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명량해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명량 해협은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예락리와 임하도 사이에 위치한 해협으로, 한국 고유어인 울돌목에서 유래되었으며, 좁은 목이라고도 불린다. 폭은 약 293m에서 300m이며, 조류가 매우 빠르다. 1271년 삼별초의 난 당시 피신처로, 1597년 임진왜란 중 이순신 장군이 명량 해전에서 승리한 장소로 역사적 중요성을 지닌다. 진도대교가 건설되어 해남군과 진도를 연결하며, 이순신 장군 기념관이 해안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해협 - 대한해협
    대한해협은 한반도 남부와 일본 규슈 사이에 위치하여 동중국해와 일본해를 잇는 국제 해협으로, 쓰시마섬을 경계로 서수로와 동수로로 나뉘며, 쓰시마 난류가 지나가는 풍부한 어장이자 해상 교통로로서 한일 간 교류와 갈등의 중심지이며, 명칭 문제와 영토 분쟁으로 외교적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해협 - 제주해협
    제주해협은 한반도와 제주도 사이의 해협으로, 따뜻한 쿠로시오 해류의 지류가 흐르며 역사적으로 한반도 전쟁사에서 중요한 요충지였다.
  • 남해 - 마산만
    마산만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에 있는 만으로, 봉암갯벌이 위치하며 수질 및 생태 환경 개선을 통해 도시와 자연의 공존 가능성을 보여주는 곳이다.
  • 남해 - 제주해협
    제주해협은 한반도와 제주도 사이의 해협으로, 따뜻한 쿠로시오 해류의 지류가 흐르며 역사적으로 한반도 전쟁사에서 중요한 요충지였다.
  • 해남군의 지리 - 두륜산
  • 해남군의 지리 - 해남 우항리 공룡·익룡·새발자국화석 산지
    해남 우항리 공룡·익룡·새발자국화석 산지는 중생대 백악기 후기에 형성된 퇴적층으로, 다양한 공룡, 익룡, 새 발자국 화석이 발견되는 세계적으로 희귀한 익룡과 새 발자국 화석이 동일 지층에서 발견되는 학술적 가치가 높은 세계 최대 규모의 익룡 발자국 화석 산지이다.
명량해협
개요
이름명량 해협
다른 이름울돌목 (소리 내어 우는 바다)
위치대한민국 전라남도 진도군과 해남군 사이
지리적 좌표34° 34′ 06″ N, 126° 18′ 28″ E
설명진도와 대한민국 본토 사이의 해협

2. 어원

울돌목은 한국 고유어 이름으로, 빠른 해류로 인해 발생하는 큰 소리를 의미한다. 이 이름을 한자로 표기하면 '명량'으로 읽을 수 있으며, 이 때문에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이름이 되었다.[2]

3. 지리

1984년 완공된 길이 484m, 너비 11.7m의 진도대교가 건설되어 진도와 해남군이 연결되었다. 2005년 12월 15일 제2진도대교가 개통되었고, 2008년부터 빠른 조류를 이용한 조류발전소 건설이 진행되고 있다.[5]

울돌목은 서해의 길목으로 폭은 294m이며, 물살이 세다. 1597년 정유재란이순신 장군은 울돌목으로 들어가는 입구인 임하도(林下島)에서 당시 항해로였던 좁은목을 막고 임하도의 지형과 물살을 이용해 배 13척으로 10배 이상의 적함 130여 척 이상을 크게 격파하였다.

명량 해협은 가장 좁은 곳의 너비가 약 293m이다.[1][2] 평균 너비는 약 300m이다.[2] 동쪽에서 서쪽으로 갈수록 넓어진다.[2] 만조 시 유속은 11.5 노트에 달하며, 수심은 19m에 이른다.[1]

조석력으로 인해 명량 해협의 조류는 대략 3시간마다 방향이 바뀐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긴 사장교진도대교[4] 이 해협 위에 건설된 최초의 다리이며, 1984년에 완공되었다.[2] 해안에는 이순신 장군의 기념관도 있다.

4. 역사

1984년 길이 484m, 너비 11.7m의 진도대교가 완공되어 진도와 해남군이 연결되었다. 2005년 12월 15일 제2진도대교가 개통되었고, 2008년부터 빠른 조류를 이용한 조류발전소 건설이 진행되고 있다.[5]

울돌목은 서해의 길목으로 폭은 294m로, 물살이 세다. 명량 해협은 가장 좁은 곳의 너비가 약 293m이고,[1][2] 평균 너비는 약 300m이다.[2] 동쪽에서 서쪽으로 갈수록 넓어지며,[2] 만조 시 유속은 11.5 노트, 수심은 19m에 이른다.[1] 조석력으로 인해 해협의 조류는 대략 3시간마다 방향이 바뀐다.

해안에는 이순신 장군의 기념관이 있고, 대한민국에서 가장 긴 사장교진도대교[4] 이 해협 위에 건설된 최초의 다리이다.

4. 1. 삼별초의 난

명량 해협은 1271년 삼별초의 난 당시 삼별초가 이곳에 피신할 수 있는 은신처를 제공하였다.

4. 2. 임진왜란과 명량 해전

1597년 정유재란이순신 장군은 울돌목으로 들어가는 입구인 임하도(林下島)에서 당시 항해로였던 좁은목을 막고 임하도의 지형과 물살을 이용해 배 13척으로 10배 이상의 적함 130여 척 이상을 크게 격파하였다.[5]

해협해전교량교량길이연결지소재지별칭
명량(鳴梁)해협명량 해전해남군 문내면 예락리 - 임하도전남좁은목



임진왜란이순신 제독은 일본 함대에 비해 압도적으로 불리한 상황에서도 명량 해전에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3][1]

5. 조류 발전

2008년부터 빠른 조류를 이용한 조류발전소 건설이 진행되고 있다.[5]

6. 주요 해전 배경

명량 해전해남군 문내면 예락리와 임하도 사이의 명량(鳴梁)해협에서 벌어진 해전이다.

해협해전소재지
명량해협명량 해전해남군 문내면 예락리 - 임하도


7. 기념 시설

1984년 길이 484m, 너비 11.7m의 진도대교가 완공되어 진도와 해남군이 연결되었다.[5] 2005년 12월 15일 제2진도대교가 개통되었고, 2008년부터는 빠른 조류를 이용한 조류발전소 건설이 진행되고 있다.[5] 해안에는 이순신 장군 기념관도 있다.

8. 기타

1984년에 완공된 길이 484m, 너비 11.7m의 진도대교가 건설되어 진도와 해남군이 연결되었다. 2005년 12월 15일에는 제2진도대교가 개통되었으며, 2008년부터 빠른 조류를 이용한 조류발전소 건설이 진행되고 있다.[5]

울돌목은 서해의 길목으로 폭이 294m이며, 물살이 세다. 1597년 정유재란이순신 장군은 울돌목 입구인 임하도(林下島)에서 당시 항해로였던 좁은목을 막고, 임하도의 지형과 물살을 이용하여 13척의 배로 130여 척 이상의 적함을 크게 격파하였다.

참조

[1] 간행물 명량 (鳴梁)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8-16
[2] 웹사이트 명량해협 - 디지털진도문화대전 https://www.grandcul[...] 2024-08-16
[3] 서적 The Sea in World History : Exploration, Travel, and Trade https://books.google[...] ABC-CLIO
[4] 서적 Diamond Mountains, Shining Seas: A Traveler's Guide to Korea JoongAng Daily
[5] 뉴스 전남 울돌목에 조류발전소 건설 http://www.dailian.c[...] 데일리안 2008-05-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