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로비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몬로비아는 대서양 연안과 메수라도 강 사이에 위치한 라이베리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다. 1560년대 포르투갈 선원에 의해 메주라도 곶으로 명명되었으며, 1822년 미국에서 해방된 노예들이 정착하면서 크리스토폴리스로 불리다 1824년 미국 대통령 제임스 먼로를 기려 몬로비아로 개칭되었다. 라이베리아의 경제, 행정, 상업 중심지이며, 19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아메리카-라이베리아인들이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20세기 후반 잦은 내전으로 도시가 큰 피해를 입었으나, 2000년대 이후 평화를 되찾고 재건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몬로비아는 열대 몬순 기후를 보이며, 라이베리아 대학교 등 교육 시설과 국립 박물관, 워터사이드 시장 등 문화 시설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이베리아의 항구 도시 - 뷰캐넌 (라이베리아)
라이베리아 그랜드바사 카운티에 위치한 뷰캐넌은 1836년 설립되어 철광석 수출, 고무 및 팜유 생산의 중심지였으며, 아프리카 최초의 철광석 처리 공장이 건설된 도시이자 현재는 중국 투자자들과 경제 발전을 모색하고 있다. - 몽세라도주 - 벤슨빌
벤슨빌은 현재 알려진 정보가 없는 대상이다. - 몽세라도주 - 페인스빌
페인스빌은 여러 커뮤니티로 구성된 지역이며, 조지 웨아, 조셉 보아카이, 프린스 존슨 등 주요 인물들이 활동한다. - 제임스 먼로 - 엘리자베스 먼로
엘리자베스 먼로는 제임스 먼로와 결혼하여 미국 영부인이 되었으며, 프랑스 주재 미국 대사 부인으로 활동하고, 백악관 재건축 기간 동안 영부인으로 활동하다가 1830년에 사망했다. - 제임스 먼로 - 호감의 시대
호감의 시대는 미영 전쟁 이후 미국의 국민적 통합이 이루어진 시대로, 민족주의 고취, 서부 개척, 영토 확장, 외교적 성공 등이 나타났으나 노예제 문제와 정당 간 갈등 심화로 종말을 맞이하며 미국의 국제적 위상이 높아지는 과도기였다.
몬로비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 | |
명칭 유래 | 제임스 먼로 - 미국 대통령 |
수립일 | 1822년 4월 25일 |
지리 | |
위치 | 라이베리아, 서아프리카 |
면적 (전체) | 194.25 제곱킬로미터 |
행정 구역 | |
국가 | 라이베리아 |
주 | 몽세라도 주 |
지구 | 그레이터 몬로비아 지구 |
인구 | |
총인구 (2022년) | 1,7610,32 |
도시권 인구 (2022년) | 2,225,911 |
정치 | |
정부 형태 | 몬로비아 지방 정부 |
시장 | 존-차루크 샤피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기후 | |
기후 | 열대 몬순 기후(Am) |
시간대 | |
시간대 | 그리니치 평균시 |
UTC 오프셋 | +00:00 |
일광 절약 시간제 | (관찰되지 않음) |
2. 역사
1560년대에 포르투갈 선원들이 메주라도 곶으로 몬로비아를 지명했을 때는 이미 사람이 살고 있었다. 1821년 미국식민협회의 보호 아래 미국으로부터 해방된 노예들이 아프리카에 도착했다. 그들은 현재 시에라리온에 있는 쉐브로 섬에 상륙했으나, 많은 정착자들이 죽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1822년 두 번째 배가 살아남은 정착자들을 구해 메주라도 곶으로 데려갔고, 1824년 그 도시는 당시 미국 대통령 제임스 먼로의 이름을 따서 몬로비아로 개명되었다.[54]
1845년 몬로비아는 2년 뒤 라이베리아 공화국 헌법의 기초를 그린 헌법 집회 장소였다. 20세기 초 몬로비아는 몬로비아 본구역과 크루타운의 두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도시의 아메리카-라이베리아인들은 전자의 구역에, 크루족을 비롯한 다른 민족들은 크루타운에 주로 거주했다. 1926년부터 라이베리아 내륙의 민족들이 일자리를 찾아 몬로비아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1979년 당시 대통령 윌리엄 톨버트를 회장으로 하여 몬로비아에서 아프리카 통일 기구의 회의가 열렸다. 톨버트는 몬로비아에 공영 주택을 늘리고 라이베리아 대학교의 수업료를 50% 감면시켰다. 그러나 1980년 사무엘 도가 주도한 군사 쿠데타로 톨버트 정부는 축출되었다.
몬로비아는 제1차 라이베리아 내전과 제2차 라이베리아 내전 때 심하게 타격을 받았다. 특히 1990년 새뮤얼 도 정부와 프린스 존슨 군대 사이, 1992년 라이베리아 시민 애국 전선의 공격 사이에 주요 전투들이 발생하여 많은 건물들이 부서지고 거의 모든 하부조직이 파괴되었다. 전쟁으로 인해 집이 없거나 교육받을 기회를 받지 못한 아이들과 청년들이 많아졌다.
2002년 레마 그보위는 몬로비아 여성들로 구성된 라이베리아 여성 평화 행동을 조직하여 평화를 호소했고, 이는 2003년 내전을 종식시키고 엘렌 존슨 설리프를 아프리카 최초의 여성 대통령으로 선출하는 데 기여했다.
2014년 몬로비아는 2014년 서아프리카 에볼라 유행의 영향을 받았으나, 2015년 9월 3일 라이베리아의 에볼라 바이러스 유행은 종식 선언되었다.
2. 1. 초기 역사
1560년대에 포르투갈인 항해사가 이 지역을 메스라두 곶(Cape Mesurado)이라고 명명했을 때, 이미 원주민인 크루족 등의 부족이 거주하고 있었으며, 1816년 이전에는 이곳을 "듀코르"(Ducor)라고 불렀다. 미국 식민지 협회의 지원을 받아 1821년에 미국에서 온 해방 노예 첫 정착민이 아프리카에 도착했다. 이들은 프리타운과 같은 자급자족 가능한 식민지를 설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동 협회의 로버트 스톡턴이 크루족 추장 피터 왕과의 협상(스톡턴이 피터 왕을 총으로 협박하여 매매)을 통해 후에 몬로비아가 될 땅을 얻었고, 미국의 해방 노예 흑인들(후손인 아메리코-라이베리안)이 현지의 프로비던스 섬(Providence Island: 현재의 시에라리온)에 상륙했다. 정착 사업은 어려움을 겪어 많은 정착민이 사망했다. 1822년, 제2진 선박이 앞선 정착민을 구출하여 메스라두 곶으로 옮기고 크리스토폴리스 거주 구역을 창설했다. 1824년, 미국 대통령 제임스 먼로를 기려 거주 구역의 이름이 몬로비아로 변경되었다. 아프리카계 미국인 해방 노예를 라이베리아로 이송한 이 식민의 유력한 지원자들은 아메리카 대륙에서 노예를 해방하는 것보다 아프리카 대륙으로 이주시키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했다. 미국 이외의 국가 수도 이름이 미국 대통령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곳은 몬로비아가 유일하다. 1845년, 몬로비아는 2년 후에 독립국 라이베리아 공화국의 헌법이 될 초안을 작성한 미국 식민지 협회가 주최한 헌법 제정 회의 장소가 되었다.[54]몬로비아로 이주해 온 아프리카계 미국인인 아메리코-라이베리안들은 미국 남부 스타일의 건축 양식의 집 등 건물을 지었다. 20세기 초 몬로비아 주민 4000명 중 2500명이 아메리코-라이베리안이었다. 1926년에 내륙부 부족이 직업을 찾아 몬로비아로 이주했고, 1937년에는 몬로비아 인구가 1만 명을 넘어섰다.
2. 2. 19세기 ~ 20세기 초

1560년대에 포르투갈인 항해사가 이 지역을 메스라두 곶(Cape Mesurado)이라고 명명했을 때, 이미 원주민인 크루족 등의 부족이 거주하고 있었으며, 1816년 이전에는 이곳을 "듀코르"(Ducor)라고 불렀다. 미국인 해방 노예가 자급자족할 수 있는, 기존의 프리타운과 같은 식민지를 설립하는 것을 목표로, 미국 식민지 협회의 지원을 받아, 1821년에 미국에서 온 첫 정착민이 아프리카에 도착했다. 동 협회의 로버트 스톡턴이 크루족 추장 피터 왕과의 총기 등의 물품 교환 협상(이라고 하기보다는 스톡턴이 피터 왕을 총으로 협박하여 매매하려 했다)을 통해 후에 몬로비아가 될 땅을 얻었고, 미국의 해방 노예 흑인들(후손인 아메리코-라이베리안)이 현지의 프로비던스 섬(Providence Island: 현재의 시에라리온)에 처음 상륙했다. 정착 사업은 어려움을 겪어 많은 정착민이 사망했다. 1822년, 제2진 선박이 앞선 정착민을 구출하여 메스라두 곶으로 옮기고 크리스토폴리스 거주 구역을 창설했다. 1824년, 미국 대통령 제임스 먼로를 기려 거주 구역의 이름이 몬로비아로 변경되었다. 아프리카계 미국인 해방 노예를 라이베리아로 이송한 이 식민의 유력한 지원자들은 아메리카 대륙에서 노예를 해방하는 것보다 아프리카 대륙으로 이주시키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했다. 참고로 미국 이외의 국가 수도 이름이 미국 대통령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곳은 몬로비아가 유일하다. 1845년, 몬로비아는 2년 후에 독립국 라이베리아 공화국의 헌법이 될 초안을 작성한 미국 식민지 협회가 주최한 헌법 제정 회의 장소가 되었다.[54]
몬로비아로 이주해 온 아프리카계 미국인인 아메리코-라이베리안들은 미국 남부 스타일의 건축 양식의 집 등 건물을 지었다. 20세기 초 몬로비아 주민 4000명 중 2500명이 아메리코-라이베리안이었다. 1926년에 내륙부 부족이 직업을 찾아 몬로비아로 이주했고, 1937년에는 몬로비아 인구가 1만 명을 넘어섰다.
1979년에 아프리카 통일 기구의 회의가 몬로비아 근교에서 개최되었다.
1980년에 새뮤얼 도 상사가 이끄는 부족 출신 군의 쿠데타로 아메리코-라이베리안 윌리엄 톨버트 대통령이 암살되었고, 많은 정부 각료들이 몬로비아 해안에서 총살형으로 처형되었다.
1989년부터 2003년까지 두 차례에 걸친 라이베리아 내전으로 건물과 인프라의 많은 부분이 파괴되는 등 몬로비아는 심각한 피해를 입었고, 더 많은 난민이 몬로비아로 몰려들어 도시가 슬럼화되었다. 내전 종결 이후 현재 몬로비아는 재건 중에 있다.
2. 3. 윌리엄 톨버트 대통령 시대 (1971-1980)
1979년, 라이베리아 대통령 윌리엄 톨버트가 의장을 맡은 아프리카 통일 기구 회의가 몬로비아 근처에서 개최되었다.[54] 톨버트는 재임 기간 동안 몬로비아의 공공 주택을 개선하고 라이베리아 대학교의 등록금을 절반으로 줄였다.[54] 1980년, 새뮤얼 도가 이끄는 군사 쿠데타로 톨버트 정부가 전복되고 많은 정부 구성원이 처형되었다. 톨버트와 쿠데타로 사망한 사람들은 팜 그로브 묘지에 있는 집단 무덤에 묻혔다.2. 4. 새뮤얼 도 군사 쿠데타와 내전 (1980-2003)
1980년 새뮤얼 도 상사가 이끄는 군사 쿠데타로 윌리엄 톨버트 대통령이 암살되었고, 많은 정부 각료들이 처형되었다.[14] 톨버트와 쿠데타로 사망한 사람들은 팜 그로브 묘지에 있는 집단 무덤에 묻혔다.1989년부터 2003년까지 두 차례에 걸친 라이베리아 내전으로 몬로비아는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특히 제1차 라이베리아 내전 때인 1990년 새뮤얼 도 정부군과 프린스 존슨의 군대 간의 충돌, 1992년 라이베리아 애국 전선의 도시 공격으로 많은 건물들이 파괴되고 거의 모든 하부조직이 파괴되었다. 이 전쟁 동안 자원과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한 어린 아이들과 청소년들이 전투에 참여하도록 강요받았고, 그 후 많은 사람들이 집을 잃었다.
2002년 레마 그보위는 몬로비아 여성들로 구성된 단체인 라이베리아 여성 평화 행동을 조직하여 생선 시장에 모여 기도하고 노래를 불렀다.[13] 이 운동은 2003년 내전을 종식시키고 엘렌 존슨 설리프를 라이베리아 대통령으로 선출하는 데 기여했으며, 이는 아프리카 최초의 여성 대통령을 배출한 국가가 되었다.[14]
2. 5. 엘렌 존슨 설리프 대통령과 평화 정착 (2006-2018)
2002년 레마 그보위는 몬로비아의 여성들로 구성된 라이베리아 여성 평화 행동을 조직하여 생선 시장에서 기도와 노래를 통해 평화를 호소했다.[13] 이들의 노력은 제2차 라이베리아 내전을 종식시키고, 2003년 엘렌 존슨 설리프를 라이베리아 대통령으로 선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는 아프리카 최초의 여성 대통령 탄생이었다.[14]2. 6. 조지 웨아 대통령과 현재 (2018-)
2002년 레마 그보위는 몬로비아 여성들로 구성된 라이베리아 여성 평화 행동을 조직하여 생선 시장에서 기도하고 노래를 불렀다.[13] 이 운동은 제2차 라이베리아 내전을 종식시키고 엘렌 존슨 설리프를 라이베리아 대통령으로 선출하는 데 기여했으며, 이는 아프리카 최초의 여성 대통령을 배출한 국가가 되었다.[14]2014년 몬로비아는 2014년 서아프리카 에볼라 유행의 영향을 받았다.[15] 라이베리아의 에볼라 바이러스 유행은 2015년 9월 3일에 종식 선언되었다.
3. 지리
몬로비아는 대서양 연안과 메주라도 강 사이에 있는 주요 항구이다. 세인트 폴 강은 도시의 정북쪽에 있으며, 라이베리아에서 가장 큰 도시이자 행정, 상업, 경제 중심지이다. 몬로비아는 주도가 벤손빌인 몽세라도 주에 위치한다.[16]
3. 1. 위치 및 지형
몬로비아는 대서양과 큰 자연 항구를 형성하는 메수라도 강 사이의 케이프 메수라도 반도에 있다.[16] 세인트 폴 강은 도시 바로 북쪽에 있으며, 몬로비아 시내에서 "뉴 브리지"를 건너면 부시로드 섬의 북쪽 경계가 된다.

몬로비아는 메수라도 반도에 걸쳐 여러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광역 도시권은 습지성 메수라도 강 어귀를 둘러싸고 있다. 역사적인 시내 지역은 브로드 스트리트를 중심으로 반도 맨 끝에 있으며, 주요 시장 지구인 워터사이드가 바로 북쪽에 있어 도시의 큰 자연 항구를 마주보고 있다.
워터사이드 북서쪽에는 크고 저소득층 거주 지역인 웨스트 포인트가 있다. 시내 서쪽과 남서쪽에는 맘바 포인트가 있는데, 이곳은 전통적으로 도시의 주요 외교 구역으로 미국과 영국의 대사관, 그리고 유럽 연합 대표부가 있다. 시내 중심부 남쪽에는 정의의 사원과 행정부 청사를 포함한 국가 정부의 주요 기관들이 있는 캐피톨 힐이 있다.
반도를 따라 동쪽으로 가면 몬로비아의 싱코르 지역이 나온다. 원래 교외 주거 지역이었던 싱코르는 오늘날 도시의 번화한 미드타운 지역이다. 이곳에는 많은 외교 공관, 주요 호텔, 사업체, 주거 지역, 플럼코르, 조크펜타운, 락파지, 피아마와 같은 비공식 공동체가 있다.
싱코르에는 도시의 두 번째 공항인 스프리그스 페인이 있으며, 공항 바로 옆에 있는 에어필드라고 불리는 지역은 도시 전체의 주요 유흥 지구이다. 에어필드 동쪽에는 주로 주거 지역인 싱코르의 올드 로드 지역이 있으며, 추그보르와 가예 타운과 같은 비공식 정착지도 있다.
반도 남동쪽 기슭에는 독립적인 콩고 타운이 있으며, 그 동쪽에는 큰 교외 지역인 페인즈빌이 있다. 라이베리아 초콜릿 시티, 가드너스빌, 반스빌, 카바 타운, 단다와일로, 뉴 조지아와 같은 다른 교외 지역은 강 건너 북쪽에 있다. 몬로비아 북쪽에 있는 부시로드 섬에는 클라라 타운, 로건 타운, 뉴 크루 타운 지역이 있다. 가장 동쪽에는 스톡턴 크릭 다리, 콜드웰, 루이지애나, 카사바 힐 교외 지역이 있다.
몬로비아는 북위 6도19분, 서경 10도48분에 있다.
; 몬로비아의 다른 지역 및 교외 지역
3. 2. 기후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몬로비아는 열대 몬순 기후(''Am'')로 분류된다.[17] 연평균 강수량이 약 462.28cm로 세계에서 강수량이 가장 많은 수도이다.[18] 우기와 건기가 있지만, 건기에도 강수량이 있다. 연중 기온은 비교적 일정하며 평균 약 약 26.4°C이다. 최고 기온은 겨울에는 약 약 27.2°C이고 여름에는 약 32.2°C에 가깝다. 최저 기온은 연중 일반적으로 약 22.2°C에서 약 23.9°C 사이이다.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C) | 31.8°C | 32°C | 31.8°C | 31.5°C | 30.5°C | 28.3°C | 27.2°C | 26.8°C | 27.7°C | 29.4°C | 30.3°C | 30°C | 29.8°C |
평균 기온 (°C) | 26.2°C | 27.1°C | 27.6°C | 27.8°C | 27.4°C | 26°C | 25.1°C | 24.9°C | 25.4°C | 26.1°C | 26.7°C | 26.4°C | 26.4°C |
평균 최저 기온 (°C) | 22°C | 23.4°C | 23.7°C | 23.8°C | 23.9°C | 23.4°C | 23°C | 22.9°C | 23.3°C | 23.2°C | 23.5°C | 22.5°C | 23.2°C |
월 강수량 (mm) | 51mm | 71mm | 120mm | 154mm | 442mm | 958mm | 797mm | 354mm | 720mm | 598mm | 237mm | 122mm | |
평균 강수일수 | 4 | 3 | 8 | 12 | 22 | 24 | 21 | 17 | 24 | 22 | 16 | 9 | |
평균 상대 습도 (%) | 78 | 76 | 77 | 80 | 79 | 82 | 83 | 84 | 86 | 84 | 80 | 79 | |
평균 일조 시간 | 158 | 167 | 198 | 195 | 155 | 105 | 84 | 81 | 96 | 121 | 147 | 155 | |
자료 출처: 독일 기상청 (평균 기온 및 극한값[55]), Danish Meteorological Institute[56] |
4. 행정 구역
몬로비아는 구역인 그레이터 몬로비아의 몬트세라도 카운티에 위치해 있다. 라이베리아의 다른 구역과 같이 씨족으로 나뉘는 대신, 그레이터 몬로비아는 16개의 "구역"으로 나뉜다. 이러한 구역은 씨족과 마찬가지로 161개의 지역 사회로 세분화되어 있다.[23][24] 그레이터 몬로비아는 다른 구역과 같은 조직적인 구역 행정부가 없으며, 모든 하위 지방 정부는 몬트세라도 카운티 감독관의 직접적인 감독을 받는다.[25] 지방 자치 단체는 그레이터 몬로비아 구역을 두 개의 시 법인과 10개의 다른 지방 정부(9개의 읍과 1개의 자치구)로 세분화한다.[24][26] 1973년 법으로 설립되어[27] 1976년부터 운영된[28] 몬로비아 시 법인(MCC)은 도시 행정을 담당한다. MCC는 또한 수익 분배 협정을 통해 읍과 자치구에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해당 지역에는 구역 설정 또는 집행 관할권이 없다.[16]
'''시 법인'''
- 몬로비아 시 법인
- 페인즈빌(Paynesville, Liberia) 시 법인
'''읍'''
- 바르네스빌
- 콜드웰(Caldwell, Liberia)
- 콩고 타운
- 딕스빌(Dixville, Liberia)
- 가드너스빌(Gardnersville)
- 가워론
- 존슨빌
- 뉴 조지아(New Georgia, Liberia)
- 웨스트 포인트(West Point, Monrovia)[29]
'''자치구'''
- 뉴 크루 타운(New Kru Town)
'''전임 시장'''
5. 경제
몬로비아는 라이베리아의 경제 중심지이다. 라이베리아 중앙 은행이 몬로비아에 위치한다.
몬로비아의 경제는 항구인 몬로비아 자유항과 라이베리아 정부 청사의 위치에 의해 지배된다. 몬로비아 항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군에 의해 대폭 확장되었으며 주요 수출품으로는 라텍스와 철광석이 있다.
시멘트, 정제된 석유, 식품, 벽돌 및 타일, 가구, 화학 물질과 같은 재료도 현장에서 제조된다. 메수라도와 세인트 폴 강 어귀 사이에 있는 부시로드 섬에 위치한 이 항구는 선박을 보관하고 수리할 수 있는 시설도 갖추고 있다.[51]
사실상 수출을 지배하는 Freeport of Monrovia|몬로비아 항영어은 다수의 선박과 독을 보유하고 있으며, 고무, 철 등을 해외로 수출하고 있다. 라이베리아는 편의치적국으로 유명하며, 이 경우 선적 항구는 대부분 몬로비아 항이 된다.
장기적인 개발 독재를 펼친 윌리엄 튜먼 대통령 시대에는 큰 진보가 있었으며, 몬로비아 항의 영업 개시와 1958년의 라이베리아 국회의사당 건설[51], 파업 개최[52], 라이베리아 국립 박물관의 창설, 1965년 정의의 신전 건설을 포함한 매우 많은 건설 사업이 이루어져 현저한 경제 발전을 이루었지만, 두 차례의 내전으로 그 발전은 물거품이 되었다.
6. 교통
몬로비아 자유항은 라이베리아에서 가장 분주한 항구로, 그린빌, 하퍼와 연결되는 보트가 다닌다.[22] 가장 가까운 공항은 시내에서 4km 떨어진 스프리그스 페인 공항이며, 하벨에는 약 59.55km 떨어진 로버츠 국제공항이 있는데, 이곳은 라이베리아에서 가장 큰 국제공항이다.[22]
몬로비아는 도로 및 철도망을 통해 라이베리아의 다른 지역과 연결된다. 또한, 편의치적 체제하에 라이베리아에 등록된 전 세계 상선 선박의 10~15%가 몬로비아를 모항으로 두고 있다. 시내에서는 개인 택시와 미니버스가 운행되며, 몬로비아 교통국에서 운영하는 대형 버스도 이용할 수 있다.
2005년부터 최근 몇 년간 세계 은행과 라이베리아 정부에 의해 몬로비아의 여러 거리 도로가 재건되었다. 이러한 재건 과정에서 민간 및 공공 기반 시설이 건설되거나 개조되고 있다.
로버츠 국제공항은 몬로비아 시내에서 60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이 건설하였다. 이 공항의 이름은 조셉 제킨스 로버츠 초대 라이베리아 대통령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7. 문화
몬로비아는 다양한 문화 시설과 매체를 통해 시민들에게 정보와 오락을 제공하고 있다.
라이베리아 국립 박물관, 라이베리아 메이슨 사원, 워터사이드 시장, 여러 해변 등이 몬로비아의 주요 문화 명소로 꼽힌다. 이 도시는 또한 22,000석 규모의 안투아네트 텁먼 스타디움과 새뮤얼 캐니언 도 스포츠 단지를 보유하고 있다.[39]
몬로비아의 신문 산업은 1820년대에 시작되었으며, 아프리카에서 최초로 발행된 신문 중 하나인 ''라이베리아 헤럴드''가 창간되었다. 오늘날에는 많은 타블로이드 스타일의 신문들이 매일 또는 격주로 인쇄되며, 대부분 20페이지를 넘지 않는다. 데일리 토크는 몬로비아 싱코르 지역의 길가 칠판에 매일 쓰여지는 뉴스와 성경 구절을 모아 놓은 것이다.
몬로비아에는 라디오 및 TV 방송국도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전력망 문제로 인해 텔레비전 시청보다는 라디오 청취가 더 일반적이며, 라디오가 주요 뉴스 소스로 활용된다. UNMIL 라디오는 2003년 10월 1일부터 방송을 시작하여 라이베리아에서 유일하게 24시간 방송을 제공하며, 인구의 2/3가 청취하고 있다.[40] 국영 라이베리아 방송 시스템은 몬로비아에 본사를 두고 전국으로 방송을 송출한다.[41] STAR 라디오는 104 FM으로 방송된다.[42]
7. 1. 문화 시설
몬로비아의 관광지로는 리베리아 국립 박물관, 현재 파손된 프리메이슨 신전, 동물원, 워터사이드 시장, (현재 닫힌) 프로비던스 섬의 문화 센터와 몇몇 해변들이 있다. 또한 앙뜨와네트 터만 경기장과 국립 복합 스포츠 경기장이 있다. 국립 복합 스포츠 경기장은 40,000석을 갖춘 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경기장들 중 하나이다.[57]1958년에 세워진 '''리베리아 국립 박물관(Liberian National Museum)'''이 있다.
1867년 미국 식민지 협회의 지원을 받아 아메리코-라이베리안에 의해 세워진 '''그랜드 메이슨 사원(Grand Masonic Temple)'''은 리베리아의 프리메이슨 지부로, 아프리카 유일의 프리메이슨 건물이다. 1980년의 군사 쿠데타가 일어나기 전까지, 리베리아 정치에서 많은 아메리코-라이베리안 출신 대통령, 정치인, 유명 인사를 배출했으며, 새뮤얼 도우 정권 때는 탄압받아 활동이 축소되었다. 1989년 이후의 내전의 영향으로 거의 폐허가 되었지만, 내전 종결 후인 2005년부터 일부 복구되어 활동을 재개했으며, 건물 전체의 복구 계획이 있다. 또한, 2014년 이후에 동국에서 일어난 에볼라 출혈열 유행에서는 의료실 침대 수가 부족하여 건물이 병실 대신 사용되었다. 몬로비아에 있는 의료 시설로는 존 F. 케네디 기념 의료 센터와 E. S. 그랜트 정신 병원 등이 있다.
1965년에 세워진 '''정의 사원(Temple of Justice)'''은 리베리아 국회의사당으로, 당시 최신 스타일의 큰 건물이었으며, 내전의 피해는 다소 받았지만 비교적 적었다.
인터컨티넨탈 호텔 그룹이 운영하고 1960년에 세워진 '''듀코르 호텔(Ducor Hotel)'''은 수영장도 완비한 리베리아 최대 규모의 고급 비즈니스 호텔이었다. 그러나 1989년 이후의 내전으로 인해 황폐해져 현재는 완전히 폐허가 되었다. 내전 종료 후인 2007년 무렵부터 리베리아 정부가 폐허가 된 호텔을 새로 복구하려는 계획을 세웠지만, 비용 등의 문제로 여러 차례 연기되어 복구 계획이 지연되고 있다. 2010년에 리비아 정부가 호텔 복구 계획을 지원하려 했지만, 리비아 내전의 영향으로 카다피 대령의 사망 후, 리비아의 지원은 동결되어 호텔 재건은 실패했다.
다른 호텔 시설로는 1979년 아프리카 통일 기구 회의가 개최된 '''호텔 아프리카(Hotel Africa)'''가 있다. 1990년 내전으로 호텔 내에서 전투가 벌어져 파괴되었다. 폐허가 되었지만, 2009년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컨소시엄에 의한 1억달러 투자 복구 계획이 있었다.
'''워터사이드 시장'''(Waterside Market) 외에, 교육 시설로는 1862년 설립된 국립 리베리아 대학교, 미국 성공회의 기관인 커팅턴 대학교 등이 있다.
7. 2. 스포츠
몬로비아에는 앙뜨와네트 터만 경기장과 국립 복합 스포츠 경기장이 있다. 국립 복합 스포츠 경기장은 40,000석 규모로 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경기장 중 하나이다.[57]7. 3. 언론
몬로비아에서는 수많은 타블로이드 형식의 신문들이 일주 혹은 격주간 출판되며, 대부분 20쪽이 안된다.[57] 몬로비아에는 라디오와 TV 방송국도 있지만, 전력망 문제[57] 때문에 TV보다 라디오를 더 많이 청취한다. 2003년 10월 1일부터 UNMIL (United Nations Mission in Liberia영어) 라디오가 방송되고 있다. UNMIL은 라이베리아에서 하루 24시간 방송되는 첫 번째 라디오 방송국이며, 어림잡아 인구의 2/3가 청취하고 FM 91.5에서 방송한다.[58] STAR 라디오는 FM 104에서 방송한다.[59]데일리 토크(daily talk영어)는 몬로비아 싱코르 지역의 길가 칠판에 매일 게시되는 뉴스 및 성경 구절 모음집이다.
8. 교육
몬로비아는 커팅톤 전문대학과 신학교, 많은 공립 및 사립 학교들과 함께, 라이베리아 대학교의 터전이다.
유치원부터 12학년 교육은 광역 몬로비아 지역을 관할하는 몬로비아 통합 학교 시스템에서 제공한다. 몬로비아 통합 학교 시스템 산하 학교에는 몬로비아 센트럴 고등학교, 보스트와인 고등학교, D. 투에 고등학교, G. W. 깁슨 고등학교, 윌리엄 V. S. 투브만 고등학교가 있다.
의학 교육은 A.M. 도글리오티 의과대학에서 제공되며, 투브만 국립 의학 예술 연구소에는 간호 및 응급 의료 학교가 있다.
미국 몬로비아 국제 학교는 콩고 타운에 위치해 있다.[43]
9. 종교
몬로비아의 예배 장소는 주로 기독교 교회와 사찰이다. 여기에는 몬로비아 로마 가톨릭 대교구(가톨릭교회), 라이베리아 연합 감리교회(세계 감리교 협의회), 라이베리아 침례교 선교 및 교육 협회(침례교 세계 연맹) 및 하나님의 성회가 있다.[44] 2021년 10월,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는 몬로비아에 성전을 건설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 도시에는 또한 이슬람교 사원이 있다.
10. 환경 문제
오염은 몬로비아에서 심각한 문제이다.[45] 가정 및 산업 폐기물이 쌓이는 경향이 있으며, 세계 은행이 위생 회사에 수거 비용을 지불하지만 불규칙하게 수거가 이루어진다.[45]
2013년, 몬로비아 페인스빌 지역에서 수거되지 않은 쓰레기 문제가 심각해져, 상인과 주민들이 몬로비아에서 카카타로 향하는 주요 도로를 "거의 차단할 지경에 이른 거대한 쓰레기 더미"를 불태우기도 했다.[45]
홍수는 주거 지역 가장자리의 늪에 버려진 폐기물을 쓸어 담아 주변으로 퍼뜨려 주민들에게 추가적인 환경 문제를 야기한다.[45]
2009년 기준으로 몬로비아의 150만 명 중 3분의 1만이 깨끗한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었다.[46] 자체 화장실이 없는 사람들은 집 사이의 좁은 골목길, 해변, 또는 근처 쓰레기 더미나 바다에 버리는 비닐봉투에 대변을 본다.[46] 이러한 혼잡한 주택, 임대인의 화장실 제공 의무 부재, 사실상 없는 도시 계획은 수도에서 치명적인 위생 상태를 초래하는 데 기여했다.[47]
11. 자매 도시
몬로비아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도시 | 국가 |
---|---|
타이베이 | 台北|타이베이중국어 (중화민국)[48] |
데이턴 | 미국 |
필라델피아 | 미국 |
용커즈 | 미국 |
미네소타주의 여러 도시들 | 미국 |
실버 스프링 | 미국 |
노스 트렌턴 | 미국 |
뉴어크 | 미국 |
이스트 오렌지 | 미국 |
스태튼아일랜드 | 미국 |
참조
[1]
웹사이트
Liberia: Counties, Major Cities, Towns & Urban Areas - Population Statistics, Maps, Charts, Weather and Web Information
https://www.citypopu[...]
[2]
웹사이트
Liberia: Counties, Major Cities, Towns & Urban Areas - Population Statistics, Maps, Charts, Weather and Web Information
https://www.citypopu[...]
[3]
웹사이트
Liberia: Counties, Major Cities, Towns & Urban Areas - Population Statistics, Maps, Charts, Weather and Web Information
https://www.citypopu[...]
[4]
웹사이트
Definition of Monrovia
http://www.thefreedi[...]
The Free Dictionary
2014-01-05
[5]
웹사이트
Define Monrovia
http://dictionary.re[...]
2014-01-05
[6]
웹사이트
Liberia: Counties, Major Cities, Towns & Urban Areas - Population Statistics, Maps, Charts, Weather and Web Information
https://www.citypopu[...]
[7]
웹사이트
Map of Liberia, West Africa
http://www.wdl.org/e[...]
2013-06-02
[8]
서적
Capital Cities around the World: An Encyclopedia of Geography, History, and Culture
ABC-CLIO
2013
[9]
웹사이트
Monrovia
https://www.britanni[...]
Britannica
2019-07-07
[10]
간행물
Liberians: An introduction to their history and culture
http://www.trincoll.[...]
Center for Applied Linguistics
2005-04
[11]
서적
Encyclopedia of Twentieth-Century African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0-07-04
[12]
잡지
Liberia Celebrates 90 Years of Independence with Champagne
https://books.google[...]
1937-09-13
[13]
웹사이트
2009 Peace warrior for Liberia
http://www.odemagazi[...]
[14]
웹사이트
African women look within for change
http://edition.cnn.c[...]
2019-08-25
[15]
웹사이트
The terrifying mathematics of Ebola
http://blogs.channel[...]
2014-09-11
[16]
웹사이트
Liberia Housing Profile
http://www.iut.nu/Fa[...]
United Nations Human Settlements Programme
2017-10-16
[17]
웹사이트
Climate: Monrovia - Climate graph, Temperature graph, Climate table
http://en.climate-da[...]
Climate-Data.org
2014-01-05
[18]
웹사이트
The rain in Monrovia
https://www.economis[...]
[19]
웹사이트
Klimatafel von Robertsfield (Int. Flugh.) / Liberia
http://www.dwd.de/DW[...]
Federal Ministry of Transport and Digital Infrastructure
2016-06-15
[20]
웹사이트
STATIONSNUMMER 65660
http://www.dmi.dk/dm[...]
Ministry of Energy, Utilities and Climate
2016-06-15
[21]
서적
African American Architects: A Biographical Dictionary, 1865-1945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03
[22]
뉴스
Liberia's Streets, Spirits Brighten; Four Years After War's End, Battered W. African Nation Begins a Slow Reawakening
2008-03-12
[23]
웹사이트
Greater Monrovia, Liberia - Administrative Boundaries Overview
http://reliefweb.int[...]
Liberia Institute of Statistics & Geo-Information Services
2017-08-18
[24]
웹사이트
THE TRANSFORMATIVE ROLE OF CITY-COMMUNITY PARTNERSHIPS IN THE FIGHT AGAINST EBOLA AND BEY OND IN GREATER MONRO VIA, LIBERIA
http://www.citiesall[...]
2018-01-02
[25]
웹사이트
Montserrado County Development Agenda, 2008-2012
http://www.emansion.[...]
Republic of Liberia
2018-01-02
[26]
웹사이트
THE LIBERIA COUNTRY PROGRAMME
http://www.citiesall[...]
2018-01-02
[27]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HE CITY OF MONROVIA - By: Madam Ophelia Hoff Saytumah City Mayor of Monrovia
http://monroviacity.[...]
2017-10-16
[28]
웹사이트
ORDINANCE NO. 4
http://www.tlcafrica[...]
2017-10-16
[29]
웹사이트
The First Greater Monrovia City Forum
http://www.citiesall[...]
Cities Alliance
2018-01-31
[30]
웹사이트
Trustees of Donations for Education in Liberia Records: 1842-1939
http://www.masshist.[...]
Massachusetts Historical Society
2010-02-03
[31]
서적
Power and Press Freedom in Liberia, 1830-1970
https://books.google[...]
Africa World
[32]
서적
A history of the African Methodist Episcopal church: being a volume supplemental to A history of the African Methodist Episcopal church
https://books.google[...]
Book Concern of the A.M.E. Church
[33]
간행물
Liberia Bulletin
https://books.google[...]
American Colonization Society
[34]
웹사이트
African Series Introduction: Volume VIII: October 1913--June 1921
http://www.internati[...]
UCLA
2010-02-03
[35]
서적
W.E.B. Du Bois
http://worldcat.org/[...]
H. Holt
1993–2000
[36]
서적
Power and press freedom in Liberia, 1830-1970 : the impact of globalization and civil society on media-government relations
http://worldcat.org/[...]
[37]
뉴스
Nathan Ross; Was Mayor Of Monrovia
2003-01-28
[38]
간행물
Liberian Lady Wears Three Hats
https://books.google[...]
1972-01
[39]
웹사이트
World of Stadiums - - Liberia
https://worldofstadi[...]
2024-10-29
[40]
웹사이트
UNMIL – Misión de las Naciones Unidas en Liberia
http://www.unmil.org[...]
[41]
웹사이트
Liberia Broadcasting System (LBS) Goes Nation-Wide.
http://www.emansion.[...]
Executive Mansion
2008-11-19
[42]
웹사이트
About us.
http://www.starradio[...]
STAR radio
2008-10-13
[43]
웹사이트
Home page
http://www.aismonrov[...]
American International School of Monrovia
2015-04-07
[44]
서적
Religions of the World: A Comprehensive Encyclopedia of Beliefs and Practices
ABC-CLIO
[45]
뉴스
Monrovia’s ‘Never-Ending’ Pollution Issues In 2013
http://www.liberiano[...]
The Liberian Observer
2014-12-30
[46]
뉴스
"LIBERIA: Disease rife as more people squeeze into fewer toilets"
http://www.irinnews.[...]
IRIN News
2009-11-19
[47]
뉴스
"LIBERIA: No relief as most Monrovians go without toilets"
http://www.irinnews.[...]
IRIN News
2008-11-19
[48]
웹사이트
Taipei - International Sister Cities
http://web.tcc.gov.t[...]
Taipei City Council
2013-08-23
[49]
서적
世界年鑑2024
[50]
웹사이트
Average Conditions Monrovia, Liberia
http://www.bbc.co.uk[...]
BBC Weather
2009-08-18
[51]
웹사이트
Monrovia
https://www.britanni[...]
2017-08-26
[52]
서적
Liberia
Europa Publications
[53]
웹사이트
(영문) GeoHive 라이베리아 일반 정보
http://www.geohive.c[...]
[54]
간행물
Liberians: An introduction to their history and culture
http://www.trincoll.[...]
Center for Applied Linguistics
[55]
웹인용
Klimatafel von Robertsfield (Int. Flugh.) / Liberia
http://www.dwd.de/DW[...]
Federal Ministry of Transport and Digital Infrastructure
2016-06-15
[56]
웹인용
STATIONSNUMMER 65660
http://www.dmi.dk/dm[...]
Ministry of Energy, Utilities and Climate
2016-06-15
[57]
문서
찰스 테일러 (라이베리아의 정치인)가 수력발전소를 폭파한 것으로 알려진다. 일부 거리에는 사용되지 않는 전봇대가 남아있으며, 전깃줄은 고철을 노린 사람들에 의해 대부분 끊어졌다. 국가에서 시민에게 공급하는 전기는 없으며, 부유한 사람들은 기름을 사용하는 소형발전기를 통해 전기를 얻는다.
[58]
웹인용
(영어) UNMIL 방송국
http://www.unmil.org[...]
2007-04-20
[59]
웹사이트
About us"
http://www.starradi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