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맥도널드 대 시카고 사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맥도널드 대 시카고 사건은 시카고 시의 권총 소지 금지 조치가 미국 수정 헌법 제2조에 위배되는지를 다룬 미국 연방 대법원 판례이다. 76세의 시카고 주민 오티스 맥도널드는 자택 방어를 위해 권총을 소지하려 했으나, 시카고 시의 권총 등록 금지 조치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고, 이에 다른 주민들과 함께 소송을 제기했다. 대법원은 2010년, 수정 헌법 제2조가 수정 헌법 제14조의 적법 절차 조항을 통해 주 정부에도 적용된다고 판결하여, 개인의 무기 소지 권리를 연방 차원에서 보호하는 판례를 확립했다. 이 판결은 이후 미국 내 총기 규제 관련 법적 논쟁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관련 사건들의 판결에도 영향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0년 판례 - 미국 대 콤스톡 사건
    미국 대 콤스톡 사건은 성적 위험 인물에게 적용된 법률이 헌법의 필요충분 조항에 따라 의회의 권한에 해당되는지를 다룬 2010년 미국 연방 대법원 사건이다.
  • 미국 대법원 판례 - 부시 대 고어 사건
  • 미국 대법원 판례 - 매카들 사건
    매카들 사건은 남북 전쟁 이후 재건 시대에 재건 법률 반대 기사를 게재한 신문 발행인 윌리엄 매카들이 체포되어 인신 보호 영장을 청구했으나 기각되었고, 대법원 상고마저 의회의 관할권 정지로 심리 불가능해지면서 의회의 사법부 견제 기능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 헌법 - 프랑스 헌법
    프랑스 헌법은 국민주권, 권력분립, 인권 보장 등의 원칙을 명시하며, 강력한 대통령 중심의 이원집정부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1958년 헌법을 기준으로 여러 차례 개정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 헌법 - 일본국 헌법
    일본국 헌법은 1947년 5월 3일 시행된 일본의 최고 법규로, 천황을 상징적 존재로 규정하고 국민주권, 민주주의, 평화주의, 기본적 인권 존중을 핵심 이념으로 하며, 9조에서 전쟁 포기 및 전력 불보유를 선언하고 있다.
맥도널드 대 시카고 사건
사건 개요
사건명맥도널드 대 시카고 시 사건
원어명McDonald v. City of Chicago
약칭시카고 총기 사건
소송 당사자오티스 맥도널드 외 대 시카고 시, 일리노이 주 외
사건 번호08-1521
구두 변론구두 변론 듣기
판결문판결문 보기
구두 변론 날짜2010년 3월 2일
판결 날짜2010년 6월 28일
이전 법원 판결
이전 법원일리노이주 북부 지방법원, 제7 순회 항소법원
이전 판결 결과피고 승소 (617 F. Supp. 2d 752 (N.D. Ill. 2008), aff'd, 567 F.3d 856 (7th Cir. 2009), cert. granted, )
판결
판결 내용자신의 집에서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무기를 소지하고 휴대할 권리는 수정헌법 제2조에 따라 보호되며, 수정헌법 제14조의 적법 절차 조항을 통해 주에 적용된다. 제7 순회 항소법원의 판결을 파기하고 환송함.
다수 의견알리토 (파트 I, II–A, II–B, II–D, III–A, III–B)
다수 의견 합류로버츠, 스칼리아, 케네디, 토머스
복수 의견알리토 (파트 II–C, IV, V)
복수 의견 합류로버츠, 스칼리아, 케네디
동의 의견스칼리아
부분 동의 및 판결 동의 의견토머스
반대 의견스티븐스
반대 의견 2브레이어
반대 의견 2 합류긴즈버그, 소토마요르
적용 법률미국 헌법 수정 제2조, 제14조
이전 판례 번복미국 대 크루익섕크 사건(1876) (일부)
프레서 대 일리노이 사건(1886)
밀러 대 텍사스 사건(1894)
관련 정보
관련 기사크리스천 사이언스 모니터: 맥도널드 대 시카고 사건, 또 다른 대법원의 총기 관련 획기적인 판결?
관련 소송시카고 총기 금지에 대한 소송

2. 배경

시카고에 거주하는 오티스 맥도널드는 개인적인 안전을 위해 권총을 소유하고자 했으나, 1982년부터 시행된 시카고 시의 강력한 총기 규제, 특히 사실상의 권총 등록 금지 조치로 인해 합법적인 소유가 불가능했다.[7] 이러한 상황은 맥도널드를 비롯한 시민들이 시카고 시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7] 이 소송은 개인의 무기 소지 권리가 주 정부뿐만 아니라 시와 같은 지방 정부에도 적용되는지에 대한 중요한 법적 질문을 제기했다.

2. 1. 오티스 맥도널드의 배경

오티스 맥도널드는 시카고의 모건 파크 지역에 1971년부터 거주해 온 76세의 은퇴한 유지 보수 기술자이다.[7] 그는 자신의 이웃이 갱과 마약 딜러에게 잠식당하며 쇠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의 집 주변은 쓰레기로 뒤덮이기 일쑤였고, 집과 차고는 총 5번이나 침입을 당했다. 가장 최근의 강도는 맥도널드가 자신의 동네에서 본 인물에 의해 저질러졌다.[7] 숙련된 사냥꾼인 맥도널드는 합법적으로 산탄총을 소유하고 있었지만, 강도 사건 발생 시 산탄총은 다루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개인적인 방어를 위해 권총을 구매하고자 했다. 그러나 시카고는 시내 모든 총기 등록을 요구하면서도, 1982년 도시 전체의 권총 소지 금지 조례를 통과시킨 이후 모든 권총 등록을 거부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는 합법적으로 권총을 소유할 수 없었다. 이러한 상황 때문에 맥도널드는 2008년 다른 세 명의 시카고 주민들과 함께 소송을 제기했고, 이 소송이 ''맥도널드 대 시카고 시'' 사건이 되었다.[7]

2. 2. 시카고 시의 총기 규제

시카고 시는 1982년부터 사실상 권총 소지를 금지하는 조치를 시행했다. 이는 시 당국이 도시 전체의 권총 금지령 통과 이후 모든 신규 권총 등록 신청을 거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7] 기존에 존재하던 총기 등록법 역시 여러 제한적인 내용을 담고 있었는데, 맥도널드 대 시카고 사건의 원고 측은 특히 다음 네 가지 측면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다.[9]

  • 시 당국이 권총 등록을 원천적으로 금지하여, 시민들이 합법적으로 권총을 소지할 수 없도록 한 점.
  • 시카고 주민이 총기를 취득하기 전에 시 당국에 의무적으로 등록 절차를 거치도록 한 점.
  • 소유한 총기를 매년 재등록하고 관련 수수료를 반복하여 납부하도록 강제한 점.
  • 등록 기간이 만료된 총기는 어떠한 경우에도 영구적으로 재등록할 수 없도록 규정한 점.

3. 맥도널드 대 시카고 사건의 전개

미국 제7 연방 항소 법원에서 다른 총기 규제 관련 소송과 통합되어 심리되었으나, 맥도널드 사건은 도전 대상이 된 특정 규정과 미국 수정 헌법 제2조를 주 및 지방 정부에 적용하는 법적 논쟁의 범위에서 차이가 있었다. 제2차 수정 헌법 재단(Second Amendment Foundation)은 수석 변호사 앨런 구라(Alan Gura)와 함께 맥도널드 사건을 대법원에 제기했으며, 관련 사건들은 각각 별도로 대법원에 상고되었다.[8]


  • [https://web.archive.org/web/20100704230556/http://www.chicagoguncase.com/wp-content/uploads/2009/06/mcdonald_cert_petition1.pdf 맥도널드 상고 허가 청원]
  • [https://web.archive.org/web/20100210145552/http://www.chicagoguncase.com/wp-content/uploads/2009/08/chicago_bio.pdf 시카고 상고 허가 청원에 대한 반대 의견서]

3. 1. 소송 제기 배경

1971년부터 시카고의 모건 파크 지역에 거주해 온 76세의 은퇴한 유지 보수 기술자 오티스 맥도널드는[7] 자신의 동네가 갱과 마약 딜러 문제로 인해 점차 쇠퇴하고 있다고 느꼈다. 그의 집과 차고는 총 5번이나 침입을 당했으며, 가장 최근의 강도는 맥도널드가 자신의 이웃에서 본 사람에 의해 저질러졌다.[7] 숙련된 사냥꾼이었던 맥도널드는 합법적으로 산탄총을 소유하고 있었지만, 강도 사건 발생 시 산탄총은 다루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개인적인 자택 방어를 위해 권총을 구매하고자 했다. 그러나 시카고는 시내 모든 총기의 등록을 요구하면서도, 1982년 도시 전체의 권총 금지령이 통과된 이후로는 모든 권총 등록을 거부했기 때문에 맥도널드는 합법적으로 권총을 소유할 수 없었다. 이에 맥도널드는 2008년, 다른 세 명의 시카고 주민들과 함께 시카고 시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으며, 이것이 맥도널드 대 시카고 시 사건이다.[7]

3. 2. 법적 쟁점

맥도널드 사건은 시카고의 엄격한 총기 규제법, 특히 권총 등록 금지 및 복잡한 재등록 요건 등[9]에 대한 법적 도전이었다. 이 사건은 미국 제7 연방 항소 법원에서 다른 사건과 병합되었으나, 연방 대법원에는 별도로 상고되었다.[8]

주요 법적 쟁점은 두 가지였다. 첫째, 미국 수정 헌법 제2조가 보장하는 무기 소지 및 휴대 권리가 연방 정부뿐만 아니라 주 및 지방 정부에도 적용되는지 여부였다. 이는 선택적 적용(selective incorporation) 원칙을 통해 해당 권리가 "질서 있는 자유 개념에 필수적이거나" "미국 역사와 전통에 깊이 뿌리내린" 기본적인 권리인지를 판단하는 문제였다. 둘째, 미국 수정 헌법 제14조의 특권 또는 면제 조항(Privileges or Immunities Clause)을 통해 권리 장전 전체를 주 정부에 적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특히, 원고 측은 도살장 사건(1873년) 판례를 뒤집어 달라고 요청했는데, 이 판례는 특권 또는 면제 조항이 권리 장전을 주 정부에 적용하는 근거가 될 수 없다고 판시했었다.[10][11] 만약 도살장 사건 판례가 번복되었다면, 수정 헌법 제2조를 포함한 권리 장전의 여러 조항들이 '선택적 적용' 절차 없이 주 정부에 직접 적용될 수 있었다.[10][11]

이처럼 맥도널드 사건은 단순히 총기 규제를 넘어, 미국 헌법상 기본권이 주 정부에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법적 논쟁을 다루었다.

3. 2. 1. 수정 헌법 제2조의 적용 범위

`Heller` 사건 이후, 맥도널드 대 시카고 사건, NRA 대 시카고 사건, `Nordyke 사건`, `Maloney 사건` 등 여러 소송에서는 미국 수정 헌법 제2조가 연방 정부뿐만 아니라 주 및 지방 정부에도 적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선택적 적용이라는 법리 절차를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덩컨 대 루이지애나 사건(1968) 판례에 따르면, 특정 권리가 주 정부에도 적용되기 위해서는 해당 권리가 "질서 있는 자유의 개념에 필수적이거나", "미국 역사와 전통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어" 근본적인 권리임을 법원에 입증해야 한다.

수정 헌법 제2조를 '선택적 적용' 절차를 통해 주 정부에 적용해야 한다는 주장 외에도, 맥도널드 대 시카고 사건은 다른 총기 관련 소송들과 달리 도살장 사건(1873) 판례를 뒤집어 달라고 연방 대법원에 요청했다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도살장 사건` 판결은 미국 수정 헌법 제14조의 특권 또는 면제 조항이 미국 권리 장전의 내용을 주 정부의 행위에 적용하지 않는다고 결정했었다. 만약 이 판결이 뒤집혔다면, 수정 헌법 제2조를 포함한 권리 장전 전체가 주 정부에 적용될 수 있었으므로, 복잡한 '선택적 적용' 절차를 거칠 필요가 없었을 것이다.[10][11]

`도살장 사건` 판례를 뒤집으려는 시도는 단순히 총기 규제 문제를 넘어선 파급 효과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에, 보수 및 진보 성향의 여러 법학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만약 `도살장 사건` 판결이 번복되었다면, 민사 소송에서의 배심 재판을 받을 권리, 중범죄 사건에서의 대배심 기소 권리 등 권리 장전의 다른 조항들 역시 주 정부에 자동으로 적용될 가능성이 열렸기 때문이다. 이는 기존에 주 정부 차원에서 보편적으로 보장되지 않았던 연방 차원의 권리들이 주 정부에도 영향을 미치게 될 수 있음을 의미했다.[12][13][14]

클래런스 토마스 대법관은 별도의 동의 의견을 통해 `도살장 사건`과 `Cruikshank 사건` 판례를 비판하며, "무기를 소지하고 휴대할 권리는 미국 수정 헌법 제14조의 특권 또는 면제 조항을 통해 주 정부에도 적용되는 미국 시민의 특권"이라고 주장했다.[15][16]

3. 2. 2. 수정 헌법 제14조의 특권 또는 면제 조항

''맥도널드 사건''은 ''Heller'' 판결 이후 제기된 다른 총기 관련 소송들과는 다른 독특한 주장을 펼쳤다. 다른 사건들이 선택적 적용 원칙을 통해 수정 헌법 제2조를 주 정부에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맥도널드 사건''은 더 나아가 도살장 사건(1873년) 판례 자체를 뒤집어 달라고 연방 대법원에 요청했다.[10][11]

도살장 사건 판결은 수정 헌법 제14조의 특권 또는 면제 조항이 권리 장전의 내용을 주 정부의 행위에 적용하지 않는다고 결정한 중요한 판례였다. 만약 이 판례가 뒤집혔다면, 수정 헌법 제2조를 포함한 권리 장전 전체가 주 정부에 직접 적용될 수 있었고, 따라서 권리 하나하나가 '기본적' 권리인지를 따져 주 정부에 적용하는 선택적 적용 절차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었을 것이다.[10][11]

이러한 도살장 사건 판례 변경 시도는 총기 규제 문제뿐만 아니라 다른 법적 권리 영역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었기 때문에, 보수 및 진보 성향의 여러 법학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만약 도살장 사건 판례가 뒤집혔다면, 민사 소송에서의 배심 재판권, 중죄 기소 시 대배심 심사권 등 권리 장전에 명시된 다른 권리들 역시 주 정부에 자동으로 적용될 가능성이 열렸기 때문이다. 또한, 아직 주 차원에서 보편적으로 보장되지 않은 다른 연방 판례상의 권리들도 주 정부에 적용될 수 있었다.[12][13][14]

클래런스 토마스 대법관은 별도의 동의 의견을 통해 도살장 사건과 ''Cruikshank 사건'' 판례를 비판하며, "무기를 소지하고 휴대할 권리는 수정 헌법 제14조의 특권 또는 면제 조항을 통해 주에 적용되는 미국 시민권의 특권"이라고 주장했다.[15][16]

4. 법정 조언자 의견서

이 사건과 관련하여 총 33개의 ''법정 조언자''(amicus curiae, 법원의 친구) 의견서가 대법원 서기에게 제출되었다.[17]

이러한 의견서들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입장을 반영했다. 대표적으로 미국 의회의 상원 및 하원 의원 다수가 초당적으로 참여하여 청원인(맥도널드 측)의 손을 들어주고 미국 수정 헌법 제2조가 각 주에도 적용되어야 한다는 내용의 의견서를 제출했다.[18] 이 의견서에는 역사상 가장 많은 수의 의회 의원들이 서명하여 큰 주목을 받았다.[19] 또한, 텍사스주를 포함한 30여 개 주 정부 역시 청원인을 지지하는 입장의 법정 조언자 의견서를 제출했다.[20]

4. 1. 의회 의원들의 의견서

텍사스주 상원 의원 케이 베일리 허치슨 (공화당)


몬태나주 상원 의원 존 테스터 (민주당)


인디애나주 하원 의원 마크 사우더 (공화당)


아칸소주 하원 의원 마이크 로스 (민주당)


이 사건과 관련하여 총 33개의 ''법정 조언자''(amicus curiae, 법원의 친구) 의견서가 대법원에 제출되었다.[17]

이 중 하나는 공화당 소속 텍사스주 상원 의원인 케이 베일리 허치슨과 민주당 소속 몬태나주 상원 의원인 존 테스터, 그리고 공화당 소속 인디애나주 하원 의원인 마크 사우더와 민주당 소속 아칸소주 하원 의원인 마이크 로스가 초당적으로 공동 제출한 의견서였다. 이들은 대법원에 청원인(맥도널드 측)의 손을 들어주고, 미국 수정 헌법 제2조가 각 주에도 적용된다는 판결을 내려달라고 요청했다.[18] 이 의견서에는 58명의 상원 의원과 251명의 하원 의원이 서명했는데, 이는 미국 역사상 단일 법정 조언자 의견서에 서명한 의원 수로는 가장 많은 기록이다.[19]

또한, 텍사스주가 주도하여 32개 주가 공동으로, 그리고 캘리포니아주는 별도로 법정 조언자 의견서를 제출하기도 했다.[20]

4. 2. 기타 단체들의 의견서



이 사건과 관련하여 33개의 ''법정 조언자'' amicus curiae|아미쿠스 쿠리애lat(법원의 친구) 의견서가 대법원 서기에게 제출되었다.[17]

이 의견서 중 하나는 케이 베일리 허치슨 (공화, 텍사스) 상원 의원, 존 테스터 (민주, 몬태나) 상원 의원, 그리고 마크 사우더 (공화, 인디애나) 하원 의원, 마이크 로스 (민주, 아칸소) 하원 의원이 공동으로 제출한 것이다. 이들은 대법원에 청원인의 손을 들어주고 수정 헌법 제2조가 주에 적용된다는 판결을 내려달라고 요청했다.[18] 이 의견서에는 58명의 상원 의원과 251명의 하원 의원이 서명했는데, 이는 역사상 어떤 법정 조언자 의견서보다 많은 수의 의원들이 참여한 것이다.[19] 게다가 텍사스 주도를 포함한 32개 주(그리고 캘리포니아는 별도로)도 법정 조언자 의견서를 제출했다.[20]

5. 미국 연방 대법원의 판결

미국 연방 대법원은 맥도널드 대 시카고 사건에서 헬러 사건에서 인정된 미국 수정 헌법 제2조의 권리가 미국 수정 헌법 제14조의 적법 절차 조항을 통해 각 주에도 전적으로 적용된다고 판결했다. 이는 개인이 자기 방어를 목적으로 총기를 소지하고 휴대할 권리가 연방 정부뿐만 아니라 주 정부에 대해서도 보장됨을 의미한다.[21]

대법원은 이 판결을 통해 "수정 헌법 제2조는 자기 방어의 목적으로 무기를 소지하고 휴대할 권리를 보호한다"는 점을 재확인했으며, "개인의 자기 방어는 수정 헌법 제2조 권리의 '핵심 구성 요소'"이고 "고대부터 현재까지 많은 법체계에서 인정되는 기본적인 권리"라고 강조했다.[21]

이러한 판결 내용은 이후 다른 사건에서도 중요한 기준으로 인용되었다. 2013년 일리노이 주 대법원은 일리노이주 대중 사건에서 맥도널드 판결의 핵심 내용을 위와 같이 요약하며 재확인했으며,[21] 2024년 연방 대법원 역시 라히미 사건에서 무기를 소지하고 휴대할 권리가 "우리의 질서 있는 자유 체제에 필수적인" 기본권 중 하나임을 언급하며 맥도널드 판결을 인용했다.[22]

5. 1. 다수 의견

다수 의견은 미국 수정 헌법 제14조가 ''헬러 판결''에서 인정된 미국 수정 헌법 제2조의 권리를 각 주에도 적용한다는 점에는 동의했지만, 그 법적 근거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렸다. 대법관 4명의 의견을 대표하여 알리토 대법관은 적법 절차 조항을 통해 수정 헌법 제2조의 권리가 주(state)에 적용된다고 판결했다.[23] 토머스 대법관은 알리토의 의견 대부분에 동의하면서도, 별개의 의견을 통해 무기를 소지하고 휴대할 권리는 특권 또는 면제 조항이라는 다른 근거를 통해 주에 적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24]

알리토 대법관은 또한 대법관 4명의 의견 일부에서, ''헬러 판결''에서 언급되었던 특정 유형의 무기 규제는 여전히 허용될 수 있으며, 이 사건에서 직접 다루는 쟁점은 아니라고 재확인했다.[25] 이러한 허용 가능한 규제에는 "흉악범이나 정신 질환자가 무기를 소지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과 "학교 및 정부 건물과 같은 민감한 장소에서 무기 휴대 금지 법률, 또는 무기 상업 판매에 조건을 부과하는 법률" 등이 포함된다.[25]

5. 2. 클래런스 토마스 대법관의 동의 의견

(작성할 내용 없음 - 제공된 원본 소스에는 '클래런스 토마스 대법관의 동의 의견'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5. 3. 반대 의견

스티븐스 대법관은 상세한 반대 의견을 제시했다. 그는 다수 의견에 반대하며, 이 사건에서 미국 수정 헌법 제14조의 권리장전 통합(incorporation doctrine) 적용 여부는 핵심 쟁점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 대 크루익섕크 사건을 인용하며, "소위 권리 적용 문제는 19세기 후반에 명확하고 올바르게 해결되었다"고 언급했다. 더 나아가, 그는 권리 적용 자체에 반대하며 다수 의견이 채택한 방법론에도 이의를 제기했다.

브레이어 대법관은 "요약하자면, 미국 수정 헌법 제2조는 개인의 무장 자기 방어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제정된 것이 아니다. 해당 권리가 '기본적인' 권리라는 점에 대해 과거에도 현재에도 합의된 바가 없다"고 주장했다.[26]

6. 판결의 영향 및 후속 사건

맥도널드 대 시카고 사건 판결은 미국 수정 헌법 제2조의 총기 소지 권리가 미국 연방 정부뿐만 아니라 주 및 지방 정부에도 적용된다는 점을 확립한 중요한 결정이었다. 이 판결은 전미 총기 협회(NRA)와 총기 폭력 예방을 위한 브래디 캠페인 등 총기 관련 단체들의 입장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27][28], 판결 직후부터 다양한 후속 법적 분쟁이 예상되었다.[29][30]

판결 이후, 미국 전역의 다양한 주 및 지방 정부의 총기 규제 법률의 합헌성에 대한 법적 도전이 이어졌으며, 이는 총기 관련 법제와 판례 형성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구체적인 총기 규제 논쟁의 양상과 관련 판례들은 하위 문단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6. 1. 총기 규제 논쟁에 미친 영향

법원의 판결은 전미 총기 협회(NRA)[27]와 총기 폭력 예방을 위한 브래디 캠페인[28] 양측 모두에게 긍정적으로 해석되었다. 양측은 각자 자신들의 입장이 법원 판결을 통해 옳았음이 증명되었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하지만 법원은 브래디 캠페인 측이 법정 조언자 의견서를 통해 요청했던 총기 규제 법률에 대한 "심사 기준 명확화" 요구는 받아들이지 않았다.[29]

판결 당일, NRA의 웨인 라피에르와 브래디 캠페인의 폴 헬름케는 이번 판결이 가정 내 자기방어와 같은 "합법적 목적"의 권총 소지를 금지할 수 없다는 점에는 서로 동의했다. 그러나 이번 사건에서 직접 다루지 않은 다른 총기 관련 법률이나 기존의 주(州) 차원의 총기 규제가 위헌인지 여부를 가리기 위해서는 앞으로 많은 소송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었다. 대법원이 "미국 수정 헌법 제2조는 모든 주에 '완전히 적용된다'"고 명시했음에도 불구하고, 웨인 라피에르는 NRA가 이번 판결에서 다루지 않은 다른 총기 규제들을 바꾸기 위해서는 "앞으로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반면, 폴 헬름케는 향후 관련 소송에서 NRA가 "대부분 패소할 것"이라고 예측하며 상반된 전망을 내놓았다.[30]

6. 2. 관련 판례

''헬러'' 판결 다음 날, 전미 총기 협회(NRA)는 지역 총기 금지 조치에 이의를 제기하는 유사 소송 5건을 제기했다.

  • ''가이 몬태그 도우 대 샌프란시스코 주택국'': 2009년 1월, 샌프란시스코 주택국(SFHA)은 원고 가이 몬태그 도우에게 유리한 합의에 도달했다. 이 합의로 거주자들은 SFHA 아파트 건물 내에서 합법적인 총기를 소지할 수 있게 되었다.[31]
  • 시카고 교외 지역인 에반스턴, 모턴 그로브, 오크 파크를 대상으로 세 건의 익명 소송이 제기되었다.[32]
  • ''NRA 대 시카고'': 이 사건은 결국 ''맥도널드'' 사건에 병합되었다.


''헬러'' 판결 이후 주목할 만한 미국 수정 헌법 제2조 관련 사건들은 다음과 같다.

  • ''노르디크 대 킹'' (563 F.3d 439 (9th. Cir. 2009)): 제9 순회 항소 법원은 수정 헌법 제2조가 주에도 적용된다고 판결했다. 그러나 이 판결은 재심을 위해 무효화되었고, 캘리포니아주 앨러미다 카운티의 공공 재산 내 총기 소지 금지 조치는 ''맥도널드 대 시카고'' 판결로 뒤집힐 때까지 합헌으로 유지되었다.
  • ''맬로니 대 라이스'' ([https://web.archive.org/web/20110607010204/http://homepages.nyu.edu/~jmm257/mvc.html 일명 맬로니 대 쿠오모 및 맬로니 대 스피처], 554 F.3d 56 (2d. Cir. 2009)): 제2 순회 항소 법원은 수정 헌법 제2조가 주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 이 사건은 뉴욕주쌍절곤 소지 금지 조치와 관련되었다. 2010년 6월 29일, 대법원은 약식 의견을 통해 제2 순회 항소 법원의 ''맬로니'' 판결을 무효화했다. 대법원은 수정 헌법 제2조가 주에도 적용된다는 ''맥도널드'' 판결에 비추어 사건을 추가 심리를 위해 환송했다.[33] 2018년 12월, ''맬로니 대 싱가스'' 사건에서 쌍절곤이 수정 헌법 제2조에 따라 보호받는 무기로 간주되어, 뉴욕주의 1974년 전면 금지 조치가 위헌이라는 판결이 내려졌다.[34]
  • ''[https://caselaw.findlaw.com/wa-supreme-court/1508445.html 워싱턴 주 대 시예스]'': 워싱턴주 대법원은 수정 헌법 제2조가 미국 수정 헌법 제14조의 적법 절차 조항을 통해 워싱턴 주에 통합되어 적용된다고 판결했다. 이 판결은 ''맥도널드'' 판결과 일치하며, 이후 ''맥도널드'' 판결로 대체되었다.
  • ''[http://www.mass.gov/mdaa/court-decisions/list-by-case-name/m-thru-s/commonwealth-v-runyan.html 매사추세츠 연방 대 러니언]'' (456 Mass. 230 (2010)): 매사추세츠주 대법원은 ''헬러'' 판결이 매사추세츠 주 의회에는 적용되지 않으며, 매사추세츠 주법에 따른 총기 잠금 장치 요구 사항이 ''헬러''에서 다룬 규제와는 다르다고 판결했다. 이 판결은 ''맥도널드'' 판결에 의해 부분적으로 뒤집혔다. 즉, ''헬러'' 판결의 원칙은 매사추세츠 주에도 적용되지만, 매사추세츠 주의 총기 잠금 장치 요건 자체는 워싱턴 D.C.의 법규와 충분히 달라 합헌으로 판단될 여지가 남았다.
  • ''[https://web.archive.org/web/20150210202351/http://www.lb7.uscourts.gov/documents/10-3525op.pdf 에젤 대 시카고]'' (2011년 7월 6일): 제7 순회 항소 법원은 시카고 시가 ''맥도널드'' 판결 이후 채택한 총기 규제 조치가 합헌이라는 지방 법원의 판결을 뒤집었다. 시카고 법은 총기 허가를 받기 위해 사격장에서의 훈련을 요구했지만, 정작 시카고 시 내에서는 사격장 운영을 금지하고 있었다. 시카고 시는 신청자들이 시외의 사격장에서 훈련받을 수 있다고 주장했으나, 법원은 시카고가 시민들에게 다른 곳에서 언론의 자유를 행사할 수 있다는 이유로 시 내에서의 언론 자유를 침해할 수 없는 것처럼, 다른 곳에서 수정 헌법 제2조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는 이유로 시 내에서의 권리 행사를 막을 수는 없다고 판시했다.
  • ''무어 대 매디건'': 제7 순회 항소 법원은 2012년 12월, 일리노이주 의회가 기존 주법을 개정하여 주민들이 집 밖에서 무기를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은닉 휴대 법안을 채택해야 한다고 판결했다. 2013년 2월, 항소 법원 전체 재판부는 이 결정을 유지하기로 했다.[35][36] 법원은 최종적으로 일리노이 주에 2013년 7월 9일까지 은닉 휴대 법을 제정하도록 요구했다. 결국 주의회는 주지사의 거부권을 무효화하고, 2014년 1월부터 일리노이주에서 은닉 휴대를 허용하는 법을 시행했다.[37][38][39][40][41]
  • ''뉴욕 주 라이플 & 피스톨 협회 대 브루엔'': 미국 대법원은 수정 헌법 제2조와 제14조가 일반적인 자기 방어의 필요성을 가진 법 준수 시민이 집 밖에서 무기를 소지하고 휴대할 권리를 보호한다고 판결했다. 이 판결은 공공장소에서의 총기 휴대 권리를 크게 확대한 것으로 평가된다.[42]

참조

[1] 뉴스 In McDonald v. Chicago another Supreme Court landmark ruling on guns? http://www.csmonitor[...] 2010-03-01
[2] West National Rifle Ass'n of Amer., Inc. v. City of Chicago http://lawofselfdefe[...]
[3] 뉴스 SAF Files Lawsuit Challenging Chicago's Handgun Ban https://web.archive.[...] 2009-07-06
[4] 웹사이트 Podcasts: McDonald v. City of Chicago http://www.scotusblo[...] SCOTUSblog 2010-03-02
[5] 뉴스 Supreme Court Still Divided on Guns https://www.nytimes.[...] 2010-03-02
[6] 뉴스 Court rules for gun rights, strikes down Chicago handgun ban https://web.archive.[...] 2010-06-28
[7] 뉴스 On Otis McDonald and his lawsuit challenging Chicago's 1982 handgun ban http://www.chicagoma[...] 2010-01
[8] 웹사이트 A new Second Amendment case https://web.archive.[...]
[9] 웹사이트 ChicagoGunCase.com » FAQs https://web.archive.[...]
[10] 문서
[11] 문서
[12] 웹사이트 Liberals Use Supreme Court Gun Case to Bolster Other Rights http://www.law.com/j[...] www.law.com
[13] 뉴스 Constitutional Accountability Center filed brief in NRA v. Chicago https://web.archive.[...]
[14] 웹사이트 Brief for Constitutional Law Professors as Amici Curiae http://www.abanet.or[...]
[15] 문서
[16] 문서
[17] 웹사이트 Merit Briefs for February Supreme Court Cases, Term 2009-2010 http://www.abanet.or[...] American Bar Association
[18] 웹사이트 Brief for Senator Kay Bailey Hutchison et al. as Amici Curiae http://www.abanet.or[...]
[19] 웹사이트 Sen. Kay Bailey Hutchison press release https://web.archive.[...] 2009-11-23
[20] 웹사이트 ChicagoGunCase.com » Case Filings https://web.archive.[...]
[21] 웹사이트 People v. Aguilar, 2013 IL 112116 https://web.archive.[...] 2013-09-12
[22] 웹사이트 United States v. Rahimi, 602 U. S. ____ (2024), Opinion of the Court, page 5 https://www.supremec[...] United States Supreme Court 2024-06-21
[23] 문서
[24] 블로그 SCOTUS blog http://www.scotusblo[...]
[25] 문서
[26] 뉴스 OK, Let's Debate Gun Control! https://www.wsj.com/[...] 2012-07-23
[27] 웹사이트 Statement by Wayne LaPierre Executive Vice President, NRA and Chris W. Cox Executive Director, NRA-ILA Regarding U.S. Supreme Court Decision McDonald v. City of Chicago https://web.archive.[...]
[28] 웹사이트 Brady Campaign to Prevent Gun Violence: Media https://web.archive.[...]
[29] 웹사이트 Brief for the Brady Center to Prevent Gun Violence et al. as Amici Curiae http://www.abanet.or[...]
[30] Episode After Supreme Court Ruling, Cities Face Restructuring of Gun Laws https://web.archive.[...]
[31] 웹사이트 San Francisco Housing Authority settles gun lawsuit http://www.sfgate.co[...] SFGate.com 2009-01-14
[32] 뉴스 NRA Eyes More Targets After D.C. Gun-Ban Win https://www.npr.org/[...] NPR
[33] 웹사이트 Maloney v. Rice Petition for Writ of Certiorari https://www.scotusbl[...] 2009-06-26
[34] 웹사이트 Maloney v. Singas https://cases.justia[...] United States District Court Eastern District of New York 2018-12-14
[35] 웹사이트 Moore v. Madigan, key points http://www.volokh.co[...] The Volokh Conspiracy 2013-12-11
[36] 웹사이트 Appeals court won't reconsider concealed carry ruling http://www.suntimes.[...] Chicago Sun Times 2013-02-22
[37] 웹사이트 Illinois Firearm Concealed Carry Act Will Require Employers to Take Action http://www.hklaw.com[...] Holland & Koch 2013-08-05
[38] 뉴스 Illinois Is Last State to Allow Concealed Carry of Guns https://www.reuters.[...] Reuters 2013-07-09
[39] 뉴스 Illinois Abolishes Ban on Carrying Concealed Weapons https://www.wsj.com/[...] Wall Street Journal 2013-07-09
[40] 뉴스 General Assembly Overrides Veto, Legalizing Concealed Carry in Illinois https://patch.com/il[...] Patch Media 2013-07-09
[41] 뉴스 Illinois Abolishes Ban on Carrying Concealed Weapons https://www.wsj.com/[...] Wall Street Journal 2013-07-09
[42] 웹사이트 New York State Rifle & Pistol Association, Inc. v. Bruen https://www.supremec[...] 2022-06-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