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니미아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니미아과는 녹나무목에 속하는 식물 과로, 3개의 아과, 25개의 속, 약 200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과는 1809년 앙투안 로랑 드 쥐시외에 의해 처음 설립되었으며, 1990년대까지 넓은 범위로 정의되었으나, 현재는 Monimioideae, Hortonioideae, Mollinedioideae의 세 아과를 포함한다. 분자 계통 발생 연구를 통해 속의 분류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니미아과 - 볼도
칠레 중부 경엽수림에서 자생하는 볼도는 캠퍼 향이 나는 쓴맛의 잎이 요리에 사용되고 열매는 맛과 영양이 풍부하지만, 독성 물질인 아스카리돌을 함유하고 있어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 모니미아과 - 호르토니아속
호르토니아속은 호르투니아과에 속하며, APG II 분류 체계에서는 모니미아과의 이명으로 처리되며, H. angustifolia, H. floribunda, H. ovalifolia 등이 속하는 식물 속이다. - 1809년 기재된 식물 - 물푸레나무과
물푸레나무과는 꿀풀목에 속하는 쌍떡잎식물 과로, 올리브, 물푸레나무, 개나리, 라일락, 재스민 등 다양한 속과 600~900종을 포함하며 목본 식물이 대부분이고 잎은 마주나는 형태를 가지며, 경제적 중요성과 관상용 가치를 지니지만 분류학적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1809년 기재된 식물 - 원지과
원지과는 좌우대칭형 꽃, 5장의 꽃받침과 꽃잎, 8개 내외의 수술을 가지며, 종자에 부속체가 있어 개미가 종자를 운반하는 콩목에 속하는 식물 과이다. - 식물의 과 - 박과
박과는 주로 덩굴성 한해살이 식물로, 잎은 어긋나고 꽃은 단성화이며, 오이, 수박, 호박, 멜론 등 채소 및 과일로 재배되거나 약재로 사용되는 페포 열매를 맺는 식물군이다. - 식물의 과 - 나한송과
나한송과는 19개 속으로 분류되며, 잎 모양이 다양하고 암수딴그루인 경우가 많으며, 남반구에 주로 분포하고 목재나 정원수로 이용되기도 한다.
모니미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과 정보 | |
![]() | |
학명 | Monimiaceae |
명명자 | Juss. |
화석 범위 | 상토눔절 - 현재 |
하위 분류 | |
속 | Austromatthaea (L.B.Sm.) Decarydendron (Danguy) Ephippiandra (Decne.) (incl. Hedycaryopsis) Grazielanthus (Peixoto & Per.-Moura) Hedycarya (J.R.Forst. & G.Forst.) (incl. Carnegieodoxa) Hemmantia (Whiffin) Hennecartia (J.Poiss.) Hortonia (Wight ex Arn.) Kairoa (Phillipson) (incl. Faika) Kibara (Endl.) Kibaropsis (Vieill. ex Jérémie) Laureliopsis (Schodde) Lauterbachia (Perkins) Levieria (Becc.) Macropeplus (Perkins) Macrotorus (Perkins) Matthaea (Blume) Mollinedia (Ruiz & Pav.) Monimia (Thouars) Palmeria (F.Muell.) Parakibara (Phillipson) Pendressia (Whiffin) (incl. Endressia, nom. illeg.) Peumus (Molina) Steganthera (Perkins) (incl. Anthobembix, Tetrasynandra) Tambourissa (Sonn.) (incl. Phanerogonocarpus, Schrameckia) Wilkiea (F.Muell.) Xymalos (Baill.) (incl. Paxiodendron) |
2. 하위 분류
3. 계통 분류
APG IV 분류 체계(2016년)에서는 모니미아과를 목련군 녹나무목 아래에 분류하며,[38] 이는 2009년 APG III 분류 체계, 2003년 APG II 분류 체계 및 1998년 APG 분류 체계의 분류와 동일하다.[39][40][41]
모니미아과는 1809년 쥐시에 의해 처음 설정된 이후, 1993년 필립슨에 의해 단일 분류군으로 정리되기 전까지, 일반적으로 녹나무목 내에서 세 개의 뚜렷한 그룹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이 세 그룹은 APG III 분류 체계에서 시파루나과(Siparunaceae), 아테로스페르마과(Atherospermataceae), 그리고 좁은 의미의 모니미아과(Monimiaceae ''sensu stricto'')로 인식된다. 암보렐라(''Amborella'')와 트리메니아(Trimenia)의 포함 여부는 항상 의심스러웠으며, 많은 학자들에 의해 거부되었다. 필립슨이 이 과에 대한 논문을 쓸 당시에는 모니미아과에서 이들을 제외하는 것이 확고하게 자리 잡았다.
1993년 마크 W. 체이스와 여러 공동 저자의 획기적인 논문을 시작으로,[33] 계통분류학적 DNA 염기 서열 분석은 피자식물의 계통 발생에 큰 기여를 했다.[34][35] 1990년대 말까지, 전통적인 모니미아과의 분류가 단일 종을 포함하는 고모르테가과(Gomortegaceae)에 대해 측계통군을 이루며, 아마도 다계통군일 수도 있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왜냐하면 모니미아과의 주요 부분이 헤르난디아과(Hernandiaceae)와 녹나무과(Lauraceae)와 함께 하나의 분지군을 형성했기 때문이다.[31]
헤르난디아과, 모니미아과, 그리고 녹나무과 중에서 어떤 두 과가 서로 자매군 관계에 있는지에 대한 문제는 답변하기가 놀랍도록 어려웠다.[4] 여러 연구에서 서로 다른 결과를 제시했지만, 강력한 통계적 지지를 얻은 것은 없었다.[30][32] 이는 헤르난디아과와 녹나무과가 모니미아과보다 서로 식물 형태학적으로 훨씬 더 가깝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놀라운 일이다.
3. 1. 속 (Genera)
- 아과 Monimioideae
- ** 속 ''모니미아'' (Thouars, 1804) – 3종; 모리셔스와 레위니옹.
- ** 속 ''Palmeria'' (F.J.H. von Mueller, 1864) – 14종; 뉴기니에서 술라웨시와 동부 오스트레일리아까지.
- ** 속 ''페우무스'' (Molina, 1782) – 1종; 남부 칠레.
- 아과 Hortonioideae
- ** 속 ''Hortonia'' (Wight ex Arnott, 1838) – 2종; 스리랑카.
- 아과 Mollinedioideae
- * 족 Hedycaryeae
- ** 속 ''Decarydendron'' (Danguy, 1928) – 3종; 마다가스카르.
- ** 속 ''Ephippiandra'' (Decaisne, 1858) (동의어: ''Hedycaryopsis'') – 6종; 마다가스카르.
- ** 속 ''Hedycarya'' (J & G. Forster, 1776) (동의어: ''Carnegieodoxa'') – 11종; 대부분 뉴칼레도니아,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에서 피지까지.
- ** 속 ''Kibaropsis'' (Vieillard ex Jérémie, 1977) – 1종; 뉴칼레도니아.
- ** 속 ''Levieria'' (Beccari, 1877) – 7종; 퀸즐랜드, 뉴기니에서 술라웨시까지.
- ** 속 ''Tambourissa'' (Sonnerat, 1782) (동의어: ''Phanerogamocarpus'', ''Schrameckia'') – 대략 50종; 마다가스카르와 마스카린 제도.
- * 족 Mollinedieae
- ** 속 ''Austromatthaea'' (L.S. Smith, 1969) – 1종; 퀸즐랜드.
- ** 속 ''Grazielanthus'' (아리안 루나 페이쇼토 & 마리아 베로니카 레이테 페레이라-모라, 2008) – 1종; 브라질 남동부.
- ** 속 ''Hemmantia'' (트레버 폴 휘핀, 2007) – 1종; 퀸즐랜드.
- ** 속 ''Hennecartia'' (Poisson, 1885) – 1종; 파라과이, 브라질 남부, 아르헨티나 북동부.
- ** 속 ''Kairoa'' (Philipson, 1980) (동의어: ''Faika'') – 4종; 뉴기니.
- ** 속 ''Kibara'' (Endlicher, 1837) – 43종; 대부분 뉴기니, 니코바르 제도와 태국에서 필리핀과 퀸즐랜드까지 분포.
- ** 속 ''Lauterbachia'' (퍼킨스, 1900) – 1종; 파푸아뉴기니.
- ** 속 ''Macropeplus'' (퍼킨스, 1898) – 1종; 브라질.
- ** 속 ''Macrotorus'' (퍼킨스, 1898) – 1종; 브라질.
- ** 속 ''Matthaea'' (Blume, 1856) – 5종; 필리핀, 탈라우드 제도, 말레이시아, 그리고 수마트라.
- ** 속 ''Mollinedia'' (Ruiz & Pavon, 1794) – 20~90종; 중앙 및 남아메리카
- ** 속 ''Parakibara'' (필립슨, 1985) – 1종; 할마헤라.
- ** 속 ''Pendressia'' (트레버 폴 휘핀, 2018) – 1종; 퀸즐랜드.
- ** 속 ''Steganthera'' (Perkins, 1898) (동의어: ''Anthobembix'', ''Tetrasynandra'') – 28종; 술라웨시에서 솔로몬 제도 및 퀸즐랜드까지.
- ** 속 ''Wilkiea'' (F.J.H. von Mueller, 1858) – 9종; 뉴사우스웨일스, 퀸즐랜드, 뉴기니.
- ** 속 ''Xymalos'' (Baillon, 1887) – 1종; 아프로몬탄 고유종, 수단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까지 해발 900~2700 m 고도에서, 그리고 카메룬 산과 비오코에 분포한다.
4. 역사
앙투안 로랑 드 쥐시외는 1809년에 모니미아과를 설립하고 "Monimieae"라고 명명했다.[15][16] 당시 모니미아과는 현재의 시파루나과와 아테로스페르마과를 포함하는 넓은 범위로 정의되었으며, 이러한 정의는 1990년대까지 유지되었다. 그러나 로버트 브라운이나 존 린들리와 같은 일부 학자들은 아테로스페르마과를 별개의 과로 보기도 했다.
1990년대 말, 분자 계통 발생 연구를 통해 전통적인 모니미아과 분류가 단일종을 포함하는 고모르테가과에 대해 측계통군을 이루며, 아마도 다계통군일 수도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모니미아과의 주요 부분이 헤르난디아과 및 녹나무과와 함께 하나의 분지군을 형성했기 때문이다.[31]
최근 연구들은 모니미아과의 다음 개정에서 속의 상당한 변화가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6][32]
4. 1. 분류학적 변천
APG IV 분류 체계(2016년)에서는 모니미아과를 목련군 녹나무목 아래에 분류하며,[38] 이는 APG III 분류 체계(2009년), APG II 분류 체계(2003년) 및 APG 분류 체계(1998년)의 분류와 동일하다.[39][40][41]앙투안 로랑 드 쥐시외는 1809년에 모니미아과를 설립하고 "Monimieae"라고 명명했다.[15][16] 당시에는 현재의 시파루나과와 아테로스페르마과를 포함하여 넓은 범위로 정의되었다. 이러한 범위는 1990년대까지 유지되었지만, 로버트 브라운과 존 린들리 같은 학자들은 아테로스페르마과를 별도로 인정했다.
쥐시외는 ''Ruizia'', ''Ambora'', ''Citrosma'', ''Pavonia'' (''sensu'' 루이스 & 파본) 등의 속명을 사용했는데,[17] 이들은 현재 ''Peumus'', ''Tambourissa'', ''Siparuna'', ''Laurelia''로 알려져 있다. 쥐시외는 안토니오 호세 카바닐레스가 1786년에 말비과의 한 속에 대해 ''Pavonia''라는 이름을 발표했다는 사실을 몰랐던 것으로 보인다. 후대의 학자들은 ''Ruizia''를 ''Boldea''로 대체했지만, 결국 ''Peumus''가 이 속의 올바른 이름으로 밝혀졌다.
1855년, 루이-레네 튈라네는 모니미아과에 관한 두 편의 획기적인 논문을 발표했다.[18][19] 현재 사용되는 이름으로, 그가 인정한 속은 ''Peumus, Monimia, Tambourissa, Hedycarya, Mollinedia, Kibara, Siparuna, Atherosperma, Laurelia,'' ''Doryphora''이다.
자넷 러셀 퍼킨스는 1898년부터 모니미아과에 관한 논문을 쓰기 시작했지만, 두 편만 완성되었다. 이 중 두 번째 논문은 첫 페이지에서 제목이 잘못 표기되었으며, 현재 시파루나과에 속하는 ''Siparuna''를 다루고 있다.
첫 번째 논문은 족 Mollinedieae를 다루지만, 과에 대한 광범위한 논의로 시작한다.[21] 퍼킨스는 ''Amborella'', ''Trimenia'', ''Piptocalyx''를 포함하도록 과를 매우 광범위하게 정의했다. 이들은 현재 기저 속씨식물로 간주되며, ''Piptocalyx''는 ''Trimenia''의 분리물이다. 퍼킨스는 또한 ''Conuleum''을 포함시켰지만, 현재는 단형 분류군이고 ''Siparuna''와 자매 분류군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Siparuna''에 포함된다.[22]
이 논문에서 퍼킨스는 ''Macropeplus, Macrotorus, Steganthera, Tetrasynandra, Anthobembix''의 다섯 가지 새로운 속을 명명했다. ''Anthobembix''는 퍼킨스가 ''Kibara''에서 옮겨온 두 종으로 구성되었으며, 1942년에 ''Steganthera''로 옮겨졌다.[23] ''Lauterbachia''는 1901년에 퍼킨스에 의해 출판된 플로라에서 명명되었다.[24]
1901년 퍼킨스와 에른스트 프리드리히 길크는 ''Das Pflanzenreich''에서 모니미아과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를 발표했다.[10] 모니미아과에 여전히 속하는 부분에서 20개의 속이 인정되었으며, ''Anthobembix''가 포함되었다. 그들은 ''Conuleum''을 ''Siparuna'' 아래에 동의어로 놓고, 1898년 퍼킨스가 나열한 것에 ''Xymalos, Wilkiea, Lauterbachia, Chloropatane''의 네 속을 추가했다.
''Chloropatane''은 1899년 H.G. 아돌프 엥글러에 의해 기술되었으나, 결국 대극과 ''Erythrococca''의 종으로 밝혀진 표본을 기반으로 했지만, 너무 단편적이어서 더 정확하게 식별할 수 없었다.
이 과는 1950년 릴리안 L. 머니 외에 의해 다시 검토되었다.[25]
윌리엄 레이먼드 필립슨은 1993년 ''혈관 식물의 과와 속''에서 모니미아과에 대한 가장 최근의 단행본을 썼다.[9] 필립슨은 모니미아과를 6개의 아과로 나누었다: Glossocalycoideae, Siparunoideae, Atherospermatoideae, Monimioideae, Hortonioideae, Mollinedioideae. 마지막 세 아과는 2009년 APG III 시스템에서 정의된 모니미아과를 구성한다.[26] 이 세 아과에서 필립슨은 총 25개의 속을 인정했다. 그는 ''Anthobembix''를 받아들이지 않았지만, 1901년 퍼킨스와 길크의 단행본에서 다른 19개의 속을 포함시켰다. 그는 또한 퍼킨스와 길크(1901) 이후에 출판된 ''Decarydendron, Kibaropsis, Austromatthaea, Kairoa, Faika, Parakibara''의 여섯 속을 포함시켰다. 마지막 세 속은 1980년대에 필립슨에 의해 명명되었다.
필립슨의 연구 이후, ''Hemmantia''와 ''"Endressia"''가 2007년 ''호주 식물상''에,[27] ''Grazielanthus''가 2008년 ''큐 게시판''에 출판되었다.[28] "Endressia"(''sensu'' Whiffin)는 자크 에티엔 가이가 1832년에 미나리과의 한 속에 대해 ''Endressia''라는 이름을 발표했기 때문에 현재 무효이다.[6][29] ''Endressia''는 관련되어 있으며 족 Selineae에 속하는 ''Angelica''와 ''Selinum''과 관련이 있다.
분자 계통 발생 연구는 속씨식물[30]과 로라과[31]에서 2010년까지 모니미아과를 드물게 표본 추출했다. 2010년과 2014년에 훨씬 더 밀도 높은 표본 추출을 기반으로 한 계통 발생도가 제작되었다.[6][32] 이들은 과의 다음 개정이 속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와야 함을 보여주었다.
모니미아과는 1993년 필립슨에 의해 단일 분류군으로 정리되기 전까지, 일반적으로 녹나무목 내에서 세 개의 뚜렷한 그룹(시파루나과, 아테로스페르마과, 좁은 의미의 모니미아과(Monimiaceae ''sensu stricto''))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암보렐라와 트리메니아의 포함 여부는 항상 의심스러웠으며, 많은 학자들에 의해 거부되었다.
1990년대 말까지, 전통적인 모니미아과의 분류가 단일 종을 포함하는 고모르테가과에 대해 측계통군을 이루며, 아마도 다계통군일 수도 있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왜냐하면 모니미아과의 주요 부분이 헤르난디아과와 녹나무과와 함께 하나의 분지군을 형성했기 때문이다.[31]
헤르난디아과, 모니미아과, 녹나무과 중에서 어떤 두 과가 서로 자매군 관계에 있는지에 대한 문제는 답변하기 어려웠다.[4] 여러 연구에서 서로 다른 결과를 제시했지만, 강력한 통계적 지지를 얻은 것은 없었다.[30][32]
1993년 필립슨은 몰리네디아아과를 헤디카리애족, 몰리네디아족, 헨네카르티애족의 세 개 부족으로 나누었다.[9] 헨네카르티애족은 단일 종인 ''Hennecartia omphalandra''로 구성되었다. 현재 ''Hennecartia''는 몰리네디아족 내에 속하며, 나머지 신열대 몰리미과로 구성된 분지군과 자매 관계임이 밝혀졌다.[6]
헤디카리애족의 단일 계통성은 최근의 분자 계통 연구에서 지지되거나 기각되지 않았다.[6][32] 한 연구에서는 ''Xymalos''를 나머지 몰리네디아아과의 자매 종으로 밝혔지만, 이 결과는 약한 지지를 받았다.[6]
몰리미과의 다음 개정에서는 ''Tetrasynandra''와 ''Grazielanthus''는 각각 ''Steganthera''와 ''Mollinedia'' 내에 포함되고, ''Kibaropsis''는 ''Hedycarya arborea''와 분지군을 형성하는 등, 여러 속들이 재정의되거나 다른 속과 동의어로 처리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Levieria''의 단일 계통성은 의문시되지만, DNA는 단일 종만 표본으로 채취되었다. ''Levieria acuminata''는 ''Hedycarya'' 내에 속한다. 한편, ''Wilkiea''는 다계통군이며 최소 세 개의 속으로 나뉘어야 한다.[6] 기준 종인 ''W. calyptrocalyx''는 현재 ''Wilkiea huegeliana''의 동의어로 간주되며,[27] 후자는 일부 저자에 의해 ''Wilkiea macrophylla''의 동의어로 간주된다.
참조
[1]
웹사이트
Laurales
http://www.mobot.org[...]
2023-07-20
[2]
웹사이트
Monimiaceae Juss.
https://powo.science[...]
2024-02-17
[3]
웹사이트
Monimiaceae
[4]
논문
What is the relationship among Hernandiaceae, Lauraceae and Monimiaceae, and why is this question so difficult to answer?
2000
[5]
서적
Flowering Plant Families of the World
Firefly Books
2007
[6]
논문
Biogeography of the Monimiaceae (Laurales): a role for East Gondwana and long-distance dispersal, but not West Gondwana
2010
[7]
논문
A phylogeny and revised circumscription for Kairoa (Monimiaceae), with the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from Papua New Guinea
2009
[8]
간행물
The number of known plants species in the world and its annual increase
http://biotaxa.org/P[...]
2016
[9]
서적
Monimiaceae
Springer-Verlag
1993
[10]
간행물
Monimiaceae
Wilhelm Engelmann
1901
[11]
논문
Chemistry and pharmacology of Monimiaceae: a special focus on Siparuna and Mollinedia
1999
[12]
논문
Rare leaf fossils of Monimiaceae and Atherospermataceae (Laurales) from Eocene Patagonian rainforests and their biogeographic significance
2013
[13]
논문
A monograph of the Monimiaceae (Laurales) in the Malagasy Region (Southwest Indian Ocean)
1985
[14]
서적
Paleobotany: The Biology and Evolution of Fossil Plants
Academic Press
2008
[15]
웹사이트
Monimiaceae
[16]
웹사이트
A Checklist of Family and Suprafamilial Names for Extant Vascular Plants.
2008
[17]
간행물
Mémoire: Sur les Monimées, nouvel ordre de plantes
1809
[18]
간행물
Diagnoses nonnullas e Monimiacearum recensione tentata excerptas præmittit
1855
[19]
간행물
Monographia Monimiacearum, primum tentata
1855
[20]
간행물
Beiträge zur Kenntnis der Monimiaceae. II. Monographie der Gattung Siparuna
1901
[21]
간행물
Beiträge zur Kenntnis der Monimiaceae. I. Über die Gliederung der Gattungen der Mollinedieae
1898
[22]
서적
Siparunaceae
New York Botanical Garden Press
2005
[23]
간행물
The Botanical Magazine
1942
[24]
간행물
Flora der Deutschen Schutzgebiete in der Südsee
1901
[25]
논문
The morphology and relationships of the Monimiaceae
1950
[26]
간행물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http://onlinelibrary[...]
2009
[27]
서적
Monimiaceae
Australian Government Publishing Service
2007
[28]
논문
A new genus of Monimiaceae from the Atlantic coastal forest in southeastern Brazil
2008
[29]
웹사이트
Endressia
[30]
논문
Angiosperm Phylogeny: 17 genes, 640 taxa
2011
[31]
논문
Circumscription and phylogeny of the Laurales: evidence from molecular and morphological data
1999
[32]
논문
Increased sampling of both genes and taxa improves resolution of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in Magnoliidae, a large and early-diverging clade of angiosperms
2014
[33]
간행물
Phylogenetics of seed plants: an analysis of nucleotide sequences from the plastid gene rbcL
1993
[34]
서적
Plant Systematics: A Phylogenetic Approach
Sinauer Associates
2008
[35]
서적
Phylogeny and Evolution of the Angiosperms
Sinauer
2005
[36]
웹사이트
Angiosperm Phylogeny Website
http://www.mobot.org[...]
2017-07
[37]
간행물
Annales du Muséum National d'Histoire Naturelle 14: 133
1809
[38]
저널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https://academic.oup[...]
[39]
저널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https://academic.oup[...]
[40]
저널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
https://academic.oup[...]
[41]
저널
An Ordinal Classification for the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http://www.bergians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