었다.5호선·6호선(서울교통공사 운영), 인천국제공항철도(공항철도 운영), 경의·중앙선(한국철도공사 운영)이 이 역을 지나며 상호 환승이 가능하다.
한국철도공사 역에 들어오는 노선은 선로 명칭상 용산선이지만, 이 역에는 경의·중앙선 전철이 정차하며 여객 안내에서는 "용산선"이라고 안내하지 않는다.
수도권 전철 역 번호는 5호선 '''529''', 6호선 '''626''', 인천국제공항철도 '''A02''', 경의·중앙선 '''K312'''이다.
3. 역 구조
5호선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고, 나머지 노선(6호선, 공항철도, 경의·중앙선)은 모두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다.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서울교통공사 소속 8개, 공항철도, 한국철도공사 소속 2개로 총 10개가 있다.
5호선과 6호선은 거의 L에 가까운 십(十)자 형태로 교차하며, 5호선이 아래에, 6호선이 위에 있다. 공항철도와 경의·중앙선(용산선)은 6호선과 나란히 놓여 있다. 5호선으로 내려가는 통로는 엘리베이터와 계단이 모두 있으며 높이차가 크고 가파른 경사를 이룬다. 그 뒤에도 덜 가파른 내리막과 오르막이 각각 하나씩 있으며 엘리베이터와 계단이 모두 설치되어 있어 갈아타는 데 약 5~6분 정도 소요된다.
공항철도 승강장은 다른 노선보다 아래인 지하 5층에 있으며, 벽으로 막힌 승강장은 용산역행 열차가 사용할 예정이다. 경의·중앙선 승강장은 지하 2층에 있다.
3. 1. 개요
5호선, 6호선, 공항철도, 경의·중앙선 총 4개 노선이 교차하는 복합 환승역이다. 5호선은 섬식 승강장이고, 나머지는 모두 상대식 승강장이다. 각 노선별 승강장과 환승 통로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4]3. 2. 상세
5호선은 섬식 승강장 1면 2선이고, 나머지 노선은 모두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이다.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서울교통공사 소속 8개, 공항철도, 한국철도공사 소속 2개로 총 10개가 있다.현재 5호선과 6호선이 거의 L에 가까운 십(十)자 교차를 하고 있다. 5호선이 아래에, 6호선이 위에 있다. 공항철도와 경의·중앙선(용산선)은 6호선과 나란히 놓여 있다. 5호선으로 내려가는 통로는 엘리베이터와 계단이 모두 있으며 높이차가 크고 가파른 경사를 이룬다. 그 뒤에도 덜 가파른 내리막과 오르막이 각각 하나씩 있으며 엘리베이터와 계단이 모두 설치되어 있다. 갈아타는 데 약 5~6분 정도 소요된다.[4]
공항철도의 승강장은 다른 노선보다 아래인 지하 5층에 있으며, 벽으로 막힌 승강장은 용산역행 열차가 사용할 예정이고, 경의·중앙선의 승강장은 지하 2층에 있다.[4]
5호선은 섬식 승강장 1면 2선, 6호선은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갖춘 지하역이다. 양 노선 모두 안전을 위해 스크린도어 (풀스크린 타입)를 설치하였다. 5호선 개찰구는 3곳, 6호선 개찰구는 1곳(상하 분리)이 있다. 화장실은 지하 1층에 2곳 있다. (모두 개찰구 밖)[4]
인천국제공항철도의 승강장은 경의·중앙선 승강장과 상하로 나란히 있으며, 인천국제공항철도의 승강장·개찰구 층은 아래쪽에 위치한다. 승강장 층은 지하 4층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갖추고 있다. 보안을 위해 승강장 스크린도어(풀스크린 타입)를 설치하였다. 개찰구 층은 지하 3층이며, 서쪽에는 다른 노선으로 연결되는 개찰구가, 동쪽에는 경의·중앙선 개찰구 층으로 통하는 개찰구가 설치되어 있다.[4]
경의·중앙선 승강장은 인천국제공항철도 승강장과 상하로 나란히 있으며, 경의·중앙선 승강장·개찰구는 상층부에 위치한다. 승강장은 지하 2층에 있으며, 섬식 승강장 2면 2선을 갖추고 있다. 안전을 위해 스크린도어(풀스크린 타입)를 설치하였다. 상층부 계단은 개찰구로, 하층부 계단은 5호선·6호선 환승 통로 및 인천국제공항철도 개찰구로 이어진다. 개찰구는 지하 1층에 있으며, 개찰구는 상하행 승강장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양쪽 승강장은 지하 1층에서는 이동할 수 없고, 지하 3층에서만 이동이 가능하다.[4]
3. 3. 승강장
5호선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고, 나머지 노선은 모두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다.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5호선으로 내려가는 통로는 엘리베이터와 계단이 모두 있으며 높이차가 크고 가파른 경사를 이룬다. 그 뒤에도 덜 가파른 내리막과 오르막이 각각 하나씩 있으며 엘리베이터와 계단이 모두 설치되어 있어 갈아타는 데 약 5~6분 정도 소요된다.공항철도 승강장은 다른 노선보다 아래인 지하 5층에, 경의·중앙선 승강장은 지하 2층에 있다.
3. 3. 1. 서울교통공사
5호선은 섬식 승강장 1면 2선, 6호선은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갖춘 지하역이다. 양 노선 모두 안전을 위해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5호선 개찰구는 3곳, 6호선 개찰구는 1곳(상하 분리)이 있다. 화장실은 지하 1층에 2곳 있으며 모두 개찰구 밖에 있다.
출입구는 1번부터 8번까지 총 8곳이 있다.[4] 승강장 번호는 두 노선 모두 설정되어 있지 않다.
승강장 | 노선 | 행선지 | |
---|---|---|---|
5호선 승강장 (B3F) | |||
상행 | -- 5호선 | 여의도, 영등포구청, 김포공항, 방화 방면 | |
하행 | -- 5호선 | 종로3가, 왕십리, 상일동, 마천 방면 | |
6호선 승강장 (B2F) | |||
상행 | -- 6호선 | 합정, 디지털미디어시티, 응암 방면 | |
하행 | -- 6호선 | 삼각지, 동묘앞, 석계, 신내 방면 |
3. 3. 2. 공항철도 (B5F)
인천국제공항철도 승강장은 경의선·중앙선 승강장과 상하로 나란히 있으며, 아래쪽에 있다. 지하 4층에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갖추고 있고, 보안을 위해 스크린도어(풀스크린 타입)가 설치되어 있다.[4] 개찰구는 지하 3층에 있으며, 서쪽에는 다른 노선으로 연결되는 개찰구가, 동쪽에는 경의선·중앙선 개찰구로 통하는 개찰구가 있다.[4] 안내상의 승강장 번호는 없다.
3. 3. 3. 한국철도공사 (B2F)
경의·중앙선 승강장은 인천국제공항철도 승강장과 상하로 나란히 있으며, 경의·중앙선 승강장·개찰구는 상층부에 위치한다.승강장은 지하 2층에 있으며, 섬식 승강장 2면 2선을 갖추고 있다. 안전을 위해 스크린도어(풀스크린 타입)를 설치하였다. 상층부 계단은 개찰구로, 하층부 계단은 5호선·6호선 환승 통로 및 인천국제공항철도 개찰구로 이어진다.[4]
개찰구는 지하 1층에 있으며, 상하행 승강장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양쪽 승강장은 지하 1층에서는 이동할 수 없고, 지하 3층에서만 이동이 가능하다.[4]
승강장 | 노선 | 방향 |
---|---|---|
1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디지털미디어시티・일산・문산 방면 |
2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용산・청량리・덕정・용문 방면 |
4. 환승
공항철도, 경의·중앙선 대합실에서 5호선, 6호선 1~8번 출구를 이용할 경우, 경의선 공덕역 역장은 개표 후 지상을 이용해 다시 8번이나 7번 출구를 통해 지하로 내려가도록 안내한다.[1]
5. 역 주변
마포구 공덕동에 위치한 공덕역 주변은 부도심이 형성되어 있으며, 아현뉴타운을 중심으로 재개발이 진행되고 있어 다양한 시설들이 위치하고 있다.
ソウル特別市 麻浦区 孔徳洞|서울특별 마포구 공덕동일본어
5. 1. 개요
공덕역을 중심으로 부도심이 형성되어 있으며, 아현뉴타운을 중심으로 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출구 번호 | 주요 시설 |
---|---|
1번 출구 | 경의선숲길, 염리초등학교, 염리119안전센터, 마포우체국, 고용노동부서울서부지청, 서울서부고용센터 |
2번 출구 | 서울창업허브, 서울시50플러스 중부캠퍼스, 동도중학교, 서울디자인고등학교, 서울여자중학교, 서울여자고등학교, 신촌오거리 방면 |
3번 출구 | 아현동주민센터, 마포경찰서 방면, (주)효성 |
4번 출구 | 공덕초등학교, 서울서부지방법원, 서울서부지방검찰청, 한국지방재정공제회, 별정우체국연금사업본부, 노사발전재단 |
5번 출구 | 만리동고개, 공덕시장, 사랑의전화복지재단 |
6번 출구 | 신공덕동, 한겨레신문사, 효창공원, 마포문화원, 마포경찰서 교통센터 |
7번 출구 | 도화동주민센터, 이마트 공덕점 |
8번 출구 | 도화치안센터, 경찰공제회, 서울특별시평생교육진흥원 |
9번 출구 | 도화동, 도화동주민센터, 도화치안센터 |
10번 출구 | 새창고개길, 서울시복지재단, 서울특별시50플러스재단, S-OIL 본사, 이마트 마포공덕점, 롯데시티호텔 마포, 신용보증기금, 서울여자중학교, 서울여자고등학교, 동도중학교, 서울디자인고등학교, 서울마포우체국(집배우체국), 마포세무서, 백범로, (주)효성 본사, 한국산업인력공단 서울지역본부, 롯데슈퍼 공덕점, 서울공덕초등학교, 공덕시장, 도화동주민센터, 공덕동주민센터, 아현동주민센터, 한겨레신문사 |
5. 2. 상세
공덕역을 중심으로 부도심이 형성되어 있으며, 아현뉴타운을 중심으로 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1번 출구'''
- 경의선숲길
- 염리초등학교 / 염리119안전센터
- 마포우체국
- 고용노동부 서울서부지청
- 서울서부고용센터
'''2번 출구'''
'''3번 출구'''
- 아현동주민센터
- 마포경찰서 방면
- (주)효성
'''4번 출구'''
'''5번 출구'''
- 만리동고개
- 공덕시장
- 사랑의전화복지재단
'''6번 출구'''
'''7번 출구'''
- 도화동주민센터
- 이마트 공덕점
'''8번 출구'''
- 도화치안센터
- 경찰공제회
- 서울특별시평생교육진흥원
'''9번 출구'''
- 도화동
- 도화동주민센터
- 도화치안센터
'''10번 출구'''
6. 이용객 변동
Seoul Metro Line 5영어의 200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0년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17일간, Airport Railroad영어의 2011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1년 11월 30일부터 12월 31일까지 32일간, 용산선의 2012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2년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5호선 | 승차 | 14,172 | 12,475 | 11,940 | 11,996 | 11,906 | 12,018 | 12,151 | 12,041 | 11,972 | 12,432 | [9] | ||||
하차 | 14,734 | 12,655 | 11,981 | 12,072 | 11,923 | 12,011 | 12,258 | 12,322 | 12,270 | 12,697 | ||||||
승하차 | 28,906 | 25,130 | 23,921 | 24,068 | 23,829 | 24,029 | 24,409 | 24,362 | 24,241 | 25,129 | ||||||
6호선 | 승차 | 3,945 | 7,421 | 9,589 | 10,378 | 11,025 | 11,257 | 12,038 | 12,581 | 12,684 | 13,412 | |||||
하차 | 3,824 | 7,912 | 10,061 | 10,932 | 11,590 | 11,887 | 12,692 | 13,094 | 13,240 | 14,038 | ||||||
승하차 | 7,768 | 15,334 | 19,649 | 21,311 | 22,615 | 23,145 | 24,730 | 25,675 | 25,924 | 27,450 | ||||||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5호선 | 승차 | 12,896 | 13,573 | 13,749 | 14,086 | 14,117 | 13,127 | 12,889 | 13,131 | 13,398 | [9] | |||||
하차 | 13,104 | 13,873 | 14,323 | 14,745 | 14,722 | 13,813 | 13,521 | 13,869 | 14,284 | |||||||
승하차 | 26,001 | 27,446 | 28,072 | 28,831 | 28,839 | 26,941 | 26,411 | 27,000 | 27,682 | |||||||
6호선 | 승차 | 13,653 | 14,606 | 16,186 | 16,845 | 17,250 | 17,741 | 17,573 | 17,709 | 18,127 | ||||||
하차 | 14,200 | 15,112 | 16,591 | 16,908 | 17,266 | 17,390 | 17,156 | 17,305 | 17,735 | |||||||
승하차 | 27,853 | 29,718 | 32,777 | 33,754 | 34,516 | 35,131 | 34,729 | 35,014 | 35,862 | |||||||
공항철도 | 승차 | 미개통 | 2,203 | 7,084 | 10,516 | 12,447 | [10] | |||||||||
하차 | 1,991 | 7,705 | 10,803 | 12,930 | ||||||||||||
경의·중앙선 | 승차 | 미개통 | 1,915 | 1,972 | 2,424 | 3,275 | 3,177 | 3,414 | 3,856 | 4,211 | 3,255 | 3,401 | 3,758 | 4,112 | [11] | |
하차 | 2,191 | 1,971 | 2,335 | 3,338 | 3,495 | 3,724 | 4,008 | 4,258 | 4,258 | 3,468 | 3,944 | 4,308 |
7. 사진
8. 인접한 역
노선 | 이전 역 | 역 번호 | 다음 역 |
---|---|---|---|
-- 서울 지하철 5호선 | 마포역 (528) | 529 | 애오개역 (530) |
-- 서울 지하철 6호선 | 대흥역 (625) | 626 | 효창공원앞역 (627) |
-- 인천국제공항철도 | 서울역 (A01) | A02 | 홍대입구역 (A03)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일반) | 서강대역 (K313) | K312 | 효창공원앞역 (K311) |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용산급행) | 홍대입구역 (K314) | K312 | 용산역 (K110) |
9. 기타
2019년 3월 KT와 경찰청이 발표한 수도권 지하철역 디지털 성범죄 위험도에 따르면, 2018년 7월 기준 1~9호선 역별 디지털 성범죄 위험도 1등급은 서울역(1·2·10번 출구),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1·13번 출구), 여의도역(3번 출구), 공덕역(4번 출구)으로, 여의도역이 몰카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2]
참조
[1]
웹사이트
공덕역
http://terms.naver.c[...]
Doosan Encyclopedia
2014-11-17
[2]
웹사이트
Asia's 10 greatest street food cities
http://www.cnngo.com[...]
CNN Go
2012-04-11
[3]
뉴스
경의선 공덕~상암DMC 내년 말 개통
http://joongang.join[...]
중앙일보
2011-09-15
[4]
웹사이트
http://www.smrt.co.k[...]
[5]
웹사이트
http://www.seoulmetr[...]
[6]
웹사이트
http://info.korail.c[...]
[7]
웹사이트
http://info.korail.c[...]
[8]
웹사이트
도라산
[9]
웹사이트
http://www.seoulmetr[...]
[10]
웹사이트
http://info.korail.c[...]
[11]
웹인용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https://info.korail.[...]
2022-04-19
[12]
뉴스
'몰카' 위험 높은 지하철역은? 서울역·여의도역
https://news.naver.c[...]
머니투데이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유진그룹, 마포 오피스빌딩 1300억대 매입
공덕역 인근 23층 건물 옥상서 투신 소동…15분 만에 구조
코레일 "물 유입됐던 경의중앙선, 오늘 첫차부터 운행 재개"
경의중앙선 DMC~공덕역 운행 1일 첫차부터 재개
코레일, 경의중앙선 오늘 첫차부터 운행 재개
코레일 "물 유입됐던 경의중앙선, 오늘 첫차부터 운행 재개"
경의중앙선 DMC~공덕역 운행 재개
코레일 "경의중앙선 1일 첫차부터 운행 재개"
경의중앙선 DMC∼공덕 12시간째 운행 중단…"출근시간 전 복구 총력"
경의중앙선 DMC∼공덕 5시간째 운행 중지
경의중앙선 공덕~DMC 운행 중단…가좌역 선로에 물 유입돼 | JTBC 뉴스
가좌역 선로에 물 고여 경의중앙선 DMC∼공덕 5시간째 운행중지
경의중앙선 DMC~공덕역, 침수로 1시간째 운행 중단
가좌역 선로에 물 고여 경의중앙선 일부 구간 운행 중지
[속보]경의중앙선 가좌역 선로 누수···디지털미디어시티역~공덕역 운행 중단
별정우체국연금관리단 공덕역 인근 사옥 매각
[단독] 별정우체국연금관리단, 서울 공덕역 본사사옥 매각 나선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