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노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노파는 16세기 종교개혁 당시 성경의 가르침에 따른 근원적 개혁을 주장하며 유아세례를 거부하고 신자 세례를 행한 재세례파에서 시작되었다. 네덜란드의 메노 시몬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유럽에서 시작하여 미주, 아프리카, 아시아 등으로 확산되었다. 주요 신앙으로는 국가와 종교의 분리, 성인 세례, 평화주의, 비폭력주의, 양심적 병역 거부 등이 있으며, 20세기 이후 메노나이트 중앙 위원회를 통해 구호 및 봉사 활동을 펼치고 있다. 현대에는 다양한 교파로 분화되었으며, 사회 참여와 환경 문제 등과 관련된 논란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노파 - 피에로기
    피에로기는 다진 고기, 으깬 감자, 치즈, 과일 등 다양한 소를 넣어 만든 동유럽 만두 요리로, 슬라브 국가에서 즐겨 먹으며 각 지역 문화와 재료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여 축제 음식으로도 애용되고 북미 지역에도 널리 알려져 있다.
  • 재세례파 - 후터파
    후터파는 16세기 재세례파에서 시작되어 공동체 생활과 공유 재산을 실천하며 종교적 박해를 피해 이주하다 19세기 북미에 정착, 현재는 3개의 주요 분파를 중심으로 농업과 제조업에 종사하는 기독교 공동체이다.
  • 재세례파 - 라베른 대학교
    라베른 대학교는 1891년 로즈버그 칼리지로 설립되어 1917년 라번 칼리지를 거쳐 1977년 현재의 명칭으로 재편성된 캘리포니아주의 사립 종합대학교로서, 다양한 단과대학과 캘리포니아 지역 캠퍼스를 운영하며 선택적인 입학 요건과 다양한 학생 활동을 제공한다.
메노파
기본 정보
메노나이트 세계 회의 로고
메노나이트 세계 회의 상징
관련 종교재침례교
분포
총 신자 수 (2018년)213만 명 (증가)
주요 분포 지역미국: 500,469명
에티오피아: 310,912명
인도: 257,029명
콩고 민주 공화국: 225,581명
볼리비아: 150,000명
캐나다: 149,422명
멕시코: 110,000명
인도네시아: 102,761명
탄자니아: 92,350명
태국: 63,998명
짐바브웨: 50,287명
독일: 47,492명
파라과이: 36,009명
케냐: 35,575명
앙골라: 30,555명
경전
주요 경전성경
역사적 맥락
기원서유럽의 재침례교 그룹

2. 역사

메노나이트 신앙은 16세기 종교개혁 당시 성경에 근거한 근원적 개혁을 추구했던 재세례파에서 시작되었다. 이들은 유아세례를 부정하고 성인의 신앙고백에 따른 신자의 세례를 주장하여 재세례파로 불렸다. '메노파'라는 이름은 메노 시몬스에서 유래했다.

초기 메노나이트들은 스위스, 독일, 네덜란드 등에서 활동했으나, 종교적 박해로 인해 프러시아, 러시아, 미국, 캐나다 등으로 이주해야 했다. 특히 미국과 캐나다에 정착한 메노나이트들은 신앙의 자유를 얻어 교회 운동의 중심 역할을 하며 다른 교단에 영향을 주었다.

1917년 러시아 혁명과 러시아 내전 (1917–1921) 이후, 메노나이트들의 농장과 기업은 지역 농민 또는 소비에트 정부에 의해 몰수되었다. 메노나이트들은 볼셰비키네스토르 마흐노의 무정부-공산주의자에게 심각한 박해를 받았다. 우크라이나-소비에트 전쟁과 소련 볼셰비키에 의한 우크라이나 점령 이후, 공개적으로 종교를 실천하는 사람들은 소비에트 정부에 의해 투옥되기도 했다. 이로 인해 메노나이트들은 아메리카 대륙(미국, 캐나다 및 파라과이)으로 이주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1년 여름, 독일군이 소련을 침공했을 때, 많은 메노나이트 공동체는 그들을 공산주의 정권으로부터의 해방자로 인식했다. 많은 러시아 메노나이트는 나치와 협력하여 유대인 이웃들을 체포하고 학살하는 데 참여했다.[51][52][53] 전쟁의 흐름이 바뀌자, 많은 메노나이트들은 독일군과 함께 독일로 도망갔고, 그곳에서 "폴크스도이치"로 받아들여졌다.

한국에는 1953년부터 1971년까지 대구 경산 지역에 메노나이트 직업중고등학교를 설립하여 전쟁 고아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였고, 전쟁 미망인 프로그램, 물자 원조 프로그램 등을 행하였다.[176][177] 1990년대부터 메노나이트 선교사들이 파송되어 춘천에 한국 아나뱁티스트 센터, 남양주시 덕소에 한국 평화교육 훈련원, 한국 아나뱁티스트 펠로우십 (Korea Anabaptist Fellowship)과 한국메노나이트교회연합이 운영되고 있다.

2. 1. 기원과 초기 역사

메노나이트 신앙의 역사는 16세기 종교개혁 당시 성경의 가르침에 근거한 보다 근원적(Radical) 개혁을 요청했던 그룹에서 시작되었다. 이들은 성경이 증언하는 세례의 참 의미가 당시의 유아세례에 있지 않음을 분명히 말하고, 이미 유아세례를 받은 성인 크리스천으로서 진지한 신앙고백과 함께 신자의 세례(Believers' baptism)를 서로에게 주었기 때문에 재세례파(아나뱁티스트)라고 불리게 되었다. "메노파"라는 이름은 박해로 인해 재세례파 운동이 사라질 위기에 처해있을 때, 재세례파 리더로 활동했던 네덜란드의 가톨릭 사제였던 메노 시몬스(Menno Simons)의 이름에서 비롯되었다.[19]

메노 시몬스


메노나이트의 초기 역사는 중앙 유럽의 독일어 및 네덜란드어 사용 지역에서 시작된 재세례파와 관련이 있다. 이들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유아 세례를 거부한다는 점인데, 이는 서유럽에서 태어난 거의 모든 유아가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세례를 받았기 때문에 종교적, 정치적 의미를 모두 지니는 행위였다.

울리히 츠빙글리개혁 교회 추종자 중 일부는 출생 시부터 교회 회원 자격을 요구하는 것이 신약의 예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그들은 교회가 정부와 완전히 분리되어야 하며(초기 자유 교회 전통), 개인은 예수에 대한 믿음을 공개적으로 인정하고 그의 가르침에 따라 살고자 할 때만 가입해야 한다고 믿었다. 1525년 1월 21일 취리히에서 열린 작은 모임에서 콘라드 그레벨, 펠릭스 만츠, 게오르크 블라우로크는 다른 12명과 함께 서로에게 세례를 베풀었다.[20] 이 모임은 재세례파 운동의 시작을 알린다.

울리히 츠빙글리


개신교와 로마 가톨릭을 막론하고 많은 정부 및 종교 지도자들은 자발적인 교회 회원 자격을 위험한 것으로 여겼으며, 일부는 폭력적인 재세례파 종파가 주도한 뮌스터 반란에 대한 소식을 듣고 우려를 더욱 심화시켰다. 그들은 이 운동에 맞서기 위해 연합하여 추방, 고문, 화형, 익사 또는 참수와 같은 방법을 사용했다.[21]

국가 교회의 강력한 탄압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 운동은 주로 라인강을 따라 서유럽으로 천천히 확산되었다. 관리들은 새로운 종파를 유럽에서 몰아내기 위해 초기 재세례파 지도자들을 많이 살해했다.[21] 1530년까지 대부분의 창립 지도자들이 자신의 신념을 포기하지 않아 살해당했다. 많은 사람들은 하나님이 어떤 이유로든 살인이나 무력 사용을 용납하지 않는다고 믿었고, 따라서 자신의 생명을 위해 싸우려 하지 않았다. 비저항적 분파는 종종 스트라스부르와 같은 중립 도시나 국가에서 피난처를 찾아 살아남았다.

재세례파 운동 초기에 저지대 국가의 가톨릭 사제인 메노 시몬스는 이 운동에 대해 듣고 자신의 가톨릭 신앙을 재고하기 시작했다. 재세례파 그룹의 일원이었던 그의 형제는 그와 그의 동료들이 공격을 받았을 때 자신을 방어하기를 거부하여 살해당했다.[22] 1536년, 시몬스는 40세의 나이에 로마 가톨릭교회를 떠났다. 그는 곧 재세례파 운동의 지도자가 되었고, 남은 생애 동안 당국에 의해 수배되었다. 그의 이름은 그가 조직하고 통합하는 데 도움을 준 비폭력적 재세례파의 분산된 그룹들과 관련되었다.[23][24]

2. 2. 분열과 발전

메노나이트의 초기 역사는 중앙 유럽의 독일어 및 네덜란드어 사용 지역에서 시작된 재세례파와 관련이 있다.[19] 이들은 로마 가톨릭 교회의 관행과 신학에 대한 광범위한 반발인 개신교 종교 개혁의 일부였으며, 유아 세례를 거부하는 것이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었다.[19]

울리히 츠빙글리개혁 교회 추종자 중 일부는 출생 시부터 교회 회원 자격을 요구하는 것이 신약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1525년 1월 21일 취리히에서 콘라드 그레벨, 펠릭스 만츠, 게오르크 블라우로크 등 12명이 서로에게 세례를 베풀었고,[20] 이는 재세례파 운동의 시작을 알렸다.

저지대 국가의 가톨릭 사제였던 메노 시몬스는 재세례파 운동에 대해 듣고 자신의 신앙을 재고하기 시작하여, 1536년 로마 가톨릭 교회를 떠났다. 그는 곧 재세례파 운동의 지도자가 되었고, 남은 생애 동안 당국에 의해 수배되었다. 그의 이름은 그가 조직하고 통합하는 데 도움을 준 비폭력적 재세례파 그룹들과 관련되었다.[23][24]

알트키르히의 복음주의 메노나이트 교회


위니펙 캐나다 메노나이트 형제교회 회의의 예배 The Meeting Place


16세기 동안 메노나이트와 다른 재세례파는 끊임없이 박해를 받았다. 1660년에 출판된 ''순교자의 거울''은 재세례파와 그 선배들에 대한 박해를 기록하고 있으며,[25] 오늘날 스위스-남부 독일 계열 메노나이트와 아미쉬에게 성경 다음으로 중요한 책이다.

1693년, 야콥 아만은 금지를 포함하고, 더 자주 성찬을 거행하는 등 스위스와 남부 독일의 메노나이트 교회 개혁을 주도했다.[27] 논의가 실패하자, 아만과 그의 추종자들은 다른 메노나이트 교단에서 분리되었고, 이들은 아미쉬 메노나이트 또는 그냥 아미쉬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후 아미쉬 내에서도 여러 분열이 발생했다.

정치적 통치자들은 메노나이트를 정직하고 근면하며 평화롭다는 이유로 받아들였다. 식민지 아메리카의 메노나이트는 상당한 종교적 자유를 누렸지만, 유럽의 메노나이트는 박해와 임시 피난처를 겪어야 했다. 네덜란드에서는 비교적 높은 수준의 관용을 누렸다.

유럽에서 미국으로 이주하기 전, 아나뱁티스트는 네덜란드/북독일 출신과 스위스/남독일 출신으로 나뉘었다. 네덜란드/북독일 그룹은 메노 시몬스의 이름을 따서 불렸고, 이후 스위스/남독일 그룹도 "메노나이트"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1683년 북독일 메노나이트 소수가 미국으로 이주하기 시작했고, 1707년부터 스위스/남독일 메노나이트의 더 큰 이주가 이어졌다.[74] 아미쉬는 1693년 발생한 스위스/남독일 출신의 초기 분파이다.

미국 이주 후, 초기 메노나이트 다수가 북미 메노나이트 주류에서 분리되어 별개 교회를 형성했다. 1778년 첫 분열이 발생했고, 1785년 정통 개혁 메노나이트 교회가 설립되었으며, 21세기까지 다른 분열이 발생했다.

1873년 이후, 캔자스와 매니토바로 러시아 제국에서 더 큰 그룹의 네덜란드/북독일 메노나이트가 북미로 왔다.

2. 3. 해외 정착

16세기 초기 메노나이트들은 스위스, 독일, 네덜란드를 중심으로 활동하였으나, 박해로 인해 프러시아, 러시아, 미국, 캐나다로 이주하였다.[25] 신앙의 자유를 보장받을 수 있는 미국과 캐나다에 정착한 후, 신자들의 교회 운동의 중추적인 역할을 감당하며, 많은 교단에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정치적 통치자들은 종종 메노나이트를 정직하고 근면하며 평화롭다는 이유로 그들의 국가에 받아들였다. 그러나 그들의 관행이 국가 교회를 화나게 하면, 군 복무 면제를 철회하거나 새로운 군주가 권력을 잡았고, 메노나이트는 다시 도망가야 했다.

식민지 아메리카의 메노나이트가 상당한 종교적 자유를 누리는 동안, 유럽의 그들의 상대는 박해와 특정 통치 군주 아래서의 임시적인 피난처를 겪어야 했다. 네덜란드에서 메노나이트는 비교적 높은 수준의 관용을 누렸다. 그러나 토지가 여전히 경작되어야 했기 때문에, 통치자는 메노나이트를 몰아내지 않고 그들이 머물도록 강제하는 법률을 통과시키면서 동시에 그들의 자유를 심각하게 제한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공동체"에 대한 강한 강조가 이루어졌고, 이는 메노나이트 교회의 전형적인 특징으로 남아 있다. 개인의 자유를 유지하기 위해 소유물을 포기해야 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메노나이트는 매우 단순하게 사는 법을 배웠다.

"러시아 메노나이트"는 오늘날 네덜란드에서 온 재세례파의 후손으로, 약 1530년경 단치히 주변과 서프로이센에 정착하기 시작하여 약 250년 동안 그곳에서 살았다. 1791년부터 그들은 러시아 제국 남서부에 식민지를 건설했으며 1854년부터는 볼가 지역과 오렌부르크 현에도 정착했다. 그들의 언어는 플라우트디치이다.

1770년대 러시아 제국예카테리나 2세는 러시아-투르크 전쟁 이후 오스만 제국의 속국인 크림 칸국을 점령하여 흑해 북쪽(현재의 우크라이나)의 많은 토지를 획득했다. 러시아 정부 관리들은 프로이센 왕국에 살고 있던 메노나이트들에게 종교적 자유와 군 면제를 대가로 우크라이나 대초원을 경작하도록 초청했다. 수년에 걸쳐 메노나이트 농부와 사업가들은 매우 성공적이었다.

1854년, 새로운 러시아 정부의 공식 초청에 따라 프로이센 출신의 메노나이트들은 러시아의 볼가 지역에, 그리고 나중에는 오렌부르크 현(노이 사마라 식민지)에 식민지를 건설했다.

1874년부터 1880년까지 약 45,000명의 메노나이트 중 약 16,000명이 러시아를 떠났다. 약 9,000명이 미국(주로 캔자스와 네브래스카)으로, 7,000명이 캐나다(주로 매니토바)로 이주했다. 1920년대에 캐나다의 러시아 메노나이트는 라틴 아메리카(멕시코와 파라과이)로 이주하기 시작했으며, 곧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의 메노나이트 난민들이 뒤따랐다. 이러한 메노나이트의 추가 이주로 페루, 브라질, 우루과이, 벨리즈, 볼리비아아르헨티나에 정착촌이 생겼다.

1917년 러시아 혁명과 러시아 내전 (1917–1921) 이후, 메노나이트들의 농장과 기업은 지역 농민 또는 소비에트 정부에 의해 몰수되었다. 몰수 외에도, 메노나이트들은 내전 기간 동안 볼셰비키네스토르 마흐노의 무정부-공산주의자의 손에 심각한 박해를 받았다. 우크라이나-소비에트 전쟁과 소련 볼셰비키에 의한 우크라이나 점령 이후, 공개적으로 종교를 실천하는 사람들은 많은 경우 소비에트 정부에 의해 투옥되었다. 이로 인해 메노나이트가 아메리카 대륙(미국, 캐나다 및 파라과이)으로 이주하는 물결이 일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1년 여름에 독일군이 소련을 침공했을 때, 많은 메노나이트 공동체는 그들을 자신들을 괴롭혔던 공산주의 정권으로부터의 해방자로 인식했다. 많은 러시아 메노나이트는 나치와 적극적으로 협력하여 유대인 이웃들을 체포하고 학살하는 데 참여했다.[51][52][53] 전쟁의 흐름이 바뀌자, 많은 메노나이트들은 독일군과 함께 독일로 도망갔고, 그곳에서 "폴크스도이치"로 받아들여졌다. 전쟁 후, 소련의 많은 메노나이트들이 시베리아와 카자흐스탄으로 강제 이주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굴라크로 보내졌다. 그 후 수십 년 동안 소비에트 정권이 덜 잔혹해지면서, 많은 메노나이트들이 이전에 살았던 우크라이나와 서부 러시아로 돌아왔다. 1990년대에 카자흐스탄, 러시아, 우크라이나 정부는 이 사람들에게 이주 기회를 제공했고, 대다수가 독일로 이주했다.

2015년까지 러시아 메노나이트와 그 후손의 대다수는 라틴 아메리카, 독일, 캐나다에 살고 있다.

1770년에 건축된 Germantown 메노나이트 회의소


텐 사우전드 빌리지 (Ten Thousand Villages) 온타리오주 뉴 함부르크 매장


미국 인디애나주 밸퍼레이조에 있는 밸퍼레이조 메노나이트 교회


윌리엄 펜은 지속적인 차별을 받으며 살아가던 퀘이커 및 메노나이트 집단에서 그의 새로운 식민지에 정착할 사람들을 모집했다. 미국 식민지에 메노나이트가 처음으로 영구 정착한 것은 1683년 독일 크레펠트에서 온 1명의 메노나이트 가족과 12명의 독일계 메노나이트-퀘이커[56] 가족으로, 이들은 펜실베이니아주 저먼타운에 정착했다.

18세기 초, 팔라티네이트 지역에서 온 10만 명의 독일인들이 펜실베이니아로 이주했으며, 이들은 집합적으로 펜실베이니아 더치(''Deutsch''의 영어식 표현)로 알려졌다. 이 이민자들 중 약 2,500명이 메노나이트였고, 500명이 아미쉬였다.[58] 이 그룹은 첫 번째 그룹보다 더 서쪽으로 정착하여 펜실베이니아주 랭커스터 지역의 더 저렴한 토지를 선택했다.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메노나이트 회의소는 웨스트 램페터 타운십에 있는 한스 헤르 하우스이다.[59]

1812년부터 1860년까지, 또 다른 메노나이트 이민자들의 물결이 오하이오, 인디애나, 일리노이, 미주리 서부로 정착했다. 이 스위스-독일어를 사용하는 메노나이트들은 스위스알자스-로렌에서 왔으며, 뉴욕주 북부의 아미쉬와 함께 미국의 사도 기독교 교회의 핵심을 형성했다.

미국에서 주로 이주한 메노나이트들도 캐나다에 정착했다.

  • 나이아가라 지역(온타리오주 버티, 온타리오주 윌러비, 온타리오주 험버스톤 타운십), 대략 1780년대~1790년대
  • 온타리오주 세인트 제이콥스 대략 1819년
  • 온타리오주 키치너/온타리오주 워털루 대략 1800년대
  • 온타리오주 캠브리지 대략 1830년대
  • 온타리오주 마크햄 대략 1800~1820년대
  • 온타리오주 스토빌 대략 1803~1805년


2017년 보고서에 따르면,[61] 캐나다에는 펜실베이니아를 거쳐 온 스위스-남부 독일 메노나이트와 러시아(우크라이나)를 거쳐 온 네덜란드-북부 독일 메노나이트의 두 가지 주요 메노나이트 분파가 있다.

1880년대 동안, 더 작은 메노나이트 그룹들은 캘리포니아 서부, 특히 파소 로블스 지역 주변에 정착했다.[62][63]

2. 4. 대한민국에서의 활동

한국에는 1953년부터 1971년까지 대구 경산 지역에 메노나이트 직업중고등학교를 설립하여 전쟁 고아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였고, 전쟁 미망인 프로그램, 물자 원조 프로그램 등을 행하였다.[176][177] 1990년대부터 메노나이트 선교부에서 선교사들이 파송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춘천에 한국 아나뱁티스트 센터(Korea Anabaptist Center, www.kac.or.kr)와 경기도 덕소(남양주시)에 한국 평화교육 훈련원(www.kopi.or.kr), 그리고 교회의 네트워크로서 한국 아나뱁티스트 펠로우십 (Korea Anabaptist Fellowship, www.wkaf.net)이 있고 한국메노나이트교회연합으로 교단이 형성되어 운영되고 있다.

메노나이트에 대한 신학과 역사에 대한 책은 도서출판 대장간에서 출간하고 있다. 도서출판 대장간은 《아나뱁티스트 성서해석학》,《아나뱁티스트역사》, 《이것이 아나뱁티스트다》등과 오십여 권의 메노파의 평화신학, 교회론, 공동체 등을 소개하고 있다. 또한 메노파 평화신학자이며 윤리학자인 존 하워드 요더의 총서가 11권 소개되었다. KAP에서 존 하워드 요더가 쓴 《제자도, 그리스도인의 정치적 책임: (''Discipleship as Political Responsibility'')》외에 많은 책들이 출간되었고, 《예수의 정치학》(''The Politics of Jesus'' , IVP)가 한국어로 번역되어 메노나이트의 신학사상이 소개되었다.

2016년 2월에 한국메노나이트교회연합(Mennonite Church South Korea)가 교단(대표 배용하)으로 발족하였고, 논산의 평화누림메노나이트교회, 제주의 하늘가족메노나이트교회, 진해 주빌리메노나이트교회, 춘천 [https://www.jesusheartchurch.org/ 메노나이트예수마음교회]가 속해있다. 이밖에 아나뱁티스트 교회로는 춘천의 [http://jesusvillagechurch.org/ 예수촌교회] 와 남양주시 덕소의 은혜와평화메노나이트교회가 있다.

한국전쟁 중인 1952년부터 1971년까지 부산, 대구 등의 영남지역에서 무료 직업학교 운영 등의 구호활동을 하였다. 1954년부터 2년간 대구와 부산에서 메노파 교회 봉사활동을 했던 아담 유어트(Adam Ewert)가 1954년 당시의 대구의 생활상을 찍은 컬러 사진 120점을 공개하기도 했다.[176][177]

3. 주요 신앙고백

메노파의 주요 신앙 고백은 다음과 같다.[30][31][32]


  • 국가와 종교의 분리: 국가와 종교는 서로 다른 영역이며, 서로 영향을 주지 않아야 종교의 순수성이 유지되고, 종교가 정치 도구가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본다. 세속 국가는 예수 그리스도의 뜻을 따르기 어렵다고 생각한다.
  • 세례: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사람에게만 시행한다. 자신의 신앙 고백이 없는 유아세례는 유효하지 않다고 보며, 유아세례 대신 헌아식을 한다.
  • 신앙은 자발적인 선택: 주변 상황에 영향받지 않고, 스스로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따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 만인제사장설 실천: 평신도들이 돌아가며 목회하며, 목회자는 신의 '사자(使者)'가 아닌 신앙생활의 '도우미'로 여긴다. 모든 신도에게 리더십을 두려고 노력한다. (목회자와 평신도는 수평 관계) 그러나 현재는 세계 대부분 메노파 교회에 목회자가 있다.
  • 평화주의: 모든 그리스도인은 평화를 위해 일해야 한다고 믿으며, 문화와 종교를 초월한 분쟁 조정, 구제 활동을 한다.
  • '제자도' 강조: 그리스도인은 예수를 믿는 것뿐만 아니라, 자발적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따라야 한다고 강조한다.
  • 양심적 병역 거부: 병역 대신 사회 봉사를 하며, 이 또한 자발적이어야 한다.
  • 평화, 정의, 단순한 삶, 공동체, 봉사와 섬김, 상호 원조를 강조한다.


초기 메노나이트 신앙은 슐라이트하임 고백에 나타나 있으며, 7개 조항은 다음과 같다.

  • 파문 (출교)
  • 빵을 뗌 (성찬)
  • 혐오스러운 것(로마 가톨릭 교회 및 기타 "세속적인" 단체 및 관행)으로부터의 분리 및 회피
  • 신자의 세례
  • 교회의 목사
  • 칼의 포기 (기독교 평화주의)
  • 맹세의 포기 (진실의 증거로서의 맹세)


도르드레흐트 신앙 고백은 1632년 네덜란드 메노나이트, 1660년 알자스 메노나이트, 1725년 북미 메노나이트에 의해 채택되었으며, 여러 메노나이트 교단에서 준수되었다.[32]

메노나이트는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복음을 들을 때 성령께서 구원의 선물을 받아들이게 하시며, 하나님께서는 강요 없이 우리를 올바른 관계 안으로 인도하신다고 믿는다.[33] 이에 대한 응답으로 하나님의 은혜에 순종하고, 하나님만을 신뢰하며, 죄를 회개하고, 악에서 돌이키며, 구원받은 자들과 교제하고, 말과 행동으로 믿음을 나타내야 한다고 생각한다. 세례를 통해 구원을 공개적으로 증언하고 하나님과 교회에 충성을 맹세하며, 은혜와 거듭남을 경험하면 하나님의 가족에 입양되어 예수 그리스도의 형상으로 변화된다고 믿는다.[33]

전통적으로 초기 기독교의 믿음을 따라 애찬(발 씻김, 거룩한 입맞춤, 성찬 포함), 머리 수건, 불저항주의, 소유의 공유, 세상에 대한 비순응을 실천했다.[34][35][36] 이러한 것들은 구교 메노나이트 및 보수 메노나이트 교단에서 강조된다.[34][35][36]

많은 전통적인 메노나이트 교회는 "세례, 성찬, 발 씻김, 결혼, 기름 부음, 거룩한 입맞춤, 기도 덮개"를 포함하는 7개의 성사를 가르쳐 왔다.[6]

1911년, 네덜란드 메노나이트 교회는 여성 목사를 인가한 최초의 네덜란드 교회였으며, 앤 자르니케가 최초의 여성 목사였다.[37]

오늘날 메노나이트는 예배, 교리, 전통이 다양하다. 북미의 주요 유형은 다음과 같다.

  • 온건한 메노나이트: 메노나이트 형제단, 메노나이트 교회가 포함되며, 대부분의 예배와 관행은 개신교와 유사하다. 특별한 복장이나 기술 제한은 없다. 예배는 찬송가, 성경 봉독, 기도, 설교 등으로 구성되며, 교회마다 다르다. 메노나이트 회중은 자립적이며, 자체 목사를 임명한다. 평화, 공동체, 봉사를 강조하지만, 별도의 공동체에 살지 않고 일반 공동체에 참여한다. 출교는 드물다.

  • 개혁 메노나이트: 19세기 초에 형성되었으며, 메노 시몬스의 가르침과 신약을 따르는 것을 강조한다. 성경을 유일한 지침으로 삼고, 엄격한 분리와 보수적인 평복을 입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 하나님의 교회, 메노나이트 그리스도 안에서 (홀데만 메노나이트): 1859년에 분열되었으며, 복음주의적 개종과 엄격한 교회 훈련을 강조한다. 현대 기술 사용 자체를 죄라고 믿지는 않지만, 과도한 사용을 권장하지 않고 텔레비전, 카메라, 라디오는 피한다.

  • 구교 메노나이트: 여러 그룹으로 나뉘며, 일부는 말과 마차를 사용하고 독일어를 사용하며, 다른 그룹은 자동차를 운전하고 영어를 사용한다. 보수적인 교리, 복장, 전통을 공유하며, 정치와 "세상의 죄"에 참여하지 않는다. 대부분 메노나이트 운영 학교에서 자녀를 교육한다.
  • 말과 마차 구교 메노나이트: 1872년부터 1901년까지의 분열에서 비롯되었으며, 보수적인 메노나이트는 미국 부흥주의의 영향을 받은 변화와 싸웠다.
  • 자동차 구교 메노나이트: 1927년에 자동차를 사용하기 시작했지만, 자동차는 단정하고 검은색으로 칠해야 했다.
  • 슈타우퍼 메노나이트 (파이크 메노나이트): 가장 보수적인 그룹 중 하나이며, 1845년에 설립되었다. "세상"과의 엄격한 분리를 강조하고, 자동차 및 기술을 금지하며 단정한 옷을 입는다.

  • 보수 메노나이트: 다소 보수적인 복장을 유지하지만, 다른 기술은 신중하게 받아들인다. 다양한 독립적인 회의 및 교류로 나뉜다.


북미에는 메노나이트 교회 캐나다와 메노나이트 교회 USA의 메노나이트 관점에서 신앙 고백[41]과 같은 구조와 전통이 있다.

많은 진보적인 메노나이트 교회는 LGBTQ+ 구성원이 교회 구성원으로 예배하는 것을 허용한다. 일부 온건한 회중과 회의에서는 LGBTQ+로 식별되는 사람들이 회원 자격 및 예배 인도를 금지당했다. 평화주의비폭력에 대한 메노나이트 전통의 가르침을 강조한다.[43]

2003년 기준, 전 세계 65개국에 1,297,716명의 메노나이트가 있다. 아프리카가 가장 많고(451,959명), 북아메리카(451,180명), 인도-태평양(208,155명), 중남미와 카리브해(133,150명), 유럽(53,272명) 순이다.[157] 아프리카는 매년 10~12%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에티오피아가 두드러진다. 유럽은 1980년 이후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4. 조직

메노나이트 세계 회의는 재세례파 4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1925년 스위스 바젤에서 열린 첫 번째 회의에서 설립되었다.[28]

메노나이트 교도의 가장 기본적인 조직 단위는 교회이다. 수백, 수천 개의 메노나이트 교회와 단체가 있으며, 이들 중 다수는 다른 모든 교회와 분리되어 있다. 일부 교회는 지역 또는 구역 회의의 회원이며, 일부 지역 또는 구역 회의는 더 큰 국가 또는 국제 회의와 제휴한다. 메노나이트 교도들 사이에는 단일 세계 권위는 없지만, 60개국 메노나이트 교도들로 구성된 메노나이트 세계 회의(MWC)가 존재한다.[107] MWC는 회원들을 대신하여 구속력 있는 결정을 내리지 않지만, MWC의 공유된 신념에 따라 메노나이트 관련 문제들을 조정한다.

대부분의 경우, 수많은 독립적인 메노나이트 교회와 다른 어떤 단체에도 특별한 책임을 지지 않는 수많은 개별 회의가 존재한다. 독립 교회는 50명에서 2만 명에 이르는 회원을 가질 수 있다. 비슷한 규모의 차이가 개별 회의에서도 발생한다. 예배, 교회 훈련, 생활 방식은 진보적, 온건적, 보수적, 구교 메노나이트 및 정통 메노나이트 교도들 사이에서 다양하며, 광범위하고 뚜렷하며 독립적이고 광범위하게 분산된 분류가 존재한다. 20세기가 지나면서 모든 메노나이트 교도를 대표한다고 주장하는 중앙 권위는 없으며, 메노나이트 그룹 간의 문화적 특수성은 감소했다.[112]

벨리즈 라마나이 근처에서 땅콩을 파는 구교 메노나이트 공동체의 아이들

4. 1. 세계 조직

메노나이트 세계 회의(MWC)에 따르면, 2018년에는 58개국에 107개의 회원 교단이 있었고, 147만 명의 세례 교인이 있었다.[106] 2023년에는 60개국에서 108개 교단, 10,180개 이상의 교회에서 약 145만 명의 세례 교인이 있었다. 2023년 현재, MWC 회원 교회의 세례 교인 84%는 아프리카, 아시아 또는 라틴 아메리카 출신이며, 16%는 유럽과 북미에 거주한다.[107]

메노나이트 교도의 가장 기본적인 조직 단위는 교회이다. 수백, 수천 개의 메노나이트 교회와 단체가 있으며, 이들 중 다수는 다른 모든 교회와 분리되어 있다. 일부 교회는 지역 또는 구역 회의의 회원이며, 일부 지역 또는 구역 회의는 더 큰 국가 또는 국제 회의와 제휴한다. 메노나이트 교도들 사이에는 단일 세계 권위는 없지만, 60개국 메노나이트 교도들로 구성된 메노나이트 세계 위원회(MWC)가 있다.[107] MWC는 회원들을 대신하여 구속력 있는 결정을 내리지 않지만, MWC의 공유된 신념에 따라 메노나이트 관련 문제들을 조정한다.

대부분의 경우, 수많은 독립적인 메노나이트 교회와 다른 어떤 단체에도 특별한 책임을 지지 않는 수많은 개별 회의가 존재한다. 독립 교회는 50명에서 2만 명에 이르는 회원을 가질 수 있다. 비슷한 규모의 차이가 개별 회의에서도 발생한다. 예배, 교회 훈련, 생활 방식은 진보적, 온건적, 보수적, 구 질서 및 정통 메노나이트 교도들 사이에서 다양하며, 광범위하고 뚜렷하며 독립적이고 광범위하게 분산된 분류가 존재한다. 20세기가 지나면서 모든 메노나이트 교도를 대표한다고 주장하는 중앙 권위는 없으며, 메노나이트 그룹 간의 문화적 특수성은 감소했다.[112]

4. 2. 주요 교파

메노파는 신자 교회 믿음에 기반한 다양한 교파로 구성되어 있다.[30] 초기 메노나이트 신앙은 1527년 슐라이트하임 고백에 나타나 있으며, 파문, 성찬, 분리, 신자의 세례, 목사, 평화주의, 맹세 포기 등 7개 조항을 포함한다.[31] 1632년 도르드레흐트 신앙 고백은 여러 메노나이트 교단에서 수 세기 동안 준수되었다.[32] 메노나이트는 성령의 감동으로 구원을 받아들이고, 죄를 회개하며, 믿음의 순종을 나타내는 것을 강조한다.[33]

전통적으로 초기 기독교 믿음을 따라 애찬(발 씻김, 거룩한 입맞춤, 성찬 포함), 머리 수건, 불저항주의, 소유 공유, 세상에 대한 비순응을 실천했으며, 이는 구교 메노나이트와 보수 메노나이트 교단에서 강조된다.[34][35][36] 많은 전통적인 메노나이트 교회는 7개의 성사를 가르쳐 왔다.[6] 1911년 네덜란드 메노나이트 교회는 최초로 여성 목사를 인가했다.[37]

오늘날 메노나이트는 예배, 교리, 전통에서 다양성을 보인다. 주요 유형은 다음과 같다.

  • 온건 메노나이트: 메노나이트 형제단과 메노나이트 교회가 포함되며, 현대 기독교 음악을 사용하기도 한다. 평화, 공동체, 봉사를 강조하며, 일반 공동체에 참여한다. 출교는 드물게 시행된다.
  • 개혁 메노나이트 교회: 19세기 초 형성되었으며, 성경을 유일한 지침으로 삼고 엄격한 분리와 보수적인 평복을 강조한다. 자녀에게 신앙을 강요하지 않고, 공립학교와 자동차 사용을 허용한다.
  • 하나님의 교회, 메노나이트 그리스도 안에서: 1859년 분열로 시작되었으며, 복음주의적 개종과 엄격한 교회 훈련을 강조한다. 현대 기술 사용에 신중하며, 2013년 24,400명의 회원을 보유했다.[38][39][40]
  • 구교 메노나이트: 여러 그룹으로 나뉘며, 보수적인 교리, 복장, 전통을 공유한다. 정치와 "세상의 죄"에 참여하지 않고, 메노나이트 운영 학교에서 자녀를 교육한다.
  • 말과 마차 구교 메노나이트: 1872~1901년 분열에서 비롯되었으며, 농업용 트랙터 사용은 허용하나 일부는 강철 바퀴 트랙터를 고집한다. 그로프데일 회의 등은 세상과의 분리, 출교, 단정한 옷을 강조한다.
  • 자동차 구교 메노나이트: 1927년 자동차 사용을 시작했으며, 검은색으로 칠해야 한다. "검은색 범퍼" 메노나이트는 크롬 범퍼를 검은색으로 칠한다.
  • 슈타우퍼 메노나이트: 1845년 설립된 가장 보수적인 그룹 중 하나로, "세상"과의 엄격한 분리, 자동차 및 기술 금지, 단정한 옷을 강조한다.
  • 보수 메노나이트: 다양한 독립적인 회의와 교류로 나뉘며, 보수적인 복장을 유지하고 다른 기술은 신중하게 받아들인다. 20세기 초 전통적인 믿음과 관행을 유지하며, 보수 운동 회중은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 진보적 메노나이트 교회: LGBTQ+ 구성원을 허용하는 교회가 있으며, 평화주의비폭력을 강조한다.[42][43] 메노나이트 교회 USA에 속하거나 독립적인 회중으로 존재한다.
  • 미국 메노나이트 교회: 2002년 메노나이트 교회와 일반 컨퍼런스 메노나이트 교회의 합병으로 탄생했다. 2016년 78,892명의 회원을 보유했다.[66]
  • 캐나다 메노나이트 교회: 매니토바 주 위니펙에 본부를 둔 교단으로, 2003년 35,000명의 회원을 보유했다.
  • 구 식민지 메노나이트: 러시아 초르티차 식민지에서 기원한 독일어를 사용하는 보수적인 메노나이트 집단으로, 라틴 아메리카와 캐나다에 주로 분포한다.
  • 구약 메노나이트: 아미쉬보다 약간 자유로운 생활 방식을 가지며, 2008/9년 북미와 벨리즈에 27,000명 이상의 성인 세례 교인이 있었다.


메노나이트 조직의 기본 단위는 교회이며, 수십만 개의 교회가 서로 독립적으로 존재한다. 지역, 국가, 세계 교파 회원이 되는 경우도 있지만, "모든" 전 세계 교회를 포함하는 단일 조직은 없다. 예배, 교리, 생활 양식은 진보, 중용, 보수, 구교, 정통 등으로 다양하다.

주요 메노나이트 집단은 다음과 같다.

교파회원 수 (대략)분포 지역
메노나이트 브레드런 교회30만 명6개 대륙
메세리트 크리스토스 교회12만 명 (유사 교회 포함 12만 6천 명 이상)에티오피아
미국 메노나이트 교회11만 4천 명미국
브레드런 인 크라이스트10만 명미국 및 전 세계
코뮤노트 메노나이트8만 7천 명콩고 민주 공화국
카니사 라 메노나이트5만 명탄자니아
도이체 메노나이텐게마이덴4만 명독일
캐나다 메노나이트 교회3만 5천 명캐나다
처치 오브 갓 인 크라이스트1만 8천 명 (타국 포함 2천 명)미국 및 13개국
보수적 메노나이트 회의1만 1천 명 (준회원 포함 3만 4천 명)북아메리카 및 8개국
비치 아미쉬 메노나이트1만 명미국 및 기타 지역



그 외에도 20개 정도의 작은 독립 교회와 교파, 100개 미만의 더 작은 독립 교회가 있다.

메노나이트 세계 회의는 51개국 95개 메노나이트 및 브레드런 인 크라이스트 교회의 세계적인 공동체이지만, "정체"는 아니며 자발적인 신앙 공동체이다.

4. 3. 대한민국 내 조직

주어진 문서에서 대한민국 내 메노파 관련 조직이나 교회에 대한 정보를 찾을 수 없다. 따라서 이 섹션에 작성할 내용이 없다.

5. 사회 참여와 봉사

한국전쟁 중인 1952년부터 1971년까지 부산, 대구 등 영남 지역에서 무료 직업학교 운영 등의 구호활동을 했다.[176][177] 1954년부터 2년간 대구와 부산에서 메노파 교회 봉사활동을 했던 아담 유어트(Adam Ewert)가 당시 대구의 생활상을 찍은 컬러 사진 120점을 공개하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메노나이트 양심적 병역 거부자들은 비전투 군 복무, 군 통제하의 의료 또는 치과 부대 복무, 민간 감독하의 공원 및 도로 근무 중 하나를 선택했다. 95% 이상이 민간 감독하의 대체 복무 캠프를 선택했다.[71] 이들은 초기에는 도로 건설, 임업, 소방 프로젝트에 참여했고, 1943년 5월 이후 국가 내 노동력 부족으로 농업, 교육, 산업 분야로 이동했다. 캐나다 양심적 병역 거부자 10,700명 중 대부분은 메노나이트(63%)와 두호보르(20%)였다.[72]

미국에서는 시민 공공 봉사(CPS)가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 복무의 대안을 제공했다. 1941년부터 1947년까지 4,665명의 메노나이트, 아미쉬, 브레드렌 인 크라이스트[73]는 미국과 푸에르토리코 전역 152개 CPS 캠프에서 "국가적으로 중요한 업무"를 수행한 약 12,000명의 양심적 병역 거부자 중 일부였다. 이들은 토양 보존, 임업, 소방, 농업, 사회 서비스, 정신 건강 분야에서 일했다.

CPS 요원들은 임금 없이 연방 정부의 최소한의 지원만 받으며 복무했다. CPS 캠프 유지 및 요원 필요 충당 비용은 교구와 가족의 책임이었다. 메노나이트 중앙 위원회는 메노나이트 캠프 운영을 조정했다. CPS 요원들은 정규 징집병보다 더 오래 복무했으며, 전쟁이 끝난 후에도 한참 후에야 해제되었다. 처음에는 프로그램에 회의적이었던 정부 기관들은 이들의 봉사를 높이 평가했고, 더 많은 인력을 요청했다. CPS는 산불 예방, 침식 및 홍수 통제, 의학, 정신 건강 시스템 개혁에 크게 기여했다.

메노나이트 양심적 병역 거부자 해리 란츠가 유행성 발진티푸스 방제를 위해 미국 미시시피주 걸프포트에서 쥐약을 배포하고 있다(1946년).


북미 기반의 메노나이트 재난 봉사단은 미국과 캐나다에서 허리케인, 홍수 및 기타 재난에 대한 즉각적이고 장기적인 대응을 제공하는 재세례파 교회들의 자원봉사 네트워크이다.[101]

1920년 9월 27일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설립된 메노나이트 중앙 위원회(MCC)[102]는 장기적인 국제 개발 프로그램과 함께 전 세계에 재난 구호를 제공한다. 1972년 매니토바주 알토나의 메노나이트 교인들은 MCC 자선 상점[103]을 설립했으며, 이는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위한 전 세계적인 지원처로 성장했다.[104]

20세기 후반부터 일부 메노나이트 그룹은 평화 및 사회 정의 문제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기독교 평화 봉사단과 메노나이트 조정 서비스 설립을 도왔다.[105]

6. 논란

대부분의 메노나이트 교파는 동성애에 대해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44]

브레thren 메노나이트 LGBT 관심사 위원회는 1976년 미국에서 설립되었으며 미국과 캐나다에 다양한 교파의 회원 교회를 두고 있다.[44]

캐나다 메노나이트 교회는 각 교회에 동성 결혼에 대한 선택을 맡긴다.[45]

네덜란드 메노나이트 교단과 2021년에 62,000명의 회원을 둔 미국 메노나이트 교회는 미국 메노나이트 신자의 약 12%를 차지하며, 동성 결혼을 허용한다.[46][47][48]

2005년에서 2009년 사이에 볼리비아 마니토바 식민지의 100명 이상의 소녀와 여성들이 식민지 남성 집단에 의해 집에서 밤에 강간당했는데, 그들은 동물 마취제로 그들을 진정시켰다.[94] 가해자의 친척과 노인들을 포함한 소녀와 여성들은 이러한 공격을 보고했지만 처음에는 "여성의 엉뚱한 상상"으로 일축되거나 유령이나 악마의 짓으로 여겨졌다. 결국 식민지 남성 집단이 현행범으로 체포되었다. 식민지 장로들은 이 사건을 처리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2011년에 현지 경찰에 가해자들을 구금하도록 요청했다.[95] 최연소 피해자는 3세였고 최고령 피해자는 65세였다.[96] 가해자들은 수의사가 의료 절차 중에 동물을 진정시키는 데 사용하는 가스 종류를 사용했다. 유죄 판결을 받은 남성들에게 장기간의 구금형이 선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013년 조사에서 유사한 공격과 기타 성적 학대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캐나다 작가 미리엄 토우스는 이 범죄들을 그녀의 2018년 소설 ''Women Talking''의 중심 소재로 삼았다.[97][98][99]

치와와 주의 농부와 멕시코 마약 카르텔 간의 연관성은 멕시코 마약 전쟁 전반에 걸쳐 멕시코 전역에서 유사점을 보였다.[100]

7. 현대 사회와 메노나이트

현대 사회에서 메노나이트는 다양한 민족적 기원을 가진 구성원을 둔 종교 교파[77][78] 또는 민족 집단이자 종교 교파로 묘사된다. 이 문제에 대해 메노나이트 사이에서는 논란이 있는데, 어떤 사람들은 자신들을 단순한 종교 집단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사람들은 별개의 민족 집단을 형성한다고 주장한다.[79] 역사가와 사회학자들은 메노나이트를 점점 더 종교 민족 집단으로 취급하기 시작했지만,[80] 다른 사람들은 그러한 인식을 문제 삼기 시작했다.[81] "민족적 메노나이트"라는 용어에 대한 논의도 존재한다. 펜실베이니아 독일어를 사용하는 보수적인 메노나이트 집단, 플라우트디치 (저지 독일어), 또는 베른 독일어를 사용하는 집단은 민족 집단의 정의에 잘 부합하지만, 개발 도상국의 보다 진보적인 집단과 개종자는 그렇지 않다.

오늘날의 메노나이트는 다양한 예배, 교리 및 전통을 가지고 있다. 북미에서 볼 수 있는 주류 메노나이트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 '''중도 메노나이트''': 메노나이트 브레더런과 메노나이트 교회가 포함된다. 예배와 실천 형태는 프로테스탄트 종파와 큰 차이가 없다. 특별한 복장 형태나 기술 사용 제한은 없다. 예배 방식은 종파마다 크게 다르며, 정식 예배 규정은 없다. 일반적으로 찬송가, 성구 낭독, 기도와 설교로 이루어진다. 성가대를 선호하는 교회도 있고, 전자 악기로 현대적인 기독교 음악을 연주하기도 한다. 메노나이트 종파는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자체 목사를 지명한다. 목사는 종파의 승인을 받을 필요가 없으며, 다른 종파에서 목사를 지명하기도 한다. 회원의 수에 따라 소액의 헌금이 이루어지며, 회보 발행과 다른 종파, 다른 국가와의 교류에 사용된다. 중도 메노나이트는 규칙보다는 평화와 사회 봉사를 강조한다. 회원은 특별한 사회에서 생활하지 않고, 세상에 대한 "소금과 빛"으로서 일반 사회에 참여한다(마태복음 5장 13절, 14절). 메노 시몬스의 교리 주요 요소는 유지되지만, 중도적인 형태이다. 파문은 드물게 이루어지며, 사회가 굳건한 유대로 연결된 종파보다 효과가 적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군 복무를 한 회원에 대한 메노나이트 브레더런의 파문이 두드러진 예이다. 군 복무는 일반적으로 인정되지 않지만, 법률 전문가나 법 집행 기관 종사는 인정된다. 지역 및 해외 봉사 활동과 광범위한 사회 지원을 장려하며, 메노나이트 중앙 위원회가 해외 지원을 지도한다. 만 개의 마을(Ten Thousand Villages)은 공정 무역 상품의 재판매업자로 활동한다.

  • '''개혁 메노나이트''' 교회: 미국과 캐나다에 회원이 있으며, 최초의 북미 메노나이트 본체의 제1 구분을 대표한다. 저술가 스테판 스콧에 의해 "오래된 규율의 제1 관리인"이라고 불린다. 19세기 초에 만들어졌으며, 메노 시몬스의 교리와 성경 가르침의 충실한 추종자로 자처한다. 교회 규칙은 없지만 성경을 유일한 지도서로 의존한다. 예배의 모든 형태로부터 엄격한 분리를 강조하고, 18세기 메노나이트 방식을 보존하는 보수적이고 검소한 복장을 한다. 아이들에게 메노나이트 신앙을 강요하지 않고, 공립 학교에 가는 것을 허용하며, 자동차 이용도 인정한다. 밀턴 S. 허시의 어머니 교회로도 유명하며, 지도층의 불성실과 불통일을 이유로 반란을 일으킨 펜실베이니아 주 농부 로버트 베어의 길고 쓰라린 파문으로도 유명하다.

  • '''홀드만 메노나이트''': 1859년 분열 때 창설되었다. 그리스도 안의 하나님의 교회는 전 세계에 1만 9천 명의 회원이 있다. 창설자를 기려 홀드만 메노나이트로 알려져 있다. 복음에 의한 개심을 강조하고, 엄격한 계율과 파문을 실행한다. 진리는 하나라는 교리와 파문된 회원에 대한 엄격한 회피를 위해 다른 메노나이트 종파와 분리되어 있다.

  • '''오래된 질서 메노나이트''': 여러 독특한 집단을 가지고 있다. 운송 수단으로 마차를 사용하거나 독일어를 사용하는 집단이 있는 반면, 다른 집단은 자동차를 사용하고 영어를 사용한다. 보수적인 교리, 복장 및 전통을 공유하며, 19세기와 20세기 초 분열에 기원을 두고 있다. 정치 등 "세상의 죄"에 대한 참여를 거부하며, 많은 오래된 질서 집단은 메노나이트 운영 학교에서 아이들을 교육한다.

메노나이트의 마차

  • 마차 사용 오래된 질서 메노나이트: 1872년부터 1901년까지의 일련의 오래된 질서 분열에서 나왔다. 보수적인 메노나이트는 19세기 미국 부흥주의의 영향으로 메노나이트 예배에 생긴 급격한 변화와 싸웠다. 농업용 트랙터 사용은 허용하지만, 도로 운송용 트랙터는 쇠바퀴를 고집한다. 스토퍼 또는 파이크 메노나이트처럼 세상으로부터의 분리, 파문, 검소한 복장을 강조한다. 스토퍼 또는 파이크 메노나이트와 달리 파문 형태가 엄격하지 않아, 가정 식탁에서 제외되거나 배우자와 분리되거나 직장에서 잘리지 않는다.
  • 자동차 사용 오래된 질서 메노나이트: 1872년부터 1901년의 분열에서 생겨났다. 1900년대 초에 갈라진 마차 사용 오래된 질서 메노나이트와 같은 집회소를 공유하기도 하고, 거의 같은 "오래된 질서" 예배 형식을 고집하기도 한다. 1927년에 자동차를 사용하기 시작했지만, 차는 검소해야 하므로 검은색으로 칠했다. 가장 큰 집단은 크롬 도금 범퍼를 검은색으로 칠하기 때문에 "검은 범퍼" 메노나이트라고 불린다.

  • '''스토퍼 메노나이트''' (파이크 메노나이트): 마차 사용 메노나이트의 최초이자 가장 보수적인 형태를 대표한다. 1845년 아이들의 훈육 방법과 배우자 학대에 대한 논쟁 후 설립되었으며, 그 직후 더 분열되었다. 오늘날 아미쉬를 제외하면 스위스 메노나이트에서 가장 보수적이다. "세상"으로부터의 분리를 강조하고, "배교자나 분리된 회원으로부터의 엄격한 분리"에 얽매이며, 차나 기술을 금지하거나 제한하고, 검소한 복장을 한다. 현재는 자동차 사용 오래된 질서 메노나이트 집단의 일부로 여겨진다.

  • '''보수적 메노나이트''': 어느 정도 보수적인 복장을 유지하고, 텔레비전과 라디오를 멀리하며, 다른 기술은 신중하게 받아들인다. 단일 집단이 아니라, 동 펜실베이니아 메노나이트 교회처럼 다양한 독립 교파 및 집단으로 나뉘어 있다. 19세기 제4사분기 오래된 질서 분열의 급격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미국과 캐나다 메노나이트는 신약 성경의 문자적 해석에 근거한 핵심적인 전통 신앙과 함께 20세기 초 검소한 습관을 유지했다. 20세기 전반에 시작된 미국과 캐나다의 보수파와 급진파 지도자 간 불일치는 계속되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메노나이트 교회가 역사적 전통에서 벗어나는 것에 대한 반동으로 보수적 운동이 분산된 분리주의자 집단에서 일어났다. "검소"는 전통 신앙과 습관에 대한 비판이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제기되면서 시대에 뒤떨어졌다. 급진적 집단에서 처음 보수파 집단이 물러난 것은 1950년대였다. 이 은둔은 메노나이트 분열과 급진적 아미쉬 집단과의 조합에서 일어난 보수 계열 운동 속에서 계속된다. 다른 보수적 메노나이트 집단은 19세기 후반 바이스러 메노나이트처럼 오래된 질서 아미쉬에서 갈라진, 전 아미쉬=메노나이트 교회에서 내려온 것이다. 아미쉬를 보다 최근에 떠나온 자들로부터 생긴 보수적 메노나이트 교회도 있다.

  • '''진보적 메노나이트''' 교회: 동성애자 회원이 교인으로 예배하는 것을 허용하며, 그 결과 중도 집단 회원으로부터 파문되어 왔다. 펜실베이니아 주 저먼타운의 저먼타운 메노나이트 교회가 그 예시이다.


메노나이트 교회에는 수도원 생활 같은 형식적 금욕 종교 습관은 없지만, 회원들의 독신과 결혼의 신성함 양쪽에 정당성과 명예를 인정한다. 독신은 신중함이 기대되며, 결혼은 종신토록 지속되고 일부일처이며 남녀 간 성실한 맹약으로 기대된다. 이혼은 장려되지 않으며, 사람의 "완고한 마음"이 궁극적 이혼 원인으로 믿어진다. 어떤 메노나이트 교회에서는 성적 불성실이나 심한 학대 외 이유로 일방적으로 배우자를 이혼한 회원에게 징벌을 내렸다. 1960년대나 1970년대 즈음까지, 메노나이트 주민이 도시로 확산되기 전에는 이혼이 극히 드물었다. 최근에는 이혼이 흔해졌으며, 특히 학대가 명백한 경우에는 오점도 되지 않게 되었다.

전통적으로, 특히 보수적 메노나이트 집단에서는 매우 소박한 복장(여성 복장에서 현저함)이 기대되었지만, 메노나이트 주민이 도시화되어 더 넓은 문화에 통합됨에 따라, 이 외형적 차이는 보수적 집단 밖에서는 사라지고 있다.

메노나이트 교회 지역 집회(다른 종파의 교구에 대응)는 금욕적이지 않은 동성애자에 대해 회원 자격을 인정한 회원을 배제하도록 움직여 왔다. 이 추방은 중도적 메노나이트 집단에서 논쟁거리였고,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추방된 신도들이 메노나이트 교회나 메노나이트 교회 종합 회의에 이중 가입했지만, 후자는 같은 신도를 추방하지 않았다. 두 회파가 2002년 공식 통합되어 메노나이트 교회 캐나다와 메노나이트 교회 USA가 되었을 때, 한 회파에서 추방되고 다른 하나에 남아있는 신도가 새롭게 통합된 회파의 "내부자"인지 "외부자"인지 아직 명확하지 않다. 몇몇 메노나이트 집단은 그러한 신도를 추방하기보다는 집단 안 "준회원"으로, "징계된" 신도를 남겨두는 것을 선택했다. 징계된 신도와 회파 간 대화는 계속되고 있다.[172]

네덜란드 메노나이트 교회는 1911년 처음으로 여성 목사 안나 체르니크를 승인했다.[173] 약 1세기 후인 현재, 40% 이상 목사는 여성이다.

네덜란드 메노나이트 교회는 1970년대에 처음으로 동성애 목사를 용인했다. 2001년 동성애 결혼이 네덜란드에서 인정되었고, 네덜란드 메노나이트 교회는 동성애 결혼식을 처음으로 거행했다.

참조

[1] 서적 World Directory, 2018
[2] 서적 World Directory, 2018
[3] 웹사이트 Expansion of Mennonite farmland in Bolivia encroaches on Indigenous land https://news.mongaba[...] 2023-04-03
[4] 서적 World Directory, 2018
[5] 서적 Eastern Mennonite University Penn State University Press 2017-09-12
[6] 서적 No Strings Attached: Boundary Lines in Pleasant Places: A History of Warren Street / Pleasant Oaks Mennonite Church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3-04-30
[7] 웹사이트 Historic Peace Churches http://www.gameo.org[...] Global Anabaptist Mennonite Encyclopedia Online 2013-01-12
[8] 서적 Religion, Death, and Dying Bloomsbury Publishing USA 2009-11-25
[9] 웹사이트 What We Believe https://northsidemen[...] North Side Mennonite Church 2024-05-14
[10] 서적 The Sociology of Mennonites, Hutterites and Amish: A Bibliography with Annotations, Volume II 1977-1990 Wilfrid Laurier Univ. Press 2006-01-01
[11] 서적 Manual of Bible Doctrines https://archive.org/[...] Mennonite Publishing Co. 1898
[12] 뉴스 Bolivian Reforms Raise Anxiety on Mennonite Frontier https://www.nytimes.[...] 2015-04-05
[13] Youtube Nuevos alemanes en la selva de Peru, Los Menonitas llegaron a colonizar la selva (Reportaje) https://www.youtube.[...] 2022-08-08
[14] 웹사이트 Aus Montevideo: Galizische Mennoniten in Uruguay http://www.galizien.[...] Galizien.org 2012-11-06
[15] 웹사이트 Paraguay's Mennonites resent 'fast buck' outsiders http://www.latinamer[...] Latinamericanstudies.org 2011-10-29
[16] 웹사이트 Menonitas en Colombia: así vive la misteriosa comunidad religiosa en los Llanos Orientales https://www.caracolt[...] 2021-08-21
[17] 웹사이트 Member Churches – Mennonite Church in the Netherlands http://www.oikoumene[...] 2016-09-21
[18] 서적 Congregational Music, Conflict and Community Routledge 2017-04-28
[19] 문서 Concise Encyclopedia of Amish, Brethren, Hutterites, and Mennonites JHU Press 2010
[20] 웹사이트 Die Zürcher Täufer 1525 http://texte.efb.ch/[...] EFB Verlag Wetzikon 2012-01-28
[21] 서적 The Naked Anabaptist: The Bare Essentials of a Radical Faith Herald Press
[22] 간행물 Menno Simons
[23] 웹사이트 Menno Simons https://www.britanni[...] 2019-02-01
[24] 문서 Encyclopedia of Global Religion, Volume 1 Sage 2012
[25] 서적 Mennonite Life Herald Press 1955
[26] 문서 Mennonites
[27] 문서 Concise Encyclopedia of Amish, Brethren, Hutterites, and Mennonites JHU Press 2010
[28] 문서 Religions of the World: A Comprehensive Encyclopedia of Beliefs and Practices ABC-CLIO 2010
[29] 웹사이트 About MWC https://mwc-cmm.org/[...] 2022-11-05
[30] 문서 Concise Encyclopedia of Amish, Brethren, Hutterites, and Mennonites JHU Press 2010
[31] 문서 Readings in Christian Ethics: A Historical Sourcebook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6
[32] 서적 The Riddle of Amish Culture JHU Press 2003-05-01
[33] 웹사이트 Article 8. Salvation https://www.mennonit[...] Mennonite Church USA 2022-05-06
[34] 서적 Encyclopedia of Religion in American Politics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9
[35] 서적 My Amish Childhood: A True Story of Faith, Family, and the Simple Life Harvest House Publishers 2013-02-01
[36] 서적 Introduction to Old Order and Conservative Mennonite Groups: People's Place Book No. 12 Simon and Schuster 1996-01-01
[37] 웹사이트 Mankes-Zernike, Anna (1887–1972) http://gameo.org/ind[...] gameo.org 2016-04-10
[38] 웹사이트 Church of God in Christ, Mennonite (CGC) http://gameo.org/ind[...] GAMEO 2015-09-15
[39] 웹사이트 Holdeman Mennonites discuss 'challenges of entertainment' http://mennoworld.or[...] 2015-12-14
[40] 웹사이트 Where we are http://www.churchofg[...] 2016-09-15
[41] 웹사이트 Confession of Faith in a Mennonite Perspective http://www.mcusa-arc[...] 2007-05-30
[42] 웹사이트 CNN - Mennonite church expelled for accepting gays - Nov. 5, 1997 http://www.cnn.com/u[...] 2006-01-25
[43] 웹사이트 Confessions of a modern day pacifist https://themennonite[...] 2011-02-01
[44]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Amish, Brethren, Hutterites, and Mennonites JHU Press 2010
[45] Webarchive Delegates vote to allow space for differences https://canadianmenn[...] 2020-11-09
[46] 문서 mennoniteusa.org
[47] 서적 Women and Religion: Global Lives in Focus ABC-CLIO 2021
[48] Webarchive Delegates repeal Membership Guidelines, pass LGBTQ-affirming resolution https://anabaptistwo[...] 2022-12-05
[49] 웹사이트 Ukrainian Mennonite General Conference – GAMEO http://www.gameo.org[...] Gameo.org 2012-11-13
[50] 웹사이트 Makhno, Nestor (1888–1934) http://www.gameo.org[...] Global Anabaptist Mennonite Encyclopedia Online 2010-11-01
[51] 서적 European Mennonites and the Holocaust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20
[52] 뉴스 The Real History of the Mennonites and the Holocaust https://www.tabletma[...] 2020-11-17
[53] 간행물 Mennonite-Nazi Collaboration and Coming to Terms With the Past: European Mennonites and the MCC, 1945-1950 https://uwaterloo.ca[...] 2003-Spring
[54] 웹사이트 Altkolonier-Mennoniten in Belize http://www.taeuferge[...] Taeufergeschichte.net 2014-10-04
[55] 문서 Smith p.139
[56] 문서 Smith p.360. Smith uses Mennonite-Quaker to refer to Quakers who were formerly Mennonite and retained distinctive Mennonite beliefs and practices.
[57] 웹사이트 First Protest Against Slavery, 1688 http://www.qhpress.o[...] Qhpress.org 2015-04-05
[58] 문서 Pannabecker p. 7.
[59] 웹사이트 National Historic Landmarks & National Register of Historic Places in Pennsylvania https://www.dot7.sta[...] CRGIS: Cultural Resource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2012-02-20
[60] 문서 Pannabecker p. 12.
[61] 웹사이트 10 things to know about Mennonites in Canada https://canadianmenn[...] Canadian Mennonite 2020-12-06
[62] 웹사이트 Paso Robles First Mennonite Church (Paso Robles, California, USA) https://gameo.org/in[...] 2019-07-14
[63] 웹사이트 San Marcos Mennonite Church (Paso Robles, California, USA) https://gameo.org/in[...] 2019-07-14
[64] 웹사이트 North America http://www.mwc-cmm.o[...] Mennonite World Conference 2009-12-03
[65] 서적 Mennonite Church (MC) http://gameo.org/ind[...] 2015-05-02
[66] 뉴스 Lancaster's distancing shrinks roll: A few churches want to stay with MC USA; others are dropped from denomination's membership number http://mennoworld.or[...] Mennonite World Review 2016-08-31
[67] Webarchive Main Page https://www.mennonit[...] 2022-05-02
[68] 웹사이트 2000 Religious Congregations and Membership Study http://www.thearda.c[...] Glenmary Research Center 2009-12-16
[69] 문서 "An Introduction to Old Order and Conservative Mennonite Groups", Intercourse PA 1996, pages 122–123.
[70] 웹사이트 Who Are the Mennonites https://uwaterloo.ca[...] Conrad Grebel College 2020-12-06
[71] 문서 Gingerich p. 420
[72] 문서 Krahn, pp. 76–78
[73] 문서 Gingerich p. 452
[74] 서적 A Religious History of the American People Doubleday 1975
[75] 웹사이트 Homosexual and bisexual orientation among Mennonites https://web.archive.[...] Religioustolerance.org 2015-04-12
[76]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Amish, Brethren, Hutterites, and Mennonites JHU Press 2010
[77] 웹사이트 Who are the Mennonites? https://web.archive.[...] Third Way Cafe 2013-01-12
[78] 웹사이트 Did you know... http://www.mhsc.ca/i[...] Mennonite Historical Society of Canada 2013-01-12
[79] 웹사이트 The Mennonite Game http://www.mhsc.ca/m[...] Mennonite Historical Society of Canada 2013-01-12
[80] 웹사이트 Multicultural Canada: Mennonites https://archive.toda[...] Multiculturalcanada.ca 2016-09-13
[81] 웹사이트 Ethnicity http://www.gameo.org[...] Global Anabaptist Mennonite Encyclopedia Online 2013-01-12
[82] 간행물 Promised lands: the Anabaptist immigration to Paraguay and Bolivia and its unintended consequences for the environment https://repository.l[...] 2016
[83] 뉴스 'We live off the forest': fears rise in Suriname as Mennonites look to settle https://www.theguard[...] 2023-12-15
[84] 간행물 Pious pioneers: the expansion of Mennonite colonies in Latin America https://www.tandfonl[...] 2021
[85] 간행물 Mennonite colonies - new deforestation driver in the Amazon https://www.amazonco[...] Amazon Conservation Association 2019
[86] 간행물 Mennonite colonies continue major deforestation in the Peruvian Amazon https://www.maaproje[...] Amazon Conservation Association 2023
[87] 뉴스 The Mennonites being accused of deforestation in the Peruvian Amazon https://www.theguard[...] 2022-09-10
[88] 간행물 Private property and Mennonites are major drivers of forest cover loss in central Yucatan Peninsula, Mexico https://www.scienced[...] 2023-12-19
[89] 뉴스 Deforestation on the rise in Quintana Roo, Mexico, as Mennonite communities move in https://news.mongaba[...] 2023-03-15
[90] 웹사이트 Mennonites leaving Quebec after government closes school https://www.cbc.ca/n[...] CBC News 2019-08-30
[91] 웹사이트 Townsfolk sad to see Mennonites move away https://web.archive.[...] Canada.com 2011-10-29
[92] 웹사이트 Faith-Based Education May Result in Loss of House and Home in Quebec http://www.christian[...] christianity.ca 2011-10-29
[93] 뉴스 Quebec Mennonites moving to Ontario for faith-based teaching https://www.theglobe[...] 2024-08-26
[94] 웹사이트 Mennonite Community of Manitoba, Bolivia https://www.insider.[...] Insider
[95] 뉴스 A Verdict in Bolivia's Shocking Case of the Mennonite Rapes http://content.time.[...] 2023-01-21
[96] 웹사이트 The Ghost Rapes of Bolivia https://www.vice.com[...] 2022-12-15
[97] 뉴스 A Beloved Canadian Novelist Reckons with Her Mennonite Past https://www.newyorke[...] 2020-04-11
[98] 뉴스 The Ghost Rapes of Bolivia https://www.vice.com[...] 2014-01-06
[99] 뉴스 The rapes haunting a community that shuns 21st Century https://www.bbc.co.u[...] 2019-05-16
[100] 뉴스 Why Mennonite Links to Mexico Cartels Are Nothing New https://insightcrime[...] InSight Crime 2024-06-04
[101] 웹사이트 Mennonite Disaster Service https://web.archive.[...] 2007-05-30
[102] 서적 Service for Peace, A History of Mennonite Civilian Public Service, Mennonite Central Committee 1949
[103] 웹사이트 MCC Thrift Shops https://web.archive.[...] Thrift.mcc.org 2016-09-13
[104] 뉴스 The World at Six CBC 2012-03-17
[105] 웹사이트 Mennonite Conciliation Service https://web.archive.[...] 2007-05-30
[106] 웹사이트 About MWC https://mwc-cmm.org/[...] Canada 2020-12-05
[107] 웹사이트 About MWC https://mwc-cmm.org/[...] 2024-08-12
[108]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Amish, Brethren, Hutterites and Mennonit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09] 간행물 Building peace in South Africa: A case study in the Mennonite program Oxford U. Press
[110] 웹사이트 2018 Mennonite Church Membership Statistics https://mwc-cmm.org/[...] 2020-09-21
[111] 웹사이트 Mennonite Church Membership Statistics http://www.mcusa-arc[...] Mcusa-archives.org 2015-04-05
[112] 웹사이트 Mennonite – North America https://www.britanni[...] 2021-03-09
[113] 웹사이트 Mennonite Brethren Church http://gameo.org/ind[...] GAMEO 2016-10-11
[114] 웹사이트 Amish Population Profile, 2023 https://groups.etown[...] 2023-09-02
[115] 웹사이트 In this Issue July 2017 https://www.goshen.e[...] 2024-08-12
[116] 웹사이트 Church of Christ in Congo - Mennonite Community in Congo https://www.oikoumen[...] 2024-08-12
[117] 웹사이트 Mennonite Church USA: Who Are The Mennonites https://www.mennonit[...]
[118] 문서 2008 CLP church directory
[119] 웹사이트 Global map https://mwc-cmm.org/[...] Canada 2022-09-19
[120] 웹사이트 'Groups - Religious Profiles {{!}} US Religion' https://www.thearda.[...] 2024-12-17
[121] 문서 An Introduction to Old Order: and Conservative Mennonite Groups Intercourse, PA
[122]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Amish, Brethren, Hutterites and Mennonit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23] 웹사이트 About Mennonite Church Canada http://home.mennonit[...] 2016-10-11
[124] 뉴스 Los menonitas dejan México http://www.abc.es/20[...] 2013-02-19
[125] 웹사이트 'The Mennonite Old Colony Vision: ''Under siege in Mexico and the Canadian Connection''' http://www.hshs.mb.c[...] 2014-09-10
[126] 웹사이트 http://www.gameo.org[...]
[127] 웹사이트 Statistics https://www.mwc-cmm.[...] MWC-CMM.org 2016-09-21
[128] 웹사이트 Member Churches – Mennonite Church in Germany http://www.oikoumene[...] 2016-09-21
[129] 웹사이트 Mennoniten in Deutschland http://www.mennonite[...] Mennoniten.de 2012-11-06
[130] 웹사이트 Switzerland http://www.mwc-cmm.o[...] MWC-CMM.org 2016-09-21
[131] 웹사이트 France http://www.mwc-cmm.o[...] MWC-CMM.org 2016-09-21
[132] 웹사이트 Ukraine http://www.mwc-cmm.o[...] MWC-CMM.org 2016-09-21
[133] 웹사이트 United Kingdom http://www.mwc-cmm.o[...] MWC-CMM.org 2016-09-21
[134] 웹사이트 The Mennonite Trust http://www.menno.org[...] Menno.org 2016-09-21
[135] 서적 Mennonites and Media: Mentioned in it, Maligned by it, and Makers of It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5
[136] 웹사이트 Literature, North American Mennonite (1960s–2010s) https://gameo.org/in[...] Global Anabaptist Mennonite Encyclopedia Online 2018-11-26
[137] 서적 Making Believe: Questions About Mennonites and Art University of Manitoba Press 2020
[138] 웹사이트 The 19 Best Photobooks of 2014 https://www.motherjo[...] Mother Jones 2022-07-01
[139] 웹사이트 Motion Pictures and Amish, Hutterites, and Mennonites https://gameo.org/in[...] Global Anabaptist Mennonite Encyclopedia Online 2018-11-26
[140] Comedy Dyck's Slip Out https://www.imdb.com[...] 2021-02-21
[141] 웹사이트 The Groenings, the Simpsons and the Mennonites https://web.archive.[...] The Mennonites 2018-11-26
[142] 뉴스 Familiarity breeds good content http://www.canadianm[...] 2018-11-26
[143] 뉴스 Satire news site pokes fun at Mennonite quirks http://mennoworld.or[...] 2018-11-26
[144] 웹사이트 Church census shows 1.5 million members http://mennoweekly.o[...] 2007-10-13
[145] 웹사이트 Mennonite Disaster Service http://www.mds.menno[...] 2007-05-30
[146] 웹사이트 Mennonite Conciliation Service https://web.archive.[...] 2007-05-30
[147] 문서 第4講ラディカリズムの離反と教会形成の意識1996・05・27 http://www.imcj.org/[...]
[148] 문서 Smith p.139
[149] 문서 Smith p.360
[150] 웹사이트 A Minute Against Slavery, Addressed to Germantown Monthly Meeting, 1688 http://www.qhpress.o[...]
[151] 문서 Pannabacker p. 7
[152] 문서 Pannabacker p. 12
[153] 문서 Horsch, p. 16
[154] 문서 Gingerich p. 420
[155] 문서 Krahn, pp. 76-78
[156] 문서 Gingerich p. 452
[157] 웹사이트 2003 Mennonite & Brethren in Christ World Membership http://www.mwc-cmm.o[...] Mennonite World Conference 2008-05-13
[158] 뉴스 Ethiopian church strives to keep spiritual fires alive http://www.mennoweek[...] Mennonite Weekly Review 2004-10-12
[159] 간행물 Mennonite & Brethren in Christ World Directory 2003
[160] 웹사이트 United States and Worldwide Mennonite Membership Statistics http://www.mcusa-arc[...] Mennonite Church USA 2015-01-08
[161] 웹사이트 Mennonites in the United States http://www.mennoweek[...] Mennonite Weekly Review 2005-06-20
[162] 웹사이트 Mennonites in Canada https://archive.is/2[...] 2007-05-30
[163] 웹사이트 The Mennonite Old Colony Vision: Under siege in Mexico and the Canadian Connection https://web.archive.[...] 2007-05-30
[164] 웹사이트 Old Colony Mennonites http://www.gameo.org[...] Global Anabaptist Mennonite Encyclopedia Online 2007-09-27
[165] 웹사이트 Forced Education in Homosexuality and Evolution Leads to Exodus of Mennonites from Quebec https://web.archive.[...]
[166] 웹사이트 Townsfolk sad to see Mennonites move away https://web.archive.[...]
[167] 웹사이트 Faith-Based Education May Result in Loss of House and Home in Quebec - Christianity.ca https://web.archive.[...]
[168] 웹사이트 IRFN (Aug. 21-28): Austrian Politician Proposes Ban on Mosques, Minarets https://web.archive.[...]
[169] 웹사이트 Mennonites leaving Quebec after government closes school https://www.cbc.ca/n[...] 2007-08-16
[170] 문서
[171] 웹사이트 Confession of Faith in a Mennonite Perspective https://web.archive.[...] 2007-05-30
[172] 웹사이트 The Mennonite Churches and Homosexuality http://www.religious[...] Religious Tolerance.org
[173] 웹사이트 Mankes-Zernike, Anna (1887-1972) http://www.gameo.org[...] Global Anabaptist Mennonite Encyclopedia Online 2007-09-27
[174] 웹사이트 メノナイト方南町キリスト教会 http://homepage2.nif[...]
[175] 웹사이트 日本メノナイト・キリスト教会会議 http://kyokaikaigi60[...]
[176] 웹인용 1954년 당시 대구 컬러사진 120장 공개 '화제' http://www.imaeil.co[...] 2011-06-28
[177] 웹인용 50년대 대구 모습 슬라이드 제공 아담씨 인터뷰 http://www.imaeil.co[...] 2011-06-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