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명온공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명온공주는 조선 순조와 순원왕후의 둘째 딸이자 장녀로, 1810년에 태어났다. 1817년에 공주로 봉해졌으며, 1823년 김현근과 혼인하여 동녕위가 되었다. 두 번의 유산 후 남편의 친족 아들을 입양하였으나, 1832년 오랜 투병 생활 끝에 23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순조의 자녀 - 영온옹주
    영온옹주는 조선 순조와 숙의 박씨의 외동딸이자 효명세자의 이복 여동생으로, 11세에 옹주로 책봉되었으나 병약하여 13세에 요절하였으며 효명세자의 깊은 슬픔을 자아냈다.
  • 조선 순조의 자녀 - 문조 (조선)
    문조는 조선의 추존 국왕이자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로, 순조의 맏아들로서 효명세자에 책봉되어 대리청정을 맡아 국정을 바로잡으려 노력했으며, 문학과 예술에 능해 왕실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하여 사후 익종으로 추존되고 고종 때 문조 익황제로 다시 추존되었다.
  • 조선 순조 - 영온옹주
    영온옹주는 조선 순조와 숙의 박씨의 외동딸이자 효명세자의 이복 여동생으로, 11세에 옹주로 책봉되었으나 병약하여 13세에 요절하였으며 효명세자의 깊은 슬픔을 자아냈다.
  • 조선 순조 - 심환지
    심환지는 조선 후기 문신으로, 정조와 순조 시대에 걸쳐 요직을 역임하며 정치적 격변기에 중요한 역할을 했고, 정조와의 비밀스러운 소통이 드러나 기존 평가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한 인물이다.
  • 1832년 사망 - 제러미 벤담
    영국의 법철학자이자 사회개혁가인 제러미 벤담은 공리주의 철학의 창시자로, 법 개혁과 사회 개혁에 헌신하며 공리주의를 체계화하고 판옵티콘 감옥 모델을 제안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1832년 사망 - 월터 스콧
    월터 스콧은 스코틀랜드의 시인이자 소설가로, 소아마비 장애를 극복하고 스코틀랜드 민속과 전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역사 소설 장르를 개척하여 19세기 문학계와 스코틀랜드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말년에 재정적 파탄과 아내의 죽음을 겪었다.
명온공주
기본 정보
이름명온공주
한자 표기明溫公主
작위순조의 공주
배우자동녕위(東寧尉) 김현근(金賢根)
아버지순조
어머니순원왕후 김씨
출생일1810년 10월 13일 (음력)
사망일1832년 6월 13일 (음력, 21-22세)
묘소 위치경기도 구리시 교문동 산 84-2
가문전주 이씨 (출생 시)
안동 김씨 (혼인 시)
혼인 정보
배우자김현근, 동녕위 (1823년 결혼 – 1832년)
자녀이름 미상 자녀
이름 미상 자녀
김병삼, 양자

2. 생애

1810년(순조 10년) 순조안동 김씨의 둘째이자 장녀로 태어났다. 1817년(순조 17년) 5월 11일, 8세의 나이로 '''명온공주'''(明溫公主)라는 봉호를 받았다.[1]

1823년(순조 23년) 5월 10일, 공주의 부군을 선택하기 위한 간택이 전국적으로 열렸다. 12세에서 15세 사이의 소년들만 참여할 수 있었다.[2] 최종 승자는 안동 김씨 출신 김한순의 아들 김현근이었으며, 김현근은 ''동녕위''(東寧尉)라는 작위를 받았다.[3] 같은 해 7월 20일, 명온공주와 김현근의 가례가 열렸다.

명온공주는 두 번 임신했지만 모두 유산하였다. 이후 남편의 친족 아들을 입양했다. 1832년(순조 32년), 오랜 투병 생활 끝에 23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2. 1. 가계 및 가족 관계

명온공주한국어는 1810년(순조 10년) 음력 10월 13일[6] 순조와 순원왕후의 장녀로 태어났다. 은 이, 본관전주이다[7]. 문조(효명세자)의 친동생이며, 복온공주덕온공주의 친언니이다.

순원왕후안동 김씨 출신으로, 김조순의 딸이다. 순원왕후는 자신의 집안이 풍양 조씨 가문과 함께 조선 말기 세도 정치의 절정기를 이끌어 나가게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왕비이기도 하다[8].

관계이름
아버지순조(1790 ~ 1834)
어머니순원왕후(1789 ~ 1857)
조부정조(1752 ~ 1800)
조모효의왕후(1753~1821)
생조모수빈 박씨(1770 ~ 1822)
외조부김조순(1765 ~ 1832)
외조모청양부부인 청송 심씨(1766 ~ 1828)
오빠익종(1809 ~ 1830)
이복동생영온옹주 (1817~1829)
여동생복온공주(1818 ~ 1832)
여동생덕온공주(1822 ~ 1844)
시조부김이양(1755∼1845)
시아버지김한순(생몰년 미상)
시어머니평산 신씨
남편동녕위 김현근(1810 ~ 1868)
자녀없음[20]
양자김병찬


2. 2. 공주 시절

1810년(순조 10년) 순조순원왕후의 둘째이자 장녀로 태어났다. 1817년(순조 17년) 음력 5월 11일, 8세의 나이로 정식 공주에 봉해져 '''명온공주'''(明溫公主)가 되었다[9].

1823년(순조 23년) 음력 5월 10일, 명온공주의 부마를 간택하기 위해 전국의 12세부터 15세까지의 남자들에게 금혼령이 내려졌다[10]. 같은 해 음력 6월 2일, 진사를 지낸 안동 김씨 김한순의 아들이자 명온공주와 동갑내기인 김현근이 부마로 정해지고 동녕위(東寧尉)에 봉해졌다[11][12]. 같은 해 음력 7월 20일, 명온공주와 김현근의 가례가 열렸다[13].

1824년(순조 24년) 음력 9월 8일, 명온공주가 궁궐 바깥에 새로운 살림을 꾸리게 되자 효명세자가 공주의 집에 다녀갔다[14]. 1826년(순조 26년) 음력 3월 28일에는 대신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순조와 효명세자가 함께 직접 공주의 집에 행차하였다[15].

2. 3. 사망

1830년(순조 30년) 음력 5월 6일 오빠 효명세자가 사망하고[16], 1832년(순조 32년) 음력 5월 12일에는 바로 아랫동생인 복온공주가 혼인 2년 만에 15세의 어린 나이로 사망하였다[17]. 그리고 불과 한 달 뒤인 음력 6월 13일, 명온공주도 오랜 투병 생활 끝에 23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당시 순조는 장례를 복온공주의 예에 맞춰 진행하도록 하고, 직접 명온공주의 집에 행차하였다[18].

한편 명온공주의 남편인 김현근은 1868년(고종 5년) 음력 8월 26일에 사망하였다. 김현근에게는 사후 영의정이 추증되었다[19].

3. 가족 관계

구분관계성명출생-사망
조부모조부정조1752년 ~ 1800년
생조모수빈 박씨1770년 ~ 1822년
조모효의왕후 김씨1753년 ~ 1821년
외조부모외조부김조순1765년 ~ 1832년
외조모청양부부인 청송 심씨1766년 ~ 1828년
부모아버지순조1790년 ~ 1834년
어머니순원왕후 김씨1789년 ~ 1857년
형제자매오빠익종1809년 ~ 1830년
이복동생영온옹주1817년 ~ 1829년
여동생복온공주1818년 ~ 1832년
여동생덕온공주1822년 ~ 1844년
시부모시조부김이양1755년 ~ 1845년
시아버지김한순생몰년 미상
시어머니평산 신씨생몰년 미상
배우자남편김현근1810년 ~ 1868년
자녀양자김병찬생몰년 미상
친자없음[20]


4. 대중문화

2016년 KBS 2TV 드라마 《구르미 그린 달빛》에서 정혜성이 연기했다.[4][5]

참조

[1]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021-05-07
[2]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021-05-07
[3]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021-05-07
[4] 문서
[5] 웹사이트 "'구르미그린달빛' 정혜성, 뚱녀 명은공주 특수 분장...변신시간만 총 4시간30분" https://www.hankyung[...] 2016-08-25
[6] 승정원일기 승정원일기》순조 10년 10월 13일 (갑오) 원본1989책/탈초본104책 (17/18) http://sjw.history.g[...]
[7]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명온공주〉 https://web.archive.[...] 2012-07-31
[8]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순원왕후〉 https://web.archive.[...] 2012-07-31
[9]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순조 20권, 17년(1817 정축 / 청 가경 22년) 5월 11일(갑인) 1번째기사 1817-05-11
[10]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순조 26권, 23년(1823 계미 / 청 도광 3년) 5월 10일(무인) 1번째기사 1823-05-10
[11]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순조 26권, 23년(1823 계미 / 청 도광 3년) 6월 2일(기해) 1번째기사 1823-06-02
[12]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김현근〉 http://people.aks.ac[...]
[13]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순조 26권, 23년(1823 계미 / 청 도광 3년) 7월 20일(병술) 2번째기사 1823-07-20
[14]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순조 27권, 24년(1824 갑신 / 청 도광 4년) 9월 8일(정유) 1번째기사 1824-09-08
[15]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순조 28권, 26년(1826 병술 / 청 도광 6년) 3월 28일(기유) 2번째기사 1826-03-28
[16]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순조 31권, 30년(1830 경인 / 청 도광 10년) 5월 6일(임술) 3번째기사 1830-05-06
[17]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순조 32권, 32년(1832 임진 / 청 도광 12년) 5월 12일(무오) 1번째기사 1832-05-12
[18]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순조 32권, 32년(1832 임진 / 청 도광 12년) 5월 12일(무오) 1번째기사 1832-05-12
[19]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고종 5권, 5년(1868 무진 / 청 동치 7년) 8월 26일(경오) 3번째기사 1868-08-26
[20]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