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맘루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맘루크는 이슬람 세계에서 군사적, 정치적 권력을 장악한 노예 출신 병사들을 지칭한다. 맘루크 제도는 이슬람 율법에 따라 노예의 법적 지위가 규정된 가운데, 주로 튀르크계 유목민 출신 노예들을 훈련시켜 군사력으로 활용한 데서 시작되었다. 압바스 왕조 시기에 맘루크가 대규모로 도입되었고, 이후 맘루크는 이슬람 세계 각지에서 독립 왕조를 세우거나, 지배층으로 성장했다. 특히 이집트에서는 맘루크 왕조를 건설하여 1250년부터 1517년까지 통치했으며, 맘루크는 군사 교육을 통해 술탄과 아미르에게 충성하며 지배 체제를 유지했다. 1517년 오스만 제국에 의해 멸망했으나, 이후에도 지방 지배층으로 명맥을 유지하다가 무함마드 알리에 의해 숙청되었다. 맘루크는 이집트 외에도 인도, 이라크 등 다양한 지역에서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맘루크 사회의 조직, 군사, 행정, 의례 등을 반영하는 다양한 직책과 용어가 존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맘루크 - 노예 왕조
    노예 왕조는 1206년 쿠트부딘 아이바크가 건국하여 1290년 할지 왕조에 의해 멸망할 때까지 델리 술탄국을 통치한 왕조로, 일투트미쉬의 지배 확립, 라지야 술타나와 기야스 웃딘 발반의 통치, 몽골 침입 방어 등의 역사를 거쳤다.
  • 맘루크 - 무라드 베이
    무라드 베이는 18세기 후반 이집트를 지배한 맘루크 지도자이며,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 시기에 저항하다가 흑사병으로 사망했다.
  • 오스만 제국의 부대 및 조직 - 시파히
    시파히는 페르시아어에서 유래된 오스만 제국의 기병을 지칭하는 용어로, 티마르리 시파히와 카프쿨루 시파히로 나뉘어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17세기 이후 쇠퇴하여 대중문화에도 등장한다.
맘루크
말 위에서 창을 든 세 명의 맘루크
16세기 초, 오스만 맘루크 창기병. 다니엘 호퍼 (1526년~1536년경)의 에칭. 영국 박물관, 런던
군사 정보
활동 시기830년대–1811년
국가압바스 왕조
델리 술탄국
파티마 왕조
아이유브 술탄국
맘루크 왕조
오스만 제국
유형노예화된 용병
노예 군인
해방 노예
상세 정보
어원아랍어로 '소유된 자' 또는 '노예'를 의미
출신주로 튀르크 (주로 킵차크 및 쿠만)
코카서스 출신 (주로 체르케스, 아르메니아인, 조지아인)
훈련13세 전후의 소년들을 구매하거나 납치하여 이슬람교로 개종
카이로와 카이로 성채에서 엄격한 군사 훈련 실시
특히 기마술 훈련에 집중
기사도와 유사한 행동 규범인 '푸루시야'를 주입
사회적 지위지역 주민과 격리된 채 병영에서 생활
이집트에서 군사적, 정치적 권력을 장악
보충매년 약 2천 명의 노예를 수입
주요 출신지킵차크
아제르바이잔
우즈베크 튀르크
몽골족
아바르
체르케스
조지아
아르메니아인
그리스인
불가리아인
알바니아인
세르비아인
헝가리인
특징외부 출신으로 지역에 대한 충성심이 없어 고용주를 위해 헌신적으로 싸움
강력한 전사로서의 명성을 얻음
중세 중동에서 군대에서 중요한 역할 수행
이집트에서 절대적인 지배권을 행사
영향이집트에서 맘루크 왕조 시대를 열음
이집트시리아에서 200년 이상 가장 강력한 세력으로 군림
순니파 정통주의의 옹호자, 이슬람 성지의 수호자 역할
카이로는 순니파 칼리파의 소재지이자 학자, 예술가, 장인의 중심지가 됨
몽골의 침략으로 동방에서 이주해 온 이들이 카이로에 정착
이집트는 맘루크 통치 아래 프톨레마이오스 시대 이후 전례 없는 번영과 발전을 누림
사회적 계층맘루크 군인 계층은 토착민과는 거의 완전히 격리된 군사 귀족으로 통치
맘루크 출신 자녀는 자유인으로 군사 계급에 포함되지 않음
자유인들은 행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비맘루크 군대인 '할카'의 지휘관으로 복무
오스만 제국14세기 후반, 북캅카스 지역의 체르케스가 맘루크 대다수를 차지
18세기조지아 맘루크들은 고국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
기타
참고이븐 할둔은 노예제도가 '신의 축복'을 숨기고 있다고 주장
추가 참고맘루크는 리비아에서 유프라테스 강까지, 킬리키아에서 아라비아 해와 수단까지 영역을 확장

2. 마ム루크 제도의 전제

이슬람 세계에서는 샤리아(이슬람 율법)에 따라 노예의 법적 지위가 명확하게 규정되었다. 노예는 소유주에 의해 자유롭게 매매되거나 증여될 수 있었고, 결혼의 자유, 재산을 축적할 권리, 공직에 오를 자격 등이 법적으로 제한되었다. 그러나 채무 불이행이나 부모에 의한 매각으로 이슬람 사회의 자유민을 함부로 노예로 삼는 것은 금지되었고, 신앙의 자유가 주어지는 등 인간으로서 일정한 권리를 인정받았다.[23] 특히, 태어날 때부터 노예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불신자와의 전쟁에서 포로로 잡은 자만 노예로 삼을 수 있었다.[23]

노예 해방은 최후의 심판천국에 들어가기 위한 바람직한 선행으로 여겨져 적극적으로 장려되었으며, 해방 노예는 자유민과 동등한 자격을 얻었다. 그러나 해방 노예는 이슬람 사회의 구성원이 아니었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힘 있는 자의 보호가 필요했고, 마왈리 제도를 통해 원 소유주와 보호·피보호 관계를 맺어 일종의 주종 관계가 지속되었다.[23]

2. 1. 이슬람 이전의 노예 제도

이슬람 이전 아랍 사회에서 노예는 주로 집안일을 하는 데 사용되었다. 하지만, 마왈리(Mawla, 이슬람 노예 해방) 제도를 통해 부유하고 힘 있는 사람들은 노예를 많이 사들여 평소에는 자기 집안의 상인으로 부리고, 전쟁 때는 병사로 동원하여 힘을 키웠다. 이슬람화 이후에도 노예나 전쟁 포로가 유력한 사람들의 사적인 군사력으로 이용되는 관행은 계속 유지되었다.[23] 초기 무슬림 시대 즈베이르 이븐 알 아와암(Zubayr ibn al-Awwam), 우쓰만 이븐 아판(Uthman ibn Affan)과 같은 인물들이 많은 노예를 소유하고 마왈리를 실행했던 것이 그 예시이다. 즈베이르(Zubayrids)의 군대는 즈베이르의 아들인 압드 알라 이븐 알 즈베이르(Abd Allah ibn al-Zubayr)의 지휘 아래 제2차 내전 동안 해방된 노예들을 사용했다.[23]

3. 마ム루크의 등장

이슬람 율법은 새로운 노예 획득을 전쟁 포로로 제한했다. 이 때문에 예언자 무함마드 사후 아랍 제국의 대정복 시대를 거쳐 이슬람 공동체(움마)의 확장이 멈추자, 노예 공급 부족 문제가 발생했다. 이슬람 사회는 이슬람 제국 외부에서 노예를 획득하게 되었다. 압바스 왕조 시대에는 동아프리카 출신 흑인 노예(잔지), 동유럽 슬라브인 노예(사카리바) 등이 유입되었다.

무슬림 세력이 중앙아시아에 안정적인 지배를 확립한 압바스 왕조 시대에는 튀르크계 유목민(아트락)들이 노예로 이슬람 세계에 들어왔다. 압바스 왕조는 이들을 군사력으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정설에 따르면, 9세기 초 칼리프 알 무타심은 최초로 대규모 맘루크 부대를 편성했다. 무타심은 즉위 전부터 수천 명의 맘루크를 사병으로 소유했으며, 이들을 '그람'(소성)이라고도 불렀다. 맘루크의 도입으로 이슬람 사회 군대는 극적으로 변화했고, 아랍인이나 마왈리 군단은 사라졌다. 이후 '남성 노예'를 의미하는 '맘루크'라는 말이 튀르크계 유목민 출신 기병 노예 군사력을 가리키는 용어로 정착되었다.

4. 압바스 왕조의 해체와 마ム루크

맘루크는 대부분 유목민 출신으로 어릴 때부터 기마술과 궁술에 능숙했고, 충성심이 강해 지배자들에게 중용되었다. 특히 9세기 말 중앙아시아에서 압바스 왕조로부터 반자치적인 정권을 세운 사만 왕조는 맘루크 중계 무역을 국가 사업으로 추진하고, 아무다리야 강에 맘루크 수출을 위한 세관을 설치했다. 마와라안나흐르(현 우즈베키스탄 중부)에는 맘루크 양성 시설이 설립되어, 젊은 유목민들에게 이슬람교 개종과 군사 훈련을 실시했다.

사만 왕조를 거쳐 이슬람 세계에 들어온 맘루크들은 칼리프를 비롯한 유력자들에게 군사력을 제공하며 압바스 왕조의 분열을 심화시켰다. 해방된 맘루크 중 일부는 아미르라 불리는 군사령관이 되어 지방에서 독립 정권을 세우거나, 중앙에서 칼리프를 대신해 정권을 장악하기도 했다.

부이 왕조는 맘루크 아미르를 몰아내고 칼리프의 보호권을 장악했지만, 군사력은 맘루크에 의존했다.

4. 1. 맘루크 출신 독립 왕조

압바스 칼리파 알-무타심이 9세기 바그다드에서 노예를 병사로 모집하여 맘루크로 만드는 관행을 시작하였다.[4] [29] 맘루크 출신으로 독립 왕조를 세운 사례는 다음과 같다.

왕조명건국 시기건국 지역비고
툴룬 왕조9세기 후반이집트압바스 왕조로부터 독립
가즈나 왕조10세기 후반아프가니스탄사만 왕조로부터 독립


4. 2. 셀주크 제국과 맘루크

셀주크 왕조는 부족제 사회의 분권적 경향을 억제하기 위해 맘루크를 군주의 직속 군사력으로 활용했다. 이들은 투르크계 맘루크를 노예로 이용했다. 맘루크 사령관에게는 이크타(징세권)를 부여하여 경제적 기반을 마련해주었고, 지방으로 파견된 왕자들의 아타베크(보호자)로 임명된 아미르들을 통해 지방을 지배했다.[19]

그러나 셀주크 왕조가 쇠퇴하면서 이크타가 세습되고 각지에서 아타베크들이 독립하여 아타베크 정권이 난립하면서, 셀주크 왕조는 분열되었다.[19]

5. 맘루크 왕조 시대

맘루크는 원래 "소유된 자"를 뜻하는 아랍어로, 노예를 가리키는 여러 단어 중 남성 노예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그러나 맘루크는 주로 9세기부터 19세기 초까지 이슬람 세계에서 활약한 백인 출신 노예 군인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이슬람 세계에서 "백인"은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흑인을 제외한 유라시아 및 아프리카 대륙 사람들을 지칭했다. 맘루크는 주로 킵차크 등 튀르크계 민족이나 체르케스인 등 카프카스계 민족 출신이었지만, 몽골인, 쿠르드인, 아르메니아인, 그리스인, 슬라브인 등 다양한 민족도 포함되었다.

맘루크는 대부분 어린 시절부터 승마에 능숙한 기마 민족 출신으로, 어릴 때 구입되어 승마, 궁술, 창술 등 철저한 훈련을 받고 궁술에 뛰어난 기병 정예 군인으로 성장했다. 이들은 뛰어난 군사력을 바탕으로 13세기부터 16세기 초까지 이집트와 시리아를 지배한 맘루크 왕조에서 사실상 지배 계층 역할을 했다.

14세기 후반, 맘루크 군대의 다수는 북카프카스 지역 출신의 체르케스인들로 구성되었다.[9] 1382년 바르쿠크가 술탄으로 즉위하면서 부르지 왕조가 시작되었다. "부르지"라는 명칭은 카이로 요새에 있던 그들의 중심지에서 유래했다.

바르쿠크는 시리아 침공을 계획한 티무르의 적이 되었다. 티무르는 시리아를 침공하여 맘루크 군대를 격파하고 알레포와 다마스쿠스를 점령했다. 이후 오스만 술탄 바예지드 1세도 시리아를 침공했다. 1405년 티무르 사후, 맘루크 술탄 안나시르 파라즈는 시리아 지배권을 되찾았으나, 잦은 반란에 직면하여 1412년 퇴위했다. 1421년, 이집트는 키프로스 왕국의 공격을 받았지만, 이집트인들은 키프로스인들에게 이집트 술탄 바르스바이의 종주권을 인정하게 했다. 바르스바이 통치 기간 동안 이집트 인구는 크게 감소하여 도시 수가 1/5로 줄었다.

1453년, 알아슈라프가 권력을 잡았다. 그는 같은 해 콘스탄티노플을 함락한 오스만 제국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었다. 그러나 쿠슈카담 통치하에 이집트는 오스만 술탄국과 갈등을 겪기 시작했다. 1467년, 술탄 카이트베이는 오스만 술탄 바예지드 2세를 불쾌하게 했다. 바예지드 2세는 이집트 영토 내 아다나, 타르수스 등을 점령했지만 결국 패배했다. 카이트베이는 스페인의 무슬림들을 돕기 위해 시리아의 기독교인들을 위협했지만, 큰 효과는 없었다. 그는 베네치아 공화국 상인 가문에 막대한 빚을 지고 1496년 사망했다.

5. 1. 맘루크 왕조의 성립과 발전

살라흐 앗딘(살라딘)은 아이유브 왕조를 세우고 쿠르드인과 맘루크로 구성된 기병 군단을 조직했다. 이들은 십자군과의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9]

살라흐 앗딘 사후, 아이유브 왕조는 분열되었지만, 이집트를 지배하던 카이로의 지배자들은 맘루크 군단을 유지했다. 13세기 중반, 술탄 싸리흐는 투르크계 맘루크로 구성된 바흐리야 군단을 양성했다. 1250년, 바흐리야 군단은 만수라 전투에서 프랑스 왕 루이 9세의 십자군을 격파하고, 쿠데타를 일으켜 투란 샤를 살해하고 맘루크 왕조를 건립했다.[9]

맘루크의 공격으로 인한 트리폴리(현재의 레바논) 함락, 1289


1260년, 맘루크 왕조는 아인 잘루트 전투에서 몽골 제국 군대를 격파하여 이슬람 세계의 수호자로 지위를 확립하고 이집트에 맘루크 군인 지배 체제를 구축했다. 맘루크 왕조 아래서 맘루크는 외래 노예 출신 지배 계급이었다.[9]

14세기에는 중앙아시아에서 몽골 제국의 지배가 안정되면서 투르크계 맘루크 구입이 어려워졌다. 이에 따라 코카서스 지역, 특히 체르케스인 출신 맘루크가 증가했다. 맘루크 왕조 후반기인 부르지 맘루크 왕조는 체르케스 맘루크 왕조라고도 불렸다.[9]

맘루크는 조직적으로 양성되었다. 어린 시절 노예로 팔려온 맘루크는 교육 시설에서 이슬람교로 개종하고 아랍어, 코란, 승마, 궁술 등을 배웠다. 이후 법적으로 자유인이 되어 술탄이나 아미르의 맘루크 군단에 편입되었다. 맘루크는 주인에게 절대적으로 충성해야 했으며, 동기들과 강한 유대감을 형성했다.

맘루크 군단에 편입된 맘루크는 능력이 뛰어나면 아미르로 발탁되었다. 유력한 아미르는 왕조의 요직에 임명되어 국가 지배층에 속했다. 맘루크들은 주군이 술탄이 되면 정권 중추에 진입했지만, 그렇지 못하면 냉대를 받았다. 맘루크의 아들들은 자유인으로 구성된 할카 기사단에 편입되었으나, 맘루크에 비해 차별을 받았다. 이 때문에 맘루크 자손들은 율마가 되는 등 점차 이집트 사회에 동화되었다.

5. 2. 맘루크 왕조의 지배 체제

맘루크 왕조에서 맘루크는 외래 노예 출신 지배 계급으로, 조직적인 양성 과정을 거쳤다. 맘루크들은 어릴 적 노예 상인을 통해 서아시아로 와서 술탄이나 아미르에게 구입되었다. 이들은 맘루크 교육 시설에서 이슬람교로 개종하고, 아랍어, 코란, 이슬람 법, 예배 의식, 승마, 궁술 등을 배웠다. 교육을 마친 맘루크는 법적으로 노예 신분에서 해방되고 이크타를 받아 술탄이나 아미르의 맘루크 군단에 편입되었다.

맘루크는 주인에게 절대적인 충성을 맹세했고, 같은 교육 시설에서 자란 동기들 간에도 강한 유대감을 형성했다. 이러한 맘루크 간의 인적 관계는 맘루크 왕조 지배 체제의 근간이 되었다.

술탄의 맘루크 군단에 편입된 맘루크는 아미르로 발탁될 수 있었다. 맘루크 왕조의 아미르는 십인장, 사십인장, 백인장의 세 계급으로 나뉘었고, 각각 10명, 40명, 100명의 맘루크 기사를 자신의 이크타 수입으로 부양했다. 유력한 아미르는 지방 현령, 부술탄, 총사령관, 술탄 시종장 등 요직에 임명되어 국가 지배층을 구성했다.

주인인 술탄이 사망하면 전 술탄의 아미르 중 유력자들이 새 술탄이 되었다. 아미르를 주인으로 하는 맘루크들은 출세 기회가 적었지만, 주군이 술탄이 되면 정권 중추에 들어설 수 있었다. 그러나 아미르가 술탄이 되지 못하면 다른 술탄이나 아미르에게 전속되어 냉대받았다. 술탄 대를 이을 때도 전 술탄의 맘루크는 새 술탄에게 전속되었지만, 새 술탄의 맘루크에게 밀려 냉대받았다.

맘루크 아들들은 자유인이었기에 맘루크 군단에 편입되지 않고 할카 기사단에 편입되었다. 할카 기사단은 맘루크 왕조에서 냉대받았고, 이크타도 적었다. 맘루크 자손들은 군인으로서 출세를 포기하고 율마가 되는 등 이집트 아랍 사회에 동화되었다. 맘루크 체제는 끊임없이 새로운 맘루크를 받아들여야 했다.

5. 3. 맘루크 왕조의 쇠퇴

14세기에 중앙아시아에서 몽골 제국의 지배가 안정되고 몽골의 이슬람화가 진행되면서, 이슬람 세계에 통합된 몽골 제국의 계승 정권(킵차크 칸국이나 티무르 제국)으로부터 튀르크계 맘루크를 구입하기 어려워졌다.[10] 대신, 맘루크 구입처로서 아직도 기독교도나 다신교도가 많았던 코카서스가 맘루크 공급원으로 중요해졌고, 북서 코카서스의 체르케스인 출신 맘루크가 증가했다.[10] 맘루크 왕조 후반기인 부르지 맘루크 왕조는 체르케스 맘루크 왕조라고도 불릴 정도였다.[10]

15세기, 맘루크 왕조는 정치 부패와 아미르(amir)들 간의 끊임없는 내분, 페스트 유행으로 인한 인구 감소와 그에 따른 농업·수공업의 쇠퇴, 이탈리아 상인들의 진출과 포르투갈 해상 제국의 인도양 진출에 따른 동서 교역의 침체 등으로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14] 16세기 초, 250년 동안 지속된 맘루크 체제는 심하게 동요했다.[14]

6. 오스만 제국 지배하의 이집트에서의 마ム루크

1517년, 맘루크 왕조는 오스만 제국에 의해 멸망하고, 이집트는 오스만 제국의 주로 편입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화기를 장비한 예니체리 보병을 주력으로 한 반면, 맘루크는 활을 무기로 하는 기병이었기 때문에 군사적 한계를 드러냈다.[36] 맘루크 왕조 멸망 후에도 맘루크는 지방 사회를 지배하는 현령이나 대관으로 임명되어 지배 계급으로서 명맥을 유지했다.

16세기 말, 오스만 제국의 지배력이 약화되자 맘루크 베이(Bey)들이 예니체리와 함께 이집트 지배층으로 부상했다. 17세기, 맘루크 베이들은 피카리야(Fikariyya)와 카스미야(Kasimiyya) 두 파벌로 나뉘어 항쟁을 벌였다. 18세기에는 샤이흐 알 발라드(Shaykh al-Balad, 국의 장) 칭호를 가진 자가 실권을 장악했다.

18세기 후반, 알리 베이(Ali Bey)는 오스만 제국에 반기를 들고 시리아를 침공했으나 실패했다. 1791년, 무라드 베이(Murad Bey)와 이브라힘 베이(Ibrahim Bey)가 이집트 정권을 장악하고,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반독립적인 이원집정을 시작했다.[36]

7. 마ム루크 제도의 종언

1798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이끄는 프랑스군이 이집트에 상륙하여 맘루크는 패배했다. 1801년에는 프랑스군이 오스만 제국과 영국의 연합군에 패배하여 철수했다.[19]

카이로에서의 맘루크 학살, 1811


이러한 상황 속에서 알바니아 출신 용병 대장 무함마드 알리1805년 카이로 시민들의 지지를 받아 이집트 주지사에 취임했다. 무함마드 알리는 1811년 맘루크 토벌을 결의하고, 카이로 성채에서 맘루크들을 학살하여 지배 체제를 붕괴시켰다.[19]

8. 기타 정권

맘루크는 자기 복제적인 군사 공동체로서 여러 지역에서 정치적 또는 군사적 권력을 얻었다. 리비아트리폴리타니아 지역에서는 맘루크 총독들이 1912년 이탈리아-튀르크 전쟁에서 이탈리아군에게 점령당할 때까지 오스만 제국 아래에서 다양한 정책을 시행했다.

8. 1. 남아시아

구투브 알딘 아이바크는 1206년 인도 아대륙의 무슬림 군대의 맘루크 사령관으로, 스스로 술탄을 선포하여 델리 맘루크 왕조를 세웠다.[17] 이 왕조는 1290년까지 존속했다.[17]

8. 2. 서아시아

맘루크 군단은 1704년 바그다드의 하산 파샤에 의해 이라크에 처음 도입되었다.[14][41] 1747년부터 1831년까지 이라크는 짧은 간격을 제외하고는 조지아 출신 맘루크 장교들에 의해 통치되었는데, 이들은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자치권을 확보하고, 부족 반란을 진압하고, 예니체리의 권력을 억제하고, 질서를 회복하며, 경제와 군사의 근대화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데 성공했다. 1831년 오스만 제국은 마지막 맘루크 통치자였던 다우드 파샤를 몰아내고 이라크에 대한 직접 통제를 가했다.[42]

9. 맘루크가 세운 왕조

맘루크는 여러 왕조를 세웠다. 맘루크 왕조는 이집트, 인도, 이라크 등 다양한 지역에서 번성했다.


  • 툴루니드 왕조 (868–905)
  • 이크시디드 왕조 (935–969)
  • 가즈나 왕조 (977–1186)
  • 호라즘샤 왕조 (1077–1231)

9. 1. 이집트


  • 카이로 맘루크 왕조 (1250–1517)
  • * 바흐리 왕조 (1250–1382)
  • * 부르지 왕조 (1382–1517)

9. 2. 인도

델리 맘루크 왕조 (1206–1290)

9. 3. 이라크

이라크 맘루크 왕조는 1704년부터 1831년까지 이라크를 통치하였다.

10. 직책 및 용어

맘루크 관련 용어는 원래 튀르크어 또는 오스만 튀르크어(튀르크어, 아랍어, 페르시아어 단어와 문법 구조로 구성됨)에서 유래했다. 다양한 직책과 용어는 맘루크 사회의 조직, 군사, 행정, 의례 등을 반영한다.

용어아랍어설명
Alama Sultaniyaعلامة سلطانيةar술탄이 자신의 칙령, 서신 및 문서에 찍은 표시 또는 서명.
Al-Nafir al-Amالنفير العامar전쟁 중 선포된 일반적인 비상사태
Amirأميرar왕자
Amir Akhurأمير آخورar왕실 마구간 감독관 (페르시아어 آخورfa에서 유래, 의미는 마구간)
Amir Majlisأمير مجلسar술탄의 좌석과 침대 경비원
Atabekأتابكar총사령관 (문자 그대로 "아버지-주인", 원래는 맘루크가 아닌 미성년 왕자를 위해 임명된 계부를 의미함)
Astadarأستادارar왕실 하인들의 우두머리
Barid Jawiبريد جوىar항공 우편 (운반용 비둘기를 통해 보낸 우편물, 술탄 바이바르스에 의해 확대됨)
Bayt al-Malبيت المالar국고
Cheshmehششمهar물웅덩이 또는 분수 (문자 그대로 "눈", 페르시아어 چشمه|체쉬메fa에서 유래)
Dawadarدوادارar술탄의 먹통 보관자 (페르시아어 دوات‌دارfa에서 유래, 의미는 먹통 보관자)
Fondokفندقar호텔 (맘루크 시대 카이로의 유명한 호텔 중에는 Dar al-Tofah, Fondok BilalFondok al-Salih가 있었음.)
Hajibحاجبar술탄 법정의 문지기
Iqtaإقطاعar토지 할당으로부터 얻는 수입
Jamkiyaجامكيةar맘루크에게 지급되는 봉급
Jashnakirجاشنكيرar술탄의 음식 시식관 (술탄의 맥주가 독살되지 않았는지 확인하기 위해)
Jomdarجمدارar술탄의 의복 부서 공무원 (페르시아어 جامه‌دارfa에서 유래, 의미는 의복 보관자)
Kafel al-mamalek al-sharifah al-islamiya al-amir al-amriكافل الممالك الشريفة الاسلامية الأمير الأمرىar부 술탄의 칭호 (존엄한 이슬람 왕국의 사령관 [문자 그대로 총사령관] 왕자의 수호자)
Khanخانar특정 상품 판매를 전문으로 하는 상점
Khaskiyaخاصكيةar술탄의 신하들과 가장 신뢰받는 왕실 맘루크들로 술탄의 경호원 역할을 함. / 저명한 아미르 주변의 특권 집단 (페르시아어 خاصگیانfa에서 유래, 의미는 가까운 동료)
Khastakhanehخاصتاخانةar병원 (오스만 튀르크어 خسته‌خانه|하스테하네ota에서 유래, 페르시아어에서 유래)
Khondخندar술탄의 아내
Khushdashiyaخشداشيةar같은 아미르 또는 술탄에 속한 맘루크.
Mahkamat al-Mazalimمحكمة المظالمar고소 법정. 주민들이 국가 공무원에 대해 제기한 고소 사건을 심리하는 법정. 이 법정은 술탄 자신이 이끌었음.
Mamalik Kitabeyaمماليك كتابيةar여전히 훈련 수업에 참석하고 테바크(캠퍼스)에 거주하는 맘루크들
Mamalik Sultaneyaمماليك سلطانيةar술탄의 맘루크; 아미르(왕자)의 맘루크와 구별하기 위해
Modwarat al-Sultanمدورة السلطانar여행 중 술탄이 사용했던 술탄의 천막.
Mohtasebمحتسبar시장, 공공 사업 및 지역 문제 관리자.
Morqadarمرقدارar왕실 부엌에서 일함 (페르시아어 مرغ‌دارfa에서 유래, 의미는 가금류 담당자)
Mushrifمشرفar왕실 부엌 감독관
'Naib Al-Sultan''نائب السلطانar부 술탄
'Qaat al-inshaقاعة الإنشاءar관청 홀
Qadi al-Qodaقاضى القضاةar수석 판사
Qalat al-Jabalقلعة الجبلar산의 요새 (카이로에 있는 술탄의 거주지이자 법정)
Qaranisaقرانصةar새로운 술탄의 봉사로 이동하거나 아미르의 봉사에서 술탄으로 이동한 맘루크.
Qussadقصادar술탄에게 정보를 제공한 비밀 급사 및 요원
Ostazأستاذar맘루크의 후원자 (술탄 또는 에미르) (페르시아어 استادfa에서 유래)
Rankرنكar맘루크의 계급과 지위를 구별하는 상징 (아마도 페르시아어 رنگ|렝그fa에서 유래, 의미는 색깔)
Sanjaqiسنجاقىar술탄의 깃발병.
Sharabkhanaشرابخانةar술탄의 음료, 약품 및 유리 제품 창고. (페르시아어 شراب‌خانهfa에서 유래, 의미는 와인 저장고)
Silihdarسلحدارar무기 운반자 (아랍어 سلاحar + 페르시아어 دارfa에서 유래, 의미는 무기 운반자)
Tabalkhanaطبلخانهar맘루크 군악대를 담당하는 아미르, 페르시아어 طبل‌خانهfa에서 유래
Tashrifتشريفar아미르의 지위에 취임하는 의식 중 맘루크가 착용하는 머리 덮개.
Tawashiطواشىar술탄의 아내를 시중들고 새로운 맘루크를 감독하는 환관.[43]
Tebaqطباقar산의 요새에 있는 맘루크의 캠퍼스
Tishtkhanaطشتخانةar술탄의 세탁물에 사용되는 창고 (페르시아어 تشت‌خانهfa에서 유래, 의미는 욕조 방)
Waliوالىar총독
Yuqيوقar모든 맘루크 가정에서 사용되는 큰 린넨 수납장으로 베개와 시트를 보관했습니다. (현재 크림 타타르어 Yuqa, "잠자다"와 관련됨. 현대 튀르크어: Yüklük.)


참조

[1] 웹사이트 Mamalucke (Mamelukes) https://www.britishm[...] British Museum 2021-03-03
[2] 백과사전 Mamlūk Brill Publishers
[3] 서적 The New Cambridge History of Islam, Volume 2: The Western Islamic World, Eleventh to Eighteenth Centur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Warrior kings: A look at the history of the Mamluks https://oxfordbusine[...] Oxford Business Group 2021-03-01
[5] 서적 Possessed by the Right Hand: The Problem of Slavery in Islamic Law and Muslim Cultures Brill Publishers
[6] 학술지 Manners and Customs at the Mamluk Court Brill Publishers 1984-01-01
[7] 서적 Muslims, Mongols, and Crusaders: An Anthology of Articles Routledge 2021-03-01
[8] 서적 A History of African Societies to 1870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11-08
[9] 서적 A Military History of Modern Egypt: From the Ottoman Conquest to the Ramadan War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Group
[10] 간행물 Сайф-ад-Дин Хайр-Бек – абхазский "король эмиров" Мамлюкского Египта (1517–1522) АбИГИ
[11] 서적 The Mamluks in Egyptian Politics and Socie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서적 The Politics of Households in Ottoman Egypt: The Rise of the Qazdagl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학술지 Relations of the Georgian Mamluks of Egypt with Their Homeland in the Last Decades of the Eighteenth Century
[14] 서적 Basra, the failed Gulf state: separatism and nationalism in southern Iraq Google Books
[15] 학술지 The Military Household in Ottoman Egypt 1995-02-01
[16] 서적 Exploring an Islamic Empire: Fatimid History and its Sources I. B. Tauris
[17] 서적 Cuman and Tata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서적 A Concise History of the Middle East
[19] 서적 The Mamluks in Egyptian Politics and Socie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04-04
[20] 서적 The Mamlūk military society Variorum Reprints
[21] 웹사이트 The Crusades Episode 3 https://www.bbc.co.u[...] BBC 2012-02-05
[22] 서적 Cairo of the Mamluks: A History of Architecture and Its Culture Macmillan
[23] 서적 (출처 미상)
[24] 백과사전 Ghulam
[25] 서적 Samarcande et Samarra and The Breaking of a Thousand Swords
[26] 학술지 Review of de la Vaissière's book
[27] 서적 Putting the Caliph in His Place
[28] 학술지 Relations of the Georgian Mamluks of Egypt with Their Homeland in the Last Decades of the Eighteenth Century
[29] 백과사전 Mamluk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23-02-11
[30] 서적 The Mamluks 1250–1570
[31] 서적 Crusades: The Illustrated History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32] 서적 Al Selouk Leme'refatt Dewall al-Melouk Dar al-kotob
[33] 서적 The Devil's Horsemen Atheneum
[34] 서적 Ottoman Seapower and Levantine Diplomacy in the Age of Discovery SUNY Press
[35] 서적 A Military History of Modern Egypt: From the Ottoman Conquest to the Ramadan War Greenwood Publishing Group
[36] 서적 The Mamluks
[37] 서적 The Mamluks in Egyptian Politics and Society 1998
[38] 서적 Before European Hegemony The World System A.D. 1250–1350 Oxford UP 1991
[39] 서적 Narrative of the Life and Adventure of Giovanni Finati native of Ferrara 1830
[40] 학술지 The Feudal Revolution and Europe's Rise: Political Divergence of the Christian West and the Muslim World before 1500 CE https://www.cambridg[...] 2019-12-23
[41] 서적 The Arab Lands under Ottoman Rule: 1516–1800 Person Education Ltd. 2008
[42] 웹사이트 Iraq https://www.britanni[...] 2007-10-15
[43] 서적 Eunuchs and Sacred Boundaries in Islamic Societ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1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