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이테쓰 하시마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이테쓰 하시마선은 총 1.3km의 노선 거리를 가진 일본의 철도 노선이다. 1982년 12월 11일에 개통되었으며, 기후현 하시마시에 위치한 에기라역과 신하시마역 2개의 역을 운행한다. 다케하나선과 직통 운행하며, 최고 속도는 70km/h이다. 신칸센 기후하시마역과 연결되어 있으며, 킨테츠의 기후 진출에 대항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2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조에쓰 신칸센
    조에쓰 신칸센은 JR 동일본이 운영하는 도쿄역과 니가타역을 잇는 고속철도 노선으로, 1982년 개통 이후 최고 속도 275km/h로 운행되며 "도키"와 "타니가와" 등의 열차를 통해 수도권과 니가타현을 연결하고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1982년 개통한 철도 노선 - 후쿠오카시 지하철 하코자키선
    후쿠오카시 지하철 하코자키선은 후쿠오카시 교통국이 운영하며 나카스카와바타역에서 가이즈카역까지 7개 역을 잇는 4.7km 노선으로, 후쿠오카시 지하철 1호선과 직결 운행하며 1982년 개통 이후 후쿠오카 도심과 동부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4000계 전동차가 운행되고 있다.
  • 기후현의 철도 - 도카이도 신칸센
    도카이도 신칸센은 도쿄역과 신오사카역을 연결하는 일본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1964년 도쿄 올림픽에 맞춰 개통되었으며, 현재 JR 도카이가 운영하고 최고 시속 285km로 운행하며 지속적인 기술 발전과 노선 개량을 통해 운행 시간을 단축해왔다.
  • 기후현의 철도 - 도카이도 본선
    도카이도 본선은 도쿄역과 고베역을 잇는 713.6km의 협궤 철도 노선으로, 1872년 일부 개통 후 1889년 전 구간 개통하여 일본의 주요 간선으로 성장했으며, 현재는 JR 동일본, JR 도카이, JR 서일본에 의해 지역 수송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 나고야 철도의 철도 노선 - 메이테쓰 나고야 본선
    메이테쓰 나고야 본선은 도요하시역과 메이테쓰 기후역을 잇는 나고야 철도의 주요 간선 노선으로, 아이치현과 기후현의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며 복선 및 일부 복복선 구간과 전철화된 전 구간에서 다양한 종별의 열차가 운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 나고야 철도의 철도 노선 - 메이테쓰 쓰시마선
    메이테쓰 쓰시마선은 아이치현에 있는 11.8km의 철도 노선으로, 스가구치역에서 나고야 본선과 연결되어 있으며, 복선 및 전철화되어 준급, 급행, 보통 열차가 운행된다.
메이테쓰 하시마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신하시마 역
신하시마 역
노선 명칭하시마 선
일본어 명칭羽島線 (はしません)
로마자 표기Hashima-sen
노선 종류통근 열차
노선 운영나고야 철도 (메이테쓰)
노선 색상신하시마 방면
노선 기점에기라 역
노선 종점신하시마 역
역 수2개 역
노선 길이1.3km
전철화직류 1,500V, 가공 전차선 방식
최고 속도70km/h
웹사이트竹鼻線・羽島線
지도
운행 정보
1일 승차량808명 (2008년)
노선도
메이테쓰 하시마 선 노선도
메이테쓰 하시마 선 노선도

2. 노선 정보

메이테쓰 하시마선은 국철의 재래선이나 사철이 운행하지 않던 도카이도 신칸센 기후하시마역으로 가는 노선으로 건설되었다. 다케하나선 에키라역에서 분기하는 형태로 건설되었으며, 종착역인 신하시마역기후하시마역과 인접해 있다. 하시마선은 에키라역에서 남쪽으로 나와 서쪽으로 크게 꺾어 남쪽에서 신하시마역으로 들어가는 선형을 가지고 있다. 이후 다케하나선 에키라역 이남 구간이 폐지되면서 분기가 없어지고, 다케하나선의 거의 모든 열차가 이 노선으로 직통 운행하게 되었다. 나고야 본선과 다케하나선을 경유하여 기후시의 메이테쓰 기후역과 신하시마역 사이를 직통하는 열차도 있다.

그러나 기후시 방면에서 신칸센을 이용할 때는 나고야역이 더 편리하다. 메이테쓰 기후역에서 신하시마역까지는 특급과 보통열차를 타고 가사마쓰역에서 환승해야 해서 약 30분이 걸리지만, JR 기후역에서 나고야역까지는 도카이도 본선 특별쾌속, 신쾌속, 쾌속 열차를 이용하면 약 20분이면 도착하고, 운행 횟수도 더 많다. 또한 나고야역은 1시간에 10대 정도의 모든 신칸센 열차가 정차하는 주요 역으로, 도쿄역이나 신오사카역 등 다른 주요 역으로 가장 빨리 갈 수 있는 노조미도 이용할 수 있지만, 기후하시마역에 정차하는 신칸센 열차는 1시간에 2대 정도이고, "노조미"는 통과한다. 따라서 하시마선은 신칸센 접근보다는 지역 주민들의 통근, 통학용으로 주로 이용된다.[1]

열차 운행 및 여객 안내에서는 신하시마역에서 에키라역으로 가는 열차가 하행, 반대 방향이 상행으로 되어 있다.[1]

2. 1. 노선 개요

항목내용
노선 거리 (영업 거리)1.3km
궤간1067mm
역 수2역 (기종점역 포함)
복선 구간없음 (전 구간 단선)
전철화 구간전 구간 전철화 (직류 1500V)
폐색 방식자동폐색식
최고 속도70km/h
보안 장치M식 ATS



메이테쓰 하시마선은 국철) 재래선·사철 등이 운행하지 않았던 도카이도 신칸센기후하시마역으로의 접근 노선으로, 다케하나선 에키라역에서 분기하는 형태로 건설되었다.[1] 종착역인 신하시마역기후하시마역에 인접해 있다.[1] 하시마선은 대체로 에키라역을 남쪽으로 나와 서쪽으로 크게 커브하여 남쪽에서 신하시마역에 도착하는 선형으로 되어 있다.[1] 이후, 다케하나선의 에키라역 이남 폐지로 인해 분기가 해소되어, 다케하나선의 거의 모든 열차가 이 노선으로 직통하게 되었다.[1] 나고야 본선·다케하나선 경유로 기후시의 메이테쓰 기후역과 신하시마역 사이를 직통하는 열차도 있다.[1]

하지만 기후시 방면에서 신칸센을 이용할 때는 나고야역이 비교적 편리하다.[1] 메이테쓰 기후역에서 신하시마역까지는 특급과 보통열차를 타고 가사마쓰역에서 환승하여 약 30분이 소요되지만, JR 기후역에서 나고야역까지는 도중에 오와리이치노미야역에만 정차하는 도카이도 본선 특별쾌속·신쾌속·쾌속 열차를 이용하면 약 20분이 소요되며, 운행 횟수도 비교적 많다.[1] 또한 나고야역은 1시간에 10대 전후의 신칸센 모든 열차가 정차하는 주요 역으로, 도쿄역이나 신오사카역 등 다른 주요 역에 최단 시간으로 도착하는 "노조미"도 이용할 수 있는 반면, 기후하시마역에 정차하는 신칸센 열차는 1시간에 2대 정도로, "노조미"는 통과한다.[1] 그렇기 때문에 하시마선은 신칸센으로의 접근보다는 지역의 통근 통학객 이용이 많다고 여겨진다.[1]

운임 계산 구분은 '''C''' (운임 계산에 사용하는 거리는 영업 킬로미터의 1.25배)이다.[1] 모든 역에서 manaca 등의 교통계 IC 카드 전국 상호 이용 서비스 대응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1]

한편, 『철도 요람』에 의한 기점은 에키라역이지만, 열차 운행 및 여객 안내, 열차 번호 설정에서는 신하시마역에서 에키라역으로 향하는 열차가 하행, 역방향이 상행으로 되어 있다.[1]

2. 2. 운임

운임 계산 구분은 '''C'''이다. (운임 계산에 사용하는 거리는 영업 킬로미터의 1.25배) 모든 역에서 manaca 등의 교통계 IC 카드 전국 상호 이용 서비스 대응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3]

새 노선이므로, 킬로미터로 산출된 운임에 30엔(어른 보통 운임)의 가산 운임이 추가된다.[3]

3. 역사

1962년에 계획된 하시마선은 토지 수용 문제로 난항을 겪어 1978년에야 공사가 시작되었고, 1982년에 개통되었다.[5][8] 원래 킨테츠의 기후 진출에 대항하기 위해 계획되었으며, 신칸센 기후하시마역기후시 시내를 연결하는 목적이었다.

킨테츠는 1961년 요로선을 기후까지 연장하는 계획을 발표했고, 메이테츠모노레일 구상과 함께 타케하나선 에기라역에서 기후하시마로 이어지는 '하시마 신선'을 계획하여 1963년에 면허를 취득했다. 킨테츠의 계획은 보류되었고, 기후시의 모노레일 계획도 1975년에 동결되면서 하시마 신선이 유일한 연결 노선이 되었다.

1964년 기후하시마역 개업에 맞춰 건설될 예정이었으나, 메이테츠의 용지 매수와 자치단체의 개발이 겹치면서 협상이 어려웠고, 메이테츠의 다른 노선 계획들로 인해 우선순위가 낮아져 건설이 지연되었다.[8] 결국 면허 취득 12년 후 착공하여 7년 만인 1982년 12월 11일에 개업했다.

3. 1. 건설 배경

신칸센 기후하시마역기후시 시내를 연결할 목적으로 건설된 하시마선이지만, 원래는 킨테츠의 하시마·기후 진출에 대항하기 위한 것이었다.

킨테츠는 요로선(당시)에서 기후로의 연장 계획을 응용한 오가키시와 기후하시마역을 잇는 신선을 1961년 (쇼와 36년)에 발표, 장래에는 기후 시내로의 연장을 시야에 넣고 있었다[5]。한편, 메이테츠는 기후 시내와 하시마(신칸센역)·오가키·요로를 잇는 모노레일을 구상하고 있었고, 킨테츠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계획의 구체화를 추진했다[6]。모노레일 구상에서는 나가라바시역에서 신기후, 우사로 이어지고, 우사에서 분기하여 하시마 및 오가키·요로로 뻗는 루트가 생각되었지만, 이와는 별도로 보통 철도로 연결하는 타케하나선 에기라역(당시 휴지)에서 기후하시마로 이어지는 루트가 '''하시마 신선'''으로 계획되어, 1963년 (쇼와 38년) 5월에 면허를 취득했다.

한편, 킨테츠의 계획은 하시마 신선의 인가로 인해 신청이 보류되었다[5]。모노레일 구상도 1970년대까지 요로 나가라선[7] 의 명칭으로 하시마 신선과 병존했지만 미완으로 끝났다. 또한, 기후시도 기후시 중심부 - 기후하시마역 사이에 도시 모노레일을 정비하는 계획을 세웠지만 (기후시 모노레일), 1975년 (쇼와 50년)에 계획 동결을 표명했다. 이렇게 기후하시마역과 기후 시내를 잇는 노선은 하시마 신선 하나로 압축되었다.

당초에는 1964년 (쇼와 39년)의 기후하시마역 개업에 맞춰 건설될 예정이었지만, 신역 개업에 따라 연선의 개발이 계획되었기 때문에, 메이테츠의 용지 매수와 자치단체의 개발(토지 구획 정리 사업)이 경합하여 협상이 난항을 겪었다. 또한, 메이테츠 자신도 토요타 신선, 치타 신선, 세토선 개량(사카에 진입)과 같은 계획을 동시 진행하고 있었고, 그것들에 비해 우선 순위가 낮았던 하시마 신선의 건설은 지연되는 일방이었다[8]。결과적으로, 하시마 신선은 면허 취득으로부터 12년 후에 착공, 건설에 7년의 세월을 들여, 1982년 (쇼와 57년) 12월 11일에 드디어 개업했다.

3. 2. 개통 과정

1962년에 계획되었으나, 토지 수용의 어려움으로 인해 1978년이 되어서야 공사가 시작되었고, 1982년에 노선이 개통되었다.[8] 신칸센 기후하시마역기후시 시내를 연결할 목적으로 건설된 하시마선이지만, 원래는 킨테츠의 하시마·기후 진출에 대항하기 위한 것이었다.

킨테츠는 요로선 (당시)에서 기후로의 연장 계획을 응용한 오가키시와 기후하시마역을 잇는 신선을 1961년에 발표, 장래에는 기후 시내로의 연장을 시야에 넣고 있었다.[5] 한편, 메이테츠는 기후 시내와 하시마(신칸센역)·오가키·요로를 잇는 모노레일을 구상하고 있었고, 킨테츠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계획의 구체화를 추진했다.[6] 모노레일 구상에서는 나가라바시역에서 신기후, 우사로 이어지고, 우사에서 분기하여 하시마 및 오가키·요로로 뻗는 루트가 생각되었지만, 이와는 별도로 보통 철도로 연결하는 타케하나선 에기라역 (당시 휴지)에서 기후하시마로 이어지는 루트가 '''하시마 신선'''으로 계획되어, 1963년 5월에 면허를 취득했다.

한편, 킨테츠의 계획은 하시마 신선의 인가로 인해 신청이 보류되었다.[5] 모노레일 구상도 1970년대까지 요로 나가라선[7] 의 명칭으로 하시마 신선과 병존했지만 미완으로 끝났다. 또한, 기후시도 기후시 중심부 - 기후하시마역 사이에 도시 모노레일을 정비하는 계획을 세웠지만 (기후시 모노레일), 1975년에 계획 동결을 표명했다. 이렇게 기후하시마역과 기후 시내를 잇는 노선은 하시마 신선 하나로 압축되었다.

당초에는 1964년의 기후하시마역 개업에 맞춰 건설될 예정이었지만, 신역 개업에 따라 연선의 개발이 계획되었기 때문에, 메이테츠의 용지 매수와 자치단체의 개발 (토지 구획 정리 사업)이 경합하여 협상이 난항을 겪었다. 또한, 메이테츠 자신도 토요타 신선, 치타 신선, 세토선 개량 (사카에 진입)과 같은 계획을 동시 진행하고 있었고, 그것들에 비해 우선순위가 낮았던 하시마 신선의 건설은 지연되었다.[8] 결과적으로, 하시마 신선은 면허 취득으로부터 12년 후에 착공, 건설에 7년의 세월을 들여, 1982년 12월 11일에 드디어 개업했다.

3. 3. 연혁

4. 운행 형태

메이테쓰 하시마선은 도카이도 신칸센 기후하시마역 연결을 위해 건설되었으며, 다케하나선 에키라역에서 분기한다. 현재는 다케하나선 에키라역 이남 구간이 폐지되어 대부분의 열차가 이 노선으로 직통한다. 나고야 본선과 다케하나선을 경유하여 기후시의 메이테쓰 기후역과 신하시마역 사이를 직통하는 열차도 운행한다.

나고야 본선 메이테쓰 기후역에는 하시마선 직통·연결 열차 전용 발차 표지가 있다.


하지만 기후시에서 신칸센을 이용할 때는 나고야역이 더 편리하다. 메이테쓰 기후역에서 신하시마역까지는 특급과 보통열차를 타고 가사마쓰역에서 환승해야 약 30분이 걸리지만, JR 기후역에서 나고야역까지는 도카이도 본선 특별쾌속·신쾌속·쾌속 열차를 이용하면 약 20분만에 도착하며, 운행 횟수도 더 많다. 나고야역은 모든 신칸센 열차가 정차하고 노조미도 이용할 수 있지만, 기후하시마역에는 1시간에 2대 정도의 신칸센만 정차하며 노조미는 통과한다. 따라서 하시마선은 신칸센 접근보다는 지역 통근, 통학용으로 주로 이용된다.

운임 계산 구분은 '''C'''이며 (운임 계산에 사용되는 거리는 영업 킬로미터의 1.25배), 모든 역에서 manaca 등의 교통계 IC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열차 운행 및 여객 안내, 열차 번호 설정에서는 신하시마역에서 에키라역으로 향하는 열차가 하행, 역방향이 상행이지만, 『철도 요람』에 의한 기점은 에키라역이다.

4. 1. 기본 운행

메이테쓰 하시마선은 도카이도 신칸센 기후하시마역으로 가는 노선으로 건설되었으며, 다케하나선 에키라 역에서 분기한다. 현재는 다케하나선 에키라 역 이남 구간이 폐지되어 대부분의 열차가 하시마선으로 직통 운행한다.[11][12][13]

나고야 본선 및 다케하나선을 경유하여 기후시의 메이테쓰 기후역과 신하시마 역 사이를 직통하는 열차도 운행한다. 그러나 기후시에서 신칸센을 이용할 때는 나고야역이 더 편리하다. 메이테쓰 기후역에서 신하시마역까지는 특급과 보통열차를 타고 가사마쓰 역에서 환승해야 하며 약 30분이 걸리지만, JR 기후역에서 나고야역까지는 도카이도 본선 특별쾌속, 신쾌속, 쾌속 열차를 이용하면 약 20분이면 도착하고 운행 횟수도 더 많다. 또한 나고야역은 모든 신칸센 열차가 정차하는 주요 역으로, 노조미도 이용할 수 있지만, 기후하시마역에는 1시간에 2대 정도의 신칸센만 정차하고 노조미는 통과한다. 따라서 하시마선은 신칸센 접근보다는 지역 주민들의 통근, 통학용으로 주로 이용된다.

모든 열차는 다케하나선과 직통하며, 가사마쓰역 - 신하시마 역 구간을 15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아침에는 나고야 본선 메이테쓰 기후역과 직통하는 열차가 있으며, 메이테쓰 기후역 - 가사마쓰 역 구간은 급행(무정차)으로, 다케하나선·하시마선 내에서는 보통 열차로 각 역에 정차한다. 일부 열차는 나고야 본선 내에서도 보통 열차로 운행된다. 2021년 10월 30일 시간표 개정 기준으로 나고야 본선 직통 열차는 메이테쓰 기후발 신하시마행이 평일 아침 3편, 주말 및 공휴일 아침 2편뿐이며, 신하시마발 열차는 모두 가사마쓰행이다.[11][12][13]

에키라 역과 신하시마 역은 모두 열차 교환 설비가 없는 무인역이며, 다케하나선의 하시마 시청 앞 역까지 1개의 열차만 들어갈 수 있는 폐색 구간이다. 신하시마 역에서는 야간 체박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밤 11시 30분경 도착하는 열차는 하시마 시청 앞 역까지 회송되고, 새벽 5시대 첫차는 메이테쓰 기후발 신하시마행 급행열차가 회차한다.

2001년 9월 30일까지는 아침, 저녁 등 일부 시간대에 신하시마발 하시마 시청 앞역행 단거리 급행열차가 운행되었으며(에키라 역 통과), 하시마 시청 앞 역 도착 후 회차하여 보통 오스행으로 운행되었다.

4. 2. 과거 운행

2001년 (헤세이 13년) 9월 30일까지 아침·저녁 등 일부 시간대에 신하지마발 하지마 시청 앞역행 단거리 급행이 운행되었다(도중의 에치라역은 통과). 이 열차는 하지마 시청 앞역에 도착한 후 회차하여 보통 오스행으로 운행되었다. 이는 오스발 신기후(현재의 메이테쓰 기후역)행이 운행되는 일부 시간대에, 그 후의 차량을 확보할 목적으로 운행된 것이다. 이 시간대에 신하지마역에서 신기후역으로 가려면 종착역인 하지마 시청 앞역에서 환승해야 했지만, 오스발 신기후행 열차가 하지마 시청 앞역을 출발한 직후에 도착하는 열차도 있어 편리성이 좋지 않았다.

4. 3. 노선 특징

에치라역을 나오면 바로 고가교로 올라가, 종착역인 신하지마역까지 고가 구간이므로, 건널목은 에치라역 부근에만 존재한다.[11]

5. 역 목록

메이테쓰 하시마선은 전 구간 단선으로, 보통 열차만 운행하며 모든 역에 정차한다. 모든 역에서 manaca 등의 교통계 IC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1]

원래 국철의 재래선이나 사철이 운행하지 않던 도카이도 신칸센 기후하시마역 접근을 위해 건설되었다.[1] 다케하나선 에기라역에서 분기하며, 신하시마역이 기후하시마 역에 인접해 있다.[1]

기후시에서 신칸센 이용 시 나고야역이 더 편리하다. 메이테쓰 기후역에서 신하시마 역까지는 특급과 보통열차를 타고 가사마쓰역에서 환승해야 하지만, JR 기후역에서 나고야 역까지는 도카이도 본선 특별쾌속, 신쾌속, 쾌속 열차를 이용하면 더 빠르다.[1] 나고야 역은 모든 신칸센 열차가 정차하고 노조미도 이용 가능하지만, 기후하시마 역에는 노조미가 통과한다.[1] 따라서 하시마선은 신칸센 접근보다는 지역 통근, 통학객 이용이 많다.[1]

5. 1. 역 정보


  • 전 구간 기후현 하시마시에 위치한다.
  • 보통 열차만 운행하며, 모든 열차가 양 역에 정차한다.
  • 전 구간 단선이며, 양 역 모두 열차 교환은 불가능하다.

참조

[1] 보고서 各鉄軌道会社のご案内 http://wwwtb.mlit.go[...] Japan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2010-12-19
[2] 문서 清水 2009, p.121
[3] 보도자료 鉄軌道旅客運賃・料金等の改定について https://www.meitetsu[...] 名古屋鉄道 2019-09-05
[4] 서적 名古屋鉄道 今昔―不死鳥「パノラマカー」の功績 交通新聞社 2017-08
[5] 문서 森口 2001, p.97
[6] 문서 中村 1995, p.267
[7] 학술지 名古屋鉄道の現勢 電気車研究会 1971-01
[8] 문서 中村 1995, p.268
[9] 문서 清水 2009, p.114
[10] 뉴스 トランパス15駅に導入/名鉄、14日から 交通新聞社 2007-12-07
[11] PDF 竹鼻線・羽島線 時刻表(平日下り) 2021年10月30日改正 https://www.meitetsu[...] 名古屋鉄道 2022-08-11
[12] PDF 竹鼻線・羽島線 時刻表(土・休日下り) 2021年10月30日改正 https://www.meitetsu[...] 名古屋鉄道 2022-08-11
[13] 웹사이트 新羽島(TH09)時刻表(竹鼻線・羽島線 笠松・名鉄岐阜方面方面) https://trainbus.mei[...] 名古屋鉄道 2022-08-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