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름모삼십면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름모삼십면체는 32개의 꼭짓점, 60개의 모서리, 30개의 면을 갖는 다면체로, 각 면이 마름모꼴이며, 면의 둔각은 약 116.57°, 예각은 약 63.43°이다. 겉넓이, 부피, 내접구의 반지름 등은 황금비와 관련된 식으로 표현된다. 이 도형은 20개의 황금 마름모로 분해될 수 있으며, 쌍대다면체는 십이이십면체이다. 정십이면체와 정이십면체를 마름모삼십면체 내부에 내접시킬 수 있으며, 3차원 쌍곡 공간을 채울 수 있다. 램프 디자인, 상자 제작, 주사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2. 기하학적 성질
마름모삼십면체는 30개의 마름모 면, 60개의 모서리, 32개의 꼭짓점을 가지며, 면, 모서리, 꼭짓점의 개수와 관련된 오일러 정리를 만족한다. 각 면은 마름모이며, 둔각은 약 116.57°, 예각은 약 63.43°이다. 마름모의 긴 대각선과 짧은 대각선의 길이 비는 황금비이다.
2. 1. 공식
한 모서리의 길이가 인 마름모삼십면체의 겉넓이 와 부피 는 다음과 같다.[1]
:
:
마름모삼십면체의 모서리 길이가 일 때, 겉넓이, 부피, 내접구의 반지름(마름모삼십면체의 각 면에 접선으로 닿음)과 각 모서리의 중앙에 닿는 중반지름은 다음과 같으며, 여기서 는 황금비이다.[1]2. 2. 면의 모양
마름모삼십면체의 각 면은 마름모 모양이다. 마름모의 둔각은 약 116.57°, 예각은 약 63.43°이다. 마름모의 긴 대각선, 짧은 대각선, 변의 길이 비는 황금비를 이룬다.
2. 3. 직교 좌표
황금비를 φ라고 하자. (0, ±1, ±φ)로 주어지는 12개의 점과 이 좌표들의 순환 순열은 정이십면체의 꼭짓점이다. 이십면체의 모서리와 직각으로 교차하는 이중 정십이면체는 (±1, ±1, ±1)의 8개의 점과 (0, ±φ, ±1/φ) 및 이 좌표들의 순환 순열로 주어지는 12개의 점을 꼭짓점으로 갖는다. 이 32개의 점은 원점에 중심을 둔 마름모삼십면체의 꼭짓점이다. 모서리의 길이는 √(3 – φ) ≈ 1.17557050458이다. 면은 길이가 2와 2/φ인 대각선을 갖는다.
2. 4. 분할
마름모삼십면체는 20개의 황금 마름모로 분해될 수 있는데, 10개는 예각이고 10개는 둔각이다.[2][3]
10 | 10 |
---|---|
![]() 예각 형태 | ![]() 둔각 형태 |
2. 5. 직교 투영
마름모삼십면체는 네 가지 대칭 위치를 가지는데, 두 개는 꼭짓점에, 하나는 면의 중앙에, 다른 하나는 모서리의 중앙에 위치한다. "10" 투영에 내장된 것은 "두꺼운" 마름모와 "얇은" 마름모로, 이 둘을 함께 사용하여 페로즈 타일링이라고 불리는 비주기적 테셀레이션을 생성할 수 있다.[1]투영 대칭 | [2] | [2] | [6] | [10] |
---|---|---|---|---|
이미지 | ![]() | ![]() | ![]() | ![]() |
쌍대 이미지 | ![]() | ![]() | ![]() | ![]() |
십이이십면체는 마름모삼십면체의 쌍대다면체이다. 마름모삼십면체는 3차원 쌍곡 공간을 채울 수 있다.
3. 다른 도형들과의 관계
3. 1. 정다면체와의 관계
마름모의 둔각 3개가 모인 꼭짓점 20개를 이으면 정십이면체가 되고, 마름모의 예각 5개가 모인 꼭짓점 12개를 이으면 정이십면체가 된다. 이 방법으로 만든 정십이면체와 정이십면체를 겹치면 서로의 모서리 중앙 부분이 완전히 겹치는 복합체가 된다.
3. 2. 별모양화
마름모삼십면체는 227개의 완전 지지 별모양화를 가진다.[4][5] 이 중 하나는 다섯 개의 정육면체 화합물이다. 마름모삼십면체의 별모양화는 총 358,833,097개가 있다.
3. 3. 기타 관련 다면체
이 다면체는 콕서터 군 대칭을 갖는 능면체 다면체 및 타일링 수열의 일부이다. 정육면체는 능면체가 직사각형인 능육면체로 볼 수 있다.
4. 3차원 쌍곡 공간 채우기
마름모삼십면체는 3차원 쌍곡 공간을 채울 수 있는 다면체 중 하나이다.
5. 응용
덴마크 디자이너 홀거 스트롬(Holger Strøm)은 조립식 램프 IQ-light (IQ는 "interlocking quadrilaterals"의 약자) 디자인에 마름모삼십면체를 활용했다.
목공예가 제인 코스틱(Jane Kostick)은 마름모삼십면체 모양의 상자를 제작한다.[6] 이 구조는 마름모삼십면체와 정육면체 사이의 관계를 기반으로 한다.
로저 폰 외흐(Roger von Oech)의 "Ball of Whacks"는 마름모삼십면체 모양으로 제작된다.
마름모삼십면체는 일부 롤플레잉 게임에서 30면체 주사위 "d30"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rhombic triacontahedron
http://www.wolframal[...]
Stephen Wolfram
2013-01-07
[2]
웹사이트
How to make golden rhombohedra out of paper
http://www.cutoutfol[...]
[3]
웹사이트
Dissection of the rhombic triacontahedron
http://www.georgehar[...]
[4]
논문
The 227 triacontahedra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75
[5]
논문
Stellations of the rhombic triacontahedron and Beyond
1995
[6]
웹사이트
triacontahedron box - KO Sticks LLC
http://kosticks.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