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르가리타 테레사 데 에스파냐 왕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가리타 테레사 데 에스파냐 왕녀는 스페인 국왕 펠리페 4세와 그의 조카이자 두 번째 부인인 마리아나 데 아우스트리아 사이에서 태어난 딸이다. 그녀는 1666년, 15세의 나이로 어머니의 친남동생이자 신성 로마 황제인 레오폴트 1세와 결혼하여 신성 로마 제국의 황후가 되었다. 마르가리타는 6년간의 결혼 생활 동안 6명의 아이를 낳았으나, 딸 마리아 안토니아를 제외하고는 모두 요절했다. 그녀는 21세의 젊은 나이에 사망했으며, 스페인 왕위 계승과 관련된 복잡한 정치적 상황을 남겼다. 벨라스케스를 비롯한 여러 화가들이 그녀의 초상화를 그렸으며, 특히 벨라스케스의 '시녀들'은 그녀를 소재로 한 대표적인 작품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리아계 스페인인 - 아스투리아스 여공 레오노르
    펠리페 6세 국왕과 레티시아 왕비의 장녀이자 스페인 왕위 계승 서열 1위인 아스투리아스 여공 레오노르는 2014년 아스투리아스 공녀 칭호를 받았으며, 3년간의 군사 훈련을 거쳐 립태자 선서식을 통해 미래의 스페인 여왕으로서의 위상을 확립했다.
  • 오스트리아계 스페인인 - 아스투리아스 공 카를로스
    아스투리아스 공 카를로스는 펠리페 2세의 아들로, 신체적, 정신적 어려움을 겪다 아버지에 의해 감금된 후 의문의 죽음을 맞이했으며,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
  • 스페인의 왕족 - 포르투갈의 마리아 마누엘라
    포르투갈의 마리아 마누엘라는 1527년 코임브라에서 태어나 주앙 3세의 딸로, 1543년 스페인의 펠리페 2세와 결혼하여 아들 카를로스를 낳았지만 출혈로 사망했다.
  • 스페인의 왕족 - 스페인 왕비 레티시아
    1999년 6월 19일 펠리페 6세의 즉위로 스페인 여왕이 된 레티시아 왕비는 평민 출신으로 언론인으로 활동하다 왕세자와 결혼하여 왕실에 입성, 스페인의 위상을 높이고 사회적 약자를 위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 헝가리의 왕비 - 마리아 루도비카 베아트릭스 폰 외스터라이히에스테
    마리아 루도비카 베아트릭스 폰 외스터라이히에스테는 나폴레옹에 반대하며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1세와 결혼하여 반(反) 나폴레옹 세력의 중심 인물로 활약했으며, 헝가리 왕비 즉위식에서 지원 약속을 받아내고 빈 회의를 주최했으나, 고향으로 돌아가 결핵으로 사망했다.
  • 헝가리의 왕비 - 마리아 아나 데 에스파냐 왕녀
    마리아 아나 데 에스파냐 왕녀는 스페인 국왕 펠리페 3세의 딸로 태어나 잉글랜드 왕세자와의 결혼이 무산된 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페르디난트 3세와 결혼하여 황후가 되었으며, 30년 전쟁 중 사망했다.
마르가리타 테레사 데 에스파냐 왕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게라르 뒤 샤토의 초상화, 1665년
게라르 뒤 샤토의 초상화, 1665년
배우자레오폴트 1세
자녀마리아 안토니아, 바이에른 선제후비
가문합스부르크 가문
아버지펠리페 4세
어머니마리아나 데 아우스트리아
출생일1651년 7월 12일
출생 장소왕립 알카사르, 마드리드, 카스티야 왕관
사망일1673년 3월 12일
사망 장소호프부르크 왕궁, , 오스트리아 대공국, 신성 로마 제국
매장지임페리얼 크립트
신성 로마 황후
즉위1666년 4월 25일
종료1673년 3월 12일
추가 정보(더 보기...)
왕족 칭호
다른 칭호헝가리 왕비
보헤미아 왕비

2. 생애

마르가리타 테레사는 스페인 국왕 펠리페 4세와 그의 두 번째 부인이자 조카인 마리아나 사이에서 태어난 장녀이다.[57] 아버지 펠리페 4세는 마르가리타를 "나의 기쁨"이라 부르며 매우 아꼈고, 궁정 화가 디에고 벨라스케스 등에게 그녀의 초상화를 여러 점 그리게 했다. 그녀는 남동생 카를로스 2세와 달리 스페인 합스부르크 가문과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가문 사이의 반복된 근친혼으로 인한 심각한 유전적 문제는 겪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합스부르크 가문의 오랜 정략결혼 정책에 따라, 마르가리타는 외삼촌이자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인 레오폴트 1세와 1666년 결혼했다. 결혼 생활 동안 부부는 음악 등 공통 관심사를 나누었으나, 마르가리타가 데려온 스페인 수행원들과 궁정 사이의 갈등으로 인해 반 스페인 감정이 높아지는 등 어려움도 겪었다. 그녀는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으며, 빈에서의 유대인 추방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린 시절부터 앓아온 갑상선종과 6년간 6명의 아이를 낳는 등[58] 잦은 임신과 출산으로 건강이 좋지 않았던 마르가리타는 결국 1673년 21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했다. 그녀의 결혼과 이른 죽음은 이후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발발의 한 원인이 되었다. 마르가리타 사후 스페인 왕위 계승권은 유일하게 성장한 딸 마리아 안토니아와 그 아들 요제프 페르디난트에게 이어졌으나, 두 사람 모두 일찍 사망하면서 레오폴트 1세와 프랑스의 루이 14세 간의 계승 갈등이 심화되었다.

2. 1. 어린 시절

마르가리타 테레사는 1651년 7월 12일 마드리드에서 스페인 국왕 펠리페 4세와 그의 두 번째 부인이자 조카인 오스트리아의 마리아나 사이에서 태어난 첫째 아이였다.[1][57] 부모는 친 삼촌과 조카 사이였으며, 어머니 마리아나는 아버지 펠리페 4세보다 거의 30살 어렸다.[1]

마르가리타의 부계 조부모는 스페인 국왕 펠리페 3세와 오스트리아의 마르가리타였고, 모계 조부모는 신성 로마 황제 페르디난트 3세와 그의 아내이자 펠리페 3세의 딸인 스페인의 마리아 안나였다.[1][2]

부모의 결혼은 정치적인 이유, 특히 1646년 왕위 계승자였던 아스투리아스 공작 발타사르 카를로스가 요절한 후 스페인 왕위를 이을 새로운 남성 후계자를 얻기 위함이었다. 펠리페 4세의 첫 번째 결혼에서 살아남은 유일한 자녀는 훗날 프랑스 국왕 루이 14세의 아내가 되는 스페인의 마리아 테레사 뿐이었다. 마르가리타 이후 1655년부터 1661년 사이에 4명의 동생(딸 1명, 아들 3명)이 더 태어났지만, 유아기를 넘겨 살아남은 것은 훗날 스페인 국왕 카를로스 2세가 되는 막내 남동생뿐이었다.[1][3][57]

스페인 합스부르크 가문과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가문 사이의 반복된 근친혼에도 불구하고, 마르가리타는 남동생 카를로스 2세가 겪었던 심각한 건강 문제나 장애는 겪지 않았다.[4] 어린 시절 한때 심하게 병을 앓았지만 회복했다.[4] 당대 기록에 따르면 마르가리타는 매력적인 외모와 활기찬 성격을 지녔으며, 부모와 주변 사람들은 그녀를 "작은 천사"라고 불렀다.[5] 그녀는 마드리드 왕궁의 여왕 침실에서 많은 하녀와 하인들에게 둘러싸여 자랐으며,[5] 마드리드 궁정의 엄격한 예법에 따라 훌륭한 교육을 받았다.[7][8]

아버지 펠리페 4세와 외할아버지인 페르디난트 3세 황제는 마르가리타를 매우 아꼈다. 펠리페 4세는 개인적인 편지에서 그녀를 "나의 기쁨"이라고 불렀으며,[6] 디에고 벨라스케스를 비롯한 궁정 화가들에게 그녀의 초상화를 여러 점 그리게 했다. 이 초상화들은 그녀의 성장을 기록하는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

2. 2. 약혼과 결혼

14세의 인판타 마르가리타 테레사, 아버지의 죽음에 대한 슬픔을 표현하다. 인판타는 같은 해 신성 로마 제국 황후가 되기 위해 스페인을 떠났다. 후안 바우티스타 마르티네스 델 마소 (1666), 프라도 미술관


1650년대 후반, 의 황실에서는 스페인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가 간의 또 다른 왕실 결혼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 연합은 특히 프랑스 왕국에 대항하여 양국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처음에는 펠리페 4세의 장녀 마리아 테레사와 신성 로마 제국의 상속자인 대공 레오폴트 이그나츠의 결혼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1660년, 피레네 조약에 따라 마리아 테레사는 프랑스 왕 루이 14세와 결혼하게 되었다. 그녀는 결혼 계약의 일부로, 지참금을 받는 대가로 스페인 왕위에 대한 주장을 포기해야 했으나, 이 지참금은 실제로 지불되지 않았다.[9]

이후 마르가리타와 신성 로마 황제 레오폴트 1세(그녀의 외삼촌이자 사촌)의 결혼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그러나 마드리드 궁정은 인판타 마르가리타가 어린 남동생 카를로스 2세가 사망할 경우 스페인 왕위를 상속받을 가능성이 있었기 때문에 이 제안에 동의하기를 주저했다.[10] 프랑스 주재 스페인 대사인 푸엔살다냐 백작은 인판타를 잉글랜드의 찰스 2세의 신부감으로 제안하기도 했으나, 펠리페 4세는 이를 거부했다.[11]

1662년 10월, 스페인 주재 신임 황실 대사인 포팅 백작 프란시스 유세비우스는 인판타와 황제의 결혼을 성사시키는 임무를 가지고 협상을 시작했다.[12] 스페인 측 협상은 메디나 데 라스 토레스 공작 라미로 누녜스 데 구즈만이 이끌었다.[13] 1663년 4월 6일, 마르가리타와 레오폴트 1세의 약혼이 마침내 발표되었고, 결혼 계약은 12월 18일에 서명되었다. 공식 결혼식 전에 황제가 신부를 미리 알 수 있도록 인판타의 또 다른 초상화가 빈으로 보내졌다.[2]

펠리페 4세는 1665년 9월 17일에 사망했다. 그의 유언장에는 마르가리타의 약혼에 대한 언급이 없었는데, 이는 그가 아들 카를로스 2세가 후사 없이 사망할 경우 딸 마르가리타의 스페인 왕위 계승권을 보장하기 위해 오스트리아 친척과의 결혼을 여전히 망설였음을 시사한다.[14] 왕국의 섭정이 된 왕비 마리아나는 딸의 결혼을 늦추었으나, 결국 황실의 강력한 외교적 노력 끝에 결혼이 합의되었다. 1666년 4월 25일, 마드리드에서 대리 결혼식이 거행되었으며, 이 자리에는 왕족과 황실 대사, 스페인 귀족들이 참석했다. 신랑 역은 메디나셀리 7대 공작 안토니오 데 라 세르다가 대리했다.[15]

1666년 간행된 인판타 마르가리타, 삼촌 황제 레오폴트의 미래 신부를 홍보하는 전단지


1666년 4월 28일, 마르가리타는 개인 수행원과 함께 마드리드를 떠나 으로의 긴 여정을 시작했다. 데니아에서 며칠 휴식을 취한 후 7월 16일 스페인 왕실 함대에 탑승했으며, 몰타 기사단토스카나 대공국의 선박들이 호위했다. 건강 문제로 바르셀로나에서 잠시 체류한 후[16], 일행은 8월 20일 리구레의 피날레 항구에 도착했다. 그곳에서 마르가리타는 밀라노 공국 총독 루이스 구즈만 폰세 데 레온의 영접을 받았다. 9월 1일 피날레를 떠나 열흘 후 밀라노에 도착했고, 9월 15일 공식 입성식을 가졌다. 9월 대부분을 밀라노에서 보낸 후, 인판타는 베네치아를 거쳐 10월 초 트렌토에 도착했다. 여정 중 모든 경유지에서 그녀를 기리는 축하 행사가 열렸다. 10월 8일, 로베레도에서 스페인 수행단장 알부케르케 8대 공작은 공식적으로 인판타를 오스트리아 측 대표인 페르디난트 요제프, 디트리히슈타인 공자와 트렌트 주교후 백작 에른스트 아달베르트 폰 하라흐에게 인계했다. 10월 20일, 새로운 오스트리아 수행원과 함께 로베레도를 떠나 티롤 백국, 케른텐 공국, 슈타이어 공국을 거쳐 11월 25일, 빈에서 12마일 떨어진 쇼트비엔 지역에 도착하여 마침내 황제 레오폴트 1세의 영접을 받았다.[15]

1666년 12월, 15세의 신부 마르가리타가 빈에 도착하자 두 사람의 정식 결혼식이 성대하게 거행되었다. 한겨울에 시작된 황제의 결혼 축하 분위기는 다음 해 봄 사순절까지 이어졌다. 결혼식에서는 작곡가 안토니오 체스티오페라 Il pomo d'oro|일 포모 도로ita가 상연되었는데, 이는 알프스 이북에서 열린 최초의 오페라 공연으로 알려져 있다. 레오폴트 1세는 이 오페라 공연을 위해 호프부르크 궁전 옆에 자신 전용의 극장을 건설했으며, 9시간에 달하는 공연 시간과 그로 인해 지출된 10만 굴덴이라는 막대한 비용은 오랫동안 유럽 전역에서 화제가 되었다. 음악을 좋아했던 황제는 새 아내를 위해 직접 오페라 대본의 일부를 집필하기도 했다.

마르가리타는 남편인 황제를 Onkel|옹켈deu("숙부님")이라고 불렀고, 황제는 아내를 독일어 애칭으로 Gretl|그레틀deu이라고 불렀다. 두 사람의 결혼은 오랫동안 계획되었으며, 스페인 궁정은 맞선 대신 디에고 벨라스케스가 그린 마르가리타의 세 점의 초상화(각각 3세, 5세, 8세 때의 모습)를 빈 궁정에 보냈다. 이 그림들은 현재 빈의 미술사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마르가리타는 매우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고, 자신이 여러 번 유산하는 것을 유대인이 가까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여 황제를 설득하여 빈에서 유대인을 추방하도록 했다. 그녀는 남편과 음악에 대한 관심을 공유했으며, 결혼 생활은 행복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부부는 6년간의 결혼 생활에서 6명의 아이를 낳았지만,[58] 성장한 아이는 딸 마리아 안토니아(1669년–1692년)뿐이었다. 마르가리타는 어린 시절부터 갑상선종으로 고통받는 등 건강이 좋지 않았다.

마르가리타가 스페인에서 데려온 수행원들의 융화되지 않는 태도와 오만함 때문에 빈 궁정에는 반(反)스페인 감정이 높아졌고, 그 악감정은 젊은 황후 마르가리타에게 향했다. 신하들은 병약한 마르가리타가 죽음에 임하자, 공공연히 그녀가 사라지는 것을 기뻐하며 레오폴트 1세의 재혼 상대를 찾는 일에 나섰다. 이러한 궁정 사람들의 무정한 행동에 괴로워하던 마르가리타는 여섯 번째 아이를 출산한 직후인 1673년 사망했다. 21세에 사망하기까지 잦은 임신과 출산을 겪으며 몸이 완전히 약해져 있었다.

1673년, 마르가리타가 사망한 해에 레오폴트 1세는 동족(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가문의 티롤 분가)인 클라우디아 펠리치타스 대공녀와 재혼했다.

레오폴트 1세는 마르가리타와의 결혼으로 잠재적인 스페인 왕위 청구권을 획득한 것으로 여겨졌다. 한편, 프랑스 왕 루이 14세 역시 마르가리타의 이복 언니 마리아 테레사와의 결혼을 통해 마찬가지의 권리를 주장했다. 1698년, 스페인 왕 카를로스 2세는 이복 조카딸 마르가리타의 유일한 손자인 바이에른 선제후 세자 요제프 페르디난트를 왕위 계승자로 지명했지만, 요제프 페르디난트는 이듬해 1699년 7세의 나이로 요절했다. 레오폴트 1세와 루이 14세가 다음 스페인 왕위 계승자를 놓고 서로 양보하지 않는 태도를 보이면서, 결국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이 발발하게 된다.

2. 3. 신성 로마 제국 황후 시절

1666년 부활절, 마르가리타는 어머니의 남동생이자 11살 연상인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레오폴트 1세와 스페인에서 대리 결혼식을 올렸다. 같은 해 12월 5일, 15세의 마르가리타는 공식적으로 에 도착했고, 12월 12일에 정식 결혼식이 거행되었다. 황실 결혼을 기념하는 빈에서의 축하 행사는 바로크 시대의 가장 화려한 행사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17] 거의 2년 동안 이어졌다. 한겨울에 시작된 축제 분위기는 봄의 사순절까지 계속되었다.

레오폴트 1세는 결혼 축하를 위해 현재의 부르크가르텐 근처에 5,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야외 극장을 건설하도록 지시했다. 1668년 7월, 마르가리타의 생일을 맞아 이 극장에서는 안토니오 체스티가 작곡한 오페라 ''황금 사과''(Il pomo d'oro|일 포모 도로it)가 초연되었다. 9시간에 달하는 공연 시간과 10만 굴덴이라는 막대한 비용 때문에 이 오페라는 동시대 사람들에게 "세기의 연출"로 불리며 오랫동안 유럽 전역에서 화제가 되었다.[18] 레오폴트 1세는 음악을 좋아하여 아내를 위해 직접 오페라 대본 일부를 쓰기도 했다. 이 공연은 알프스 이북에서 열린 최초의 오페라 공연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그 전 해인 1667년에는 황제가 직접 말을 타고 기마 발레를 선보였는데, 기술적인 장치 덕분에 관객들에게는 말과 마차가 공중에 떠 있는 것처럼 보였다고 한다.[19]

나이 차이, 레오폴트 1세의 외모, 마르가리타의 건강 문제에도 불구하고, 동시대 기록에 따르면 두 사람은 행복한 결혼 생활을 했다고 한다. 마르가리타는 남편을 항상 "숙부님"(Onkel|옹켈de)이라고 불렀고, 레오폴트 1세는 아내를 독일식 애칭인 "그레틀"(Gretl|그레틀de)이라고 불렀다.[20] 부부는 예술과 음악이라는 공통 관심사를 가지고 있었다.[21] 결혼 전, 스페인 궁정은 맞선 대신 디에고 벨라스케스가 그린 마르가리타의 3세, 5세, 8세 때의 초상화 세 점을 빈 궁정에 보냈는데, 이 그림들은 현재 빈의 미술사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마르가리타는 결혼 6년 동안 4명의 자녀를 낳았으나, 단 한 명만이 유아기를 넘겨 살아남았다.[1]

이름생몰년비고
페르디난트 벤체슬라우스 요제프 미하엘 엘레아자르1667년 9월 28일 – 1668년 1월 13일오스트리아 대공[22]
마리아 안토니아 요제파 베네딕타 로잘리아 페트로넬라1669년 1월 18일 – 1692년 12월 24일오스트리아 대공녀,[22] 어머니의 스페인 왕위 계승권을 물려받았으며, 바이에른 선제후 막시밀리안 2세 엠마누엘과 결혼하여 바이에른의 요제프 페르디난트의 어머니가 되었다.
요한 레오폴트1670년 2월 20일 출생 및 사망오스트리아 대공[22]
마리아 안나 요제파 안토니아 아폴로니아 숄라스티카1672년 2월 9일 – 1672년 2월 23일오스트리아 대공녀[22]



마르가리타는 매우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는데, 자신이 여러 번 자녀를 잃거나 유산하는 것이 유대인 때문이라고 믿어 남편 레오폴트 1세를 설득하여 빈에서 유대인을 추방하도록 했다고 전해진다. 1670년 그리스도의 성체 축일 행사 동안 황제는 빈의 회당 파괴를 명령했고, 그 자리에는 교회가 세워졌다.[21]

결혼 후에도 마르가리타는 스페인 출신으로서의 정체성을 강하게 유지하며 스페인의 관습과 생활 방식을 고수했다. 비서, 고해 신부, 의사 등 그녀의 측근 대부분이 스페인 사람이었고, 스페인 음악과 발레를 즐겼으며 독일어는 거의 배우지 않았다.[21] 이러한 마르가리타와 스페인 수행원들의 융화되지 못하는 태도와 오만함은 빈 궁정 내에서 반(反)스페인 감정을 불러일으켰고, 그 부정적인 감정은 젊은 황후 마르가리타에게 그대로 향했다.

어린 시절부터 갑상선종으로 건강이 좋지 않았던 마르가리타는 잦은 임신과 출산으로 더욱 쇠약해졌다.[58] 궁정 신하들은 병약한 황후가 죽음에 이르자 공공연히 그녀가 사라지는 것을 기뻐하며 레오폴트 1세의 재혼 상대를 물색하는 무정한 모습을 보였다고 한다. 이러한 냉대에 괴로워하던 마르가리타는 결국 여섯 번째 임신 이후인 1673년 3월 12일, 21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했다.

마르가리타가 사망한 다음 해인 1673년, 레오폴트 1세는 합스부르크 가문의 방계 친척인 클라우디아 펠리치타스 대공녀와 재혼했다.

한편, 마르가리타와의 결혼을 통해 레오폴트 1세는 잠재적인 스페인 왕위 계승권을 확보한 것으로 여겨졌다. 이는 마르가리타의 이복 언니인 마리아 테레사와 결혼한 프랑스 왕 루이 14세 역시 마찬가지 권리를 주장하는 상황과 맞물려 복잡한 외교 문제로 발전했다. 1698년, 스페인의 카를로스 2세는 마르가리타의 유일한 손자인 바이에른 선제후 세자 요제프 페르디난트를 후계자로 지명했으나, 요제프 페르디난트는 다음 해인 1699년 7세의 나이로 요절했다. 이후 레오폴트 1세와 루이 14세가 스페인 왕위 계승 문제를 놓고 양보하지 않으면서 결국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이 발발하게 되었다.

2. 4. 죽음

마르가리타는 1666년 결혼 후 6년 동안 6번의 임신(4번의 출산과 2번의 유산[20])을 겪으며 건강이 크게 악화되었다. 어린 시절부터 앓아온 갑상선종 역시 그녀의 건강을 더욱 약화시키는 요인이었다. 또한, 그녀가 스페인에서 데려온 수행원들과 궁정 사이의 갈등으로 인해 조성된 반 스페인 감정은 젊은 황후에게 큰 스트레스를 주었다. 일부 궁정 신하들은 병약한 마르가리타가 죽음에 임박하자 공공연히 그녀의 죽음을 반기며 다음 황후를 물색하는 무정한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

결국 일곱 번째 임신 4개월 만인 1673년 3월 12일, 마르가리타는 21세의 젊은 나이로 에서 사망했다. 그녀의 시신은 의 황실 묘소에 안장되었다. 남편인 레오폴트 1세 황제는 "자신의 유일한 마르가리타"라 부르며 슬퍼했지만[24], 그녀가 사망한 지 불과 4개월 만에 오스트리아 대공 클라우디아 펠리치타스 폰 오스트리아와 재혼했다. 그녀는 합스부르크 가문의 티롤 분가 출신이었다.[21]

마르가리타의 죽음 이후, 스페인 왕위에 대한 그녀의 계승권은 유일하게 살아남은 딸인 마리아 안토니아에게 넘어갔다. 마리아 안토니아가 1692년에 사망하자, 계승권은 그녀의 외아들인 바이에른의 요제프 페르디난트 공에게 상속되었다. 그러나 요제프 페르디난트마저 1699년에 요절하면서 스페인 왕위 계승권은 공석이 되었다. 이 자리를 두고 마르가리타의 남편인 레오폴트 1세 황제와 이복 언니 마리아 테레사의 남편인 프랑스의 루이 14세가 서로 계승권을 주장하며 대립했고, 이는 결국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으로 이어졌다. 전쟁 결과, 마르가리타의 종손자인 펠리페 5세가 왕위에 오르며 스페인에 부르봉 왕가가 들어서게 되었다.[21]

3. 자녀

마르가리타 테레사는 레오폴트 1세와의 6년간의 결혼 생활 동안 4명의 자녀를 낳았다.[1] 부부는 나이 차이에도 불구하고 예술과 음악 등 공통 관심사를 바탕으로 행복한 결혼 생활을 했다고 전해진다.[20][21] 그러나 4명의 자녀 중 성인이 될 때까지 살아남은 자녀는 한 명뿐이었다.[1]

'''마르가리타 테레사와 레오폴트 1세의 자녀'''
이름출생사망비고
페르디난트 벤체슬라우스 요제프 미하엘 엘레아자르1667년 9월 28일1668년 1월 13일오스트리아 대공[22]
마리아 안토니아 요제파 베네딕타 로잘리아 페트로넬라1669년 1월 18일1692년 12월 24일오스트리아 대공녀, 어머니의 스페인 왕위 계승권을 물려받음.
바이에른 선제후 막시밀리안 2세 엠마누엘과 결혼하여 바이에른의 요제프 페르디난트를 낳음.[22]
요한 레오폴트1670년 2월 20일1670년 2월 20일오스트리아 대공[22]
마리아 안나 요제파 안토니아 아폴로니아 숄라스티카1672년 2월 9일1672년 2월 23일오스트리아 대공녀[22]



마르가리타 테레사는 자녀들의 잇따른 죽음이 유대인 때문이라고 믿었고, 이로 인해 남편 레오폴트 1세에게 에서 유대인을 추방하도록 영향을 미쳤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실제로 1670년 그리스도의 성체 축일 행사 중 레오폴트 1세는 빈의 유대교 회당 파괴를 명령했고, 그 자리에는 교회가 세워졌다.[21]

결과적으로 마르가리타 테레사의 자녀 중 유일하게 성인이 된 마리아 안토니아 폰 외스터라이히 역시 자녀를 일찍 잃어, 마르가리타 테레사의 직계 혈통은 결국 단절되었다.

4. 스페인 왕위 계승권

레오폴트 1세는 마르가리타와의 결혼으로 잠재적인 스페인 왕위 청구권을 획득한 것으로 여겨졌다. 한편, 프랑스루이 14세 역시 마르가리타의 이복 언니 마리아 테레사와 결혼을 통해, 마찬가지의 권리를 주장했다. 1698년, 스페인 왕 카를로스 2세는, 이복 언니 마르가리타의 유일한 손자인 바이에른 선제후 세자 요제프 페르디난트를 왕위 계승자로 지명했지만, 요제프 페르디난트는 이듬해 1699년 7세의 나이로 요절했다. 레오폴트 1세와 루이 14세가 다음 스페인 왕위 계승자를 놓고 서로 양보하지 않는 태도를 보이면서,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이 발발하게 된다.

5. 예술 작품 속의 마르가리타 테레사

마르가리타가 태어나기 직전에 화가 디에고 벨라스케스는 마드리드의 스페인 궁정으로 돌아왔다. 1653년부터 1659년까지 공주의 일련의 초상화가 그려졌다. 그중 세 점, 즉 "분홍색 드레스를 입은 마르가리타 테레사 공주"(1653), "흰색과 은색 드레스를 입은 마르가리타 공주"(1656), 그리고 "파란색 드레스를 입은 마르가리타 테레사 공주"(1659)는 의 황실 궁정으로 보내졌고, 현재 빈 미술사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25] 벨라스케스가 그린 8세 공주의 마지막 그림에서, 마르가리타는 황제와의 결혼을 앞두고 더 성숙하고 격식을 갖춘 모습을 보인다.[26]

벨라스케스가 그린 공주의 초상화 시리즈 중 가장 유명한 작품은 현재 프라도 미술관에 소장된 "시녀들"(Las Meninas, 1656)이다. 이 그림에서 화가는 부모의 초상화를 그리는 동안 자신의 작업실에서 5세의 공주를 그렸다. 그녀는 시녀들과 다른 궁정 사람들에게 둘러싸여 있지만, 그녀의 눈은 벽의 거울에 비친 부모에게 고정되어 있다.[27] 이 캔버스는 1957년 이 패턴을 40개 이상 변형하여 창작한 피카소에게 영감을 주었다.[28]

시녀들(라스 메니나스, Las Meninas, 프라도 미술관 소장)


벨라스케스의 그림 속 마르가리타의 이미지는 화가들에게만 영감을 준 것이 아니다. 시인 보리스 파스테르나크는 1923년의 시 "나비 폭풍"에서 그녀를 언급했는데, 그녀는 모스크바의 폭풍우 속에서 환영으로 나타난다.[29] 이 시에서 파스테르나크가 공주의 초상화와 대비시킨 첫 번째 이미지는 뱌체슬라프 브세볼로도비치 이바노프가 그의 작품 "영원한 어린 시절"에서 언급했다.[30][31]

벨라스케스가 그린 것으로 여겨졌던 "분홍색 드레스를 입은 마르가리타 테레사 공주"(1660)는 현재 그의 사위인 후안 바우티스타 마르티네스 델 마소의 걸작 중 하나로 여겨진다. 마르티네스 델 마소는 또한 부친의 죽음 직후이자 결혼 직전에 그려진 "애도복을 입은 마르가리타 공주의 초상"(1666)도 그렸다. 두 그림 모두 프라도 미술관 소장품에 포함되어 있다.[32] 현재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된 "마르가리타 공주의 초상"(1655)의 진위 여부는 연구자들 사이에서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33]

성인이 된 마르가리타의 초상화는 여러 유럽 예술가들에 의해 그려졌으며, 그 대부분은 빈 미술사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그중에는 제라르 뒤 샤토가 그린 "황후 마르가리타 테레사 전신 초상"(1665)[34]과 얀 토마스 판 이페렌이 그린 "연극 의상을 입은 황후 마르가리타 테레사의 초상"(1667)이 있다.[35] 마르가리타의 마지막 초상화 중 하나는 얀 토마스 판 이페렌이 그린 "황후 마르가리타 테레사와 그녀의 딸 마리아 안토니아의 초상"(1670년경)으로, 현재 그녀가 유일하게 살아남은 자녀와 함께 묘사된 호프부르크 왕궁에 소장되어 있다.[36] 그녀의 초상화의 많은 사본도 보존되어 있으며, 현재 전 세계 박물관 소장품에 보관되어 있다.
벨라스케스가 그린 마르가리타 테레사
『파란색 드레스의 마르가리타 왕녀』(8세, 미술사 미술관 소장)

6. 가계도

펠리페 4세친할아버지:
펠리페 3세친증조할아버지:
펠리페 2세친증조할머니:
안나 데 아우스트리아친할머니:
마르가레테 폰 외스터라이히친외증조할아버지:
카를 2세 (오스트리아 대공)친외증조할머니:
바이에른의 마리아 아나 (1551년)어머니:
오스트리아의 마리아나외할아버지:
페르디난트 3세 (신성 로마 황제)외증조할아버지:
페르디난트 2세 (신성 로마 황제)외증조할머니:
바이에른의 마리아 아나 (1574년)외할머니:
스페인의 마리아 아나외외증조할아버지:
펠리페 3세외외증조할머니:
마르가레테 폰 외스터라이히



계보 안에는 여러 차례의 고모-조카 결혼이 포함되어 있다. 마르가리타 자신도 남편이 된 레오폴트 1세는 어머니 마리아나의 남동생(외삼촌)이자, 친할아버지 펠리페 3세를 공유하는 사촌이며, 친외증조할아버지 카를 2세 대공을 공유하는 재종사촌으로, 매우 가까운 혈연 관계였다.

# 안나 데 아우스트리아는 황제 막시밀리안 2세와 그의 고모이자 펠리페 2세의 아내인 마리아 데 아부스부르고 사이의 딸로, 고모와 조카의 결혼이다.

# 카를 2세비 마리아 안나는 바이에른 공 알브레히트 5세와 카를 2세의 누나 안나 폰 외스터라이히 사이의 딸이며, 외삼촌과 조카의 결혼이다.

# 페르디난트 2세비 마리아 안나는 알브레히트 5세의 아들 빌헬름 5세의 딸이다.

# 마르가레테 폰 외스터라이히와 페르디난트 2세는 오스트리아 대공 카를 2세의 자녀로, 남매이다.

# 펠리페 4세와 마리아 아나 데 아우스트리아는 펠리페 3세의 자녀로 남매이며, 이들의 누나로 프랑스 왕 루이 13세의 왕비 오스트리아의 안이 있다.

참조

[1] 서적 Lines of Succession: Heraldry of the Royal Families of Europe Little, Brown and Company
[2] 웹사이트 Philip IV: marriage and offspring http://www.habsburge[...] habsburger.net 2016-10-27
[3] 웹사이트 La sacralización de la dinastía en el pulpito de la Capilla Real en tiempos de Carlos II http://cvc.cervantes[...] Antonio Álvarez-Ossorio Alvariño 2016-10-27
[4] 문서 Olivan Santaliestra 2014
[5] 문서 Olivan Santaliestra 2014
[6] 서적 Museum of Art History https://books.google[...] Directmedia
[7] 문서 Olivan Santaliestra 2014
[8] 웹사이트 La última emperatriz española: Margarita Teresa en el Hofburg http://vienadirecto.[...] Luis Tercero Casado, vienadirecto.com 2016-10-27
[9] 서적 Relaciones entre España y Austria durante el reinado de la emperatriz Doña Margarita, Infanta de España, Esposa del emperador Leopoldo I Libreria de Fernando Fe
[10] 간행물 Mariana de Austria en la encrucijada política del siglo XVII http://eprints.ucm.e[...] Laura Oliván Santaliestra, Universidad Complutense de Madrid 2020-11-09
[11] 서적 La rebelión de Portugal: guerra, conflicto y poderes en la monarquía hispánica, 1640–1680 Junta de Castilla y León
[12] 웹사이트 Po stopách knižní sbírky Františka Eusebia hraběte z Pöttingu a Persingu (1626–1678) http://www.nm.cz/adm[...] Jaroslava Kašparová, www.nm.cz 2016-10-27
[13] 간행물 Mariana de Austria en la encrucijada política del siglo XVII http://eprints.ucm.e[...] Laura Oliván Santaliestra, Universidad Complutense de Madrid 2020-11-09
[14] 서적 El Testamento de Felipe IV: atencion al problema sucesorio – Gobernar en tiempos de crisis: las quiebras dinásticas en el ámbito hispánico, 1250—1808 https://books.google[...] Silex Ediciones
[15] 간행물 Dos viajes regios (1679–1666)
[16] 문서 Verdadera relación de las fiestas y recibimiento que en Barcelona se hizo á la Majestad Cesárea de la Serma. Sra. D.a Margarita de Austria, emperatriz de Alemania, y juntamente de su embarcaciór, Y acompañamíento
[17] 웹사이트 Entre "majestas" y "modestas": sobre la representación del emperador Leopoldo I https://web.archive.[...]
[18] 웹사이트 Pomp and circumstance: the baroque opera Il pomo d’oro http://www.europeana[...] europeanasounds.eu 2016-10-28
[19] 웹사이트 Party-time: The marriage of Leopold I and Margarita of Spain http://www.habsburge[...] Julia Teresa Friehs, habsburger.net 2016-10-28
[20] 웹사이트 Frühe Gebärmaschinen http://www.hiddenmus[...] Bernhard Kathan, hiddenmuseum.net 2016-10-28
[21] 웹사이트 Margarethe (Margarita Maria Teresa), Infantin von Spanien https://www.deutsche[...] Alfred A. Strnad, deutsche-biographie.de 2016-10-28
[22] 웹사이트 Die Durchläuchtige Welt, Oder: Kurtzgefaßte Genealogische ... https://archive.org/[...] 2016-10-28
[23] 웹사이트 KAISERIN MARGARITA TERESA *12.07.1651 Madrid, Spanien – †12.03.1673 Wien https://www.kapuzine[...] 2022-05-13
[24] 문서 Wheatcroft 1997
[25] 웹사이트 Velázquez. Kunsthistorisches Museum Wien http://tourism.khm.a[...] 2016-10-28
[26] 문서 Dynastische Identität und europäische Politik der spanischen Habsburger in den 1650er Jahren
[27] 웹사이트 Las Meninas http://www.museodelp[...] museodelprado.es 2016-10-28
[28] 문서 Picasso – The Art of Leningrad 1982
[29] 서적 Literature and Art in the system of culture Moscow Science
[30] 문서 Eternal Childhood Moscow Science
[31] 서적 Complete Works applications: Poetry and poems 1912–1931
[32] 웹사이트 Doña Margarita de Austria http://www.museodelp[...] museodelprado.es 2016-10-28
[33] 웹사이트 Polémica sobre la autoría de un Velázquez prestado por el Museo del Louvre http://www.elcultura[...] elcultural.com 2016-10-28
[34] 웹사이트 Infantin Margarita Teresa (1651–1673), Kaiserin, Bildnis in ganzer Figur http://www.khm.at/de[...] khm.at 2016-10-28
[35] 웹사이트 Infantin Margarita Teresa (1651–1673), Kaiserin, im Theaterkostüm http://www.khm.at/ob[...] khm.at 2016-10-28
[36] 웹사이트 Retrato de la Emperatriz Margarita Teresa de Austria http://international[...] 2016-10-28
[37] Britannica Charles V, Holy Roman Emperor
[38] EB1911 Joanna
[39] BLKO Habsburg, Elisabeth (eigentlich Isabella von Oesterreich)
[40] CathEncy Philip II
[41] BLKO Habsburg, Maria von Spanien
[42] BLKO Habsburg, Karl II. von Steiermark
[43] NDB Maximilian II.
[44] BLKO Habsburg, Anna von Oesterreich (1528–1587)
[45] BLKO Habsburg, Anna von Oesterreich (Königin von Spanien)
[46] ADB Wilhelm V. (Herzog von Bayern)
[47] BLKO Habsburg, Maria von Bayern
[48] 서적 Christina of Denmark, Duchess of Milan and Lorraine, 1522–1590 https://archive.org/[...] E. P. Dutton
[49] BLKO Habsburg, Philipp III.
[50] NDB Ferdinand II.
[51] BLKO Habsburg, Margaretha (Königin von Spanien)
[52] BLKO Habsburg, Maria Anna von Bayern
[53] BLKO Habsburg, Maria Anna von Spanien
[54] BLKO Habsburg, Philipp IV.
[55] BLKO Habsburg, Maria Anna (Königin von Spanien)
[56] EB1911 Charles II. (King of Spain)
[57] 서적 Hegemonialkriege und Glaubenskämpfe 1556–1648 Propyläen Verlag
[58] 서적 Die private Welt der Habsburger Styria premium Verla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