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신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신론은 신의 존재를 부정하는 입장으로, 어원은 고대 그리스어 '아테오스'에서 유래되었다. 무신론은 모든 신적 존재, 영적 존재, 초자연적 존재를 부정하며, 적극적으로 신의 존재를 부정하는 명시적 무신론과 유신론을 알지 못해 신을 믿지 않는 암시적 무신론으로 분류된다. 무신론은 다양한 철학적 논증을 통해 뒷받침되며, 현실적 무신론, 이론적 무신론, 인식론적 무신론, 형이상학적 무신론, 논리적 무신론 등이 존재한다. 무신론은 16세기 프랑스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고대 인도와 그리스 철학에서도 그 사상적 기원을 찾을 수 있다. 20세기에는 마르크스주의, 실존주의 등 다양한 철학에서 무신론적 사상이 나타났으며, 국가 무신론도 등장했다. 전 세계적으로 무신론자 수를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려우나, 유럽과 동아시아에서 무신론자 비율이 높게 나타난다. 무신론은 종교와 반드시 대립하는 것은 아니며, 무신론자들은 종교적 믿음 없이도 윤리적, 도덕적 삶을 영위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무신론은 기존 종교와 갈등을 겪기도 하며, 한국 사회에서는 무신론자에 대한 편견이나 차별이 존재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종교 - 영적이지만 종교적이지 않음
    영적이지만 종교적이지 않음(SBNR)은 종교적 제도에 소속되지 않고 영적인 면을 추구하는 현상이며, 탈제도화, 개인주의, 세계화 등의 사회문화적 추세와 관련되어 비판을 받기도 한다.
  • 무종교 - 나는 왜 기독교인이 아닌가
    나는 왜 기독교인이 아닌가는 버트런드 러셀이 종교, 특히 기독교의 도덕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스스로를 기독교인이라 부르지 않는 이유를 설명하는 에세이로, 종교가 공포에 기반하고 도덕적 진보를 가로막는다고 주장하며 신과 예수 그리스도의 도덕적 역할 모델로서의 지위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 반종교주의 - 신정론
    신정론은 전지전능하고 선한 신의 존재 하에 세상의 악과 고통의 존재 이유를 설명하고 신의 선함과 전능함을 정당화하려는 이론으로, 다양한 해석과 비판적 시각, 그리고 대안적 접근 방식들이 제시되고 있다.
  • 반종교주의 - 반신론
    반신론은 신의 존재에 대한 불신을 넘어 신이 존재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며, 종교의 해로운 영향력을 지적하고 신의 개념 자체에 대한 적극적인 투쟁을 포함하는 사상이다.
  • 비판 - 순수이성비판
    《순수이성비판》은 임마누엘 칸트의 저서로, 인간 이성의 한계와 인식 능력을 탐구하며, 경험적 지식에 의존하지 않고 종합적 선험 명제가 가능한지를 증명하고, 공간과 시간, 인과율 등을 인식의 형식으로 제시하여 서양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비판 - 실천이성비판
    『실천이성비판』은 임마누엘 칸트가 1788년에 출판한 저서로, 실천 이성의 역할을 탐구하고 정언 명법을 중심으로 자유 의지와 도덕성의 관계를 설명하며, 윤리학과 도덕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무신론
개요
정의신의 존재에 대한 믿음의 부재; 유신론의 반대
로마자 표기ateiseum
어원그리스어 ἄθεος(아테오스)에서 유래
철학적 관점
핵심 주장신이나 영적 존재에 대한 형이상학적 믿음을 비판하고 부정
거부 이유신의 존재를 부정하는 주장이 거짓이라는 믿음 때문이 아니라, 다양한 이유로 신에 대한 믿음을 거부.
무의미하거나, 비생산적이거나, 자의적이라는 이유로 거부
무신론의 형태신의 존재가 거짓이거나, 신의 존재를 믿을 이유가 부족하다는 믿음.
신의 존재에 대한 믿음이 없는 상태.
실질적 무신론(실천적 무신론): 종교적 믿음이나 활동에 관심이 없는 상태.
논리적 근거
주요 논증악의 문제: 세상에 악이 존재하는 것이 전능하고 선한 신의 존재와 모순된다는 주장.
불신앙의 문제: 신이 존재한다면 왜 모든 사람이 신을 믿지 않는가에 대한 의문.
신의 존재에 대한 증거 부족: 신의 존재를 입증할 만한 충분한 증거가 없다는 주장.
논리적 모순: 신의 속성(전지전능, 선함)과 현실의 모순을 지적하는 논증.
역사적 배경
고대 그리스최초로 무신론적 사상이 나타남
현대 사회세속주의와 함께 무신론이 증가하는 추세
종교와의 관계
불교일부 불교 종파는 신을 인정하지 않음.
부처는 신이 아닌 깨달은 존재로 숭배됨.
힌두교힌두교 내부에도 신을 부정하는 관점이 존재함.
힌두교의 다양한 철학 학파 중 일부는 무신론적 성향을 보임.
무신론자 현황
세계적 분포유럽과 일본 등 일부 국가에서 무신론자 비율이 높음.
2012년 조사에서 전 세계적으로 13%가 무신론자로 응답함.
2017년 조사에서 비종교인(무신론자 포함)이 11%에서 30%까지 증가함.
세계에서 가장 종교적인 나라는 아프리카, 무종교인은 아시아와 유럽에 많음.
지역별 특징서유럽 국가에서 무신론자 비율이 높게 나타남.
동유럽 국가에서도 무신론자가 증가하는 추세임.
아시아 국가에서는 일본과 중국에서 무신론자 비율이 높음.
기타
참고 자료존 R. 슈크의 "초자연에 대한 회의론"
인터넷 인피델스의 "무신론을 위한 논리적 논증"
테오도르 M. 드레인지의 "악과 불신앙으로부터의 논증"
무신론의 다양한 정의
철학 사전의 무신론 정의

2. 어원

ἄθεοι


'무신론'에 해당하는 영어 단어 'atheism'의 어원은 고대 그리스어 ἄθεος|아테오스grc(''átheos'')에서 찾을 수 있다. 이 단어는

로마의 학자 키케로는 그리스어 '아테오스'를 라틴어 atheos|아테오스la로 음역하여 사용했으며,[24] 이 용어는 초기 기독교고대 그리스 종교 신봉자들 간의 논쟁에서 서로를 비판하고 경멸하는 용도로 자주 등장했다.[24]

영어에서 '무신론자'를 뜻하는 'atheist'는 프랑스어 athée|아테프랑스어에서 유래했으며, '신 또는 신들의 존재를 불신하거나 거부하는 자'라는 의미로[25] 1566년[26] 혹은 1571년[27] 문헌에 처음 기록되었다. 실제적인 신 없음 상태를 나타내는 용어로는 최소 1577년부터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28] '무신론'을 의미하는 'atheism'은 프랑스어 athéisme|아테이슴프랑스어에서 파생되었으며,[29] 영어 문헌에는 1586년[320] 또는 1587년[30]경 처음 등장한다. 이보다 앞선 1534년경의 초기 문헌에서는 'atheonism'이라는 단어가 사용된 예도 있다.[271][272]

한편, 무신론과 관련하여 비교되는 개념들의 용어 등장 시기는 다음과 같다. '이신론자'(deist영어)는 1621년,[273] '유신론자'(theist영어)는 1662년,[274] '이신론'(deism영어)은 1675년,[275] 그리고 '유신론'(theism영어)은 1678년에 각각 처음 문헌에 기록되었다.[276]

역사학자 카렌 암스트롱에 따르면, 16세기와 17세기 유럽에서 '무신론자'라는 호칭은 여전히 논쟁적이고 부정적인 딱지였기에, 스스로를 무신론자라고 칭하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277] 17세기 중반까지도 '무신론'이라는 단어가 오늘날처럼 단순히 '신을 믿지 않음'을 의미하기는 어려웠을 것으로 추정된다.[278] 무신론이라는 용어가 일신교, 특히 아브라함계 유일신에 대한 불신을 나타내며 스스로를 규정하는 데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18세기 후반 유럽에서였다.[280] 20세기에 들어 세계화가 진행되면서 '무신론'은 특정 유일신뿐만 아니라 모든 종류의 신적 존재에 대한 불신을 포괄하는 더 넓은 의미로 확장되었다.[283]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구 사회에서는 여전히 '무신론'이 주로 유일신(God)에 대한 불신을 의미하는 것으로 통용되는 경향이 있다.[283]

한국어에서 '무신론'은 한자 無神論으로 표기하며, 글자 그대로 '신(神)이 없다(無)는 이론/주장(論)'을 의미한다.

3. 정의와 분류

약한 무신론과 강한 무신론, 암시적 무신론과 명시적 무신론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표.


무신론을 어떻게 정의하고 분류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의견 일치를 보기 어렵다.[282][4] 이는 '', '영적 존재', '초자연적 실체'와 같은 용어의 의미를 통일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무신론이 특정 입장을 가지는 철학적 태도인지, 단순히 입장이 없는 상태인지, 그리고 신의 존재를 의식적으로 명확히 거부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논쟁이 있다.[227] 과거에는 다양한 신앙 체계 속의 특정 신을 믿지 않는다는 이유로 다른 믿음을 가진 사람들을 무신론자로 여기기도 했다. 예를 들어 고대 로마인들은 자신들의 다신교 신들을 믿지 않는 기독교인들을 무신론자라고 비난했다. 이러한 관점은 점차 유신론이 어떤 신에 대한 믿음이든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면서 사라졌다.[283]

=== 범위에 따른 정의 ===

무신론이 부정하는 대상의 범위에 따라 정의가 달라진다. 원론적으로 무신론은 모든 신적 존재뿐만 아니라 영적인 존재, 초자연적인 존재, 초월적인 개념의 존재까지 부정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284][235]

=== 암시적 무신론과 명시적 무신론 ===

무신론은 신의 존재에 대해 개인이 얼마나 의식적으로 고려하는 정도에 따라 '암시적 무신론'과 '명시적 무신론'으로 나뉜다.[13]

  • 암시적 무신론(Implicit atheism영어): 신에 대한 믿음이 없는 상태이지만, 이를 의식적으로 거부하지는 않는 경우를 말한다. 여기에는 신이라는 개념 자체에 노출된 적이 없는 갓난아기나 다른 사람들이 포함된다.[12] 1772년 계몽주의 사상가 폴 앙리 디트리히 돌바크는 "모든 어린이는 무신론자로 태어나며, 그들은 신에 대한 개념이 없다"고 말했다.[285][12] 조지 H. 스미스는 1979년에 이러한 상태, 즉 유신론을 알지 못해 신을 믿지 않는 상태를 '암시적 무신론'이라고 처음으로 명명했다.[286][13]
  • 명시적 무신론(Explicit atheism영어): 유신론적 믿음에 대해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의식적으로 거부하는 경우를 말한다.[13] 어니스트 네이글과 같은 일부 철학자들은 명시적 무신론만이 진정한 의미의 무신론이라고 주장하며, 단순히 믿음이 없는 상태(암시적 무신론)를 무신론의 한 유형으로 포함하는 것에 반대하기도 했다.[287][16] 일반적으로 무신론은 유신론에 대한 명시적인 입장으로 정의되는 경우가 많다.[5][6][7][14][15]


그레이엄 오피는 신이 무엇인지 이해하지 못해 그 존재 여부를 생각해 본 적 없는 이들(예: 생후 1개월 아기, 침팬지, 심각한 뇌 손상이나 진행된 치매 환자 등)을 '순진한 자들'(innocents영어)로 분류하여, 이들이 불가지론자(신 존재 여부를 고려해 본 사람들)와는 구별된다고 설명했다.

=== 적극적 무신론과 소극적 무신론 ===

앤터니 플루,[288][17] 마이클 마틴[283] 등의 철학자들은 무신론을 다시 '적극적 무신론'과 '소극적 무신론'으로 구분한다. 이 구분은 각각 '강한 무신론'과 '약한 무신론'이라고도 불리기도 한다.[291][292]

  • 적극적 무신론(Positive atheism영어) 또는 강한 무신론(Strong atheism영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이 존재한다"는 주장이 거짓이라고 명시적으로 주장하는 입장이다.[288] 즉, 신의 부재를 확신하고 주장한다.
  • 소극적 무신론(Negative atheism영어) 또는 약한 무신론(Weak atheism영어): 신이 존재한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신의 부재를 적극적으로 주장하지는 않는 모든 형태의 비유신론을 포함한다.[288] 단순히 신에 대한 믿음이 없는 상태이다.


이 분류에 따르면, 유신론자가 아닌 모든 사람은 소극적 무신론자이거나 적극적 무신론자에 해당한다.[289] '강한/약한 무신론'이라는 용어는 비교적 최근에 사용되기 시작했고, '적극적/소극적 무신론'이라는 용어는 19세기 초 철학 문헌[288]과 가톨릭 변증학[290] 등에서 더 오래 사용되었다.[291][292]

=== 불가지론과의 관계 ===

무신론과 불가지론의 관계는 다양하게 해석된다. 마이클 마틴은 불가지론(신이 존재하는지 알 수 없다는 입장)이 소극적 무신론을 함축한다고 주장한다. 즉, 신의 존재를 알 수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신을 믿지 않는 상태(소극적 무신론)에 해당한다고 본다. 이 관점에서 불가지론적 무신론은 무신론과 불가지론의 입장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228][229][230][231]

그러나 많은 불가지론자들은 자신들의 입장이 무신론(특히 신의 부재를 주장하는 적극적 무신론)과는 다르다고 생각하지만,[18][19] 때로는 무신론과 불가지론이 서로 대조되는 개념으로 설명되기도 한다.[9][10][11][232][233][234]

일각에서는 신의 존재를 부정하는 무신론 역시 증명할 수 없기는 마찬가지이므로 유신론만큼이나 맹목적인 믿음을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한다.[294] 이에 대해 무신론자들은 일반적으로 증명되지 않은 종교적 명제는 다른 증명되지 않은 명제들과 마찬가지로 불신하는 것이 합리적이며,[295][20] 신의 존재에 대한 불확실성이 양쪽(존재와 부재)의 가능성이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반박한다.[296][21] 호주 철학자 J. J. C. 스마트는 지나친 철학적 회의주의 때문에 실제로는 무신론자이면서도 스스로를 불가지론자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고 지적한다.[22]

리처드 도킨스와 같은 일부 저술가들은 유신론, 불가지론, 무신론을 명확히 구분하기보다는 "신이 존재한다"는 진술에 대해 각자가 부여하는 확률에 따라 연속적인 스펙트럼 위에 배치하는 '유신론 확률 스펙트럼'을 제시하기도 한다.

한편, 샘 해리스는 그의 저서 ''기독교 국가에 보내는 편지''에서 "무신론"이라는 용어 자체가 불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그는 아무도 자신을 "비점성술사"나 "비연금술사"라고 부르지 않는 것처럼, 정당하지 않은 종교적 믿음에 대해 합리적인 의문을 제기하는 것에 특별한 이름(무신론)을 붙일 필요가 없다고 보았다.

4. 철학



무신론의 철학적 근거는 크게 현실적 무신론과 이론적 무신론으로 나눌 수 있다.

'''현실적 무신론'''은 무관심론과 유사하게, 신의 존재 여부와 관계없이 세상을 자연 현상만으로 설명하려는 태도이다. 신의 존재를 명시적으로 부정하지는 않지만, 어떤 현상을 설명하거나 논증하는 데 신의 존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298] 이는 과학계의 결론들과 함께 방법론적 자연주의의 형태를 띤다.[299] 현실적 무신론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 종교적 동기의 부재: 신이 도덕적 행동을 포함한 어떤 행동에도 동기를 부여하지 않는다고 본다.
  • 신과 종교 문제의 배제: 지식 추구나 현실적인 행동 과정에서 신이나 종교 문제를 의도적으로 제외한다.
  • 무관심: 신이나 종교 문제 자체에 흥미를 보이지 않는다.
  • 무지: 신적 존재의 개념 자체를 알지 못한다.[300]


'''이론적 무신론'''은 신의 존재를 부정하는 명시적인 논증을 제시하며, 지적 설계 논증이나 파스칼의 내기와 같은 유신론적 논증에 반박한다. 이론적 무신론은 주로 존재론, 특히 물리주의에 기반을 둔다. 이론적 무신론은 다양한 철학적 관점에서 신의 존재를 반박한다.

  • '''인식론적 무신론''': 인간이 신이나 신의 존재를 알 수 없다고 주장한다. 이는 다양한 형태의 불가지론에 기초한다. 내재론에서는 신이 우주와 분리될 수 없다고 보며, 불가지론적 관점에서는 인간 인식의 한계 때문에 신의 존재에 대한 믿음이 정당화될 수 없다고 본다. 칸트와 계몽시대의 합리주의는 인간 이성으로 추론 가능한 지식만을 인정했는데, 이런 관점에서 신은 이론적으로 인식 불가능하며 그 존재를 알 수 없다고 여겨진다. 데이비드 흄의 회의론은 신의 존재를 확인할 방법이 절대적으로 없다고 주장한다. 다만, 불가지론을 무신론의 한 형태로 볼 것인지, 독립된 입장으로 볼 것인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298] 신학적 비인지주의는 '신이 존재한다'는 진술 자체가 인식적으로 무의미하다고 간주한다. 철학자 앨프리드 에이어와 시어도어 드레인지는 신의 존재를 '가설'로서 수용한 두 입장의 구분을 거부하고, 대신 비인지주의라는 독립된 분류를 제안했다.[301][302]

  • '''형이상학적 무신론''': 일원론, 특히 물리주의유물론에 기반하여 비물질적인 신의 존재 가능성을 부정한다. 형이상학적 무신론은 절대적 무신론(유물론적 일원론처럼 신 존재를 명시적으로 거부)과 상대적 무신론(범신론, 만유내재신론 등 인격신 개념을 거부하는 철학)으로 나뉠 수 있다.[303] 대부분의 무신론자는 존재론적 일원론, 즉 근본 실체는 하나뿐이라는 믿음을 가지며, 유물론이나 물리주의를 통해 물질적, 물리적 실체만이 존재한다고 본다.[34][35] 자연주의는 존재하는 모든 것이 근본적으로 자연적이며 초자연적인 현상은 없다는 견해를 설명하는 데에도 사용된다.[34] 자연주의적 관점에 따르면 과학은 물리 법칙과 자연 현상을 통해 세계를 설명할 수 있다.[39] 철학자 그레이엄 오피는 학계 철학자 중 상당수가 물리주의(56.5%)와 자연주의(49.8%)에 기운다는 설문조사를 언급한다.[40] 오피에 따르면, 자연주의에 대한 주장은 유신론과 양립 불가능하므로 무신론에 대한 간접적 주장이다.[41]



  • '''논리적 무신론''': 기독교의 인격신과 같이 특정 종교에서 상정하는 신의 개념들이 가진 속성들(예: 완전성, 창조자격, 불변성, 전지, 편재, 전능, 전능선, 초월, 인격성, 비물질성, 정의, 자비 등)이 서로 모순된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논리적 비일관성을 근거로 신의 존재를 부정하는 연역적 논증을 제시한다.[305][44] 예를 들어, "전지전능한 신이 자신이 들 수 없는 크기의 바위를 만들 수 있는가?"와 같은 전능의 역설은 전지전능한 신의 존재가 논리적으로 불가능함을 보이려 한다.

  • '''신정론적 무신론 (악의 문제)''': 세상에 존재하는 악과 고통이 전지, 전능, 전능선한 신의 존재와 양립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만약 신이 전능하고 전선하다면 악을 막을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신의 속성에 모순이 생긴다는 것이다.[306][45] 이 문제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 에피쿠로스에 의해 처음 상세히 설명된 것으로 여겨지며[304], 불교 철학에서도 싯다르타 고타마[307]진여[47] 등에 의해 유사한 논증이 제기되었다.[46]


'''종교 비판'''

철학자 루트비히 포이어바흐[48]와 정신분석학자 지그문트 프로이트[49]는 신과 다른 종교적 신념이 다양한 심리적, 정서적 욕구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만들어진 인간의 발명품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일부 불교 신자들의 관점과도 유사하다.[309] 포이어바흐의 영향을 받은 카를 마르크스프리드리히 엥겔스는 신과 종교에 대한 신앙은 사회적 기능이며, 권력자들이 노동 계급을 억압하는 데 사용된다고 주장했다. 아나키스트 사상가 미하일 바쿠닌에 따르면, "신의 개념은 인간 이성과 정의의 포기이며, 인간의 자유에 대한 가장 결정적인 부정이며, 이론과 실제 모두에서 인류의 노예화로 끝난다." 그는 볼테르의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신을 발명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라는 격언을 뒤집어 "신이 실제로 존재한다면, 신을 폐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라고 썼다.[50] 네루 역시 인도의 종교들이 "맹신, 반동, 독단, 편견, 미신, 착취"와 연결되어 있다고 비판했다.

'''대안적 가치와 관점'''

  • '''가치론적 또는 건설적인 무신론''': 신의 존재를 부정하면서 인류애와 같은 '더 절대적인 것'을 윤리와 삶의 가치의 원천으로 삼는다. 이를 통해 신에게 의존하지 않고 도덕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본다. 마르크스와 프로이트는 해방과 성숙, 제한받지 않는 행복의 교훈을 전달하기 위하여 동일한 주장을 펼쳤다.[298]
  • '''무신론적 실존주의''': 프랑스의 철학자 장 폴 사르트르는 신의 존재 부정 자체보다는 그 귀결에 주목하며 무신론적 실존주의를 대표했다.[314][315] 그는 "만약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본질에 앞선 존재... 이 존재는 바로 사람이다"라고 말하며, 인간은 미리 정해진 본성 없이 스스로를 만들어가야 하고 자신의 모든 행동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315][316] 사르트르가 거부한 신은 모호한 힘이 아니라, 스콜라 철학의 신처럼 구체적이고 전능하며 창조주인 신의 개념이었다.[319]


리처드 도킨스는 유신론 확률 스펙트럼을 통해 신 존재에 대한 믿음의 정도를 표현할 것을 제안했다.


'''무신론의 분류와 용어'''

철학자 앤터니 플루[17]와 마이클 마틴 등은 무신론을 '긍정적(강력한/절대적) 무신론'(신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명시적인 주장)과 '부정적(약한/상대적) 무신론'(유신론자가 아닌 다른 모든 형태의 비유신론)으로 구분했다. 이 분류에 따르면, 유신론자가 아닌 사람은 부정적 무신론자이거나 긍정적 무신론자이며, 불가지론은 부정적 무신론을 함축할 수 있다. 불가지론적 무신론은 무신론과 불가지론 모두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러나 많은 불가지론자들은 자신의 견해가 무신론과는 다르다고 생각한다.[18][19]

무신론자들은 증명되지 않은 종교적 명제는 다른 모든 증명되지 않은 명제만큼이나 불신할 만하다고 주장한다.[20] 또한, 신의 존재를 증명할 수 없다는 것이 두 가능성(존재 또는 부재)의 확률이 동일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지적하며 불가지론을 비판하기도 한다.[21] 호주 철학자 J.J.C. 스마트는 극단적인 철학적 회의주의 때문에 스스로를 불가지론자라고 칭하는 무신론자도 있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22] 이러한 맥락에서 리처드 도킨스와 같은 일부 무신론 저술가들은 유신론자, 불가지론자, 무신론자의 입장을 "신이 존재한다"는 진술에 대해 각자가 부여하는 가능성에 따라 유신론 확률 스펙트럼 상에서 구분하는 것을 선호한다.

자연주의에 따르면 자연 현상 외에 초자연적인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18세기 이전 서구에서는 신의 존재가 당연시되어 진정한 무신론의 가능성조차 의심받았다. 이는 모든 사람이 태어날 때부터 신을 믿는다는 '유신론적 생득설' 개념과 관련 있으며, 무신론자들이 이러한 타고난 믿음을 부정하고 있다는 함의를 내포했다.[23] 일부 무신론자들은 "무신론"이라는 용어 자체의 필요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샘 해리스는 그의 저서 ''기독교 국가에 보내는 편지''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사실, "무신론"이라는 용어는 존재해서는 안 됩니다. 아무도 자신을 "비점성술사"나 "비연금술사"라고 밝힐 필요가 없습니다... 무신론은 정당화되지 않은 종교적 신념 앞에서 합리적인 사람들이 내는 소리에 불과합니다.


무신론자들은 종종 오캄의 면도날 원칙을 적용하여, 신의 존재를 가정하지 않고도 세상을 설명할 수 있다면 굳이 신의 존재를 가정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한다. 또한, 신앙이란 입증 책임을 다하지 않고 동어 반복(토톨로지)으로 강요하는 것이라고 비판하기도 한다. (도킨스) 반대로 무신론에 대한 흔한 비판 중 하나는 신의 부정이 도덕적 타락[311]이나 삶의 의미 상실[312]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블레즈 파스칼도 그의 저서에서 이러한 관점을 보였다.[313]

5. 역사



초기 고대 그리스어에서 형용사 ἄθεος|아테오스grc (탈락 접두사 ἀ- + θεός|테오스grc "신"에서 유래)는 "신이 없는"을 의미했다. 처음에는 "경건하지 않은" 또는 "불경한"이라는 비난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기원전 5세기에 이 단어는 "신들과의 관계를 끊는" 또는 "신들을 부정하는" 의미에서 더욱 의도적이고 적극적인 신 없는 상태를 나타내기 시작했다. 그 후 ἀσεβής|아세베스grc라는 용어는 다른 신을 믿더라도 지역 신들을 불경스럽게 부정하거나 무시하는 사람들에게 적용되었다. 고전 텍스트의 현대 번역에서는 때때로 ἄθεος|아테오스grc를 "무신론적인"으로 옮긴다. 추상 명사로는 ἀθεότης|아테오테스grc, "무신론"도 있었다. 키케로는 그리스어 단어를 라틴어 atheosla로 음역했다. 이 용어는 초기 기독교인헬레니스트 사이의 논쟁에서 자주 등장하였는데, 각 진영은 상대방에게 경멸적인 의미로 이 용어를 돌렸다.[24][266]

영어 단어 "atheist"(무신론자)는 프랑스어 athée프랑스어에서 유래했으며, "신 또는 신들의 존재를 부정하는 자"[25]라는 의미로 1566년에 처음 등장하고[26] 1571년에 다시 등장한다.[27][269] "atheist"는 실제적인 신 없는 상태를 나타내는 말로 적어도 1577년부터 사용되었다.[28][270] "atheism"(무신론)이라는 용어는 프랑스어 athéisme프랑스어에서 유래했으며,[29] 영어로는 약 1586년[320] 또는 1587년에 등장한다.[30] 약 1534년의 초기 문학에서는 "atheonism"이란 단어가 사용되기도 했다.[271][272] 관련된 용어로 '이신론자'를 뜻하는 "deist"는 1621년에,[273] '유신론자'를 의미하는 "theist"는 1662년에 등장한다.[274] '이신론'(deism)은 1675년에,[275] '유신론'(theism)은 1678년에 최초로 사용되었다.[276]

카렌 암스트롱에 따르면, 16세기와 17세기에 '무신론자'라는 단어는 여전히 논쟁적인 용어였으며, 누구도 스스로 무신론자라고 불리기를 원하지 않았다.[277] 17세기 중반까지도 '무신론'이라는 단어가 오늘날과 같이 '신을 믿지 않음'이라는 명확한 의미를 갖기는 어려웠다고 추정된다.[278] 당시에는 현대적인 '신' 개념 자체가 아직 확립되지 않았기 때문이다.[279]

'무신론'이라는 단어가 일신교의 유일신에 대한 불신을 스스로 인정하는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18세기 후반 유럽에서이다.[280] 20세기 세계화의 영향으로 무신론은 모든 종류의 신적 존재에 대한 불신을 포괄하는 의미로 확장되었지만, 서구 사회에서는 여전히 유일신에 대한 불신이라는 좁은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283]

일부 무신론자들은 '무신론'이라는 용어 자체에 회의적이다. 샘 해리스는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사실, '무신론'이란 단어는 존재해서는 안 된다. 그 누구도 스스로 '무점성술자'나 '무연금술자'라고 정의할 필요를 느끼지 않는다. ... '무신론'이란 단어는 합리적인 사람들을, 정당하지 않은 종교적 믿음의 지지자들처럼 보이게 만들려는 시도에 불과하다.[281]


무신론에 대한 정의가 다양하고 모호한 이유는 '신'이나 '영적 존재'와 같은 단어의 의미가 문화와 신앙 체계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특정 신앙 체계(예: 고대 로마 다신교)를 따르지 않는 사람들을 무신론자로 비난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고대 로마인들은 자신들의 신을 믿지 않는 기독교인들을 무신론자라고 불렀다. 이러한 관점은 20세기에 들어 유신론이 다양한 신앙 형태를 포괄하게 되면서 점차 사라졌다.[283]

원론적으로 무신론은 모든 신적 존재, 영적 존재, 초자연적 존재, 초월적 존재를 부정하는 입장을 의미한다.[284]

무신론 사상은 기록상 베다 시대와 서양의 고전 시대부터 존재했다.

=== 고대 인도 ===

고대 인도에서는 베다 시대 종교가 번성하던 시기부터 무신론적 학파들이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321][86] 힌두 철학의 여섯 가지 정통 학파(아스티카와 나스티카) 중 가장 오래된 상크야 학파는 신의 존재를 받아들이지 않았으며, 초기 미만사 학파 또한 신의 개념을 거부했다.[322][88]

기원전 6세기경 인도에서 발생한 차르바카 학파(또는 ''로카야타'')는 철저하게 유물론적이고 반(反)종교적인 입장을 취했으며, 그리스의 키레네 학파와 유사하게 인도에서 가장 명시적인 무신론 철학 학파로 여겨진다. 이 학파는 베다의 권위를 부정했기 때문에 힌두교 내에서 이단(나스티카)으로 분류되었지만, 고대 인도에 유물론적 사상이 존재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이다.[323][89][90] 사티슈찬드라 챗터지와 디렌드라모한 닷타는 차르바카 철학에 대한 정보가 주로 다른 학파의 비판적인 기록을 통해 단편적으로 전해진다고 설명한다.[91]



"어떤 형태이든 유물론은 항상 인도에 존재해 왔고 베다, 불교 문헌, 서사시, 후대의 철학 저술에서 가끔 언급되지만... 다른 학파의 거의 모든 저술은 반박하기 위해 유물론적 견해를 제시한다. 우리의 인도 유물론에 대한 지식은 주로 이러한 것들에 기반한다."[324]



자이나교불교 역시 창조주로서의 인격신 개념을 거부했다.[325][92] 붓다와 동시대 인물인 아지타 케사캄바린을 중심으로 한 순세파(차르바카)는 초월적 원리 대신 사회 윤리와 개혁을 강조했다.

=== 고대 그리스와 로마 ===

소크라테스(사진)는 국가가 인정하는 신들을 믿지 않는다는 이유로 기소되었다.


루크레티우스(Lucretius)가 원자의 하강 운동인 카수스(casus)를 가리키고 있다. 그의 저서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De rerum natura)』에서 루크레티우스는 모든 것은 무한한 공간에서 움직이는 물질적 실체로 이루어져 있다고 주장했다.


서양 무신론의 뿌리는 소크라테스 이전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 찾을 수 있지만,[326][93][87] 현대적 의미의 무신론은 드물었다.[94][87] 데모크리토스와 같은 원자론자들은 세상을 순수한 유물론적 방식으로 설명하고 종교를 자연 현상에 대한 인간의 반응으로 해석하려 했으나,[95] 신들의 존재를 명시적으로 부정하지는 않았다.[95][96]

아낙사고라스는 "태양은 뜨거운 돌덩이"라고 주장하여 천체의 신성을 부정했다는 이유로 불경죄로 고발당했으며, 이레네우스는 그를 "무신론자"라고 불렀다.[97][98] 기원전 5세기 시인 멜로스의 디아고라스는 엘레우시스 신비 의식을 조롱한 혐의로 사형 선고를 받았으나 도망쳤다.[94][95] 그는 최초의 무신론자로 알려지기도 했으며,[327] 후대 작가들은 그를 신의 존재를 부정한 인물로 묘사했지만,[99][100][328] 현대 학자들 사이에서는 이견이 있다.[94][101]

크리티아스는 종교가 사람들을 통제하기 위한 인간의 발명품이라고 보았고,[329] 프로디코스는 신들이 자연 현상이나 유용한 사물들을 의인화한 것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프로타고라스불가지론적 입장을 취하며 "신들에 관해서는 그들이 존재하는지 아닌지, 어떤 모습인지 알 수 없다"고 말했다.[105][106][330]

소크라테스(기원전 470~399년경)는 자연 현상을 탐구하고 신화적 설명을 거부하는 경향 때문에 무신론자로 오해받기도 했다.[95][107] 아리스토파네스의 희극 『구름』은 소크라테스가 전통 신들을 부정한다고 풍자했다.[95][107] 그는 결국 국가가 인정하는 신들을 믿지 않고 새로운 신적인 존재를 도입했다는 죄목으로 재판받고 처형되었지만,[95][107] 재판 과정에서 자신은 무신론자가 아니라고 강력히 항변했다.[95][107][108]

헬레니즘 시대에도 종교적 회의주의는 이어졌다. 에피쿠로스(기원전 300년경)는 우주가 신의 개입 없이 자연 법칙에 따라 움직인다고 주장하는 유물론 철학을 발전시켰다.[110] 그는 신들의 존재 자체는 인정했지만,[111][87][110] 신들이 인간사에 관여하지 않는다고 보았다.[110] 에피쿠로스 학파는 마음의 평정(아타락시아)을 추구했으며, 신벌에 대한 두려움과 사후 세계를 부정했다.[110] 고대 로마의 시인 루크레티우스는 에피쿠로스의 사상을 이어받아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에서 무신론적 세계관을 명확하게 제시했다.

에우헤메로스(기원전 300년경)는 신들이 과거의 위대한 왕이나 영웅들이 신격화된 것이라고 주장했다.[112] 그는 엄밀히는 무신론자가 아니었지만, 신들의 신성을 부정했다는 이유로 비판받았다.[113] 기원전 3세기 철학자 테오도로스 키레나이쿠스[328][331][99][114]와 람프사쿠스의 스트라톤[332][115] 역시 신의 존재를 부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회의주의 철학자 섹스투스 엠피리쿠스(기원후 200년경)[116]는 신의 존재에 대한 찬반 양론을 정리하고 판단을 유보(에포케)할 것을 권했다.[117]

고전 시대 동안 '무신론자'라는 용어의 의미는 변화했다.[94] 초기 기독교인들은 로마의 신들을 믿지 않았기 때문에 로마인들에게 '무신론자'로 비난받았고,[119][94][120][121] 로마 제국의 신들과 황제 숭배를 거부했다는 이유로 박해받고 처형되기도 했다.[121][122] 기독교인과 이교도들은 서로 상대방의 신앙을 부정하며 서로를 무신론자라고 비난했다.[123] 381년 기독교가 로마 제국의 국교가 된 이후에는 기독교 이단이 처벌 대상이 되었다.[122]

6. 인구 통계

전 세계 무신론자와 불가지론자의 비율








이탈리아 무신론자 및 불가지론자들이 주최한 2012년 로마 다윈의 날


전 세계 무신론자의 수를 정확히 통계 내는 것은 어렵다. 응답자들이 '무신론'을 다르게 정의하거나 무신론, 비종교적 신념, 비유신론적 종교 및 영적 신념 사이의 구분을 다르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165][335] 예를 들어 힌두교의 무신론자는 힌두교 신자이면서 동시에 무신론자일 수 있어 구분이 쉽지 않다.[334]

2005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 따르면 전 세계 인구 중 11.9%가 무교자이며 약 2.3%가 무신론자였다. 이 통계는 불교와 같이 무신론적 종교를 포함하지 않은 수치이다.[336] 2010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조사에서는 비종교인이 세계 인구의 약 9.6%, 무신론자는 약 2.0%를 차지했으며, 2000년부터 2010년까지 무신론의 연평균 변화율은 -0.17%였다.[166] 학자들은 비종교 국가의 출산율이 세계에서 가장 낮고 종교 국가의 출산율이 더 높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무신론 비율이 감소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167][168][169]

전 세계 윈-갤럽 인터내셔널 연구에 따르면, "확신하는 무신론자"라고 응답한 비율은 2012년 13%,[170] 2015년 11%,[171] 2017년 9%로 감소 추세를 보였다.[172] 2012년 조사 기준 "확신하는 무신론자" 비율이 높은 국가는 중국(47%), 일본(31%), 체코(30%), 프랑스(29%), 대한민국(15%), 독일(15%), 네덜란드(14%), 오스트리아(10%), 아이슬란드(10%), 오스트레일리아(10%), 아일랜드(10%) 등이었다.[173]
지역별 현황

  • 유럽: 2006년 파이낸셜 타임즈 조사에서 무신론자 비율은 미국(6%)에 비해 유럽 국가들에서 높게 나타났다(이탈리아 7%, 스페인 11%, 영국 17%, 독일 20%, 프랑스 32%).[337][338] 2010년 유럽 연합의 유로바로미터 조사에 따르면, EU 전체 국민의 18%가 신을 믿지 않는다고 응답했으며,[339] "어떤 종류의 영혼, 신 또는 생명력이 있다고 믿지 않는다"는 응답은 프랑스(40%), 체코(37%), 스웨덴(34%), 네덜란드(30%), 에스토니아(29%)에서 높게 나타났다. 반면 폴란드(5%), 그리스(4%), 키프로스(3%), 몰타(2%), 루마니아(1%)에서는 매우 낮았다.[177] 다른 조사에서는 스웨덴(85%), 덴마크(80%), 노르웨이(72%), 핀란드(60%) 등 북유럽 국가에서 무신론/불가지론/무교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341] 2012년 유로바로미터 조사에서는 EU 응답자의 16%가 자신을 무신론자/불가지론자로, 7%가 무신론자로 여겼다.[178] 같은 해 퓨리서치센터 조사에 따르면 유럽인의 약 18%가 종교적으로 무관심했으며, 체코(75%)와 에스토니아(60%)는 무관심한 인구가 과반수를 차지했다.[179] NORC의 2012년 연구는 동독이 무신론자 비율이 가장 높고 체코가 두 번째라고 밝혔다.[174]

  • 아시아: 일본에서는 64~65%가 무신론자, 불가지론자, 무교자이며,[341] WIN/GIA 조사에서는 31%가 "확신하는 무신론자"였다.[173] 대한민국에서는 응답자 중 30%에서 52%가 무교자, 무신론자 또는 불가지론자인 것으로 나타났고,[258] WIN/GIA 조사에서는 15%가 "확신하는 무신론자"였다.[173] 다른 조사에서는 한국인의 23%가 신을 믿지 않는다고 응답했다.[247] 종교를 믿지 않는 인구가 대다수인 국가는 북한(71%), 일본(57%), 중국(52%)이며, 중국의 특별행정구인 홍콩(56%)도 해당된다.[179] 중국은 WIN/GIA 조사에서 47%,[173] 다른 조사에서는 67%가 신을 믿지 않는다고 응답했다.[247]

  • 오세아니아: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2021년 인구 조사에서 38%가 "무종교"라고 응답했으며,[180] 이전 조사에서는 19%가 무신론자를 포함한 무교자라고 응답했다.[338] 뉴질랜드에서는 2018년 인구 조사에서 48.2%가 무종교라고 응답하여 1991년의 30%에서 증가했다.[181]

  • 북미 (미국): 퓨리서치센터의 2014년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성인 인구의 3.1%가 무신론자(2007년 1.6%에서 증가)이며, 종교가 없는("무종교") 인구는 22.8%(무신론자 3.1%, 불가지론자 4% 포함)였다.[185][189] 2015년 일반사회학조사에서는 무신론자 3%, 불가지론자 5%로 1991년(무신론자 2%, 불가지론자 4%) 이후 비교적 큰 변동은 없었다.[186] 2017년 미국 가족 조사에서는 종교적으로 무관심한 사람이 34%('특별한 것 없음' 23%, 불가지론자 6%, 무신론자 5%)였다.[187][188] 2023년 퓨리서치센터 연구에서는 미국인의 28%가 종교적으로 무관심하다고 밝혔다.[191] PRRI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24%가 무관심하며, 무신론자와 불가지론자는 이 집단의 약 4분의 1을 차지한다.[190]

  • 아랍 세계: 최근 몇 년간 무신론의 존재감이 커지고 있다. 카이로와 같은 주요 도시에서는 정부의 탄압에도 불구하고 무신론자들이 카페와 소셜 미디어를 통해 조직 활동을 하고 있다.[192] 2012년 갤럽 인터내셔널 조사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 인구의 5%가 "확신하는 무신론자"였다.[192] 그러나 젊은이들 사이에서는 무신론자를 아는 경우가 드물며, 대부분의 아랍 국가에서 1~7%만이 친구나 지인 중에 무신론자가 있다고 답했다. 지역 사회에서 무신론의 흔적을 보거나 들은 적이 있냐는 질문에도 대부분 3~8%만이 '그렇다'고 답했다 (예외: 아랍에미리트 51%).[193]

사회경제적 요인 및 지능과의 관계다양한 연구에서 교육 수준, 부, IQ와 무신론 사이에 양의 상관관계가 보고되었다.[197][198][199][53] 1998년 네이처에 발표된 설문조사에 따르면,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 중 인격적인 신이나 사후세계를 믿는 사람은 7.0%에 불과했으나, 일반 미국 국민 중에서는 85%가 인격적 신을 믿었다.[342] 학력과 무신론 여부의 상관관계는 다른 연구들에서도 나타났다.[346][343] 1927년부터 2002년까지의 39건 연구 메타 분석 결과, 신앙심과 지적 능력 사이에 반비례적 상관관계가 밝혀졌다.[344] 유럽 연합 조사에서도 고학력자일수록 무신론자가 많다는 결과가 나왔다.[339]

2008년 연구에서는 유럽과 미국에서 지능이 종교적 신념과 부정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며, 137개국 표본에서 국가 IQ와 신에 대한 불신 사이의 상관관계가 0.60으로 나타났다.[199] 진화 심리학자 나이젤 바버(Nigel Barber)는 무신론이 경제적으로 안전하다고 느끼는 곳, 특히 광범위한 사회 안전망과 더 나은 의료 서비스를 갖춘 유럽의 사회민주주의 국가에서 번성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줄이고 삶의 질과 기대 수명을 높이기 때문이며, 반대로 저개발 국가에서는 무신론자가 훨씬 적다.[201] 국가별 무신론자 수는 개인과 사회의 안보 수준과 강한 상관관계를 보이지만 예외도 있다.[175]

무신론과 IQ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만 그 크기는 크지 않으며, 이유는 명확하지 않다.[197] 한 가설은 지능이 높은 사람들이 순응할 가능성이 낮고, 많은 국가에서 종교적 신념은 순응적인 선택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202] 다른 이론은 IQ가 높은 사람들이 분석적 추론에 더 많이 참여하며, 종교에 대한 불신은 종교적 주장에 더 높은 수준의 분석적 추론을 적용한 결과라는 것이다.[197]

2015년 연구에서는 무신론자들이 유신론자들보다 인지적 반성 검사에서 더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이는 불신에 숙고적인 인지 능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보았다.[204] 2016년 메타 분석 연구에서도 자칭 무신론자들이 유신론자들보다 인지적 반성 검사에서 18.7% 더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종교성과 분석적 사고 사이에 부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했다.[205] 이러한 "분석적 무신론자" 효과는 교육 등 12가지 잠재적 혼란 요인을 통제한 학술 철학자들에게서도 발견되었다.[206] 그러나 일부 연구에서는 모든 국가에서 이러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아,[207] 문화적 차이가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208] 또한 남성이 여성보다 무신론을 지지할 가능성이 높고 분석적 사고 능력 검사에서 약간 더 나은 성적을 거두는 경향이 있어, 성별이 이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증거도 있다.[209][210][211]

퓨 리서치 센터의 2024년 자료에 따르면, 미국의 무신론자들은 미국 전체 인구에 비해 백인일 가능성이 더 높다(77% 대 62%).[200]

7. 무신론과 종교, 도덕성

스스로를 무신론자로 인식하는 사람들은 주로 비종교적인 성향을 띤다. 그러나 주요 종교의 몇몇 분파는 교리를 통해 인격적이거나 창조력을 지닌 의 존재를 배제하기도 한다.[348]

불교는 창조주 신이 없다는 점에서 무신론적 종교로 분류되기도 한다.
불교, 자이나교, 일부 힌두교 분파 등은 창조주 신 개념 없이도 성립하는 대표적인 예이다.[85] 최근에는 무신론 유대교나 인본주의 유대교[80][81], 기독교 무신론[82][83][84]처럼 공개적으로 무신론적인 신자들을 포용하는 종교 단체들도 나타나고 있다. 긍정적 무신론은 특정 신에 대한 명확한 신앙을 포함하지 않지만, 모든 영적 존재에 대한 불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일부 무신론자는 도덕적 보편주의나 인본주의의 틀 안에서 영적 가치를 추구하기도 한다.[354]

무신론에 대한 흔한 비판 중 하나는 신의 부정이 도덕적 상대주의로 이어져 도덕적 기반을 상실하게 하거나[56] 삶을 무의미하게 만든다는[57] 주장이다. 블레즈 파스칼도 그의 ''팡세''에서 유사한 관점을 제시했다.[58] 그러나 많은 무신론자들은 종교적 믿음 없이도 충분히 윤리적이고 도덕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세속 윤리나 인본주의 등 다양한 철학적 기반을 통해 도덕적 판단을 내릴 수 있다고 본다.

플라톤이 제기한 에우튀프론 딜레마는 옳고 그름을 결정하는 데 신의 역할이 필수적인지에 대한 고전적인 질문을 던진다. 즉, 선한 행위가 신이 명령했기 때문에 선한 것인지, 아니면 그 행위 자체가 선하기 때문에 신이 명령한 것인지 묻는 것이다. 전자의 경우 신의 명령은 자의적이 되며, 후자의 경우 도덕성은 신과 독립적으로 존재하게 된다는 논리적 귀결을 낳는다.[355][356][357][61][62][63] '살인은 잘못된 것이다'와 같은 도덕적 규범이 신이 내린 법이라는 주장에 대해, 많은 무신론자들은 이를 잘못된 유추라고 비판한다. 도덕적 규범은 사회적 합의나 인간 이성에 기반한 것이며, 세속적인 법처럼 반드시 신적인 입법자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358][64] 철학자 수잔 나이만[65]과 줄리안 바기니[66] 등은 신의 명령 때문에 윤리적으로 행동하는 것은 진정한 윤리적 행동이 아니라 맹목적인 복종에 불과하다고 지적한다. 바기니는 무신론이 오히려 윤리의 더 나은 기반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데, 종교적 명령의 도덕성을 외부에서 비판적으로 평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67]

진화생물학리처드 도킨스 등은 윤리의 기원을 진화적 관점에서 설명한다. 동물 세계에서 나타나는 협력이나 이타적 행동(동종 간의 싸움 자제, 먹이 나눔 등)이 개체와 집단의 생존에 유리했기 때문에 자연선택을 통해 확산되었고, 인간 사회에서는 이것이 복잡한 윤리 체계로 발전했다는 것이다.

사회학자 필 주커맨(Phil Zuckerman)은 여러 사회 과학 연구를 분석하여, 무신론자나 세속적인 사람들이 종교적인 사람들에 비해 특정 경향성이 낮다고 결론지었다. 그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346][347][53][54]

구분무신론자/세속주의자 경향종교인 경향
사회적 태도민족·인종 중심적, 덜 권위주의적, 더 개방적, 편견 적음상대적으로 더 민족·인종 중심적, 권위주의적, 덜 개방적, 편견 많음
사회 지표 (미국)무신론자 비율 높은 주에서 살인율 평균 이하종교인 비율 높은 주에서 살인율 평균 이상



조셉 베이커와 버스터 스미스는 많은 무신론자들이 스스로를 종교보다 더 도덕적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한다.[55]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무신론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좋지 않은 편이다. 무신론자가 아닌 사람들은 무신론자들이 비도덕적일 것이라는 편견을 암묵적으로 가지는 경향이 있다.[194] 퓨리서치센터의 2016년 조사에 따르면, 상당수의 사람들이 도덕적인 사람이 되기 위해 신을 믿어야 한다고 생각하며(미국 45%, 인도네시아 99%), 미국 내 여론 조사에서 무신론자는 주요 종교 집단 중 가장 낮은 '정서 온도계' 점수를 받았다.[195] 이러한 부정적 인식은 사망 불안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196]

8. 비판

로버트 라이트는 일부 조직화된 무신론 운동이 특정 사상을 강요하는 방식이 과거 종교가 강압적으로 개종을 시도했던 것과 유사하다고 비판한다. 그는 종교를 현대 사회 문제의 유일한 근본 원인으로 지목하는 것은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조던 피터슨기독교가 과학적 증명 여부와는 별개로 서구 문명의 핵심적인 기반 역할을 해왔으며, 이를 제거하는 것은 문명 유지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359]

데이비드 흄의 사상에 영향을 받은 회의주의는 신의 존재를 포함한 어떤 것에 대해서도 절대적인 확실성을 가질 수 없다고 본다. 다만 흄 자신은 관찰 불가능한 형이상학적 개념을 "궤변과 환상"으로 치부하며 배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학적 비인식론은 "신이 존재한다"는 진술 자체가 의미 있는 명제가 아니거나 인식적으로 무의미하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입장을 무신론이나 불가지론 중 어디로 분류할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철학자 A. J. 아예르와 시어도어 M. 드랜지는 두 입장 모두 "신이 존재한다"를 유의미한 명제로 간주한다는 점에서, 비인식론을 별개의 범주로 분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32][33]

일부 무신론자들은 기독교의 인격신과 같이 특정 종교에서 상정하는 신의 개념들이 내적으로 모순된 속성을 지닌다고 비판한다. 이들은 신에게 부여되는 여러 속성들, 예를 들어 완전성, 창조주로서의 지위, 불변성, 전지, 편재, 전능, 전선, 초월성, 인격성, 비물질성, 정의, 자비 등이 논리적으로 동시에 성립할 수 없다고 주장하며 신의 존재를 부정하는 연역적 논증을 제시한다.[44]

신정론적 관점에서 무신론을 주장하는 이들은 세상에 존재하는 악과 고통이 신학에서 일반적으로 신에게 부여하는 속성들과 양립할 수 없다고 본다. 즉, 모든 것을 알고, 모든 것을 할 수 있으며, 완전히 선한 신이 존재한다면, 세상에 악과 고통이 존재하고 많은 사람들에게 신의 사랑이 드러나지 않는 현상을 설명하기 어렵다고 주장한다.[45] 악의 문제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 에피쿠로스에 의해 처음 제기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데이비드 흄은 그의 저서 ''자연 종교에 관한 대화''(1779)에서 에피쿠로스를 인용하며 이 문제를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 "신은 악을 막을 의지가 있지만 능력이 없는가? 그렇다면 그는 무능하다. 그는 능력이 있지만 의지가 없는가? 그렇다면 그는 악의적이다. 그는 능력도 있고 의지도 있는가? 그렇다면 악은 어디에서 오는가? 그는 능력도 없고 의지도 없는가? 그렇다면 왜 그를 신이라고 부르는가?"[46]

8. 1. 무신론자에 대한 차별 (한국의 관점)

대한민국 사회는 다양한 종교가 공존하며 종교적 색채가 비교적 강한 편으로 평가받는다. 이러한 사회 분위기 속에서 무신론자에 대한 편견이나 차별이 존재할 수 있다.[194] 세계적으로도 무신론자에 대한 인식은 그다지 긍정적이지 않은 경향이 있으며, 신앙이 없는 사람을 비도덕적으로 간주하는 시각이 존재한다. 2016년 퓨리서치센터의 조사에 따르면, 미국인의 45%, 인도네시아인의 99%가 도덕적인 사람이 되기 위해 신을 믿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조사에서 미국 내 여론 조사 결과, 무신론자는 무슬림과 함께 주요 종교 집단 중 가장 낮은 '정서 온도계' 평가를 받았다.[195]

2016년 부다페스트 자긍심 행사에 참가한 헝가리 무신론자 협회


한국 사회 일부, 특히 보수적인 기독교 신자들 사이에서는 무신론을 도덕적으로 문제가 있거나 심지어 악마 숭배(사타니즘)와 연관 짓는 부정적인 시각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248] 이러한 오해와 사회적 불이익을 피하기 위해 자신의 무신론적 입장을 명확히 밝히기보다 불가지론과 같은 용어를 사용하거나 종교적 신념에 대해 모호한 태도를 취하는 경우도 관찰된다.[248]

현대 대한민국 헌법종교의 자유를 명확히 보장하고 있지만, 사회 일각에 존재하는 무신론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고 다양한 신념이 존중받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리처드 도킨스와 같은 학자들은 무신론자에 대한 부당한 차별 해소를 지속적으로 주장하고 있다.[248]

참조

[1] 서적 Secularization and the World Religions https://books.google[...] Liverpool University Press 2012-04-18
[2] 웹사이트 Skepticism about the Supernatural http://shook.pragmat[...] 2012-10-02
[3] 서적 God and the Burden of Proof: Plantinga, Swinburne, and the Analytical Defense of Theism Prometheus Books
[4] 백과사전 Atheism
[5] 웹사이트 Atheism and Agnosticism https://plato.stanfo[...]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21-10-24
[6] 웹사이트 Atheism https://iep.utm.edu/[...]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21-10-24
[7] 웹사이트 Where's The Evidence https://philosophyno[...] Philosophy Now 2021-10-24
[8] 서적 Agnosticism https://archive.org/[...] The Journal of Speculative Philosophy 1882-04
[9] 문서
[10] 백과사전 Atheism http://www.merriam-w[...] Merriam Webster 2011-12-15
[11] 백과사전 Atheism
[12] 서적 Good Sense http://www.gutenberg[...] 2011-04-07
[13] 문서
[14] 웹사이트 Atheism and Agnosticism https://plato.stanfo[...]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21-10-24
[15] 웹사이트 Where's The Evidence https://philosophyno[...] Philosophy Now 2021-10-24
[16] 서적 Basic Beliefs: The Religious Philosophies of Mankind Sheridan House
[17] 문서
[18] 웹사이트 Why I'm Not an Atheist: The Case for Agnosticism http://www.huffingto[...] 2013-11-26
[19] 서적 What I believe Continuum
[20] 문서
[21] 문서
[22] 웹사이트 Atheism and Agnosticism http://plato.stanfor[...]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11-04-09
[23] 서적 The True Intellectual System of the Universe: the first part, wherein all the reason and philosophy of atheism is confuted and its impossibility demonstrated
[24] 서적 Atheism in Pagan Antiquity https://books.google[...] Chicago: Ares Publishers
[25] 웹사이트 atheist http://www.thefreedi[...]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2013-11-21
[26] 서적 A Replie to Mr Calfhills Blasphemous Answer Made Against the Treatise of the Cross https://books.google[...] 2017-04-23
[27] 서적 The Psalmes of David and others, with J. Calvin's commentaries
[28] 서적 The auncient ecclesiasticall histories of the first six hundred years after Christ, written by Eusebius, Socrates, and Evagrius London
[29] 웹사이트 Merriam-Webster Online:Atheism http://www.merriam-w[...] 2013-11-21
[30] 서적 A Woorke Concerning the Trewnesse of the Christian Religion: Against Atheists, Epicures, Paynims, Iewes, Mahumetists, and other infidels
[31] 서적 Atheism: A Philosophical Justification Temple University Press 1992
[32] 웹사이트 Atheism, Agnosticism, Noncognitivism http://www.infidels.[...] Internet Infidels 2007-04-07
[33] 서적 Language, Truth and Logic Dover
[34] 서적 Atheism: The Basics Routledge
[35] 웹사이트 Physicalism https://plato.stanfo[...] Stanford University 2021-04-14
[36] 웹사이트 Neutral Monism https://plato.stanfo[...] Stanford University 2021-04-14
[37] harvnb
[38] 웹사이트 Physicalism and Metaphysical Naturalism https://www.oxfordbi[...] Oxford University Press 2021-04-13
[39] 웹사이트 Naturalism https://plato.stanfo[...] Stanford University 2021-04-14
[40] 웹사이트 The PhilPapers Surveys https://philpapers.o[...] The PhilPapers Foundation 2021-04-13
[41]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Atheism OUP Oxford 2013
[42] 학술지 Theistic naturalism https://www.pdcnet.o[...] 2021-05-01
[43] 학술지 Theistic Naturalism and "Special" Divine Providence https://onlinelibrar[...] Wylie online library 2021-05-01
[44] 웹사이트 Logical Arguments for Atheism http://www.infidels.[...] Internet Infidels 2012-10-02
[45] 웹사이트 The Arguments From Evil and Nonbelief http://www.infidels.[...] Internet Infidels 2012-10-02
[46] 웹사이트 The Buddhist Attitude to God http://www.buddhisti[...]
[47] 서적 Sheath of Abhidharma Motilal Banarsidass Pubs
[48] 서적 The Essence of Christianity
[49] 서적 What the Buddha Taught Grove Press
[50] 웹사이트 God and the State http://dwardmac.pitz[...] New York: Mother Earth Publishing Association 2011-04-09
[51] 서적 Sacred and Secular: Religion and Politics Worldwid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2] 서적 Religion and Politics
[53] 학술지 Atheism, Secularity, and Well-Being: How the Findings of Social Science Counter Negative Stereotypes and Assumptions https://web.archive.[...] 2015-06-08
[54] 웹사이트 Societies without God are more benevolent https://www.theguard[...] 2013-11-21
[55] 서적 American Secularism: Cultural Contours of Nonreligious Belief Systems NYU Press 2015
[56] 웹사이트 Common Misconceptions About Atheists and Atheism http://articles.exch[...] 2013-11-21
[57] harvnb
[58] 서적 Pensées
[59] 뉴스 Atheist Group Moves Ahead Without O'Hair https://www.washingt[...] 2014-10-22
[60] 웹사이트 Atheism and Society http://www.infidels.[...] 2011-04-09
[61] harvnb
[62] 서적 The Brothers Karamazov
[63] 서적 Critique of Pure Reason
[64] harvnb
[65] 비디오 Beyond Belief Session 6 The Science Network 2006-11-06
[66] harvnb
[67] harvnb
[68] harvnb
[69] 서적 Introduction to A Contribution to the Critique of Hegel's Philosophy of Right Collected Works
[70] 학술지 Religiousness and mental health: a review
[71] 논문 Intrinsic Religion and Authoritarianism: A Differentiated Relationship 1977-06-01
[71] 논문 Authoritarianism, Religious Fundamentalism, Quest, and Prejudice
[72] 웹사이트 An Atheist Manifesto https://web.archive.[...] Truthdig 2011-04-09
[73] 서적 Ethics for a Brave New World https://books.google[...] Stand To Reason 2007-10-18
[74] 웹사이트 Answering Atheist's Arguments http://www.catholice[...] Catholic Education Resource Center 2011-04-09
[75] 웹사이트 10 myths and 10 truths about Atheism http://www.edge.org/[...]
[76] 서적 50 great myths about atheism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5-08-13
[77] 서적 Human New York: DK Publishing, Inc
[78] 서적 Religious and Non-Religious Spirituality in the Western World ("New Age") A New Vision, A New Heart, A Renewed Call https://books.google[...] William Carey Library 2005
[79] 서적 New Religions https://archive.org/[...] Chelsea House Publishers
[80] 웹사이트 Humanistic Judaism http://www.bbc.co.uk[...] BBC 2011-04-09
[81] 논문 Jewish Atheism 1995-05-01
[82] 웹사이트 Christian Atheism http://www.bbc.co.uk[...] BBC 2011-04-09
[83] 서적 The Gospel of Christian Atheism https://web.archive.[...] London: Collins 2011-04-09
[84] 논문 On the Coherence of Christian Atheism 1970-01-01
[85] 서적 Hinduism, a way of life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 2011-04-09
[86] 서적 India, that is, sidd https://books.google[...] Allied Publishers 2011-04-09
[87] 서적 The Classical Tradition https://books.google[...]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2018-02-20
[88] 서적 A history of Indian philosophy, Volume 1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89] 웹사이트 The ancient connections between atheism, buddhism and Hinduism https://qz.com/india[...] 2019-04-03
[90] 서적 A Sourcebook in Indian Philosophy Princeton University Press
[91] 서적 An Introduction to Indian Philosophy University of Calcutta
[92] 논문 A New Interpretation of Indian Atheism
[93] 서적
[94] 서적 Diagoras of Melos: A Contribution to the History of Ancient Atheism https://books.google[...] Walther de Gruyter 2016
[95] 서적 Greek Relig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85
[96] 논문 Atomism and the Worship of Gods: On Democritus' 'Rational' Attitude towards Theology
[97] 문서 Against Heresies
[98] 문서 Against Apion, On superstition, Commentary on Aristotle's Meteorology
[99] 서적 De natura deorum
[100] 문서 Pyr, Math
[101] 논문 Diagoras, Bellerophon and the Siege of Olympus
[102] 논문 Sisyphus and the Invention of Religion
[103] 논문 Greek Religion and Philosophy in the Sisyphus Fragment 1997-01-01
[104] 서적 Euripides, Fragments: Volume VII, Aegeus-Meleager
[105] 서적 Atheism in Antiquity
[106] 서적 Ancient Greece: Everyday Life in the Birthplace of Western Civilization Sterling 2008
[107] 서적 Atheism in Antiquity 2006
[108] 서적 Routledge Philosophy Guidebook to Plato and the Trial of Socrates Routledge
[109] 간행물 The atheist underground 2013
[110] 웹사이트 Epicurus http://plato.stanfor[...] 2013-11-10
[111] 서적 The Blackwell Companion to The Problem of Evil Wiley-Blackwell 2018-09-15
[112] 문서 Fragments of Euhemerus' work in Ennius' Latin translation have been preserved in Patristic writings (e.g. by Lactantius and Eusebius of Caesarea), which all rely on earlier fragments in Diodorus 5,41–46 & 6.1. Testimonies,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polemical criticism, are found e.g. in Callimachus, Hymn to Zeus 8.
[113] 웹사이트 Moralia—Isis and Osiris https://penelope.uch[...]
[114] 서적 The Lives and Opinions of Eminent Philosophers
[115] 서적 Lucullus SUNY Press 1985
[116] 서적 Identity, Ethics, and Ethos in the New Testament https://www.gos_in_t[...] Walter de Gruyter 2020-10-09
[117] 서적 Outlines of Pyrrhonism
[118] 웹사이트 The History of Freethought and Atheism http://www.positivea[...] New York: Prometheus 2007-04-03
[119] 백과사전
[120] 서적 Backgrounds of Early Christianity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93
[121] 학술지 Why Were the Early Christians Persecuted? – An Amendment 1964-04
[122] 서적 Inquisition from Its Establishment to the Great Schism: An Introductory Study https://books.google[...] 2003
[123] 서적 Wondering About God: Impiety, Agnosticism, and Atheism in Ancient Greece Independently Published 2019
[124] 문서 While strongly critical of revealed religion, Abu Bakr al-Razi did accept the existence of God, who was one of his five 'eternal principles' (next to soul, matter, time, and place); see Adamson (2021). Whether Muhammad al Warraq and Ibn al-Rawandi were merely skeptical freethinkers or full-blown atheists is not clear; see Stroumsa (1999).
[125] 서적 A Literary History of the Arabs Routledge 1962
[126] 웹사이트 Freethought Traditions in the Islamic World http://www.sdsmt.edu[...] Rowman Altamira 2001
[127] 서적 Al-Zandaqa Wal Zanadiqa Dar Al-Taliaa Al-Jadida 1999
[128] 서적 2005
[129] 서적 The Anthropology of Religion, Witchcraft, and Magic Allyn & Bacon
[130] 서적 Assault on the Remnant: The Advent Movement The Spirit of Prophecy and Rome's Trojan Horse https://books.google[...] Dog Ear Publishing 2023-03-03
[131] 서적 A Short History of Christianity Viking
[132] 서적 The Atheist Milton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2-10-19
[133] 서적 A Short History of Christianity Viking
[134]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2013-11-26
[135] 문서 The Heritage of Western Humanism, Scepticism and Freethought http://reason.sdsu.e[...] 2011
[136] 웹사이트 "Traktatów o istnieniu Boga napisano setki. O nieistnieniu tylko jeden i to w Polsce". Jego autor spłonął na stosie https://wiadomosci.g[...] Gazeta,pl 2024-03-28
[137] 웹사이트 Michel Onfray on Jean Meslier http://nova.wpunj.ed[...] William Paterson University 2011-11-04
[138] 웹사이트 The System of Nature https://www.fulltext[...] 2011-04-07
[139] 서적 System of Nature; or, the Laws of the Moral and Physical World 1797
[140] 웹사이트 Answer to Dr. Priestley's Letters to a Philosophical Unbeliever https://www.gutenber[...] Gutenberg.org 2024-08-01
[141] 서적 A Short History of Christianity Viking
[142] 웹사이트 Natural Theology https://iep.utm.edu/[...] 2024-04-23
[143] 서적 Subjectivity and Irreligion: Atheism and Agnosticism in Kant, Schopenhauer, and Nietzsche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2011-04-09
[144] 서적 Human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6-28
[145] 서적 The Origin and Nature of Secularism. Showing that where Freethought Commonly Ends Secularism Begins https://books.google[...] Watts
[146]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Athe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04-09
[147]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Athe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04-09
[148] 논문
[149] 서적 A Sacred Space is Never Empty: A History of Soviet Atheism https://hdiplo.org/t[...] Princeton UP
[150] 서적 Russia under the Bolshevik Regime The Harvill Press
[151] 서적 A Short History of Christianity Viking
[152]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History of Communism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8-13
[153] 잡지 Is God Dead? https://content.time[...] 1966-04-08
[154] 잡지 'Is God Dead?' https://content.time[...] 2022-07-13
[155] 서적 Untouchable: Dalits in Modern India Lynne Rienner Publishers
[156] 간행물 Atheism in South India http://iheu.org/cont[...] International Humanist and Ethical Union 2013-11-21
[157] 뉴스 Vashti McCollum, 93, Plaintiff In a Landmark Religion Suit – Obituary https://www.nytimes.[...] 2013-11-10
[158] 서적 Religion on Trial https://books.google[...] AltraMira Press 2009-07-23
[159] 뉴스 The atheists' calling the Madison-based Freedom From Religion Foundation is taking its latest battle to the U.S. Supreme court. It's a milestone for the often-vilified but financially strong group, which has seen its membership grow to an all-time high http://host.madison.[...] 2013-06-30
[160] 뉴스 The Atheists' Calling http://host.madison.[...] Wisconsin State Journal 2013-11-21
[161] 뉴스 The rise of the New Atheists http://www.cnn.com/2[...] CNN 2010-03-16
[162] 잡지 Preview: The Four Horsemen of New Atheism reunited http://www.newstates[...] 2012-02-13
[163] 잡지 Finding Shared Values in a Diverse Society: Lessons From the Intelligent Design Controversy https://web.archive.[...] 2013-11-21
[164] 웹사이트 Religious Composition by Country, 2010-2050 https://www.pewforum[...] 2020-04-27
[165] 웹사이트 Major Religions of the World Ranked by Number of Adherents, Section on accuracy of non-Religious Demographic Data http://www.adherents[...] 2011-04-09
[166] 웹사이트 Religion: Year in Review 2010: Worldwide Adherents of All Religions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3-11-21
[167] 논문 Shall the Religious Inherit the Earth?: Demography and Politics in the Twenty-First Century http://www.sneps.net[...] Belfer Center, Harvard University/Birkbeck College, University of London
[168]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Atheism 2006
[169] 뉴스 London: A Rising Island of Religion in a Secular Sea https://www.huffingt[...] Huffington Post 2013-02-20
[170] 웹사이트 WIN-Gallup International "Religiosity and Atheism Index" reveals atheists are a small minority in the early years of 21st century https://web.archive.[...] 2012-08-28
[171] 뉴스 New Survey Shows the World's Most and Least Religious Places https://www.npr.org/[...] 2015-04-29
[172] 웹사이트 Religion prevails in the world https://web.archive.[...] 2018-02-27
[173] 웹사이트 Global Index of Religion and Atheism https://web.archive.[...] Gallup – Red C
[174] 웹사이트 Beliefs about God across Time and Countries https://www.norc.org[...] 2021-02-26
[175]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Atheis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04-09
[176] 웹사이트 Special Eurobarometer: Biotechnology https://web.archive.[...] 2010-10-01
[177] 서적 Social values, Science and Technology https://web.archive.[...] Directorate General Research, European Union 2011-04-09
[178] 간행물 Discrimination in the EU in 2012 https://web.archive.[...] European Commission 2013-08-14
[179] 웹사이트 Religiously Unaffiliated http://www.pewforum.[...] 2014-11-07
[180] 웹사이트 2021 Australia, Census All persons QuickStats https://www.abs.gov.[...] 2023-04-09
[181] 웹사이트 Place Summaries New Zealand https://www.stats.go[...] 2023-11-28
[182] 웹사이트 Atheist Zone https://atheistzone.[...] 2023-05-23
[183] 웹사이트 PDF of the Secular Nation article "A Conventioneer's Delight! Pt 5 of 5" http://www.atheistal[...]
[184] 웹사이트 WVS Database http://www.worldvalu[...] Institute for Comparative Survey Research 2015-03-01
[185] 웹사이트 America's Changing Religious Landscape https://web.archive.[...] Pew Research Center 2015-05-12
[186] 웹사이트 Fewer Americans Affiliate with Organized Religions, Belief and Practice Unchanged: Key Findings from the 2014 General Social Survey https://web.archive.[...] NORC 2015-03-01
[187] 웹사이트 'Nones' are now the biggest religious group in the US – with families torn on priorities https://web.archive.[...] 2017-11-17
[188] 웹사이트 DN American Family Survey 2017 https://web.archive.[...]
[189] 웹사이트 America's Changing Religious Landscape https://web.archive.[...] Pew Research Center 2015-05-12
[190] 뉴스 America's Changing Religious Identity https://www.prri.org[...] 2017-12-16
[191] 웹사이트 Religious 'Nones' in America: Who They Are and What They Believe https://www.pewresea[...] 2024-01-24
[192] 웹사이트 The rise of Arab atheism https://newhumanist.[...] 2015-06-29
[193] 간행물 Muslim Millennial Attitudes on Religion and Religious Leadership, Arab World https://web.archive.[...] Tabah Foundation 2016-02-08
[194] 논문 Global evidence of extreme intuitive moral prejudice against atheists https://web.archive.[...] 2017-08-07
[195] 웹사이트 10 facts about atheists https://web.archive.[...] 2016-06-01
[196] 논문 What If They're Right About the Afterlife? Evidence of the Role of Existential Threat on Anti-Atheist Prejudice https://doi.org/10.1[...] 2015-09-01
[197] 논문 Are atheists sadder but wiser? 2020-04-01
[198] 웹사이트 Why are atheists generally smarter than religious people https://web.archive.[...] Future US Inc. 2017-06-05
[199] 논문 Average intelligence predicts atheism rates across 137 nations
[200] 웹사이트 8 facts about atheists https://web.archive.[...] 2024-02-07
[201] 웹사이트 Why Atheism Will Replace Religion https://web.archive.[...] 2010-05-18
[202] 논문 Self-esteem and intelligence affect influenceability 1992-01-01
[203] 논문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Reasoning and Religiosity Is Underpinned by a Bias for Intuitive Responses Specifically When Intuition and Logic Are in Conflict 2017-12-19
[204] 논문 Atheists score higher on cognitive reflection tests https://web.archive.[...]
[205] 논문 Atheists and Agnostics Are More Reflective than Religious Believers: Four Empirical Studies and a Meta-Analysis 2016-04-01
[206] 논문 Great Minds do not Think Alike: Philosophers' Views Predicted by Reflection, Education, Personality, and Other Demographic Differences https://web.archive.[...] 2022-01-01
[207] 논문 Analytic atheism: A cross-culturally weak and fickle phenomenon? https://web.archive.[...] 2018-01-01
[208] 논문 The Origins of Religious Disbelief: A Dual Inheritance Approach https://web.archive.[...] 2021-01-01
[209] 논문 Worlds apart? Atheist, agnostic, and humanist worldviews in three European countries https://web.archive.[...] 2021-01-01
[210] 논문 Higher math anxious people have a lower need for cognition and are less reflective in their thinking https://web.archive.[...] 2021-01-01
[211] 논문 Are there gender differences in cognitive reflection? Invariance and differences related to mathematics https://doi.org/10.1[...] 2022-04-06
[212] 웹사이트 Skepticism about the Supernatural http://shook.pragmat[...] 2012-10-02
[213] 웹사이트 Logical Arguments for Atheism http://www.infidels.[...] Internet Infidels 2012-10-02
[214] 웹사이트 The Arguments From Evil and Nonbelief http://www.infidels.[...] Internet Infidels 2012-10-02
[215] 서적 Agnosticism and Atheism
[216] 서적 God and the Burden of Proof: Plantinga, Swinburne, and the Analytical Defense of Theism Prometheus Books
[217] 간행물 Humanism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218] 서적 Naturalism and Physicalism
[219] 서적
[220]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Atheis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04-09
[221] 웹사이트 Religiosity and Atheism Index http://www.wingia.co[...] WIN/GIA 2013-10-01
[222] 웹사이트 New Survey Shows the World's Most and Least Religious Places https://www.npr.org/[...] NPR 2015-04-29
[223] 웹사이트 Religion prevails in the world http://www.wingia.co[...] 2018-02-27
[224]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Athe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225] 뉴스 UK among most secular nations http://news.bbc.co.u[...] 2004-02-26
[226] 웹사이트 Worldwide Adherents of All Religions by Six Continental Areas, Mid-2007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13-11-21
[227] 백과사전
[228] 서적
[229] 서적 Agnosticism https://archive.org/[...]
[230] 서적
[231] 서적
[232] 서적
[233] 백과사전 Atheism http://www.merriam-w[...] Merriam Webster 2011-12-15
[234] 백과사전
[235] 백과사전 Atheism as rejection of religious beliefs http://www.britannic[...] 2011-04-09
[236] 서적 A Dictionary of Atheism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37] 잡지 The New Atheism, The Church of the Non-Believers https://www.wired.co[...] 2006-11
[238] 웹사이트 New Atheists http://www.iep.utm.e[...] 2016-04-14
[239] 뉴스 The rise of the New Atheists https://edition.cnn.[...] CNN 2010-03-16
[240] 웹사이트 Buddhism and Atheism http://atheism.about[...]
[241] 서적 What the Buddha Taught
[242] 문서 自然の弁証法
[243] 뉴스 Albania finds religion after decades of atheism https://www.chicagot[...] 2019-05-26
[244] 서적 儒教とは何か 中公新書
[245] 웹사이트 Subjectivity and Irreligion https://books.google[...]
[246] 문서 자유인의 신앙
[247] 뉴스 세계의 7할 「신을 믿는다」 일본은 무신론자의 비율로 세계 2위 갤럽 국제조사 https://www.christia[...] 크리스천투데이
[248] 문서 신은 망상이다 및 항목 리처드 도킨스 참조
[249] 백과사전 Atheism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09-08-23
[250] 백과사전 Atheism http://books.google.[...]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1998
[251] 서적 Dictionary of Philosophy http://www.ditext.co[...] Littlefield, Adams & Co. Philosophical Library 2010-02-01
[252]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Second Edition
[253] 웹사이트 Merriam-Webster Online Dictionary http://www.merriam-w[...] 2010-04-23
[254] 웹사이트 Definitions: Atheism http://web.as.ua.edu[...] Department of Religious Studies, University of Alabama 2011-01-26
[255] 웹사이트 Facts About Japan http://www.thomsonti[...] 2010-07-21
[256] 웹사이트 Adherents.com: By Location http://www.adherents[...] 2010-07-21
[257] 웹사이트 http://edition.cnn.c[...]
[258] 서적 Atheism: Contemporary Rates and Patter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9]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Philosophy Oxford University Press
[260] 서적 Naturalism and Physicalism
[261] 서적
[262] 웹사이트 Buddhism and Atheism http://atheism.about[...] about.com 2006-10-21
[263] 서적 Comparative Religion Motilal Banarsidass
[264] 서적 Hinduism, a way of life http://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
[265] 서적 Word Pictures in the New Testament http://www.ccel.org/[...] Broadman Press 2011-04-09
[266] 서적 Atheism in Pagan Antiquity http://books.google.[...] Chicago: Ares Publishers
[267] 웹사이트 Atheist http://dictionary.oe[...]
[268] 서적 A Replie to Mr Calfhills Blasphemous Answer Made Against the Treatise of the Cross http://books.google.[...] 2011-04-09
[269] 서적 The Psalmes of David and others, with J. Calvin's commentaries
[270] 서적 The auncient ecclesiasticall histories of the first six hundred years after Christ, written by Eusebius, Socrates, and Evagrius London
[271] 서적 English history http://books.google.[...] 2011-04-09
[272] 서적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73] 서적 The Anatomy of Melancholy http://books.google.[...] 2011-04-09
[274] 서적 His opinion concern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urch of England and Geneva [etc.] London
[275] 서적 An universal etymological English dictionary http://books.google.[...] 2011-04-09
[276] 서적 The true intellectual system of the universe
[277] 서적 A History of God https://archive.org/[...] London: Vintage
[278] 웹사이트 17th Century History – Investigating Atheism http://www.investiga[...] Investigatingatheism.info 2011-04-09
[279] 웹사이트 보관된 사본 http://www.foothill.[...] 2012-06-09
[280] 저널 Atheonism Encyclopædia Britannica
[281] 서적 Letter to a Christian Nation http://books.google.[...] Random House, Vintage Books 2011-04-09
[282] 웹인용 http://www.1911encyc[...] 2011-04-09
[283]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Atheism http://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4] 저널 Atheism as rejection of religious beliefs http://www.britannic[...] 2006-10-27
[285] 서적 http://www.gutenberg[...] 2006-10-27
[286] harvnb
[287] 서적
[288] 서적 The Presumption of Atheism Barnes and Noble
[289] 웹인용 http://atheism.about[...] 2006-10-21
[290] 저널 http://www.nd.edu/De[...] 2006-10-27
[291] 서적 http://books.google.[...] 2009-09-01
[292] 서적 http://books.google.[...] 2009-09-01
[293] 서적 https://archive.org/[...]
[294] 뉴스 http://www.irishtime[...] 2009-08-19
[295] harvnb
[296] harvnb
[297] 서적 System of Nature; or, the Laws of the Moral and Physical World
[298] harvnb
[299] 웹인용 Naturalism is an Essential Part of Science and Critical Inquiry http://docs.google.c[...] Conference on Naturalism, Theism and the Scientific Enterprise. Department of Philosophy, The University of Texas 2011-04-07
[300] harvnb
[301] 웹사이트 Atheism, Agnosticism, Noncognitivism http://www.infidels.[...] 2007-04-07
[302] 서적 Language, Truth and Logic Dover
[303] harvnb
[304] 서적 Dialogues Concerning Natural Religion http://www.gutenberg[...] Project Gutenberg (e-text) 2011-04-08
[305] 웹사이트 Logical Arguments for Atheism 2007-04-09
[306] 웹사이트 The Arguments From Evil and Nonbelief http://www.infidels.[...] 2007-04-18
[307] 웹인용 The Buddhist Attitude to God. http://www.buddhisti[...] 2007-04-27
[308] 서적 The Essence of Christianity
[309] 서적 What the Buddha Taught Grove Press
[310] 웹인용 God and the State http://dwardmac.pitz[...] 2011-04-09
[311] 웹인용 Common Misconceptions About Atheists and Atheism http://www.americanc[...] American Chronicle 2011-04-07
[312] harvnb
[313] 서적 Pensées
[314] 서적 Jean-Paul Sartre: Basic Writings Routledge
[315] 서적 Ethics: Contemporary Readings Routledge
[316] 서적 Jean-Paul Sartre: Basic Writings Routledge
[317]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Sartre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8] 서적 Jean-Paul Sartre: Basic Writings Routledge
[319] trans. Barnes, Hazel (Sartre, Jean-Paul) Being and Nothingness: An Essay on Phenomenological Ontology Philosophical Library
[320] 서적 A Woorke Concerning the Trewnesse of the Christian Religion: Against Atheists, Epicures, Paynims, Iewes, Mahumetists, and other infidels London
[321] 서적 India, that is, sidd http://books.google.[...] Allied Publishers 2011-04-09
[322] 서적 A history of Indian philosophy, Volume 1 http://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 2011-04-09
[323] 서적 A Sourcebook in Indian Philosophy Princeton University Press
[324] 서적 An Introduction to Indian Philosophy University of Calcutta
[325] 저널 A New Interpretation of Indian Atheism
[326] 서적
[327] 서적 Plato's Theology http://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328] 서적 De natura deorum Thomas Library, Bryn Mawr College
[329] 백과사전 religion, study of http://www.britannic[...] 2007-04-02
[330] 서적
[331] 서적 The Lives and Opinions of Eminent Philosophers
[332] 서적 Lucullus SUNY Press
[333] 보고서 Eurobarometer (2010) http://ec.europa.eu/[...]
[334] 서적 Religion, law and tradition: comparative studies in religious law http://books.google.[...] Routledge
[335] 웹인용 Major Religions of the World Ranked by Number of Adherents, Section on accuracy of non-Religious Demographic Data http://www.adherents[...] 2008-03-28
[336] 웹인용 Worldwide Adherents of All Religions by Six Continental Areas, Mid-2005 http://search.eb.com[...] Encyclopædia Britannica 2007-04-15
[337] 웹인용 Religious Views and Beliefs Vary Greatly by Country, According to the Latest Financial Times/Harris Poll http://www.harrisint[...] Financial Times/Harris Interactive 2011-04-09
[338] 웹인용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http://www.abs.gov.a[...]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2011-01-23
[339] 서적 Social values, Science and Technology http://ec.europa.eu/[...] Directorate General Research, European Union
[340]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atheism http://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41]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atheism http://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42] 저널 Atheism, Secularity, and Well-Being: How the Findings of Social Science Counter Negative Stereotypes and Assumptions http://www.pitzer.ed[...] 2014-02-02
[343] 저널 Correspondence: Leading scientists still reject God http://www.stephenja[...]
[344] 서적 How We Believe: Science, Skepticism, and the Search for God William H Freeman
[345] 서적
[346] 서적 Religious Behaviour https://archive.org/[...] Routledge and Kegan Paul
[347] 뉴스 Societies without God are more benevolent http://www.guardian.[...] The Guardian 2010-09-02
[348] 서적 Human New York: DK Publishing, Inc
[349] 웹인용 Humanistic Judaism http://www.bbc.co.uk[...] BBC 2006-10-25
[350] 저널 Jewish Atheism
[351] 웹인용 Christian Atheism http://www.bbc.co.uk[...] BBC 2006-10-25
[352] 서적 The Gospel of Christian Atheism http://www.religion-[...] London: Collins 2006-10-27
[353] 저널 On the Coherence of Christian Atheism
[354] harvard_reference
[355] harvard_reference
[356] 문서 The Brothers Karamazov
[357] 문서 Critique of Pure Reason
[358] harvard_reference
[359] 웹사이트 Jordan Peterson: Without Religion There's No Art & Poetry https://www.youtube.[...] Secular Talk 2020-04-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