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복온공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복온공주는 조선 순조와 순원왕후의 둘째 딸로, 1818년에 태어나 1832년에 사망한 인물이다. 7세에 복온공주로 봉해졌으며, 11세에 김병주와 혼인하여 창녕위가 되었다. 결혼 2년 만에 사망하여 소생은 없었으며, 남편과 합장되어 묘는 공주릉으로 불린다. 복온공주와 남편의 재산은 서울특별시 문화재로 지정되었고, 그녀가 시집갈 때 가져간 삼해주 제조법은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순조의 자녀 - 영온옹주
    영온옹주는 조선 순조와 숙의 박씨의 외동딸이자 효명세자의 이복 여동생으로, 11세에 옹주로 책봉되었으나 병약하여 13세에 요절하였으며 효명세자의 깊은 슬픔을 자아냈다.
  • 조선 순조의 자녀 - 문조 (조선)
    문조는 조선의 추존 국왕이자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로, 순조의 맏아들로서 효명세자에 책봉되어 대리청정을 맡아 국정을 바로잡으려 노력했으며, 문학과 예술에 능해 왕실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하여 사후 익종으로 추존되고 고종 때 문조 익황제로 다시 추존되었다.
  • 조선 순조 - 영온옹주
    영온옹주는 조선 순조와 숙의 박씨의 외동딸이자 효명세자의 이복 여동생으로, 11세에 옹주로 책봉되었으나 병약하여 13세에 요절하였으며 효명세자의 깊은 슬픔을 자아냈다.
  • 조선 순조 - 심환지
    심환지는 조선 후기 문신으로, 정조와 순조 시대에 걸쳐 요직을 역임하며 정치적 격변기에 중요한 역할을 했고, 정조와의 비밀스러운 소통이 드러나 기존 평가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한 인물이다.
  • 1832년 사망 - 제러미 벤담
    영국의 법철학자이자 사회개혁가인 제러미 벤담은 공리주의 철학의 창시자로, 법 개혁과 사회 개혁에 헌신하며 공리주의를 체계화하고 판옵티콘 감옥 모델을 제안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1832년 사망 - 월터 스콧
    월터 스콧은 스코틀랜드의 시인이자 소설가로, 소아마비 장애를 극복하고 스코틀랜드 민속과 전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역사 소설 장르를 개척하여 19세기 문학계와 스코틀랜드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말년에 재정적 파탄과 아내의 죽음을 겪었다.
복온공주
기본 정보
한글복온공주
한자福溫公主
신상 정보
아버지순조
어머니순원왕후 김씨
배우자창녕위 (昌寧尉) 김병주(金炳疇)
출생일1818년 10월 26일 (음력)
출생 장소경희궁, 한성, 조선
현재의 서울특별시
사망일1832년 5월 12일 (향년 13세) (음력)
사망 장소조선
묻힌 곳알 수 없음
본관전주 이씨 (출생 시)
종교알 수 없음

2. 생애

복온공주는 1818년(순조 18년) 순조와 순원왕후 사이에서 태어났다. 1824년(순조 24년) 7세의 나이로 복온공주(福溫公主)에 봉해졌다.[1][2] 1830년(순조 30년) 13세에 안동 김씨 김병주(金炳疇)와 혼인하였고[7], 김병주는 창녕위(昌寧尉)에 봉해졌다.[8] 그러나 혼인 2년 만인 1832년(순조 32년) 15세의 나이로 요절하였다.[9] 남편 김병주는 1853년(철종 4년) 사망하여[16] 공주의 묘에 합장되었다.[11] 공주 부부의 재사였던 서울 번동 창녕위궁재사는 2002년 서울특별시의 등록문화재 제40호로 지정되었다.[12]

2. 1. 가계 및 가족 관계

복온공주는 1818년(순조 18년) 11월 24일(음력 10월 26일)[3] 조선의 제23대 순조와 순원왕후 김씨의 둘째 딸로 태어났다. 은 이(李), 본관전주이다[4]. 문조(효명세자)와 명온공주의 친동생이며, 덕온공주의 친언니이다. 어머니 순원왕후는 안동 김씨 가문 출신으로, 김조순의 딸이며, 조선 말기 세도 정치 시기 안동 김씨 세력의 중심 인물 중 한 명이었다[5].

'''복온공주 가계'''
구분이름생몰년비고
친가조부모조부정조(正祖)1752 ~ 1800조선 제22대 국왕
조모효의왕후 김씨(孝懿王后 金氏)1753 ~ 1821정조의 정비, 청풍 김씨
생조모수빈 박씨(綏嬪 朴氏)1770 ~ 1822정조의 후궁, 반남 박씨
아버지순조(純祖)1790 ~ 1834조선 제23대 국왕
외가외조부김조순(金祖淳)1765 ~ 1832안동 김씨 세도정치의 중심 인물
외조모청양부부인(靑陽府夫人) 심씨(靑松 沈氏)1766 ~ 1828
어머니순원왕후 김씨(純元王后 金氏)1789 ~ 1857순조의 정비, 안동 김씨
본인복온공주(福溫公主) 이씨(李氏)1818 ~ 1832
형제자매오빠문조(翼宗)1809 ~ 1830효명세자, 헌종의 아버지
언니명온공주(明溫公主)1810 ~ 1832
이복언니영온옹주(永溫翁主)1817 ~ 1829숙의 박씨 소생
여동생덕온공주(德溫公主)1822 ~ 1844
시가 및 자녀배우자시아버지김연근(金淵根)생몰년 미상안동 김씨
남편창녕위(昌寧尉) 김병주(金炳疇)1819 ~ 1853
자녀양자김도균(金道均)1832 ~ 1909생부: 김병교(金炳喬, 1797~1869)
양며느리영일 정씨(延日 鄭氏)1831 ~ 1916정해상(鄭海尙, 1811~1873)의 딸
양손자김석진(金奭鎭)1843 ~ 1910생부: 김낙균(金洛均, 1823~?)


2. 2. 공주 시절 및 혼인

복온공주는 1818년 10월 26일 순조와 순원왕후 김씨의 둘째 딸로 태어났다. 7살 때인 1824년 11월 10일(순조 24년 음력 9월 20일) 정식으로 공주에 책봉되어 '''복온공주'''(福溫公主)라고 하였다[6][1][2].

13살 때인 1830년 4월 20일(순조 30년 음력 3월 28일), 삼간택을 거쳐 부사과를 지낸 안동 김씨 김연근의 아들 김병주와의 혼인이 결정되었다[7]. 김병주는 창녕위에 봉해졌으며[7], 같은 해 5월 20일(음력 4월 28일) 정식으로 혼인하였다[8].

그러나 공주는 혼인한 지 2년 만인 1832년 6월 10일(순조 32년 음력 5월 12일) 15세의 나이로 요절하였다[9]. 일찍 사망하여 소생은 없었다[10]. 순조는 현종의 딸 명안공주의 장례 예법에 따라 장례를 치르도록 명하고, 장례 절차에 소홀함이 없도록 지시했다. 또한 성복하는 날에는 직접 공주의 집에 행차하여 슬픔을 표했다[9].

복온공주의 묘는 현재 서울특별시 강북구 번동에 있으며, 훗날 남편 김병주(1853년 3월 28일 사망[16])와 합장되었다. 당시 이 지역 주민들은 공주의 무덤이 있다 하여 이곳을 "공주릉"이라고 불렀다고 전해진다[11]. 현재 번동에는 복온공주와 김병주의 재사였던 서울 번동 창녕위궁재사가 남아 있으며, 이 건물은 2002년 9월 13일 서울특별시의 등록문화재 제40호로 지정되었다[12].

2. 3. 요절

혼인 2년 만인 1832년 6월 10일(순조 32년 음력 5월 12일) 15세의 어린 나이로 요절했다.[9] 순조는 딸의 죽음을 슬퍼하며 현종의 딸 명안공주의 장례 절차에 맞춰 장례를 치르도록 명하고, 조정 관원들에게 장례에 소홀함이 없도록 당부했다. 또한 직접 공주의 집에 가서 성복(成服, 상복을 입는 절차)에 참여했다.[9] 복온공주는 일찍 사망하여 자녀를 두지 못했다.[10] 남편 김병주는 가문을 잇기 위해 친족 남자아이를 양자로 들였다.

복온공주의 묘는 현재 서울특별시 강북구 번동에 마련되었으며, 훗날 남편 김병주와 합장되었다. 당시 이 지역 사람들은 공주의 무덤이 있어 이곳을 "공주릉"이라고 불렀다고 전해진다.[11] 현재 번동에는 복온공주와 김병주의 재사인 서울 번동 창녕위궁재사가 남아 있으며, 이 건물은 2002년 9월 13일 서울특별시 등록문화재 제40호로 지정되었다.[12]

복온공주가 사망한 지 불과 한 달 뒤인 1832년 7월 10일(순조 32년 음력 6월 13일)에는 공주의 친언니인 명온공주마저 세상을 떠났다.[13] 이로써 순조의 자녀는 셋째 딸인 덕온공주를 제외하고 모두 부왕보다 일찍 사망한 것이다. 그리고 유일하게 순조보다 오래 산 덕온공주도 1844년(헌종 10년) 23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했다.[14][15]

한편, 복온공주의 남편 김병주는 1853년 3월 28일(철종 4년 음력 2월 19일) 34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16]

3. 사후

복온공주는 결혼 후 2년 만인 1832년 5월 12일에 사망했다. 그녀가 죽은 후, 남편 김병주는 가문을 잇기 위해 친족 남자아이를 양자로 들였다.

남편 김병주는 1853년 3월 28일 34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이후 복온공주의 묘소에 합장되었다. 이 묘는 '공주릉' 또는 '''"공주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복온공주와 그녀의 남편 소유였던 서울 번동의 재산은 2002년 9월 13일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제40호로 지정되었다.

4. 기타


  • 복온공주가 안동 김씨 집안으로 시집을 갈 때 고려 시대부터 내려오던 궁중술의 한 종류인 삼해주의 제조법을 가지고 갔다. 이후 안동 김씨 집안에서 대대로 삼해주 제조법을 계승하게 되었다. 삼해주는 1993년 2월 13일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었다.[17]
  • 복온공주가 혼례 때 입었던 활옷이 현재까지 남아있다.[18]
  • 복온공주와 그녀의 남편 창녕위 김병주가 소유했던 서울 번동의 재산은 2002년 9월 13일 서울특별시 문화재 제40호로 지정되었다.

참조

[1] 문서 Korean calendar
[2]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021-05-07
[3] 문서 승정원일기 http://sjw.history.g[...] 순조 18년 10월 26일 (신묘) 원본2105책/탈초본109책 (15/23)
[4]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복온공주〉 http://people.aks.ac[...] 2012-07-31
[5]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순원왕후〉 http://people.aks.ac[...] 2012-07-31
[6] 문서 조선왕조실록 순조 27권, 24년(1824 갑신 / 청 도광 4년) 9월 20일(기유) 1번째기사
[7] 문서 조선왕조실록 순조 31권, 30년(1830 경인 / 청 도광 10년) 3월 28일(병진) 1번째기사
[8] 문서 조선왕조실록 순조 31권, 30년(1830 경인 / 청 도광 10년) 4월 28일(병술) 1번째기사
[9] 문서 조선왕조실록 순조 32권, 32년(1832 임진 / 청 도광 12년) 5월 12일(무오) 1번째기사
[10] 문서 조선왕조실록 순조 대왕 묘지문
[11] 네이버 지식백과 공주릉 https://terms.naver.[...]
[12] 두산백과 서울 번동 창녕위궁재사 https://terms.naver.[...]
[13] 문서 조선왕조실록 순조 32권, 32년(1832 임진 / 청 도광 12년) 6월 13일(무자) 1번째기사
[14] 서울문화재 덕온공주의복 http://sca.seoul.go.[...]
[15] 문서 조선왕조실록 순조 대왕 묘지문
[16] 문서 조선왕조실록 철종 5권, 4년(1853 계축 / 청 함풍 3년) 2월 19일(갑오) 2번째기사
[17] 문화재청 삼해주 http://www.cha.go.kr[...]
[18] 뉴스 조선 공주님은 무슨 옷을 입었을까 ? http://view.asiae.co[...] 아시아경제 2012-07-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