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문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앙은 조위의 장군 문흠의 아들로, 관구검과 문흠의 난, 제갈탄의 난에 참여하여 용맹을 떨쳤다. 특히 18세에 군에서 제일가는 용장으로 이름을 알렸으며, 서진 시기에는 이민족 토벌에 큰 공을 세워 명성을 얻었다. 그러나 사마요의 모함으로 인해 291년에 처형당했다.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조운에 비견되는 용장으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91년 사망 - 양준 (서진)
    양준은 서진 무제의 황후 양염의 사촌이자 혜제의 황후 양지의 아버지로, 딸이 황후가 되면서 권력을 잡았으나 혜제 즉위 후 섭정으로서 전횡을 일삼다가 가남풍에 의해 주살당하며 팔왕의 난의 서막을 알렸다.
  • 291년 사망 - 위관 (서진)
    위관은 서진 시대의 관료이자 서예가로, 촉한 정벌에 공헌했으나 등애 부자 살해로 비판받았고, 구품관인법 폐지를 주장했으나 가남풍과의 갈등으로 사마량과 함께 살해당했으며, 뛰어난 초서 실력과 손녀 위부인으로 이름을 알렸다.
  • 진나라 (위진)의 장군 - 나헌
    나헌은 삼국 시대 촉나라와 진나라의 장군으로, 촉한 멸망 후에도 영안을 지키며 오나라의 침략을 막아낸 인물이다.
  • 진나라 (위진)의 장군 - 유연 (전조)
    4세기 초 중국 북방 흉노족 출신 유연은 팔왕의 난 시기 한나라 부흥을 명분으로 한 왕조를 건국하고 한왕에 즉위하여 광문제로 추존되었으며, 그의 나라 한은 조카 유요에 의해 한조 또는 전조로 불리게 되었다.
문앙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문앙
본명문축
차건
출생238년경
사망291년 4월 23일 (53세)
아버지문흠
형제자매문호 (동생)
작위관내후
관직 정보
직책동이교위
임기 시작280년대
임기 종료291년
군주진 무제
진 혜제
이전 직책평로호군
임기 시작 (평로호군)?
임기 종료 (평로호군)280년대경
군주 (평로호군)진 무제

2. 생애

문앙은 조위 장군 문흠의 차남으로, 어릴 때부터 뛰어난 용맹으로 이름이 높았다.[4] 정원 2년(255년), 아버지 문흠과 관구검이 반란을 일으켰을 때, 문앙은 겨우 열여덟 살이었지만, 사마사의 진영을 공격하여 큰 혼란을 일으키는 등 뛰어난 용맹을 떨쳤다. 비록 반란은 실패했지만, 문앙은 위나라 군사들을 두려움에 떨게 했다.[8] 이후 문앙은 아버지와 함께 오나라로 망명했다.

태평 2년(257년), 제갈탄이 수춘에서 반란을 일으키자, 문앙은 오나라의 지원을 받아 문흠과 함께 제갈탄을 도왔다. 그러나 문흠이 제갈탄에게 죽임을 당하자, 동생 문호와 함께 사마소에게 항복했다. 사마소는 문앙을 이용하여 수춘성을 함락시키려 하였고, 문앙은 수춘성 주변을 돌며 항복을 권유하여 결국 수춘성을 함락시켰다.

서진 건국 이후, 문앙은 장군으로 임명되어 서진을 위해 복무하였다. 함녕 3년(277년), 선비족독발수기능을 위협해 이민족 20만 명의 항복을 받아내는 큰 공을 세웠다.[30][31] 그러나 원강 원년(291년), 사마요는 정변을 일으켜, 문앙이 반역을 꾀했다고 무고하여 그의 삼족을 처형했다.[25]

2. 1. 출생과 초기 생애

문앙은 조위 장군 문흠의 차남으로, 안후이성 보저우시에 위치한 초군 출신이다.[3] 그는 어린 시절부터 뛰어난 용기와 힘으로 유명했다.[4]

2. 2. 위나라 시기 (관구검의 난과 제갈탄의 난)

정원 2년(255년), 관구검문흠이 반란을 일으키자 위나라에서는 등애를 보내 반란군을 막게 하였다. 등애는 군사를 이끌고 낙가성(樂嘉城)에 도착하여 사마사가 도착하기를 기다렸다. 문흠은 위군의 수가 적은 것을 보고 낙가성을 공격하려 했으나, 이미 사마사의 대군이 당도해 있는 것을 보고 당황하였다. 문앙은 사마사의 진압군이 아직 안정되지 않았으니 공격하면 이길 수 있다고 진언했고, 문흠은 문앙을 선봉으로 삼아 밤에 사마사의 진영을 공격했다. 문앙의 용맹으로 사마사의 진영은 혼란에 빠졌고, 사마사는 놀라 병을 앓던 눈알이 튀어나올 정도였다. 그러나 문흠이 제때 문앙을 도와주지 못하자 군사를 이끌고 후퇴했다.[6][7]

사마사는 사마반에게 기병 8천으로 쫓게 했으나, 문앙은 혼자 적군 속에 뛰어들어 백여 명을 죽이고 나오는 것을 수차례 반복하여 위군 병사들이 두려워하여 더 쫓지 못하고 돌아왔다. 문흠은 끝내 사마사에게 패하고 손준에게 항복하여, 문앙 또한 동오로 갔다.[8]

태평 2년(257년), 제갈탄이 수춘에서 반란을 일으키고 제갈정을 오나라에 인질로 보내면서 구원을 청하자, 손침의 명령으로 문흠과 함께 제갈탄을 돕게 되었다. 그러나 문흠이 제갈탄과 사이가 벌어져 죽임을 당하자, 문앙은 동생 문호와 함께 성을 넘어 사마소에게 항복하였다. 사마소는 문앙을 수춘 함락에 이용할 목적으로 받아들여 장군으로 삼고 관내후(關內侯)에 봉했다. 문앙은 문호와 함께 수춘성 주변을 돌며 항복을 권유하였고, 반란군 병사들은 크게 동요하여 항복하는 사람이 늘어났다. 사마소가 수춘성에 가까이 와도 활을 쏘지 않았고, 사기가 꺾인 반란군은 결국 사마소의 총공격에 수춘성이 함락되었다.

2. 2. 1. 관구검·문흠의 난 (255년)

정원 2년(255년) 봄, 아버지 문흠관구검사마사의 전횡에 반발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당시 문앙은 18세였지만, 뛰어난 용맹으로 군에서 제일가는 용장으로 알려졌다.[21]

사마사는 등애를 낙가로 보내 위군이 약한 척하며 문흠을 유인했고, 자신은 대군을 은밀히 낙가로 이동시켰다. 문흠이 함정에 빠진 것을 알고 퇴각하려 하자, 문앙은 "아직 승패가 결정되지 않았습니다. 성에 올라 북을 치고, 큰 소리를 지르면 위군을 격파할 수 있습니다"라고 말했다.[22]

문앙은 밤에 사마사의 진영을 기습하여 큰 혼란을 일으켰다. 문앙이 닥치는 대로 적을 사살하자, 사마사는 크게 놀라 눈병을 앓던 눈알이 튀어나올 정도였다. 그는 다른 사람들이 알까 두려워 이불을 악물고 참았다.[6][7]

문흠이 제때 문앙을 지원하지 못하자, 문앙은 군사를 이끌고 후퇴했다. 사마사가 추격해 오자, 문앙은 혼자 적군 속에 뛰어들어 백여 명을 죽이고 나오는 것을 수차례 반복했다. 위군 병사들은 두려워하여 더 쫓지 못했다.[8]

결국 반란은 실패로 돌아갔고, 문앙은 아버지 문흠과 함께 동오로 망명했다.[5]

2. 2. 2. 제갈탄의 난 (257년)

文鴦중국어과 그의 동생 文虎중국어는 아버지 문흠(文欽)이 제갈탄과 사이가 나빠져 살해당하자, 오나라를 배신하고 위나라에 항복했다.[9] 당시 위나라의 실권자였던 사마소는 문앙이 과거 사마사를 죽게 만든 원한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수춘성을 함락시키기 위한 전략적 목적으로 문앙과 문호를 받아들였다.[9]

사마소는 문앙과 문호를 장군으로 삼고 관내후(關內侯)에 봉했으며, 수춘성 주변을 돌며 항복을 권유하게 했다. 문앙은 문호와 함께 수춘성 주변을 돌며 "문흠의 아들들도 항복 후 목숨을 부지하였으니, 두려워 말고 항복하라!"고 외쳤다.[9]

반란군 병사들은 사마소에게 큰 원한을 졌던 문앙이 오히려 벼슬을 받은 것을 보고 크게 동요하여 많은 병사들이 항복했다. 사마소가 수춘성에 가까이 접근해도 활을 쏘는 등의 저항을 하지 않아, 반란군의 사기가 크게 꺾였다. 결국 사마소는 총공격을 감행하여 수춘성을 함락시켰다.[9]

2. 3. 서진 시기

서진 건국 이후, 문앙은 장군으로 임명되어 서진을 위해 복무하였다. 사마소는 문앙이 사마사의 병을 악화시켜 죽게 만든 원한을 품고 있었으나, 수춘성 함락에 이용하기 위해 그를 받아들여 장군으로 삼고 관내후(關內侯)에 봉했다. 문앙은 문호와 함께 수춘성 주변을 돌며 항복을 권유했고, 반란군 병사들은 사마소에게 원한을 샀던 문앙이 벼슬을 받은 것에 동요하여 항복하는 자가 늘어나면서 결국 수춘성은 함락되었다.[30][31]

2. 3. 1. 이민족 토벌 (270년 ~ 277년)

함녕 3년(277년), 평로호군(平虜護軍) 문앙은 양주(涼州)와 옹주(雍州)의 군사들을 이끈 사마준(司馬駿)의 명령으로 선비(鮮卑)의 독발수기능(禿髮樹機能)을 위협해 이민족 20만 명의 항복을 받았다.[30][31]

태시 6년(270년) 독발수기능이 반란을 일으켜 호열(胡烈)의 군사를 격파하고 호열을 전사하게 만들었으며, 이듬해에는 양주(凉州)의 이민족들과 호응하여 양주자사(凉州刺史) 견홍(牽弘)이 이끄는 군사를 청산(靑山)에서 포위하여 궤멸시키고 견홍 역시 죽게 만들었다. 이로 인해 양주 지역은 이민족과의 싸움으로 여러 해 동안 혼란스러웠다.

275년, 문앙은 토벌호군(平虜護軍) 직책을 맡아 옹주와 량주에서 서진군을 이끌고 선비족 독발수기능(禿髮樹機能)이 이끄는 부족 반란군을 공격했다. 그의 군대는 반란군을 위협했고, 이에 수기능과 약 20만 명의 부족민들은 서진에 항복했다.[11][12] 277년 수기능이 다시 반란을 일으키자, 문앙은 그에게 초기에 패배를 안겨주었다.[13]

문앙은 사마준의 통솔 아래, 량주, 진주, 옹주의 여러 군을 감독하여 독발수기능을 토벌하러 나섰다. 문앙은 일제히 군대를 진주시켜 위압감을 조성[23], 그 기세를 몰아 량주의 이민족을 격파했다.[24] 그 결과, 수기능은 후탄발과 20개 부족을 보내 각자 인질을 바치며 진에 항복했다. 이때 안정, 북지, 금성군의 여러 호족 길가라, 후금다 및 북로의 열경 등 20만 명도 또한 찾아와 항복했다.

이러한 반란 진압에 기여한 공로로 문앙은 군사적 업적과 무예로 명성을 얻었다.[14]

2. 4. 죽음 (291년)

원강 원년(291년) 3월 8일, 사마요는 황후 가남풍의 명령으로 정변을 일으켜 당시 서진의 실권자였던 양준과 그 일파를 죽였다. 사마요제갈탄의 외손자로, 문앙에게 앙심을 품고 있었다.[26] 사마요는 문앙이 양준과 함께 반역을 꾀했다고 무고하여, 문앙과 그의 삼족을 처형했다.[25]

3. 가계

문앙의 가계도

4. 《삼국지연의》 속 문앙

나관중의 소설 《삼국지연의》에서 문앙은 8척 장신의 사내이며, 구리 채찍과 장창을 휘두르며 싸우는 소년 장군으로 묘사된다.[17] 사마소에게 항복할 때 정사 삼국지를 비롯한 역사기록에서는 사마소가 문앙을 죽이라는 말을 물리치고 벼슬을 주는 것으로 나와 있으나, 《삼국지연의》에서는 사마소가 문앙을 죽이려 하다가 종회의 권유로 항복을 받아들이는 것으로 나와 있다.

《삼국지연의》에서 문앙은 나이 18세에 키가 8척이며, 완전 무장을 하고 허리에는 철퇴를 차고 창을 재빨리 잡아 말을 탄 후, 멀리 있는 위나라 진영을 바라보며 앞으로 나아가는 용맹한 모습으로 묘사된다.[17] 월가에서 사마사의 진영을 기습할 때 보여준 용감한 행동은 조운장판 전투에서 보여준 영웅적 행위와 비교되기도 했다.[18]

《삼국지연의》에서 문앙은 관구검의 난에서 반란군의 장수로 등장한다. 키가 8척이며 온몸을 갑옷으로 덮고, 허리에 강철 채찍을 차고, 창을 말 위에 든 용맹한 장수로, 위나라와의 전투에서 단기로 군중을 질주하며 싸우는 모습은 조운[28]에 비견된다고 시로 읊어지고 있다.

5. 평가

문앙은 뛰어난 무용과 용맹으로 당대에 이름을 떨쳤다. 특히 이상(이특의 셋째 동생)은 궁술과 말타기에 능하고 완력이 뛰어나 당시 사람들에게 "문앙 같다"는 평가를 받았다.[27] 진(晉)나라 함녕 3년(277년)에는 선비족 독발수기능의 반란을 진압하면서 사마준의 지휘 아래 량주, 진주, 옹주의 군대를 이끌고 이민족을 격파하여 그 명성을 천하에 떨쳤다.[23][24]

그러나 그의 삶은 순탄치 않았다. 여러 세력을 오가며 부침을 겪었고, 결국 권력 투쟁의 희생양이 되어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사마염은 문앙을 알현하자마자 혐오감을 느껴 면직시켰고,[25] 혜제 때에는 가남풍쿠데타에 연루되어 무고를 당해 삼족이 몰살되었다.[26]

6. 대중문화 속 문앙

코에이의 비디오 게임 시리즈인 ''진 삼국무쌍'' 8편에서 처음으로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로 등장했다.

참조

[1] 서적 Zizhi Tongjian
[2] 서적 Book of Jin
[3] 서적 Wei Shu
[4] 서적 Wei Shi Chunqiu
[5] 서적 Zizhi Tongjian
[6] 서적 Wei Shi Chunqiu
[7] 서적 Zizhi Tongjian
[8] 서적 Zizhi Tongjian
[9] 서적 Zizhi Tongjian
[10] 서적 Sanguozhi
[11] 서적 Jin Shu
[12] 서적 Jin Shu
[13] 서적 Jin Shu
[14] 서적 Taiping Yulan
[15] 서적 Zizhi Tongjian
[16] 서적 Jin Zhugong Zan
[17] 서적 Sanguo Yanyi
[18] 서적 Sanguo Yanyi
[19] 웹사이트 太平御覧(中国語) http://www.guoxue123[...]
[20] 서적 魏書
[21] 서적 晋書
[22] 서적 魏氏春秋
[23] 서적 晋書
[24] 서적 晋書
[25] 서적 太平御覧
[26] 문서 諸葛誕の反乱後も、他家に嫁いでいたことを理由に連座を免れていた。
[27] 서적 史通
[28] 문서 嘉靖本・黄正甫本では張飛。
[29] 서적 진기(晉紀)
[30] 서적 진서晉書
[31] 서적 자치통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